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5698A - 자동차의 센터필러 밀림방지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센터필러 밀림방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5698A
KR19980045698A KR1019960063908A KR19960063908A KR19980045698A KR 19980045698 A KR19980045698 A KR 19980045698A KR 1019960063908 A KR1019960063908 A KR 1019960063908A KR 19960063908 A KR19960063908 A KR 19960063908A KR 19980045698 A KR19980045698 A KR 199800456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nter pillar
prevention structure
vehicle
bracket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3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윤섭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10199600639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45698A/ko
Publication of KR199800456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5698A/ko

Links

Landscapes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박스 형태로 된 센터필러(5)의 내부에 외부의 충돌에너지를 흡수,완화 및 저지시키는 밀림방지구조(1,2,3)를 설치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센터필러 밀림방지구조 이다.
본 발명은 자동차의 센터필러 내부에 사이드임팩트시 외부의 충돌에너지를 다단계로 흡수, 완화 및 저지시키는 밀림방지구조를 설치하므로써, 도어의 사이드임팩트시에 해당 부위의 실내 침입량을 획기적으로 줄여서 실내 탑승자의 신체에 전해지는 충돌에너지를 급격히 감소시켜 탑승자의 부상 정도를 현저히 줄여주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센터필러 밀림방지구조
본 발명은 자동차의 사이트 임팩트(SIDE IMPACT)시에 도어의 실내 침입을 저지시키는 자동차의 센터필러 밀림방지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어들이 서로 맞닿는 지점의 센터필러 내부에 사이트 임팩트시 외부 충돌에너지에 대하여 충분한 버팀력을 제공하는 밀림방지구조를 설치하여서 자동차 측면 충돌시에 충돌에너지를 흡수,완화 및 저지하여 도어의 실내 침입량을 저지시켜서 탑승자에게 안전성을 부여하도록 하는 개선된 형태의 자동차의 센터필러 밀림방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전,후방에는 불의의 충돌 및 추돌사고에 대비하여서 탑승자의 안전을 도모하는 다양한 형태의 안전장치가 마련되어 있다.
자동차의 전,후방에 완충용 범퍼를 설치하거나, 엔진이 운전자쪽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엔진룸 내부에 임팩트바나 보강판넬을 설치하거나, 양쪽 도어의 내부에 임팩트바를 설치하거나, 그 밖에도 운전자나 뒤쪽 탑승자의 외부충격을 완화하기 위하여서 다양한 형태의 보강판넬이 설치되어 있다.
자동차의 양쪽 도어는 도어글라스가 승강할 수 있도록 일정한 두께를 가지고 있고, 또한 도어의 내부에 별도의 임팩트바가 설치되어 있어서 자동차 사이드 임팩트시에 탑승자를 보호하도록 하고는 있으나,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동차 도어(20,21)들이 서로 맞닿는 부분의 센터필러 내부에는 외부의 충돌에너지를 흡수,완화 및 저지시킬 수 있는 별도의 센터필러 밀림방지구조가 구비되어 있지 않아서 자동차의 사이드 임팩트시에 충분한 버팀력을 제공할 수가 없었고, 또한 도어의 외부 충돌에너지로부터 해당 부위의 실내 침입량을 현저히 줄여줄 수가 없으므로 자동차 측면충돌시에 탑승자에게 외부의 충돌에너지가 그대로 전달이 되어서 부상 정도를 획기적으로 줄여줄 수가 없었다.
또한 개발된 대다수의 사이드임팩트시 완충구조는 지극히 단순한 형태의 보강판넬을 상기한 도어내부판넬에 설치하여서 된 것이므로 사이드 임팩트시에 전체가 일방향으로 손쉽게 무너져서 외부의 충돌에너지에 대한 변형량을 최소화할 수가 없으므로 승객의 안전을 도모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자동차의 도어들이 서로 맞닿는 부분의 센터필러 내부에 사이드 임팩트시 변형량이 최소화되면서 도어의 무너짐을 극소화 시킬 수 있도록 하는 센터필러 밀림방지구조를 설치하여서 도어의 외부 충돌시에 충돌에너지에 대한 충분한 버팀력과, 완충력을 제공하여서 탑승자에게 안전한 차체 구조를 제공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동차의 센터필러 밀림방지구조는 박스 형태로 된 센터필러의 내부 상단에 대칭되는 한쌍의 보강빔을 설치하고, 하단에는 선택적으로 하부브라켓트와 내부브라켓트를 설치하여서 자동차의 측면 충돌시에 충돌에너지를 보다 효과적으로 흡수,완화 및 저지시켜서 탑승자의 부상정도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도록 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센터필러 밀림방지구조가 설치된 자동차 도어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A-A선을 절단하여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를 보인 밀림방지구조의 단면도.
도 3은 도 2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밀림방지구조의 단면도.
도 4는 도 2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밀림방지구조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2, 3 : 밀림방지구조 4 : 도어내부판넬
5 : 센터필러 6, 7 : 보강빔
8 : 하부브라켓트 9, 10 : 보강브라켓트
11 : 상부브라켓트 12 : 하부브라켓트
13 : 내부보강브라켓트
도 2, 3, 4 에서,
부호 1 은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를 보인 자동차의 센터필러 밀림방지구조를 표시하고, 부호 2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자동차의 센터필러 밀림방지구조를 표시하며; 부호 3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자동차의 센터필러 밀림방지구조를 표시한다.
상기한 자동차의 센터필러 밀림방지구조(1,2,3)들은 자동차의 도어들이 서로 맞닿는 지점의 센터필러(5)상에 설치되어서 사이드임팩트시 충분한 버팀력과 외부의 충돌에너지를 흡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2에서,
상기한 센터필러 밀림방지구조(1)는 박스 형태로 된 센터필러(5)의 상단 내부에 대칭되는 한쌍의 보강빔(6,7)을 설치하고, 하단 내부에는 상기한 보강빔(6,7)을 받쳐주는 이중 사다리꼴 형상의 하부브라켓트(8)를 서로 점용접으로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도 3에서,
부호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센터필러 밀림방지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써, 본 실시예의 밀림방지구조(2)는 박스 형태로 된 센터필러(5)의 내부에 대칭되는 한쌍의 보강브라켓트(9,10)를 점용접으로 설치하여서 된 것이다.
도 4에서,
부호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센터필러 밀림방지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써, 본 실시예의 밀림방지구조(3)는 박스 형태로 된 센터필러(5)의 내부 상단에 역사다리꼴 형상의 상부브라켓트(11)를 설치하고, 내부 하단에는 상기한 상부브라켓트(11)를 받쳐주는 사다리꼴 형상의 하부브라켓트(12)를 설치하며, 상기한 하부브라켓트(12)의 내부에는 상기한 하부브라켓트(12)를 지탱시키는 내부보강브라켓트(13)를 서로 점용접으로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자동차 센터필러 밀림방지구조(1,2,3)는 자동차 도어들이 서로 맞닿는 지점의 박스 형태로 된 센터필러(5)의 내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도어 외부에 측면충돌이 발생할 때에는 먼저 도어내부판넬(4)이 실내로 침입하고, 이와 동시에 센터필러(5)에 외부의 충돌에너지가 그대로 전달이 된다.
그러므로 센터필러(5)에 설치된 본 발명의 센터필러 밀림방지구조(1,2,3)들이 충돌에너지에 대항하면서 한쌍의 보강빔(6,7)이나, 보강브라켓트(9,10), 또는 상부브라켓트(11)가 1차로 버팀력을 제공하면서 실내쪽의 하부브라켓트(8,12)나 내부보강브라켓트(13) 쪽으로 밀리면서 서로 강력한 버팀력을 제공하면서 변형량이 최소화되고, 또한 이들이 서로 외부의 충돌에너지에 대항하여서 충돌에너지가 급격히 흡수, 완화 및 저지된다.
그리고 상기한 보강빔과 브라켓트들이 본격적으로 서로 맞닿아 찌그러지면서 외부의 충돌에너지가 흡수되어서 실내의 탑승자에게 전달되는 외부의 충돌에너지가 극소화 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에 설명한 바와 같이 자동차의 사이드 임팩트시 도어의 측면 부위에 가해지는 충돌에너지를 다단계로 흡수, 완화 및 저지시켜서 도어의 실내 침입량을 줄여서 최종적으로는 실내의 탑승자에게 최소의 에너지만이 전달되도록 하므로써, 탑승자의 신체에 전해지는 충돌에너지를 급격히 감소시켜서 탑승자의 부상 정도를 현저히 줄여주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자동차의 센터필러 내부에 사이드 임팩트시 외부의 충돌에너지를 다단계로 흡수, 완화 및 저지시키는 센터필러 밀림방지구조를 설치하므로써, 도어의 사이드 임팩트시에 해당 부위의 실내 침입량을 획기적으로 줄여서 실내 탑승자의 신체에 전해지는 충돌에너지를 급격히 감소시켜서 탑승자의 부상 정도를 현저히 줄여주는 제반 특, 장점이 있다.

Claims (4)

  1. 박스 형태로 된 센터필러(5)의 내부에 외부의 충돌에너지를 흡수,완화 및 저지시키는 밀림방지구조(1,2,3)를 설치하여서 된 것이 특징인 자동차의 센터필러 밀림방지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밀림방지구조(1)는 박스 형태로 된 센터필러(5)의 상단 내부에 대칭되는 한쌍의 보강빔(6,7)을 설치하고, 내부 하단에는 상기한 보강빔(6,7)을 받쳐주는 이중 사다리꼴 형상의 하부브라켓트(8)를 서로 점용접으로 구성하여서 된 것이 특징인 자동차의 센터필러 밀림방지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밀림방지구조(2)는 박스 형태로 된 센터필러(5)의 내부에 대칭되는 한쌍의 보강브라켓트(9,10)를 점용접으로 설치하여서 된 것이 특징인 자동차의 센터필러 밀림방지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밀림방지구조(3)는 박스 형태로 된 센터필러(5)의 내부 상단에 역사다리꼴 형상의 상부브라켓트(11)를 설치하고, 내부 하단에는 상기한 상부브라켓트(11)를 받쳐주는 사다리꼴 형상의 하부브라켓트(12)를 설치하며, 상기한 하부브라켓트(12)의 내부에는 상기한 하부브라켓트(12)를 지탱시키는 내부보강브라켓트(13)를 서로 점용접으로 구성하여서 된 것이 특징인 자동차의 센터필러 밀림방지구조.
KR1019960063908A 1996-12-10 1996-12-10 자동차의 센터필러 밀림방지구조 KR199800456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3908A KR19980045698A (ko) 1996-12-10 1996-12-10 자동차의 센터필러 밀림방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3908A KR19980045698A (ko) 1996-12-10 1996-12-10 자동차의 센터필러 밀림방지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5698A true KR19980045698A (ko) 1998-09-15

Family

ID=66522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3908A KR19980045698A (ko) 1996-12-10 1996-12-10 자동차의 센터필러 밀림방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4569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7979B1 (ko) * 2001-09-15 2004-04-30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승용차의 측면충돌 보강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7979B1 (ko) * 2001-09-15 2004-04-30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승용차의 측면충돌 보강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45698A (ko) 자동차의 센터필러 밀림방지구조
KR200159443Y1 (ko) 자동차의 센터필러 밀림방지구조
KR100226671B1 (ko) 자동차의 프론트필러 밀림방지구조
KR19980034415U (ko) 자동차의 센터필러 밀림방지구조
KR200145811Y1 (ko) 승합차의 측면충돌 보강구조
KR19980045691A (ko) 자동차의 센터필러 밀림방지구조
KR200147331Y1 (ko) 자동차용 사이드임팩트 보강구조
KR200145810Y1 (ko) 승합차의 측면충돌 보강구조
KR200146703Y1 (ko) 자동차 도어구조
KR19980034414U (ko) 자동차의 센터필러 밀림방지구조
KR200149821Y1 (ko) 자동차의 사이드실 보강구조
KR100334728B1 (ko) 차체의 측면 하부의 보강 구조
KR200188443Y1 (ko) 자동차 사이드실의 보강구조
KR0131508B1 (ko) 도어의 보강구조
KR19980036899U (ko) 자동차 사이드임팩트시 도어보강구조
KR100226670B1 (ko) 자동차의 센터필러 밀림방지구조
KR0139360B1 (ko) 자동차 도어와 사이드실의 보강구조
KR970002212Y1 (ko) 3 도어식 승용차의 측면바디 보강구조
KR200161055Y1 (ko) 자동차의 도어 측면 보강장치
KR200141656Y1 (ko) 차량용 도어의 강도보강구조
KR100211576B1 (ko) 이중구조의 도어 임펙트 빔
KR0173341B1 (ko) 자동차 도어용 충격흡수 부재
KR19980038680U (ko) 자동차 도어 하부 보강 구조
KR19980022808A (ko) 자동차 도어용 충격 완충부재
KR19990046982A (ko) 차량의 루프패널 충격흡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