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4569A - 가변형 카울 탑 공기 유입장치 - Google Patents

가변형 카울 탑 공기 유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4569A
KR19980044569A KR1019960062662A KR19960062662A KR19980044569A KR 19980044569 A KR19980044569 A KR 19980044569A KR 1019960062662 A KR1019960062662 A KR 1019960062662A KR 19960062662 A KR19960062662 A KR 19960062662A KR 19980044569 A KR19980044569 A KR 199800445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inlet
water
inlet hole
water protector
prot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26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세길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10199600626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44569A/ko
Publication of KR199800445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4569A/ko

Links

Landscapes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변형 카울 탑 공기유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공기유입구멍이 워터 프로텍터와 연계되거나 차단되게 가변형으로 구성하여 블로워로의 물유입은 물론 공기유입량을 늘리도록 하기 위하여, 공기유입구멍(21)과 블로워(22)로 통하는 워터 프로텍터(23)가 설치되는 카울 탑(24)의 공기유입구멍(21) 내에, 워터 프로텍터(23)를 향하여 개방되게 설치되는 워터 프로텍터 플랩(25)을 모터(26)에 의하여 회전되게 설치하고, 물을 감지하는 인식컨넥터(27)의 출력신호에 따라 센서(28)가 모터(26)에 전류를 인가시키면 워터 프로텍터 플랩(25)이 공기유입구멍(21)을 차단한다.

Description

가변형 카울 탑 공기유입장치
본 발명은 자동차의 가변형 카울 탑 공기유입장치(Variable Type Cowl Top Air Inlet System)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특히 승용차에 있어서는 윈드 쉴드 글래스(앞유리)의 앞쪽으로 엔진 룸이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이 윈드 쉴드 글래스와 엔진 룸을 덮고 있는 후드 간의 사이에 외기의 실내 유입을 목적으로 하는 카울 탑이 횡으로 길게 설치되어 있다.
종래에는 도 1과 같이 카울 탑(1)에 공기유입구멍(2)을 형성하여 외부공기가 들어가도록 하고 있고, 이 공기유입구멍(2)의 안쪽에는 공기와 물이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공간 내의 바닥에는 블로워(3)와 통하면서 물이 블로워(3)로 들어가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워터 프로텍터(4)가 돌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워터 프로텍터는 평면상으로 보았을 때 공기유입구멍과 마주치지 않도록 옆으로 설치하여 우천시나 세차시에 외부에서 유입되는 물이 들어가지 않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외부에서 들어오는 공기가 바로 워터 프로텍터 내로 들어가지 못하고 와류를 일으킨 후 들어간다. 이로 인해 공기저항이 발생하여 공기유입량이 실질적으로 작아지는 결과를 낳았던 것이다. 이것은 공기유입구멍을 기준으로 보았을 때 공기의 유입단면적을 작게 하는 원인이 되며, 풍속을 떨어뜨려 풍량을 낮추는 결과로 나타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유입구멍이 워터 프로텍터와 연계되거나 차단되게 가변형으로 구성하여 블로워로의 물유입은 물론 공기유입량을 늘리도록 하는데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카울 탑 공기유입계통도.
도 2는 본 발명의 카울 탑 공기유입장치 구성약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공기유입구멍, 22: 블로워, 23: 워터 프로텍터, 24: 카울 탑, 25: 워터 프로텍터 플랩, 26: 모터, 27: 인식컨넥터, 28: 센서, 29: 힌지, 30,30': 기어, 31: 스프링, 32: 배터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공기유입구멍(21)과 블로워(22)로 통하는 워터 프로텍터(23)가 설치되는 카울 탑(24)과, 이 카울 탑(24)의 공기유입구멍(21) 내에서 상기 워터 프로텍터(23)를 향하여 개방되게 설치되는 워터 프로텍터 플랩(25)과, 이 워터 프로텍터 플랩(25)을 회전시켜 상기 공기유입구멍(21)을 폐쇄시킬 수 있는 모터(26)와, 카울 탑(24)에서 일정량의 물을 감지하는 인식컨넥터(27), 그리고 이 인식컨넥터(27)의 출력신호에 따라 상기 모터(26)에 전류를 인가시키는 센서(28)로 구성시킨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카울 탑(24)은 기존의 카울 탑과 마찬가지로 상면에 공기유입구멍(21)이 형성되어 있고, 공기와 물의 유입이 가능하게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내부의 바닥에 블로워(22)로 통하는 워터 프로텍터(23)가 설치된 것이다.
워터 프로텍터 플랩(25)은 공기유입구멍(21)의 내면과 접하는 것으로서, 공기유입구멍(21)보다 큰 평판으로 이루어져 공기유입구멍(21)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 이 워터 프로텍터 플랩(25)은 물의 유입이 없는 평상시에는 공기유입구멍(21) 내에서 상기 워터 프로텍터(23)를 향하여 개방되어 있도록 설치되어야 한다. 워터 프로텍터 플랩(25)은 일단에 힌지(29)가 형성되어 있고, 이 힌지(29)에는 기어(30)가 설치되어 있다. 또, 힌지(29)에는 워터 프로텍터 플랩(25)이 물의 유입시가 아닌 때에는 항상 개방되어 있도록 탄성을 가할 수 있는 스프링(31)이 설치되어 있다. 힌지(29)는 카울 탑(24)의 상측 내면에 그 양단이 힌지브래킷에 의하여 잡혀 있다.
모터(26)는 센서(28)의 전류인가시에 워터 프로텍터 플랩(25)이 완전히 공기유입구멍(21)을 차단할 수 있는 정도로 회전되면 그 작동을 멈추는 것으로서, 센서(28)의 전류인가시에 정회전을 한다. 모터(26)의 축에는 상기한 워터 프로텍터 플랩(25)의 기어(30)와 맞물리는 기어(30')가 설치되어 있다. 이 모터(26)는 카울 탑(24)의 내부 일측에 고정된다.
인식컨넥터(27)는 카울 탑(24)에서 일정량의 물을 감지하도록 설치된 것으로, 우천시나 세차시에 물이 묻으면 그 즉시 센서(28)에 신호를 출력한다. 센서(28)는 이 인식컨넥터(27)의 출력신호에 따라 상기 모터(26)에 전류를 인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우천시나 세차시가 아닌 경우에는 워터 프로텍터 플랩(25)이 스프링(31)의 탄성에 의하여 열려 있다. 그러다가 우천시나 세차시 인식컨넥터(27)가 물을 감지하면 그 신호가 센서(28)에 전달되어 센서(28)가 배터리(32)의 전류를 모터(26)에 인가시키므로 모터(26)가 작동한다. 모터(26)가 작동되면 기어(30)가 기어(30')를 회전시키므로 스프링(31)의 힘을 이기고 힌지(29)를 회전시켜 워터 프로텍터 플랩(25)이 공기유입구멍(21)을 차단시킨다. 물의 뿌림이 없어지면 인식컨넥터(27)의 입력신호가 없으므로 센서(28)는 더 이상 모터(26)에 전류를 인가시키지 않게 되고, 이에 따라 워터 프로텍터 플랩(25)은 스프링(31)의 힘에 의하여 다시 공기유입구멍(21)을 개방한다. 이 상태에서는 워터 프로텍터 플랩(25)이 워터 플로텍터(23)를 향하고 있으므로 외부공기는 매우 적은 저항으로 블로워(22) 내로 유입되어 실질적으로 유입단면적은 증가하고 풍속은 빨라져 풍량이 증가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물의 유입시에는 카울 탑의 공기유입구멍을 차단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워터 프로텍터 플랩을 이용하여 블로워로의 공기유입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므로서, 에어컨 냉각성능, 히터의 웜업성능, 환기성능 등 공기조화성능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풍량을 증대시킬 수 있고, 또 워터 프로텍터의 높이도 훨씬 낮출 수 있게 된다.

Claims (1)

  1. 공기유입구멍과 블로워로 통하는 워터 프로텍터가 설치되는 카울 탑과, 이 카울 탑의 공기유입구멍 내에서 상기 워터 프로텍터를 향하여 개방되게 설치되는 워터 프로텍터 플랩과, 이 워터 프로텍터 플랩을 회전시켜 상기 공기유입구멍을 폐쇄시킬 수 있는 모터와, 카울 탑에서 일정량의 물을 감지하는 인식컨넥터, 그리고 이 인식컨넥터의 출력신호에 따라 상기 모터에 전류를 인가시키는 센서로 구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카울 탑 공기유입장치.
KR1019960062662A 1996-12-06 1996-12-06 가변형 카울 탑 공기 유입장치 KR199800445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2662A KR19980044569A (ko) 1996-12-06 1996-12-06 가변형 카울 탑 공기 유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2662A KR19980044569A (ko) 1996-12-06 1996-12-06 가변형 카울 탑 공기 유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4569A true KR19980044569A (ko) 1998-09-05

Family

ID=66475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2662A KR19980044569A (ko) 1996-12-06 1996-12-06 가변형 카울 탑 공기 유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4456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10832B2 (en) Controllable air intake system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control process therefor
CN104908718B (zh) 一种基于透过率和相对湿度的汽车玻璃除雾控制方法
CN205686373U (zh) 一种汽车侧窗及外后视镜除雨除雾装置
CN215154473U (zh) 雨刮盖板结构及汽车
US11964636B2 (en) Method of controlling an air blowing apparatus
KR19980044569A (ko) 가변형 카울 탑 공기 유입장치
CN115476763B (zh) 一种后视镜以及汽车
CN108791204A (zh) 一种车用喷气雨水清除系统
JP3214264B2 (ja) デッキガーニッシュの防水構造
KR0112833Y1 (ko) 자동차용 아웃사이드 미러의 구조
KR100412517B1 (ko) 자동차용 카울박스의 가변형 배수장치
KR100228830B1 (ko) 차량의 와이퍼 작동 자동 제어장치
KR100224162B1 (ko) 자동차용 선택 냉방시스템
KR100452441B1 (ko) 자동차용 환기 시스템
KR102010967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0527137B1 (ko) 자동차용 카울박스의 배수부 개폐장치
KR970035459A (ko) 승용차용 흡입공기량 증대장치
KR19980061224A (ko) 자동차의 가변형 워터프로텍터
KR19990020786A (ko) 자동차용 덕트의 공기 유입구 구조
KR200364916Y1 (ko) 공조장치용 인카 센서 조립체
KR20060011317A (ko) 자동차용 센서 조립체
CN115009167A (zh) 外后视镜、控制外后视镜的方法和控制装置以及机动车辆
CN112406710A (zh) 一种汽车后视镜
CN113738547A (zh) 车辆高位进气管的涉水喉结构及高位进气结构和其控制方法
KR19980047797U (ko) 자동차 실내의 공기유입량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