KR19980047144A - 엔진의 에어클리너 구조 - Google Patents

엔진의 에어클리너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7144A
KR19980047144A KR1019960065587A KR19960065587A KR19980047144A KR 19980047144 A KR19980047144 A KR 19980047144A KR 1019960065587 A KR1019960065587 A KR 1019960065587A KR 19960065587 A KR19960065587 A KR 19960065587A KR 19980047144 A KR19980047144 A KR 199800471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air
engine
space
clea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55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기윤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10199600655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47144A/ko
Publication of KR199800471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7144A/ko

Links

Landscapes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엔진의 에어클리너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개폐가 가능한 실린더형으로 형성된 클리너바디(1)와, 상기 클리너바디(1)내에 차단판(2)과 함께 별도의 밀폐공간(3)을 형성하도록 설치된 여과 엘리먼트(4)와, 상기 여과엘리먼트(4)가 형성하는 밀폐공간(3)내에 다수의 구멍(5)을 통해 공기의 통로를 제공하는 제1파이프(6)와, 상기 제1파이프(6)와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여과엘리먼트(4)가 형성하는 밀폐공간(3)을 통과하여 클리너바디(1)내의 나머지 공간(7)과 연통되도록 설치된 제2파이프(8)로 구성된 엔진의 에어클리너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엔진룸의 공간을 차지하지 않고 에어클리너 자체의 구조를 상기와 같이 제1파이프(6)와 제2파이프(8)가 180°위상차를 가진 연결상태를 형성하도록 하여 소음이 가지고 있는 에너지의 자연소멸을 유도하여 대기중으로 유출되기 어렵게 함으로써, 엔진룸의 협소한 공간을 많이 차지하지 않으면서도 효과적으로 소음을 저감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엔진의 에어클리너 구조
본 발명은 엔진의 흡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에어클러너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엔진은 실린더와 실린더 헤드 및 상기 실린더 내에서 왕복 운동하는 피스톤의 사이에 형성되는 연소실에서 연료를 연소시켜 발생된 폭발력을 상기 피스톤에 연결된 커넥팅 로드를 통해 크랭크샤프트를 회전시킴으로서 열에너지를 기계적인 회전력으로 변환하는 장치이다.
상기 엔진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소실에서 필요로 하는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기 장치가 있는 바, 상기 흡기 장치는 엔진룸 일측에 고정 설치되어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불순물을 걸러 내는 에어클리너(50)와, 상기한 에어클리너(50)에 연결되어 있는 서지 탱크(51)와, 상기한 서지 탱크에 연결되어 엔진에 균일하게 공기를 분배하게 되는 흡기 매니폴드(52)로 구성되어 있다.
물론, 상기한 에어클리너(50)와 서지 탱크(51)의 사이에는 연소실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스로틀 바디(53)가 설치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흡기 장치는 엔진(54)의 피스톤 회전에 따른 흡입력으로 외부 공기를 흡입하는 과정에서 공기를 대단히 높은 고압으로 흡입하면서 흡기 장치 내에 소음을 유발하게 되며, 엔진(54)의 진동 즉, 피스톤 왕복 운동에 따른 진동과 흡, 배기 밸브의 동작에 따른 진동이 공기의 흡입유로를 거슬러 외부로 전달되도록 하는 통로의 역할을 하게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엔진으로부터 흡기 장치를 거슬러 외부로 유출되는 소음을 줄이기 위해 현재 흡기장치에는 레조네이터와같이 특수한 주파수대의 소음을 제거할 수 있는 장치를 갖추는 등의 방법으로 소음을 억제하고 있으나, 상기한 바와 같은 레조네이터는 각각 소정의 주파수대에 해당하는 소음에만 그 영향력을 발휘하므로 다양한 주파수대의 폭넓은 소음저감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많은 레조네이터를 설치해야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레조네이터가 설치되는 엔진룸은 다른 구성부품들로 가득하여 그 설치공간을 확보하기가 매우 곤란하며, 다수의 레조네이터를 설치한다 하더라도 소요 비용이 많이 든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엔진룸의 공간을 별도로 차지하지 않으면서 엔진으로부터 유출되는 소음을 외부와 효과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병행하는 엔진의 에어클리너 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엔진 흡기계통의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클리너 구조가 도시된 구조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클리너바디2: 차단판
4: 여과엘리먼트5: 구멍
6: 제1파이프8: 제2파이프
9: 클램프10: 배플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엔진의 에어클리너 구조는 개폐가 가능한 클리너바디와, 상기 클리너바디 내에 별도의 밀폐공간을 형성하도록 설치된 여과엘리먼트와, 상기 여과엘리먼트가 형성하는 밀폐공간내에 다수의 구멍을 통해 공기의 통로를 제공하는 제1파이프와, 상기 제1파이프와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여과엘리먼트가 형성하는 밀폐공간을 통과하여 클리너바디내의 나머지 공간과 연통되도록 설치된 제2파이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클리너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개폐가 가능한 실린더형으로 형성된 클리너바디(1)와, 상기 클리너바디(1)내에 차단판(2)과 함께 별도의 밀폐공간(3)을 형성하도록 설치된 여과엘리먼트(4)와, 상기 여과엘리먼트(4)가 형성하는 밀폐공간(3)내에 다수의 구멍(5)을 통해 공기의 통로를 제공하는 제1파이프(6)와, 상기 제1파이프(6)와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여과엘리먼트(4)가 형성하는 밀폐공간(3)을 통과하여 클리너바디(1)내의 나머지 공간(7)과 연통되도록 설치된 제2파이프(8)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클리너바디(1)는 상기 여과엘리먼트(4)를 교환하기 용이하도록 클램프(9)에 의해 개폐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제1파이프(6)는 대기중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파이프(8)는 엔진으로 연결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기 차단판(2)에는 상기 여과엘리먼트(4)가 형성하는 밀폐공간(3)의 외측 방향으로 음파가 부딪혀 소멸될 수 있도록 하는 배플(10)을 설치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엔진의 작동에 따라 엔진에서 필요로 하는 공기가 피스톤의 하강에 따른 부압형성에 따라 상기 제1파이프(6)로부터 대기중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에어클리너를 통해 공급된다.
물론, 상기와 같이 공기가 흡입되면 상기 에어클리너에서 불순물이 여과되어 엔진으로 공급되는 바, 상기 제1파이프(6)에서 다수의 구멍(5)을 통해 에어클리너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여과엘리먼트(4)가 형성하는 밀폐공간(3)을 벗어나기 위해 여과엘리먼트(4)를 통과하면서 불순물이 여과되고, 상기와 같이 여과된 공기는 상기 제2파이프(8)를 통해 엔진으로 공급된다.
이때, 엔진에서 발생되는 각종 소음이 상기 공기의 유입로를 거슬러 외부로 유출되려고 하는 바, 상기와 같은 소음이 대기중으로 나오기 위해서는 상기 에어클리너를 거쳐야 한다.
소음은 상기 제2파이프(8)를 통해 에어클리너로 유입되는 바, 상기 여과엘리먼트(4)가 형성하는 밀폐공간(3)의 나머지 공간(7)으로 유입되어 상기 배플(10)에 부딪히면서 일부의 소음이 소멸되고 나머지 소음은 제2파이프(8)를 통해 유입되던 방향과 180°반대방향으로 방향을 전환하여 상기 여과엘리먼트(4)를 통해 여과엘리먼트(4)가 형성하고 있는 밀폐공간(3)으로 유입되고, 유입된 소음은 다시 상기 제1파이프(6)의 다수의 작은 구멍(5)을 통해 외부로 전달되므로 상기와 같은 복잡한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되는 동안 대부분의 소음이 소멸되게 된다.
특히, 상기 제2파이프(8)와 제1파이프(6)는 평행한 상태로 설치되어 그 연통상태가 소음이 이동하던 방향이 180°전환되어야만 연통되도록 되어있어, 급격한 방향전환에 따른 에너지 손실 등의 영향으로 소음의 크기가 크게 감소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엔진룸의 공간을 차지하지 않고 에어클리너 자체의 구조를 상기 제1파이프(6)와 제2파이프(8)가 180°위상차를 가진 연결상태를 형성하도록 하여 소음이 가지고 있는 에너지의 자연소멸을 유도하여 대기중으로 유출되기 어렵게 함으로써, 엔진룸의 협소한 공간을 많이 차지하지 않으면서도 효과적으로 소음을 저감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개폐가 가능한 클리너바디와, 상기 클리너바디 내에 별도의 밀폐공간을 형성하도록 설치된 여과엘리먼트와, 상기 여과엘리먼트가 형성하는 밀폐공간내에 다수의 구멍을 통해 공기의 통로를 제공하는 제1파이프와, 상기 제1파이프와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여과엘리먼트가 형성하는 밀폐공간을 통과하여 클리너바디내의 나머지 공간과 연통되도록 설치된 제2파이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에어클리너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너바디 내에 별도의 밀폐공간을 형성하도록 설치된 여과엘리먼트의 일측은 상기 클리너 바디의 내측면으로 일측이 밀폐되고, 타측은 상기 밀폐된 클리너 바디를 관통하는 상기 제1파이프의 출구측과 상기 제1파이프의 입구측에 설치된 차단판으로 밀폐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에어클리너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엘리먼트가 형성하는 밀폐공간의 외측에는 음파의 충돌을 일으켜 소음을 소멸시키기 위한 배플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에어클리너 구조.
KR1019960065587A 1996-12-13 1996-12-13 엔진의 에어클리너 구조 KR199800471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5587A KR19980047144A (ko) 1996-12-13 1996-12-13 엔진의 에어클리너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5587A KR19980047144A (ko) 1996-12-13 1996-12-13 엔진의 에어클리너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7144A true KR19980047144A (ko) 1998-09-15

Family

ID=66522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5587A KR19980047144A (ko) 1996-12-13 1996-12-13 엔진의 에어클리너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4714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0634A (ko) * 2001-11-15 2003-05-23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소음방지 에어클리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0634A (ko) * 2001-11-15 2003-05-23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소음방지 에어클리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4966B1 (ko) 엔진의 흡기소음 제거장치
KR19980047144A (ko) 엔진의 에어클리너 구조
US4038820A (en) Two-cycle engine wave interference muffler means
KR100251175B1 (ko) 엔진의 에어 클리너 구조
KR200153738Y1 (ko) 엔진의 에어 덕트 구조
KR100501567B1 (ko) 압축기용 소음기
JPH0688514A (ja) 内燃機関の消音器
US3530648A (en) Combined air-filter and induction silencer
JPH0681901B2 (ja) 2サイクルエンジンの排気装置
ES2041556T3 (es) Amortiguador de ruidos de admision con filtro de aire, especialmente para motores de combustion interna de dos tiempos.
KR200311997Y1 (ko) 압축기용 소음기
KR19980044450A (ko) 엔진의 에어클리너 구조
US4674277A (en) Secondary air supply system for an engine exhaust gas purifying system
KR100251174B1 (ko) 레조네이터
KR200159215Y1 (ko) 내연기관용 오일누출 방지장치
RU2000117931A (ru) Камера сгорания газотурбинного двигателя
KR100423089B1 (ko) 차량용 에어 클리너
SU1275108A1 (ru) Воздухоочиститель дл двигател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
KR100213568B1 (ko) 흡기 소음 감소 구조
SU1224432A1 (ru) Глушитель шума впуска двигател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
SU392264A1 (ru) Глушитель шума впусжа двигателей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я
SU641146A1 (ru) Впускна система дл двигател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
SU1042393A1 (ru) Воздухоочиститель дл двигател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
SU1265385A1 (ru) Выпускна система двигател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
KR200156995Y1 (ko) 에어 크리너와 스로틀 바디의 진동 흡수 연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