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7006U - 웨이퍼의 잔류전하 방전장치 - Google Patents

웨이퍼의 잔류전하 방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7006U
KR19980047006U KR2019960060162U KR19960060162U KR19980047006U KR 19980047006 U KR19980047006 U KR 19980047006U KR 2019960060162 U KR2019960060162 U KR 2019960060162U KR 19960060162 U KR19960060162 U KR 19960060162U KR 19980047006 U KR19980047006 U KR 1998004700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fer
ripper
pin
residual charge
discharg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601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영
Original Assignee
문정환
엘지반도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정환, 엘지반도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문정환
Priority to KR20199600601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47006U/ko
Publication of KR1998004700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7006U/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58Structural electrical arrangements for semiconductor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in combination with batteries
    • H01L23/60Protection against electrostatic charges or discharges, e.g. Faraday shiel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8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 H01L21/6831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electrostatic chucks
    • H01L21/6833Details of electrostatic ch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웨이퍼의 잔류전하 방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웨이퍼 처킹장치는 웨이퍼를 업/다운 시키기 위한 웨이퍼리퍼핀을 부도체 재질을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웨이퍼의 디처킹 스텝 후에도 웨이퍼에 잔류전하가 남아 있으면 언로딩 하기 위해 웨이퍼리퍼핀이 웨이퍼에 접촉되면 웨이퍼와 정전처크 표면에 스티킹(sticking)현상이 발생하여 웨이퍼에 스트레스를 주고, 심지어는 깨지기도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웨이퍼리퍼핀의 재질을 도체로 하고, 웨이퍼리퍼핀의 일측 단자를 접지 시킴으로써 디처킹 후, 웨이퍼에 잔류전하가 남아있는 상태에서 웨이퍼를 언로딩 하기위해 웨이퍼리퍼핀과 웨이퍼가 접촉하는 경우 잔류전하가 접지측으로 방전되도록 함으로써 스티킹(sticking) 형상을 제거할 수 있는 웨이퍼의 잔류전하 방전장치를 안출한 것이다.

Description

웨이퍼의 잔류전하 방전장치
제 1 도는 종래 웨이퍼 처킹장치의 구성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RF방전부200 : 정전처크
300 : 웨이퍼리퍼핀400 : 웨이퍼
본 고안은 웨이퍼의 잔류전하 방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니폴라 정전처크(ESC)에 적용되는 웨이퍼리퍼핀의 재질을 도체로 하여 프로세서 진행 후, 웨이퍼 언로딩 시 웨이퍼의 잔류전하를 방전하도록 한 웨이퍼의 잔류전하 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 1 도는 종래 웨이퍼 처킹장치의 구성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라즈마 형성을 위한 RF전원공급부(10)와; 웨이퍼(40)를 처킹(CHUCKING)시키기 위한 정전처크(20)와; 웨이퍼(40)를 업/다운 시키기 위한 부도체의 재질로 된 웨이퍼리퍼핀(30)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장치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먼저, 웨이퍼(40)를 삽입하면 상승해 있는 웨이퍼리퍼핀(30)이 하강하여 웨이퍼(40)를 로딩시킨다. 그러면 RF전원공급부(10)를 통해 RF방전을 이용해 정전력(Electrostatic Force)를 형성하여 정전처크(20)(ESC)와 웨이퍼(40)가 처킹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웨이퍼(40)가 처킹되면 기 설정된 프로세스를 진행하고, 프로세스 과정이 끝나면 다시 RF전원공급부(10)를 이용하여 웨이퍼(40)를 디처킹 시킨다. 즉, 웨이퍼(40)에 인가되었던 전하를 방전시킨다.
이와 같이 디처킹이 끝나면 웨이퍼리퍼핀(30)이 상승하여 웨이퍼(40)를 언로딩 시킨다.
이와 같이 웨이퍼(40)를 업/다운 시키기 위해서는 웨이퍼리퍼핀(30)이 필요한데, 이때, 웨이퍼리퍼핀(30)의 재질은 부도체인 VESPEL재질을 사용하고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의 웨이퍼 처킹장치는 웨이퍼를 업/다운 시키기 위한 웨이퍼리퍼핀을 부도체 재질을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웨이퍼의 디처킹 스텝 후에도 웨이퍼에 잔류전하가 남아 있으면 언로딩하기 위해 웨이퍼리퍼핀이 웨이퍼에 접촉되면 웨이퍼와 정전처크 표면에 스타킹(sticking) 현상이 발생하여 웨이퍼에 스트레스를 주고, 심지어는 깨지기도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웨이퍼리퍼핀의 재질을 도체로 하고, 웨이퍼리퍼핀의 일측 단자를 접지 시킴으로써 디처킹 후, 웨이퍼에 잔류전하가 남아있는 상태에서 웨이퍼를 언로딩하기 위해 웨이퍼리퍼핀과 웨이퍼가 접촉하는 경우 잔류전하가 접지측으로 방전되도록 함으로써 스티킹(sticking) 형상을 제거할 수 있는 웨이퍼의 잔류전하 방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일 실시예를 들어 설명한다.
제 2 도는 본 고안의 웨이퍼의 잔류전하 방전장치의 구성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같이 플라즈마 형성을 위한 RF전원공급부(100)와; 웨이퍼(400)를 처킹(CHUCKING)시키기 위한 정전처크(200)와; 웨이퍼(400)를 업/다운시키기 위한 도체의 재질로 된 웨이퍼리퍼핀(300)으로 구성한다.
이와같이 구성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먼저, 웨이퍼리퍼핀(300)을 도체의 재질로 하고, 그 일측 단자를 접지측에 연결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먼저, 웨이퍼(400)를 삽입하면 상승해 있는 웨이퍼리퍼핀(300)이 하강하여 웨이퍼(400)를 로딩시킨다.
이후, 정전처크(200)에 전원을 공급하고, 또한 RF전원공급부(100)를 이용하여 플라즈마를 형성하도록 하여 정전력(Electrostatic Force)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 정전처크(200)(ESC)와 웨이퍼(400)가 처킹된다.
이와 같이 웨이퍼(400)가 처킹되면 기 설정된 프로세스를 진행하고, 프로세스 과정이 끝나면 다시 RF전원공급부(100)를 이용하여 웨이퍼(400)를 디처킹 시킨다. 즉, 웨이퍼(400)에 인가되었던 전하를 방전시킨다.
이와 같이 디처킹이 끝나면 웨이퍼리퍼핀(300)이 상승하여 웨이퍼(400)를 언로딩 시킨다.
이때, 웨이퍼(400)에 잔류전하가 남아 있는 경우, 웨이퍼리퍼핀(300)이 웨이퍼(400)를 상승시키기 위해 웨이퍼(400)와 접촉할 때, 웨이퍼(400)에 남아있던 잔류전하는 웨이퍼리퍼핀(300)을 통해 접지측으로 방전된다.
상기와 같이 웨이퍼리퍼핀(300)과 웨이퍼(400)가 접촉하여 방전될 때, 갑자기 방전시키면 웨이퍼(400)에 손상을 줄 수 있으므로, 상기 웨이퍼리퍼핀의 재질을 약 50Ω 정도의 저항을 가진 도체를 사용하도록 한다.
그러면 정전기를 없앨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웨이퍼리퍼핀을 약 50-100Ω정도의 저항성분을 있는 도체의 재질을 사용함으로써 웨이퍼 언로딩시 웨이퍼리퍼핀과 웨이퍼가 접촉할 때, 웨이퍼에 잔류전하가 남아 있어도, 이를 방전되도록 함으로써 잔류전하에 의한 스티킹(sticking) 현상으로 웨이퍼가 물리적으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플라즈마 형성을 위한 전원공급수단과; 웨이퍼를 처킹시키기 위한 정전처크와; 웨이퍼를 업/다운 시키기 위한 웨이퍼리퍼핀으로 구성한 웨이퍼 정전처크에 있어서, 상기 웨이퍼리퍼핀은 도체의 재질로 만든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퍼의 잔류전하 방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웨이퍼리퍼핀은 약 50-100Ω 정도의 저항을 갖는 도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퍼의 잔류전하 방전장치.
KR2019960060162U 1996-12-28 1996-12-28 웨이퍼의 잔류전하 방전장치 KR1998004700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0162U KR19980047006U (ko) 1996-12-28 1996-12-28 웨이퍼의 잔류전하 방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0162U KR19980047006U (ko) 1996-12-28 1996-12-28 웨이퍼의 잔류전하 방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7006U true KR19980047006U (ko) 1998-09-25

Family

ID=53998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60162U KR19980047006U (ko) 1996-12-28 1996-12-28 웨이퍼의 잔류전하 방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47006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6521A (ko) * 2001-12-28 2003-07-04 동부전자 주식회사 웨이퍼 잔류전하 제거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6521A (ko) * 2001-12-28 2003-07-04 동부전자 주식회사 웨이퍼 잔류전하 제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867526B2 (ja) 半導体製造装置
KR100378187B1 (ko) 정전척을 구비한 웨이퍼 지지대 및 이를 이용한 웨이퍼 디척킹 방법
US5866469A (en) Method of anodic wafer bonding
KR19980024679A (ko) 정전 척과 그것을 이용한 시료처리방법 및 장치
KR20030088479A (ko) 반도체 웨이퍼 승강장치 및 그 실행방법
JP2001044268A (ja) 半導体ウェーハ処理システムの支持面を復元する方法及びその装置
KR100842784B1 (ko) 검사 방법 및 검사 장치
IL159528A0 (en) Ceramic electrostatic chuck assembly and method of making
CN110581099B (zh) 静电卡盘和工艺腔室
JP4048412B2 (ja) 載置台の除電機構及び検査装置
US20020141132A1 (en) Electrostatic chuck apparatus and method for efficiently dechucking a substrate therefrom
KR19980047006U (ko) 웨이퍼의 잔류전하 방전장치
KR101000329B1 (ko) 플라즈마 처리장치
KR100304981B1 (ko) 웨이퍼 표면의 잔류 전하 제거 방법
KR100282421B1 (ko) 이에스씨(esc:electrostaicchuck)장치
KR20030056521A (ko) 웨이퍼 잔류전하 제거 장치
KR20080012602A (ko) 웨이퍼 및 정전척 사이의 정전력에 상응하는 압력의 세기를측정하는 측정부를 구비하는 웨이퍼 지지대 및 이를사용하여 웨이퍼를 디척킹하는 방법
KR100500471B1 (ko) 반도체 설비용 정전 척의 디척킹 장치
KR20040026427A (ko) 리프트 핀 및 이를 이용한 기판 리프팅 방법
KR20100073025A (ko) 플라즈마 처리 장치에서의 기판 디척킹 방법
KR20100001609A (ko) 웨이퍼 척킹 및 디척킹 장치
KR20050049725A (ko) 스티킹을 방지하는 정전척
KR100313602B1 (ko) 웨이퍼의 잔류전압이 순차적으로 감쇠되는 반도체 제조용 정전척
KR20050064336A (ko) 반도체 제조 장치용 폴리이미드 타입 정전척의 라이프타임 개선 방법
KR20030055660A (ko) 웨이퍼의 스티킹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