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6165U - 자동차의 콘솔박스의 커버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콘솔박스의 커버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6165U
KR19980046165U KR2019960059309U KR19960059309U KR19980046165U KR 19980046165 U KR19980046165 U KR 19980046165U KR 2019960059309 U KR2019960059309 U KR 2019960059309U KR 19960059309 U KR19960059309 U KR 19960059309U KR 19980046165 U KR19980046165 U KR 1998004616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console
vehicle
console box
op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593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하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20199600593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46165U/ko
Publication of KR1998004616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6165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63Arm-rests adjustable
    • B60N2/773Longitudinal adjus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9Adaptations for additional use of the arm-rests
    • B60N2/793Adaptations for additional use of the arm-rests for use as storage compart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8Interior l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콘솔박스의 커버구조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의 좌우시트 중앙영역에 설치되어 물건을 수용할 수 있는 자동차의 콘솔박스의 커버구조에 있어서, 물건을 직접 수용하고 통형상을 갖는 수용부(1)와, 일단이 수용부(1)의 상부영역에 고정되고 그 타단이 상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바(4)와, 수용부(1)의 상부커버를 형성하고 내측벽에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가이드홈(3)이 형성되어 지지바(4)의 타단에 형성된 걸림턱부가 슬라이드가이드홈(3)에 수용됨으로써, 수용부(1)의 가로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수용부(1)의 상부개구를 개폐하는 콘솔커버(2)를 포함하여, 콘솔커버(2)를 개폐하기가 용이하고, 강한 내구력을 가지게 됨으로써 콘솔커버(2)가 쉽게 파손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콘솔박스의 커버구조
본 고안은 자동차의 콘솔박스의 커버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개폐하기가 용이하고, 강한 내구력을 가지게 됨으로써 쉽게 파손되지 않느 자동차의 콘솔박스의 커버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운행 도중에 차량 내에서 음악용이나 어학 연습용 테이프등을 청취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사용치 않을 때에는 차량 내부에 이러한 카세트 테이프를 차량내부에 보관할 장소가 적당히 마련되어 있지 않아 불편한 경우가 많다.
통상적으로 대부분의 승용 차량에 있어서는 글로브 박스(glove box) 안에 보관하거나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카세트 테이프 박스를 설치하여 보관하도록 되어있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이 글로브 박스에 보관하는 경우에는 카세트 테이프가 고정 지지되지 않아 차량이 진동할 때 함께 진동하면서 소음을 발생시키게 되고, 또한 이 글로브 박스에 카세트 테이프를 보관 또는 이로부터 인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그 위치상 몸을 기울여야 하기 때문에 운전자가 이용하기에 불편함이 있을 뿐만 아니라, 이 글로브 박스 내부에 다른 물품이 많이 들어 있는 경우에는, 카세트 테이프를 수용할 공간이 적어져 다량의 카세트 테이프를 보관할 수가 없었다.
따라서, 상기의 결점을 감안하여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공간에 형성된 콘솔 박스를 마련하여, 상기 콘솔박스에 물건 등을 수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콘솔박스는 물건 등을 직접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상부두껑을 형성하는 콘솔커버 등으로 이루어져 있는 바, 이 콘솔커버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부(101)의 가장자리 부분에 형성된 힌지부를 중심으로 상기 콘솔커버(102)가 회동함으로써 수용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래서, 운전자 및 탑승자가 이 콘솔박스의 수용부(101)에 물건을 넣거나 수용부 내의 물건을 꺼낼려고 할 때에는, 콘솔커버(102)의 잠금장치를 해제하고 콘솔커버(102)의 상기 힌지부의 가장자리 부분을 상부로 회동시킴으로써, 콘솔커버(102)를 개방 및 폐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이러한 콘솔박스의 콘솔커버(102) 개방구조에서는, 운전자 및 탑승자가 콘솔커버(102)를 개방 및 폐쇄하기가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콘솔커버(102) 개방시에 비교적 강한 충격이 가해지게 됨으로써, 오랜 사용하게되면 콘솔커버(102) 및 수용부(101)에 재료역학적 피로현상이 생기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피로현상에 의해 콘솔박스(102)가 파손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개폐하기가 용이하고, 강한 내구력을 가지게 됨으로써, 쉽게 파손되지 않는 자동차의 콘솔박스의 커버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콘솔박스의 커버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 부분의 확대측면도.
도 3은 도 2의 확대도.
도 4는 종래의 자동차의 콘솔박스의 커버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수용부2: 콘솔커버
3: 슬라이드가이드홈4: 지지바
상기한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자동차의 좌우시트 중앙영역에 설치되어 물건을 수용할 수 있는 자동차의 콘솔박스의 커버구조에 있어서, 물건을 직접 수용하고 통형상을 갖는 수용부와, 일단이 수용부의 상부영역에 고정되고 그 타단이 상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바와, 수용부의 상부커버를 형성하고 내측벽에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지지바의 타단에 형성된 걸림턱부가 슬라이드가이드홈에 수용됨으로써, 수용부의 가로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수용부의 상부개구를 개폐하는 콘솔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콘솔박스의 커버구조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한 기술구성에 의해, 운전자 및 탑승자가 콘솔커버를 개방하여 수용부에 물건으로 넣거나 수용부에 있는 물건을 꺼낼려고 할 때에는, 콘솔커버를 수용부의 가로방향으로 간단하게 슬라이딩 이동시킴으로써, 콘솔커버를 개폐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기술구성에 의해, 콘솔커버의 내측벽에 형성된 슬라이드 가이드홈 내에는 지지바의 걸림턱부가 수용되어 있어, 콘솔커버는 이 지지바에 의해 부드럽게 슬라이딩 안내되면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에따라, 콘솔박스를 개폐하기가 용이하게 되고, 강한 내구력을 가지게 됨으로써 콘솔박스가 쉽게 파손되지 않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콘솔박스의 커버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 부분의 확대측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확대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의 좌우시트 중앙영역에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콘솔박스의 커버구조를 갖는 콘솔박스가 설치되어 물건을 수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콘솔박스는 물건을 직접 수용하고 통형상을 갖는 수용부(1) 및 수용부(1)의 상부개구를 개폐하는 콘솔커버(2) 등으로 이루어져 있는 바, 수용부(1)의 상부영역에는 일단이 수용부(1)의 측벽에 고정설치되어 있고 그 타단은 상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바(4)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수용부(1)의 상부커버를 형성하는 콘솔커버(2)는 내측벽에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가이드홈(3)이 형성되어 지지바(4)의 타단에 형성된 걸림턱부가 슬라이드가이드홈(3)에 수용됨으로써, 수용부(1)의 가로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수용부(1)의 상부개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운전자 및 탑승자가 콘솔커버(2)를 개방하여 수용부(1)에 물건을 넣거나 수용부(1)에 있는 물건을 꺼낼려고 할 때에는 콘솔커버(2)를 수용부(1)의 가로방향으로 간단하게 슬라이딩 이동시킴으로써, 콘솔커버(2)를 개폐할 수 있게 된다.
그래서, 콘솔커버(2)의 내측벽에 형성된 슬라이드 가이드홈 내에는 지지바(4)이 걸림턱부가 수용되어 있어, 콘솔커버(2)는 이 지지바(4)에 의해 부드럽게 슬라이딩 안내되면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에따라, 콘솔박스를 개폐하기가 용이하게 되고, 강한 내구력을 가지게 됨으로써 콘솔박스가 쉽게 파손되지 않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에 의하면, 콘솔커버를 개폐하기가 용이하고, 강한 내구력을 가지게 됨으로써 쉽게 파손되지 않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1)

  1. 자동차의 좌우시트 중앙영역에 설치되어 물건을 수용할 수 있는 자동차의 콘솔박스의 커버구조에 있어서, 상기 물건을 직접 수용하고 통형상을 갖는 수용부와, 일단이 상기 수용부의 상부영역에 고정되고 그 타단이 상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바와, 상기 수용부의 상부커버를 형성하고 내측벽에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바의 상기 타단에 형성된 걸림턱부가 상기 슬라이드가이드홈에 수용됨으로써, 상기 수용부의 가로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수용부의 상부개구를 개폐하는 콘솔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콘솔박스의 커버구조.
KR2019960059309U 1996-12-27 1996-12-27 자동차의 콘솔박스의 커버구조 KR1998004616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9309U KR19980046165U (ko) 1996-12-27 1996-12-27 자동차의 콘솔박스의 커버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9309U KR19980046165U (ko) 1996-12-27 1996-12-27 자동차의 콘솔박스의 커버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6165U true KR19980046165U (ko) 1998-09-25

Family

ID=53998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59309U KR19980046165U (ko) 1996-12-27 1996-12-27 자동차의 콘솔박스의 커버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46165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46165U (ko) 자동차의 콘솔박스의 커버구조
JPH07112643A (ja) グローブボックス構造
KR0115705Y1 (ko) 차량의 콘솔박스
US20050104400A1 (en) Glove box assembly for automobiles
JPS6245959Y2 (ko)
KR200156645Y1 (ko) 자동차용 서류함 구조
KR0139952B1 (ko) 테이블이 부착된 자동차용 글러브박스
KR100558410B1 (ko) 자동차용 시트 언더트레이
KR100342068B1 (ko) 차량용 콘솔 박스
KR200149550Y1 (ko) 자동차 도어트림의 수납통
KR100267600B1 (ko) 다목적 자동차의 실내 수납함 리드장치
JPH0593998U (ja) 物入れリッドの開閉構造
KR0159339B1 (ko) 콘솔박스형 수납상자의 자동폐쇄장치
KR0113630Y1 (ko) 자동차의 백패널 개폐장치
JPH11170918A (ja) 車両用収納装置
KR0138011Y1 (ko) 자동차용 글로브 박스
JPH0446034Y2 (ko)
KR970038605A (ko) 차량용 콘솔박스 구조
KR19990033352A (ko) 자동차의 글로브박스
KR19980013610U (ko) 자동차용 글로브 박스
KR19980027037U (ko) 자동차용 콘솔박스의 개폐구조
KR19980043088U (ko) 자동차의 도어포켓
JPH08332882A (ja) コンソールボックス
KR970037082A (ko) 콘솔박스의 컵 홀더 증설 배치장치
JP2001030834A (ja) 車両用トノカバ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