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9339B1 - 콘솔박스형 수납상자의 자동폐쇄장치 - Google Patents

콘솔박스형 수납상자의 자동폐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9339B1
KR0159339B1 KR1019950063892A KR19950063892A KR0159339B1 KR 0159339 B1 KR0159339 B1 KR 0159339B1 KR 1019950063892 A KR1019950063892 A KR 1019950063892A KR 19950063892 A KR19950063892 A KR 19950063892A KR 0159339 B1 KR0159339 B1 KR 01593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storage box
box
storage compartment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638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8544A (ko
Inventor
김재근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10199500638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9339B1/ko
Publication of KR970038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85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93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93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60R7/043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mounted on or under a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12Seats or par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리어시트 쿠션 하부에 내설되는 콘솔박스형 수납상자의 자동폐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다수의 함체형 수납소(또는 섹션부)와 수납소가 삽입되는 수납함으로 이루어지며, 수납소의 전방 측부에는 수납소의 높이 보다 높이가 다소 높은 개폐용 커버가 부착되며, 개폐용 커버의 상단부에는 소정길이의 절곡형 걸이부가 후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개폐용 커버의 전면부에는 손잡이용 요입홈 또는 손잡이용 돌기부가 형성되며, 수납함의 하단 전방 측부와 수납소의 하단 전방측부는 힌지부에 의해 서로 힌지결합되며, 힌지부에는 비틀림 스프링이 장착되고, 수납함의 외부 상면에는 절곡형 걸이부가 삽입지지되는 걸이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수납상자를 리어시트 쿠션 하부에 내설함으로써, 기존의 차실 공간을 이용하여 차량의 제반 물건을 수납시킬 수 있게 된다. 더욱이, 본 발명의 수납소가 섹션별로 다수개로 형성되기 때문에, 섹션별로 차량의 제반 물건을 수납시킬 수 있으며, 비틀림 스프링에 의해 수납소가 항시 폐쇄되어 있다.

Description

콘솔박스형 수납상자의 자동폐쇄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착설 상태도이며,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가 착설된 수납상자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리어시트 쿠션 20 : 수납소
30 : 개폐용 커버 40 : 절곡형 걸이부
50 : 수납함 60 : 힌지부
61 : 비틀림 스프링 70 : 걸이홈
80 : 삽입부 90 : 손잡이용 요입홈
본 발명은 차실내에 설치되는 수납상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의 리어시트 쿠션 하부에 내설되는 콘솔박스형 수납상자의 자동폐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실내에는 복수의 리어시트 쿠션이 착설되어 있는데, 이러한 복수의 리어시트 쿠션은 소정의 높이를 가지고 차실에 착설되어 있다.
한편, 차실에는 여러 가지 용도(예를 들면, 승객과 함께 탑승된 물건, 응급용 약품, 책, 일회용 음료, 그리고 차량의 보수 및 점검 시에 사용되는 다종의 공구 등)의 다양한 물건이 사용되고 있는데, 특별한 수납부(또는 수납함)가 차실에 구비되어 있지 않는 관계로, 사용되는 물건이 차실 내부에 어지럽게 흩어져 있게 된다. 이런 상황을 막기 위해 주로 차량 뒷부분의 트렁크를 이용하지만, 이용시 번거로움만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에서 차실 내에 별도의 공간을 확보해서 수납수단을 설치하고 있지만, 그 만큼 차실의 공간만 축소시키기 때문에, 기존의 차실 공간을 확보하면서 수납수단을 설치하는 방안이 강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 및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차량의 리어시트 쿠션 하부에 내설되는 콘솔박스형 수납상자의 자동 폐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콘솔박스형 수납상자는 리어시트 쿠션 하부에 내설되어지며, 그 구성 요소로서 콘솔박스형 수납상자는 다수의 함체형 섹션부로 이루어지는 수납소와, 이 함체형 수납소는 개폐용 커버와 일체가 되고, 상기 다수의 함체형 수납소가 수납되는 수납함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납소의 하단 일측과 수납함의 하단 일측이 힌지부에 의해 서로 힌지결합되며, 상기 힌지부내에는 수납소 자동폐쇄수단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술한 구성 및 첨부된 도면에 따라, 그 실시예와 함께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착설 상태도이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가 착설된 수납상자의 사시도이다.
상술한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콘솔박스형 수납 상자는 리어시트 쿠션(10) 하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다수의 함체형 수납소(또는 섹션부)(20)로 이루어진다. 첨부된 도면에는 두 개의 수납소(20)가 도시되어 있으며, 수납소(20)의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러한 수납소(20)의 전방 측부에는 수납소(20)의 높이 보다 높이가 다소 높은 개폐용 커버(30)가 부착된다. 개폐용 커버(30)의 상단부에는 소정길이의 절곡형 걸이부(40)가 후방으로 돌출된다. 또한, 상기 개폐용 커버(30)의 전면부에는 손잡이용 요입홈(90) 또는 손잡이용 돌기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다수의 함체형 수납소(20)가 수납되기 위해 전방부가 개방되어 있는 수납함(50)의 하단 전방 측부와 수납소(20)의 하단 전방 측부는 힌지부(60)에 의해 서로 힌지결합되며, 상기 수납함(50)의 외부 상면에는 상기 절곡형 걸이부(40)가 삽입지지되는 걸이홈(70)이 형성된다.
상기 힌지부(60)내에는 수납소(20) 자동폐쇄수단, 즉, 비틀림 스프링(61)이 장착된다.
이렇게 형성된 콘솔박스형 수납상자가 삽입 내설되는 삽입부(80)가 리어시트 쿠션(10) 하부에 형성된다.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구성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본 발명의 작용은 하기와 같다.
상기 구성에 따른 리어시트 쿠션(10) 하부에 형성된 삽입부(80)내에 본 발명의 수납상자를 삽입하여 고정시킨다. 이렇게 수납상자를 고정시키기 위해 여러 가지(예를 들면, 볼트/너트 체결수단 등) 고정수단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콘솔박스형 수납상자는 수납함(5)내에 다수의 함체형 수납소(20)가 삽입가능하며, 수납소(20)의 하단 전방 측부와 수납함(50)의 하단 전방 측부가 힌지부(60)에 의해 서로 힌지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수납소(20)는 힌지부(60)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전후방 회전이 가능하며, 힌지부(60)내에 비틀림 스프링(61)이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비틀림 스프링(61)의 탄성 복귀력(개폐용 커버가 항시 수납함의 내부 방향으로 힘을 받고 있음)에 의해 개폐용 커버(30)에 취부되어 있는 수납소(20)는 항시 수납함(50) 내부에 삽입되어 있다.
이에 따라, 수납소(20)를 개방하기 위해 개폐용 커버(30) 전면부에 형성되어 있는 손잡이용 요입홈(90)에 손가락을 넣고 개폐용 커버(30)를 전방으로 당기면, 수납소(20)의 상부가 개방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수납소(20)가 개방되면 수납소(20)에 차실내 물건을 수납시키거나 수납소(20)로부터 수납되어 있는 물건을 꺼낼 수 있게 된다.
사용자의 손가락을 이용하여 당기고 있던 개폐용 커버(30)로부터 손가락을 떼면 힌지부(60)에 장착되어 있는 비틀림 스프링(61)의 탄성복귀력에 의해 수납소(20)는 수납함(50)내부에 자동 삽입됨으로써, 수납소(20)가 자동 폐쇄된다.
한편, 수납소(20)가 수납함(50)내에 삽입될 때, 수납소(20)의 전방 측부가 수납소(20)의 높이 보다 높게 형성되기 때문에, 수납소(20)의 전방 측부의 배면이 수납함(50)의 상단 전방 측면에 지지되고, 이에 따라 수납소(20)의 전방 측부는 수납함(50)내에 삽입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콘솔박스형 수납상자를 한층 더 견고하게 폐쇄시키기 위해서, 수납소(20)의 전방 측부(즉, 개폐용 커버(30))의 상단부에는 절곡형 걸이부(40)가 후방으로 돌출되며, 이 절곡형 걸이부(40)에 대응해서 수납함(50) 외부 상면부에는 걸이홈(70)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수납소(20)를 수납함(50)내에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걸이홈(70)에 절곡형 걸이부(40)를 걸면, 개폐용 커버(30)는 수납함(50)에 고정지지되기 때문에, 수납소(20)의 전방회전이 불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수납소(20)를 견고하게 폐쇄시킬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란, 본 발명에 따른 힌지부(60)에 비틀림 스프링(61)이 장착되기 때문에, 스프링(61)의 탄성복귀력에 의해 수납상자를 더욱 견고하게 밀폐시킬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수납소(20)의 개방 시에는 상술한 절곡형 걸이부(40)를 약간 치켜든 상태에서, 손잡이용 요입홈(90)내에 사용자의 손가락을 넣어 전방으로 당기면 수납소(20)가 전방회전되면서 수납소(20)의 상부가 개방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수납상자를 리어시트 쿠션(10) 하부에 내설함으로써, 기존의 차실 공간을 이용하여 차량의 제반 물건을 수납시킬 수 있게 된다. 더욱이, 본 발명의 수납소(20)가 섹션별로 다수 개로 형성되기 때문에, 섹션별로 차량의 제반 물건을 수납시킬 수 있게 되며, 힌지부(60)내에 장착된 비틀림 스프링(61)에 의해 본 발명의 수납상자를 더욱(그리고, 항시) 견고하게 폐쇄시킬 수 있어 수납상자의 밀폐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을 이용함으로써, 차량의 제반 물건을 수납하기 위해, 차실내에 별도의 수납시설을 설치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뿐만 아니라, 기존의 차실 공간을 그대로 확보하여 이용할 수 있는 특장점을 가지게 된다.
본 발명은 단지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동일 분야의 당업자에 DLM해 충분히 수정 또는 변경이 가능하게 될 수 있지만, 발명의 사상에 있어서 그 수정 또는 변경 역시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한다 할 것이다.

Claims (2)

  1. 차실내에 물건을 수납하는 콘솔박스형 수납상자에 있어서, 상기 콘솔박스형 수납상자는 리어시트 쿠션(10) 하부에 착설되며,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다수의 함체형 수납소(20)의 일측과 상기 수납소(20)가 삽입되는 수납함(50)의 일측은 힌지부(60)에 의해 서로 힌지결합되며, 상기 힌지부(60)에는 수납소(20) 자동 폐쇄수단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솔박스형 수납상자의 자동폐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소(20) 자동 폐쇄수단은 비틀림 스프링(61)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솔박스형 수납상자의 자동폐쇄장치.
KR1019950063892A 1995-12-29 1995-12-29 콘솔박스형 수납상자의 자동폐쇄장치 KR01593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63892A KR0159339B1 (ko) 1995-12-29 1995-12-29 콘솔박스형 수납상자의 자동폐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63892A KR0159339B1 (ko) 1995-12-29 1995-12-29 콘솔박스형 수납상자의 자동폐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8544A KR970038544A (ko) 1997-07-24
KR0159339B1 true KR0159339B1 (ko) 1999-01-15

Family

ID=19446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63892A KR0159339B1 (ko) 1995-12-29 1995-12-29 콘솔박스형 수납상자의 자동폐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5933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8544A (ko) 1997-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97775A (en) Glove compartment
US5011208A (en) Concealed integrated seat cargo screen
KR0159339B1 (ko) 콘솔박스형 수납상자의 자동폐쇄장치
KR0115705Y1 (ko) 차량의 콘솔박스
KR0166524B1 (ko) 리어시트 쿠션에 내설되는 수납상자
JP3332572B2 (ja) 車両用物入れ装置
KR0128795Y1 (ko) 자동차용 쓰레기통
KR19980038530U (ko) 휴지상자가 내장된 자동차의 도어트림구조
KR19980045211U (ko) 자동차의 도어포켓
KR200147493Y1 (ko) 슬라이딩 콘솔박스 덮개
KR19980046327U (ko) 자동차의 콘솔박스의 티슈 수납구조
JPH1035325A (ja) 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構造
KR100365215B1 (ko) 자동차용 콘솔박스
KR200156640Y1 (ko) 전방패널로부터 탈착이 용이한 자동차의 글러버박스의 설치구조
KR970038545A (ko) 리어시트 쿠션에 내설되는 콘솔박스형 수납상자
KR19980035283U (ko) 자동차의 헤드 라이닝에 형성되는 수납함
KR0123276Y1 (ko) 자동차 간이 물품 보관 기구
KR0120801Y1 (ko) 차량용 바디커버의 취부구조
KR100225917B1 (ko) 차량의 도어트림에 설치된 티켓보관함 설치구조
KR200149554Y1 (ko) 자동차용 글루브박스의 힌지구조
KR970038528A (ko) 차실내 수납상자의 자동 폐쇄장치
KR19980046165U (ko) 자동차의 콘솔박스의 커버구조
KR19980036367A (ko) 자동차의 콘솔 박스
KR950008234A (ko) 자동차용 리어콘솔의 이중 개폐장치
KR19980062944A (ko) 자동차용 코인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