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5051U - Electric parking brake - Google Patents

Electric parking brak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5051U
KR19980045051U KR2019960058191U KR19960058191U KR19980045051U KR 19980045051 U KR19980045051 U KR 19980045051U KR 2019960058191 U KR2019960058191 U KR 2019960058191U KR 19960058191 U KR19960058191 U KR 19960058191U KR 19980045051 U KR19980045051 U KR 1998004505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lever
brake
motor
brak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58191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경재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600581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45051U/en
Publication of KR1998004505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5051U/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1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automatic initiation; for initiation not subject to will of driver or passeng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Elements And Transmission Devices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기식 파킹 브레이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파킹 레버가 콘솔측에 설치되어 실내 공간을 점유하며 조작에 불편함이 있었기 때문에,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운전석의 전방에 설치되는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배터리 전원과 연결되는 버튼 스위치와, 상기 버튼 스위치의 누름 동작에 따라 정역회전을 하는 모터와, 모터의 축에 설치된 드럼축에 권회되어 브레이크 장치와 연결되는 파킹 케이블로 이루어진 것으로, 버튼 스위치의 누름 동작에 의해 정역회전이 가능한 모터 축에 권회된 파킹 케이블의 동작에 의해 브레이크 장치의 파킹이 이루어지게 하여 사용에 편의를 주는데 그 특징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parking brake device, conventionally, because the parking lever is installed on the console side occupies the interior space and there is inconvenience in operation,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installed in front of the driver's seat It consists of a button switch connected to the battery power on the panel, a motor for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according to the pressing operation of the button switch, and a parking cable wound around the drum shaft installed on the shaft of the motor and connected to the brake devic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arking of the brake device is made by the operation of the parking cable wound on the motor shaft which is capable of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by the pressing operation, thereby providing convenience for use.

Description

전기식 파킹 브레이크 장치Electric parking brake

본 고안은 AT(Auto Transmission)에 관한 것으로, 특히 버튼 스위치의 누름 동작에 따라 파킹이 동작되고 해제될 수 있도록 하여 차량의 실내 공간 확보 및 파킹 레버의 관련 부품 삭제로 부품비용의 절감 등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전기식 파킹 브레이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T (Auto Transmission), and in particular, parking can be operated and released according to the push operation of the button switch, thereby reducing the cost of parts by securing the vehicle's interior space and deleting the related parts of the parking lever. It relates to an electric parking brake device.

도 1에 도시된 종래 파킹 브레이크 장치의 구성도에서, 파킹 레버(70)와 연결되는 파킹 케이블(50)이 브레이크 슈 레버(52)와 연결되고, 상기 브레이크 슈 레버(52)는 일 측의 브레이크 슈(54a)와 힌지(56) 연결되고, 스트럿 바(58)가 브레이크 슈 레버(52)와 반대측 브레이크 슈(54b)와 연결되어 파킹 레버(70)의 동작에 따라 브레이크 슈 레버(52)가 작동하여 이와 연동되는 스트럿 바(58)가 일 측의 브레이크 슈(54b)를 동작시켜 파킹되게 하고, 상기 브레이크 슈(54a)(54b) 사이에 리턴스프링(60)을 설치하여 파킹 레버(70)의 동작에 따라 브레이크 슈(54b)를 복귀시켜 파킹이 해제되도록 한 것이다.In the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conventional parking brake apparatus shown in FIG. 1, the parking cable 50 connected to the parking lever 70 is connected to the brake shoe lever 52, and the brake shoe lever 52 is a brake on one side. The shoe 54a and the hinge 56 are connected, and the strut bar 58 is connected to the brake shoe lever 52 and the brake shoe 54b opposite to the brake shoe lever 52 so that the brake shoe lever 52 is opera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parking lever 70. The strut bar 58, which is operated and interlocked with it, causes the brake shoe 54b on one side to be parked, and the return spring 60 is installed between the brake shoes 54a and 54b.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brake shoe 54b to return the parking is to be released.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파킹 브레이크는 파킹시 파킹 레버(70)를 당기면 파킹 케이블(50)과 연결된 브레이크 슈 레버(52)가 도 2의 가상선과 같이 힌지(56)를 중심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브레이크 슈 레버(52)와 연동하는 스트럿 바(58)가 도면에서 보면 좌측 방향으로 직선운동을 하여 일 측의 브레이크 슈(54b)를 앵커 핀(62)을 중심으로 확장시켜 이 브레이크 슈(54b)에 부착된 라이닝(64)이 브레이크 드럼(66)을 압압하여 파킹이 이루어진다.In the conventional parking brak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parking lever 70 is pulled during parking, the brake shoe lever 52 connected to the parking cable 50 moves about the hinge 56 as shown in FIG. 2. Accordingly, the strut bar 58, which interlocks with the brake shoe lever 52, is linearly moved in the left direction as shown in the drawing, and the brake shoe 54b on one side is extended around the anchor pin 62 so that the brake shoe ( The lining 64 attached to 54b presses the brake drum 66 to perform parking.

이후 당겼던 파킹 레버(70)를 복귀시키면 리턴스프링(60)의 리턴 작용에 의해 파킹 케이블(50)과 연결된 브레이크 슈 레버(52)가 도 2의 실선과 같이 힌지(56)를 중심으로 이동 복귀하게 됨과 동시에 스트럿 바(58)와 브레이크 슈(54b)가 복귀하여 브레이크 드럼(66)을 압압하고 있던 라이닝(64)이 떨어져 파킹이 해제되는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68은 브레이크 페달에 의해 동작되어 제동력을 가하는 휠 실린더를 도시한 것이다.After the parking lever 70 is pulled back, the brake shoe lever 52 connected to the parking cable 50 by the return action of the return spring 60 moves around the hinge 56 as shown in FIG. At the same time, the strut bar 58 and the brake shoe 54b are returned, and the lining 64, which has pressed the brake drum 66, is separated and the parking is released. In the figure, reference numeral 68 shows a wheel cylinder operated by a brake pedal to apply a braking force.

그리고 상기 파킹 레버(70)를 드라이브(D), 뉴트럴(N), 파킹(P), 1.2.3속, 리버스(R) 등에 위치시키면 레버에 연결된 파킹 케이블(50)의 길이를 조정한다. 상기 파킹 케이블(50)에 연결된 Switch ASM Transmission(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Lever ASM Transmission(도시하지 않음)을 회전시켜서 그 각도에 따라 Transmissi-And when the parking lever 70 is located in the drive (D), neutral (N), parking (P), 1.2.3 speed, reverse (R), the length of the parking cable 50 connected to the lever is adjusted. Rotate the Lever ASM Transmission (not shown) through the Switch ASM Transmission (not shown) connected to the parking cable 50 and transmit the Transmissi- according to the angle.

on내의 유압레버를 여닫아 P,R,N,D,3,2,1 등의 Gear Position을 가지게 된다.By opening and closing the hydraulic lever in on, it has a gear position such as P, R, N, D, 3, 2, 1.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종래의 파킹 브레이크는 파킹 레버(70)의 동작에 따라 파킹 케이블(50)을 매개로 동작되는 브레이크 장치(80)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브레이크 장치(80)의 동작을 위해 사용되는 파킹 레버(70)가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 설치된 콘솔 측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질 수 있다.The conventional parking brake configured and operated as described above is made by the brake device 80 operated through the parking cable 50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parking lever 70, and the operation of the brake device 80 is performed. Because the parking lever 70 is used to the console side installed between the driver's seat and the passenger seat may have the following problems.

첫째, 콘솔 측에 독립적으로 설치된 파킹 레버(70)는, 그 차체의 크기에 의해 실내 공간을 점하게 되고, 이로 인해 실내 공간의 구성시 자유도를 떨어뜨리게 된다.First, the parking lever 70 independently installed on the console side occupies the interior space by the size of the vehicle body, thereby lowering the degree of freedom in the construction of the interior space.

둘째, 상기 파킹 레버(70)는 콘솔 측에서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시프트 레버의 조작을 방해할 수 있는 존재가 된다.Second, since the parking lever 70 protrudes from the console side, the parking lever 70 becomes an entity that can prevent the operation of the shift lever when it is not used.

셋째, 상기 파킹 레버(70)를 구성하는 부품이 복잡하여 조립생산성 및 부품비용을 상승시키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Third,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parking lever 70 is complicated, which leads to an increase in assembly productivity and component cost.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콘솔 측에 독립적으로 설치되는 파킹 레버 자체를 콘솔로부터 삭제하고, 이를 대신해서 버튼 스위치의 누름 동작에 의해 브레이크 장치의 파킹 및 해제가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to delete the parking lever itself, which is independently installed on the console side from the console, and instead the parking and release of the brake device by the pressing operation of the button switch is mad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As a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운전석의 전방에 설치되는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배터리 전원과 연결되는 버튼 스위치와, 상기 버튼 스위치의 누름 동작에 따라 정역회전을 하는 모터와, 모터의 축에 설치된 드럼축에 권회되어 브레이크 장치와 연결되는 파킹 케이블로 이루짐으로 달성된다.A button switch connected to the battery power on the instrument panel installed in front of the driver's seat, a motor for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according to the pressing operation of the button switch, and a parking cable wound around the drum shaft installed on the shaft of the motor and connected to the brake device. Is achieved by

도 1은 종래 파킹 브레이크 장치의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 conventional parking brake device.

도 2는 본 고안의 전기식 파킹 브레이크 장치의 구성도.2 is a block diagram of an electric parking brak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버튼 스위치12 : 인스트루먼트 패널10 button switch 12 instrument panel

14 : 모터14a : 모터의 축14: motor 14a: shaft of the motor

16 : 드럼축18 : 키16: drum shaft 18: key

50 : 파킹 케이블80 : 브레이크 장치50: parking cable 80: brake device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as follows.

본 고안의 설명에서 종래와 동일 또는 동등한 부분은 같은 도면부호로 표기하여 설명한다.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or equivalent parts as in the prior art will be described with the same reference numerals.

도 1은 본 고안의 시프트 레버를 이용한 파킹 브레이크 장치의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parking brake device using a shift lev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부호 10은 버튼 스위치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버튼 스위치(10)는 도시되지 않은 배터리 전원과 연결되고, 운전석의 전방에 설치되는 인스트루먼트 패널(12)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버튼 스위치(10)는 정역회전이 가능한 모터(14)와 연결되고, 상기 모터(14)는 차체의 언더 보디측에 브래킷을 통해 고정 설치된다.Reference numeral 10 denotes a button switch, which is connected to an unshown battery power source and is installed in the instrument panel 12 installed in front of the driver's seat. The button switch 10 is connected to a motor 14 capable of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and the motor 14 is fixedly installed on the underbody side of the vehicle body through a bracket.

상기 모터(14)의 축(14a)에는 권회가능한 드럼축(16)이 키(18)의 고정수단으로 설치되고, 이 드럼축(16)에 브레이크 장치(80)와 연결되는 파킹 케이블(50)이 권회가능하게 설치되어 구성된 것이다.On the shaft 14a of the motor 14, a rollable drum shaft 16 is installed as a fixing means for the key 18, and the parking cable 50 connected to the brake device 80 to the drum shaft 16. This is a rollable installation.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파킹 브레이크는 파킹시 버튼 스위치(10)를 누르게 되면, 배터리 전원이 모터(14)에 인가되어 모터(14)를 구동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모터(14)의 축(14a)을 통해 설치되어 있는 드럼축(16)에 권회된 파킹 케이블(50)이 감기게 되어 파킹 케이블(50)과 연결된 브레이크 슈 레버(52)가 도 2의 가상선과 같이 힌지(56)를 중심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브레이크 슈 레버(52)와 연동하는 스트럿 바(58)가 도면에서 보면 좌측 방향으로 직선운동을 하여 일 측의 브레이크 슈(54b)를 앵커 핀(62)을 중심으로 확장시켜 이 브레이크 슈(54b)에 부착된 라이닝(64)이 브레이크 드럼(66)을 압압하여 파킹이 이루어진다.In the parking brak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button switch 10 is pressed during parking, battery power is applied to the motor 14 to drive the motor 14. Accordingly, the parking cable 50 wound around the drum shaft 16 installed through the shaft 14a of the motor 14 is wound, so that the brake shoe lever 52 connected to the parking cable 50 is connected to FIG. 2. Like the virtual line, the hinge 56 is moved around the center. Accordingly, the strut bar 58, which interlocks with the brake shoe lever 52, is linearly moved in the left direction as shown in the drawing, and the brake shoe 54b on one side is extended around the anchor pin 62 so that the brake shoe ( The lining 64 attached to 54b presses the brake drum 66 to perform parking.

버튼 스위치(10)를 오프시키게 되면 리턴스프링(60)의 리턴 작용에 의해 파킹 케이블(50)과 연결된 브레이크 슈 레버(52)가 도 2의 실선과 같이 힌지(56)를 중심으로 이동 복귀하게 됨과 동시에 스트럿 바(58)와 브레이크 슈(54b)가 복귀하여 브레이크 드럼(66)을 압압하고 있던 라이닝(64)이 떨어져 파킹이 해제되며, 이와 동시에 드럼축(16)에 감겨진 파킹 케이블(50)이 풀려 원상태로 위치되는 것이다.When the button switch 10 is turned off, the brake shoe lever 52 connected to the parking cable 50 is moved and returned about the hinge 56 as shown in FIG. 2 by the return action of the return spring 60. At the same time, the strut bar 58 and the brake shoe 54b are returned, and the lining 64, which has pressed the brake drum 66, falls and the parking is released. At the same time, the parking cable 50 wound around the drum shaft 16 is released. This is released and placed in its original stat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브레이크 장치의 파킹동작 및 해제동작을 버튼 스위치에 의해 이루어지게 함으로서 종래 콘솔 측에 독립적으로 설치된 파킹 레버를 삭제할 수 있게 되어 차량의 실내 공간의 구성시 자유도를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고, 브레이크 파킹동작 및 해제동작에 편의를 갖게 하고, 나아가서 상기 파킹 레버의 삭제로 인해 구성 부품이 줄어들게 되어 조립생산성 및 부품비용을 크게 절감시키는 효과를 갖게 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he parking operation and release operation of the brake device to be performed by a button switch, so that the parking lever installed independently on the conventional console side can be deleted, thus contributing to increasing the degree of freedom in the construction of the vehicle interior space. It is possible to facilitate the brake parking operation and the release operation, and furthermore, the component parts are reduced due to the deletion of the parking lever, thereby greatly reducing the assembly productivity and the part cost.

Claims (1)

파킹 케이블(50)에 연결된 브레이크 장치(80)에 의해 브레이크의 파킹 동작 및 해제 동작이 이루어지는 것에 있어서,In the parking and release operation of the brake is performed by the brake device 80 connected to the parking cable 50, 운전석의 전방에 설치되는 인스트루먼트 패널(12)에 배터리 전원과 연결되는 버튼 스위치(10)와, 상기 버튼 스위치(10)의 누름 동작에 따라 정역회전을 하는 모터(14)와, 모터(14)의 축(14a)에 고정수단으로 설치된 드럼축(16)에 권회되어 브레이크 장치(80)와 연결되는 파킹 케이블(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식 파킹 브레이크 장치.The button switch 10 connected to the battery power to the instrument panel 12 installed in front of the driver's seat, the motor 14 and the motor 14 to perform reverse rotation in accordance with the pressing operation of the button switch 10, the motor 14 The electric parking brak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arking cable (50) wound on a drum shaft (16) provided as a fixing means on the shaft (14a) and connected to the brake device (80).
KR2019960058191U 1996-12-27 1996-12-27 Electric parking brake KR19980045051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8191U KR19980045051U (en) 1996-12-27 1996-12-27 Electric parking brak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8191U KR19980045051U (en) 1996-12-27 1996-12-27 Electric parking brak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5051U true KR19980045051U (en) 1998-09-25

Family

ID=53997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58191U KR19980045051U (en) 1996-12-27 1996-12-27 Electric parking brak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45051U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002181A1 (en) Control method of electronic parking brake system
JPH11105680A (en) Motor-driven parking brake device
US6079794A (en) Brake-actuating device
KR19980045051U (en) Electric parking brake
KR19980023729U (en) Electric parking brake
JPH05288266A (en) Vehicular parking lock release device
JP3109291B2 (en) Power assist device for vehicle parking brake
KR200150419Y1 (en) Parking brake apparatus
KR100372433B1 (en) a parking brake of vehicles
KR19980031469A (en) Parking brake system using shift lever
KR100380612B1 (en) Push button automatic parking system
KR0185883B1 (en) An apparatus for operating parking brake of an automobile
KR100380933B1 (en) Electricmotive Parking Brake Apparatus for Vehicle
KR100384531B1 (en) Automatic parking brake for a motor vehicle
KR0184828B1 (en) Start-preventing device when locking a parking brake
KR100224180B1 (en) Button parking brake system
KR100387804B1 (en) Parking brake device for automobile having automatic transmission
KR19980061338A (en) Auto parking brake device for automobile
KR100201896B1 (en) Electronic parking brake device
KR100220462B1 (en) An automatic parking brake system
JP2022085068A (en) Control device of vehicle brake
KR200155015Y1 (en) A parking brake of a vehicle
KR19980038572A (en) Car Parking Brake Locking Device
KR19980060238U (en) Operation mechanism of car parking brake
KR19980054498U (en) Parking brake automatic releas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