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6909U - 방열핀이 형성된 배기파이프 - Google Patents

방열핀이 형성된 배기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6909U
KR19980046909U KR2019960060065U KR19960060065U KR19980046909U KR 19980046909 U KR19980046909 U KR 19980046909U KR 2019960060065 U KR2019960060065 U KR 2019960060065U KR 19960060065 U KR19960060065 U KR 19960060065U KR 19980046909 U KR19980046909 U KR 1998004690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pipe
heat
fuel tank
present
exhaust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600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정희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20199600600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46909U/ko
Publication of KR1998004690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6909U/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08Other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xhaust 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1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260/00Exhaust treating devices having provis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1N2260/10Exhaust treating devices having provis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voiding stress caused by expansions or contractions due to temperature vari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omet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기가스를 배출하는 배기파이프로서 특히 방열핀이 형성된 배기파이프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이에 본 고안은 배기파이프에 방열핀을 일체로 구성하되 하측 반원부로만 다수개 형성시켜 배기가스의 열을 하부로 유도시키므로 연료탱크의 변형 및 연료의 가열에 따른 증발을 방지하는데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은, 배기가스가 배출되도록 차량의 저면에 장착되는 배기파이프에 있어서, 외주면의 하측 반원부로만 다수개의 방열핀(3)이 일체로 구성된 배기파이프(2); 의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방열핀이 형성된 배기파이프
본 고안은 배기가스를 배출하는 배기파이프로서 특히 방열핀이 형성된 배기파이프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기파이프는 엔진의 연소실에서 폭발후 발생하는 고온의 배기가스를 실린더 블록과 체결된 배기 매니폴드를 통하여 촉매변환기와 소음기를 거쳐서 대기중으로 방출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배기파이프는 차량의 저면에 부착되는데 전륜구동 차량일 때에는 전방의 엔진룸으로부터 시작하여 차량의 후방까지 이어지도록 하고 있으며 종래의 경우 도 3에 도시한 것과 같이 차량의 후방에 장착된 연료탱크(10)의 저면 사이로 배기파이프(20)가 지나가도록 장착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는 배기가스가 배기파이프를 지나면서 열을 전달하여 온도가 상승하게 되면 이에 따라 상기 연료탱크로 열을 발산하게 되고 상기 배기파이프로부터 열을 전달받은 연료탱크는 고온이 되면서 연료를 서서히 가열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연료탱크의 가열에 의해 연료가 증발하게 되면 대부분의 증발가스는 캐니스터를 통해 서지탱크로 공급되지만 증발량이 많아질 경우 연료탱크의 변형이 발생하거나 대기중으로 방출시키기 때문에 환경오염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배기파이프에 방열핀을 일체로 구성하되 하측 반원부로만 다수개 형성시켜 배기가스의 열을 하부로 유도시키므로 연료탱크의 변형 및 연료의 가열에 따른 증발을 방지하는데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은, 배기가스가 배출되도록 차량의 저면에 장착되는 배기파이프에 있어서, 외주면의 하측 반원부로만 다수개의 방열핀이 일체로 구성된 배기파이프; 의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방열핀이 형성된 배기파이프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배기파이프의 사시도.
도 3은 종래 기술.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연료탱크
2:배기파이프
3:방열핀
이를 첨부한 실시예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방열핀이 형성된 배기파이프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배기파이프의 사시도이다.
도면중 부호 1은 연료를 저장하는 연료탱크로서 차량의 후방, 트렁크실의 저면에 통상 장착된다. 상기 연료탱크(1)의 저면 사이로 배기가스의 배출을 위하여 배기파이프(2)를 장착시키되, 상기 배기파이프(2)의 외주면 하측 반원부로만 다수개의 방열핀(3)을 형성시켜 배기가스의 배출시 고온을 식힐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른 작용을 살펴보면 우선 연소실에서 혼합기의 폭발행정 후에 발생한 배기가스는 배기 매니폴드를 통해 촉매컨버터를 거쳐서 대기로 배출되는 상기 배기파이프(2)의 상측으로는 연료탱크(1)가 장착되어 있다.
이때 상기 배기파이프(2)를 통하여 배출되는 배기가스는 상당한 고온이어서 배출 통로의 주변으로 열을 방출하게 되는데 특히, 배기파이프(2)의 상부에 위치한 연료탱크(1)는 비교적 저온이기 때문에 열교환이 쉽게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배기가스가 상기한 연료탱크(1)의 저면을 통과하더라도 열의 방출은 비교적 적게 되는데 그 이유는 차량 전면의 라디에이터를 흐르는 냉각수가 방열핀(3)에 의해 열교환을 쉽게 하듯이 배기파이프(2)의 저면으로 방열핀(3)을 구성시키므로서 연료탱크(1)와 대향되는 상측보다는 하측의 방열핀(3) 구성부위로 열교환이 더 많이 이루어지도록 유도하기 때문이다.
즉, 배기파이프(2) 상측부 체적보다는 하측의 방열핀(3)이 구성된 부위가 열교환이 용이하도록 체적을 크게 하였기 때문에 연료탱크(1)의 가열이 저감되는 것이다.
따라서 고온의 배기가스가 연료탱크(1)의 저면을 통과하더라도 배기가스의 방열핀(3) 때문에 열교환은 상측보다는 하측이 많게 되므로 연료탱크(1)를 가열하거나 열에 의한 변형이 저감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배기파이프로부터 발생되는 배기가스의 열을 하측에 형성된 방열핀에 의해 저감시키므로 연료탱크의 가열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연료탱크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고 연료가스의 방출시 대기오염을 일으키는 원인을 차단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배기가스가 배출되도록 차량의 저면에 장착되는 배기파이프에 있어서,
    외주면의 하측 반원부로만 다수개의 방열핀(3)이 일체로 구성된 배기파이프(2);
    의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방열핀이 형성된 배기파이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핀(3)의 형성위치는 연료탱크(1)의 반대편으로 구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열핀이 형성된 배기파이프.
KR2019960060065U 1996-12-28 1996-12-28 방열핀이 형성된 배기파이프 KR1998004690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0065U KR19980046909U (ko) 1996-12-28 1996-12-28 방열핀이 형성된 배기파이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0065U KR19980046909U (ko) 1996-12-28 1996-12-28 방열핀이 형성된 배기파이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6909U true KR19980046909U (ko) 1998-09-25

Family

ID=53998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60065U KR19980046909U (ko) 1996-12-28 1996-12-28 방열핀이 형성된 배기파이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46909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9129B1 (ko) * 2002-05-09 2005-05-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기파이프의 직선화 및 저장용량 증대를 위한 연료탱크의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9129B1 (ko) * 2002-05-09 2005-05-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기파이프의 직선화 및 저장용량 증대를 위한 연료탱크의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84341A (en) Fuel vaporization apparatus for combustor
WO1991003632A1 (en) Cooling method of cylinder liner of engine
US6712283B2 (en) Heating apparatus and housing for a heating apparatus
US6981545B2 (en) Disconnectable heat exchanger
US5297530A (en) Heating device for injected fuel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9980046909U (ko) 방열핀이 형성된 배기파이프
JPH10246109A (ja) 過給式内燃機関用の排気装置
US5396866A (en) Ram tube
US5735238A (en) Heat management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JP2001020738A (ja) 内燃機関の冷却装置
JPS62293087A (ja) 熱交換器
JPH0135164B2 (ko)
JP2018066528A (ja) 温水器
US4862846A (en) Cooling water heater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JPS60195327A (ja) 内燃機関附属機器の冷却装置
ES2140979T3 (es) Vehiculo de motor, con un motor de combustion interna, con retorno exterior del gas de escape y con dispositivo de calentamiento.
US3230945A (en) Automatic choke mechanism
JPS6396493A (ja) 熱交換器
US4079716A (en) Manifold system
KR960007885Y1 (ko) 자동차의 배기가스 재순환장치
JPS5896121A (ja) 自動二輪車用水冷内燃機関
JPS6396491A (ja) 熱交換器
KR19980012314U (ko) 배기매니홀드 단열장치
JPS62294847A (ja) 暖房装置
JPS647206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