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4099A - 세정조 내의 초음파 음압측정기 - Google Patents

세정조 내의 초음파 음압측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4099A
KR19980044099A KR1019960062125A KR19960062125A KR19980044099A KR 19980044099 A KR19980044099 A KR 19980044099A KR 1019960062125 A KR1019960062125 A KR 1019960062125A KR 19960062125 A KR19960062125 A KR 19960062125A KR 19980044099 A KR19980044099 A KR 199800440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pressure
ultrasonic
pressure gauge
aluminum foil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21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189840B1 (ko
Inventor
조승인
Original Assignee
손욱
삼성전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욱, 삼성전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손욱
Priority to KR10199600621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89840B1/ko
Priority to MXPA/A/1997/005009A priority patent/MXPA97005009A/xx
Priority to DE19729609A priority patent/DE19729609A1/de
Priority to BR9704237A priority patent/BR9704237A/pt
Priority to CN97114740A priority patent/CN1184250A/zh
Priority to US08/893,179 priority patent/US5962773A/en
Priority to JP9311966A priority patent/JPH10239147A/ja
Publication of KR199800440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40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898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898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H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01H17/00Measuring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H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01H3/00Measuring characteristics of vibrations by using a detector in a fluid
    • G01H3/10Amplitude; Pow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 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세정조 내에서 다수의 진동자를 포함하는 진동판에 의해 발생되는 초음파의 음압을 측정하는 초음파 음압측정기에 있어서, 직육면체의 각변에 해당하는 바아를 포함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의 서로 평행한 네 개의 바아에 대해 수직으로 상호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복수개의 알루미늄 호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음압측정기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초음파 음압측정기는 초음파를 이용한 세정공정에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세정조 내의 초음파 음압측정기
본 발명은 세정조 내의 초음파 음압측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세정조 내의 음압을 위치에 따라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는 초음파 음압측정기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음극선관의 제조 공정중의 쉐도우 마스크를 세정하는 것과 같이, 초음파를 이용하는 모든 세정 공정시, 피세척물을 일정한 크기의 세정조 내에 넣고 초음파를 발생시켜 그 초음파 진동에 의해 피세척물을 세정한다. 도 1에는 이러한 초음파 세정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었다. 도면을 참조하면, 세정조(10)의 저면에는 다수의 진동자(12)를 포함하는 진동판(11)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진동자(12)의 진동에 따라 진동판(11)이 진동함으로써 초음파를 발생시키게 된다.
이러한 진동판(11)의 진동에 의해 발생하는 초음파는 파동의 형태를 띠게 되는데, 그 상세한 그림이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즉, 음원인 진동판(11)로부터 발생되는 초음파는 진동자(12)(도1 참조)의 특성에 따라 수면(20)에서 반사되어 배(21)와 마디(22)를 포함하는 정재파 형태를 띠게 된다. 그런데, 상기 초음파의 음압은 배(21)에서 최대가 되고 마디(22)에서 최소가 된다. 따라서, 상기 세정조(10)(도 1) 내에 담긴 피세척물은 파동의 배(21) 부분에서는 세척이 잘 이루어지는 반면, 마디(22) 부분에서는 세척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다. 상기 비세정 영역의 존재는 마스크 세정의 신뢰성에 악영향을 미치므로 상기 배(21)와 마디(22)의 위치를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은 중요하다. 상기 배(21)와 마디(22)의 위치는 수면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초음파의 음압을 측정함으로써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진동자(12)들의 특성은 서로 다를 수 있으므로 이러한 차이에 의해 상기 수면(20)과 평행한 동일면 상에서도 초음파의 음압은 서로 다를 수 있다. 그러나, 각 지점에 따라서 초음파의 음압을 정밀하게 측정하는 것은 그리 용이하지 않다.
종래에는, 상기 세정조 내의 초음파의 음압을 측정하기 위해서 수학적이고 물리적인 이론을 사용하였다. 즉, 정재파 이론에 따라 상기 음원인 진동판(11)과 수면(20)과의 거리를 측정함으로써 초음파의 음압을 개략적으로 계산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계산 결과는 이론적인 것이므로 실제 초음파의 음압을 정밀하게 알려주지는 못한다.
초음파의 음압을 측정하기 위한 실제적인 방법의 하나는, 상기 세정조 내에 한 장의 알루미늄 호일을 넣고 초음파를 발생시켜, 알루미늄 호일의 세정 상태를 관찰함으로써 음압을 측정하는 것이다. 즉, 초음파의 음압이 강한 곳에 해당하는 알루미늄 호일의 부분에은 미세한 구멍이나 마모가 발생하고, 음압이 약한 곳에 해당하는 부분은 원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에 있어서도, 알루미늄 호일의 위치 설정이 정확하지 못하여 초음파의 음압을 정밀하게 측정할 수 없다. 또한, 한 장의 알루미늄 호일에 의한 측정으로는 세정조 내의 각 위치에 따른 음압의 분포를 모두 알 수는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복수개의 알루미늄 호일을 구비하여 세정조 내의 위치에 따른 초음파의 음압 분포를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는 초음파 음압측정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초음파 세정조의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진동판에 의해 발생되는 초음파의 파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 음압측정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 음압측정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0,40...세정조11,42...진동판
12,43...진동자20...수면
21...파동의 배22...파동의 마디
30...프레임31...바아
32...알루미늄 호일34...홈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 음압측정기는,
세정조 내에서 다수의 진동자를 포함하는 진동판에 의해 발생되는 초음파의 음압을 측정하는 초음파 음압측정기에 있어서,
직육면체의 각변에 해당하는 바아를 포함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의 서로 평행한 네 개의 바아에 대해 수직으로 상호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알루미늄 호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알루미늄 호일은 상기 프레임에 착탈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알루미늄 호일의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보조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알루미늄 호일은 상기 진동판에 의해 발생되는 초음파 파장의 λ/6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 음압측정기의 실시예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초음파 음압측정기는 직육면체의 각변에 해당하는 열두 개의 바아(31)로 구성되는 프레임(30)을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30)에는 복수개의 알루미늄 호일(32)이 설치되는데, 이 알루미늄 호일(32)은 상호 나란한 네 개의 바아(31a,31b,31c,31d)에 대해 수직으로 소정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된다.
상기 각 알루미늄 호일(32)은 그 알루미늄 호일(32)을 감싸서 지지하는 보조 프레임(33)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보조 프레임(33)이 바아(31a,31b,31c,31d)에 소정간격으로 형성된 홈(34)에 착탈가능하도록 끼워짐으로써 알루미늄 호일(32)은 프레임(30)에 설치된다. 상기 알루미늄 호일(32) 사이의 간격(G)은 측정하고자 하는 초음파 파장의 λ/6에 해당하는 거리만큼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본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과 같은 구조를 가진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 음압측정기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정조(40) 내에 담궈 초음파의 음압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세정조(40)는 세정액(41)이 담겨 있으며, 세정조(40)의 저면에는 복수개의 진동자(43)를 가진 진동판(42)이 설치된다. 초음파 음압측정기는, 알루미늄 호일(32)이 상기 진동판(42)에 대해 수직이 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레임(30)의 수평 단면적은 상기 진동판(42)의 면적에 상응하는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알루미늄 호일(32)의 수는 진동판(42)의 크기 및 그 진동판(42)에서 발생되는 초음파의 파장에 따라서 결정될 수 있다.
초음파 음압측정기가 세정조(40) 내에 설치된 상태에서 진동자(43)에 의해 진동판(42)이 진동함으로써 초음파가 발생된다. 초음파는 전술한 바와 같은 정재파를 이루며, 이러한 정재파의 특성에 따라서, 파동의 배(21)(도 1 참조) 부분에서는 세정이 잘 이루어지는 반면 파동의 마디(22) 부분에서는 세정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는다. 진동판(42)으로부터 발생되는 이러한 초음파의 음압 분포에 따라서 상기 음압측정기의 알루미늄 호일(32)은 세정된다. 이때, 상기 파동의 배(21)에 해당하는 알루미늄 호일(32)의 부분은 강하게 세정되어 작은 구멍이 형성되며, 파동의 마디(22)에 해당하는 알루미늄 호일(32) 부분은 세정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아 원상태를 그대로 유지한다. 이러한 세정 현상은 복수개의 알루미늄 호일(32) 전체에 대해 이루어진다.
일정 시간이 지난 후, 상기 음압측정기를 세정조(40)로부터 꺼낸 후, 각각의 알루미늄 호일(32)을 분리하여 세정 상태를 검사함으로써 초음파의 음압 분포를 알 수 있다. 알루미늄 호일(32)에서 구멍이 많이 생긴 부분은 세정력이 강한 부분이며, 원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거나 또는 작은 입자들이 모여있는 부분은 세정력이 약한 부분이다. 상기 작은 입자들은 세정력이 강한 알루미늄 호일(32)의 부분으로부터 떨어져 나온 입자들이다.
상기 알루미늄 호일(32) 상에서 상기 구멍과 입자의 모임은 연속적으로 나타나므로 초음파의 음압 분포를 연속적으로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한 장의 알루미늄 호일(32)을 분석함으로써 음압의 수직 분포를 알 수 있고, 이러한 각각의 알루미늄 호일(32)에 대한 분석을 조합함으로써 음압의 수평 분포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 음압측정기는 진동판에 대해 수직으로 설치되는 복수개의 알루미늄 호일에 나타난 세정상태를 검사함으로써 초음파의 연속적인 음압 분포를 각 위치에 따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알루미늄 호일을 프레임에 착탈가능하도록 결합할 수 있으므로 사용 및 유지가 간편하고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 초음파의 음압을 측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6)

  1. 세정조 내에서 다수의 진동자를 포함하는 진동판에 의해 발생되는 초음파의 음압을 측정하는 초음파 음압측정기에 있어서,
    직육면체의 각변에 해당하는 바아를 포함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의 서로 평행한 네 개의 바아에 대해 수직으로 상호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복수개의 알루미늄 호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음압측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 호일은 상기 프레임에 착탈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음압측정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 호일의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보조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음압측정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네 개의 바아에는 소정 간격으로 홈이 형성되고, 상기 보조프레임은 상기 홈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음압측정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 호일은 상기 진동판에 의해 발생되는 초음파 파장의 λ/6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음압측정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수평 단면적은 상기 진동판의 면적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음압측정기.
KR1019960062125A 1996-12-05 1996-12-05 세정조 내의 초음파 음압측정기 KR1001898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2125A KR100189840B1 (ko) 1996-12-05 1996-12-05 세정조 내의 초음파 음압측정기
MXPA/A/1997/005009A MXPA97005009A (en) 1996-12-05 1997-07-02 Apparatus for measuring the intensity of ultrasoni waves
DE19729609A DE19729609A1 (de) 1996-12-05 1997-07-10 Vorrichtung zum Messen der Stärke von Ultraschallwellen
BR9704237A BR9704237A (pt) 1996-12-05 1997-07-15 Aparelho para medir a intensidade de ondas ultrasónicas
CN97114740A CN1184250A (zh) 1996-12-05 1997-07-15 用于测量超声波强度的设备
US08/893,179 US5962773A (en) 1996-12-05 1997-07-15 Apparatus for measuring intensity of ultrasonic waves in a cleaning tank
JP9311966A JPH10239147A (ja) 1996-12-05 1997-11-13 洗浄槽内の超音波強度測定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2125A KR100189840B1 (ko) 1996-12-05 1996-12-05 세정조 내의 초음파 음압측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4099A true KR19980044099A (ko) 1998-09-05
KR100189840B1 KR100189840B1 (ko) 1999-06-01

Family

ID=19486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2125A KR100189840B1 (ko) 1996-12-05 1996-12-05 세정조 내의 초음파 음압측정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962773A (ko)
JP (1) JPH10239147A (ko)
KR (1) KR100189840B1 (ko)
CN (1) CN1184250A (ko)
BR (1) BR9704237A (ko)
DE (1) DE19729609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8083B1 (ko) * 2012-12-07 2014-01-08 주식회사 인팩 자동화 수동변속기의 클러치 액추에이터 시험장치
CN115585654A (zh) * 2022-09-30 2023-01-10 九牧厨卫股份有限公司 基于振动检测的毛巾架加热控制方法、装置及可读介质
CN115585654B (zh) * 2022-09-30 2024-06-07 九牧厨卫股份有限公司 基于振动检测的毛巾架加热控制方法、装置及可读介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130682B4 (de) * 2001-06-26 2015-08-06 Pereg Gmbh Vorrichtungen zum Testen der Effizienz eines Ultraschallreinigungsgeräts
GB0127529D0 (en) * 2001-11-16 2002-01-09 Secretary Trade Ind Brit Ultrasonic power meter
JP5114289B2 (ja) * 2008-05-27 2013-01-09 サクラ精機株式会社 超音波洗浄用インジケータ
CN105043532B (zh) * 2015-08-03 2018-06-15 深圳崇达多层线路板有限公司 线路板水平线超声波强度的测量板及测量方法
CN109801852A (zh) * 2017-11-16 2019-05-24 隆基绿能科技股份有限公司 超声效果评价组件及方法
CN109060396B (zh) * 2018-08-29 2021-06-01 深圳技术大学 一种消费品化学成分检测分析用超声波萃取仪的超声萃取性能核查装置及方法
KR101957453B1 (ko) 2018-10-25 2019-03-12 김영만 나무여과상자
CN112924544B (zh) * 2021-01-25 2023-06-09 江西志浩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超声波处理效果检测装置及电路板生产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53408A (en) * 1981-03-09 1984-06-12 William Clayman Device for testing ultrasonic beam profiles
US4903523A (en) * 1985-09-13 1990-02-27 Flynn John J Test object and method of characterization of an ultrasonic beam and its side lobes
US5433102A (en) * 1993-03-23 1995-07-18 Pedziwiatr; Edward A. Ultrasonic wave energy detection and identification
JP3294387B2 (ja) * 1993-07-21 2002-06-24 立花 克郎 超音波強度分布測定方法
JP3415286B2 (ja) * 1994-09-22 2003-06-09 克郎 立花 超音波測定用シート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8083B1 (ko) * 2012-12-07 2014-01-08 주식회사 인팩 자동화 수동변속기의 클러치 액추에이터 시험장치
CN115585654A (zh) * 2022-09-30 2023-01-10 九牧厨卫股份有限公司 基于振动检测的毛巾架加热控制方法、装置及可读介质
CN115585654B (zh) * 2022-09-30 2024-06-07 九牧厨卫股份有限公司 基于振动检测的毛巾架加热控制方法、装置及可读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0239147A (ja) 1998-09-11
BR9704237A (pt) 1998-11-17
MX9705009A (es) 1998-06-30
US5962773A (en) 1999-10-05
DE19729609A1 (de) 1998-06-10
CN1184250A (zh) 1998-06-10
KR100189840B1 (ko) 1999-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89840B1 (ko) 세정조 내의 초음파 음압측정기
Castellini et al. The laser doppler vibrometer as an instrument for nonintrusive diagnostic of works of art: application to fresco paintings
Zeqiri et al. Studies of a novel sensor for assessing the spatial distribution of cavitation activity within ultrasonic cleaning vessels
EP055625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reast imaging
Royer et al. Quantitative imaging of transient acoustic fields by optical heterodyne interferometry
Marangopoulos et al. Measurement of field distributions in ultrasonic cleaning baths: implications for cleaning efficiency
KR20040075747A (ko) 초음파 세정장치
JPS5934242B2 (ja) 熱交換器の配管の支持間隙を測定する装置及び方法
KR102065067B1 (ko) 다중 주파수 동시 구동형 멀티진동자 기반 초음파세척장치
JPS6042635A (ja) 生化学分析装置におけるノズル洗浄装置
MXPA97005009A (en) Apparatus for measuring the intensity of ultrasoni waves
JPH0614033B2 (ja) 超音波検査方法
KR19980044098A (ko) 세정조 내의 초음파 음압측정 보조장치
JP2004264163A (ja) 音圧測定用ゾンデ
RU207039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наблюдения эффекта тальбота на поверхностных волнах жидкости
JP2000035419A (ja) 超音波探傷測定装置
JPS6215213B2 (ko)
Watanabe et al. Non-scanning means for determining vibrational distribution in BAW and SAW devices
Gelat et al. Establishing a reference ultrasonic cleaning vessel: Part 1 supporting infrastructure and early measurements.
KR910006440Y1 (ko) 초음파 식기세척기의 초음파 출력 측정장치
JP3307869B2 (ja) 多槽式超音波洗浄装置
Assenza et al. One Path Ultrasonic Flowmeter Using Electroacoustic Feedback
JPH11151469A (ja) 超音波洗浄装置
RU2141742C1 (ru) Способ градуировки гидрофонов
Smith et al. 3D FFT mode filtering for phase gradient velocity measure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2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