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2800A - 무선통신 단말장치 - Google Patents

무선통신 단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2800A
KR19980042800A KR1019970063277A KR19970063277A KR19980042800A KR 19980042800 A KR19980042800 A KR 19980042800A KR 1019970063277 A KR1019970063277 A KR 1019970063277A KR 19970063277 A KR19970063277 A KR 19970063277A KR 19980042800 A KR19980042800 A KR 199800428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device
communication terminal
signal
call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3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72397B1 (ko
Inventor
후쿠마토시하루
히라오카토오루
후쿠이사토시
Original Assignee
무라타쥰이치
무라타키카이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8315108A external-priority patent/JPH10164247A/ja
Priority claimed from JP8344131A external-priority patent/JPH10190871A/ja
Application filed by 무라타쥰이치, 무라타키카이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무라타쥰이치
Publication of KR199800428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28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23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23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095Systems or arrangements for the transmission of the picture signal
    • H04N1/00103Systems or arrangements for the transmission of the picture signal specially adapted for radio transmission, e.g. via satellites
    • H04N1/00108Systems or arrangements for the transmission of the picture signal specially adapted for radio transmission, e.g. via satellites of digital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7Initiating, continuing or ending a single-mode communication; Handshaking therefor
    • H04N1/32704Establishing a communication with one of a facsimile and another telecommunication apparatus sharing a single li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7Initiating, continuing or ending a single-mode communication; Handshaking therefor
    • H04N1/32704Establishing a communication with one of a facsimile and another telecommunication apparatus sharing a single line
    • H04N1/32706Type of the other apparatus
    • H04N1/32708Tele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7Initiating, continuing or ending a single-mode communication; Handshaking therefor
    • H04N1/32704Establishing a communication with one of a facsimile and another telecommunication apparatus sharing a single line
    • H04N1/32715Detecting
    • H04N1/32717Detecting a calling tone, e.g. C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7Initiating, continuing or ending a single-mode communication; Handshaking therefor
    • H04N1/32704Establishing a communication with one of a facsimile and another telecommunication apparatus sharing a single line
    • H04N1/32715Detecting
    • H04N1/32719Detecting a facsimile calling signal, e.g. C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7Initiating, continuing or ending a single-mode communication; Handshaking therefor
    • H04N1/32704Establishing a communication with one of a facsimile and another telecommunication apparatus sharing a single line
    • H04N1/32715Detecting
    • H04N1/32726Detecting signals other than facsimile protocol signals, e.g. DTMF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7Initiating, continuing or ending a single-mode communication; Handshaking therefor
    • H04N1/32704Establishing a communication with one of a facsimile and another telecommunication apparatus sharing a single line
    • H04N1/32715Detecting
    • H04N1/32728Detecting an off-hook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Facsimile Transmission Control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무선통신단말장치는, 무선회선에서 친기로부터 자기오 화상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 정확한 화상데이터의 전송을 행함과 아울러, 자기에 유사교환 회로를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필요한 장소에 설치된 통신단말장치를 무선화하는 아답터로서 이용할 수가 있다. 또, 친기가 교환기로부터 무명동 호출된 경우에는, 자기에 대하여도 무명동 호출을 할 수가 있다. 또한, 자기와 통신단말장치가 상호상대를 식별할 수가 있다.

Description

무선통신 단말장치
본 발명은, 유선회선에 접속된 친기(親機)와, 그 친기와 무선회선에서 접속되는 자기(子機) 및 자기와 직접 접속되는 통신단말장치로 구성된 무선통신 단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종류의 무선통신 단말장치에서는, 친기가 유선회선에 접속되어 있고, 통신단말장치로서의 자팩시밀리장치가 그 친기와 무선회선에 접속된다. 그리고 자팩시밀리장치는, 코드레스전화와 같이, 친기를 개재하여 외부의 팩시밀리장치와 팩시밀리통신이 가능하다.
그러나, 친기와 자팩시밀리장치와의 사이의 통신데이터의 주고받음을 아날로그 전송방식으로 행한 경우에는, 잡음이나 반송파의 왜곡 등의 영향으로 수신한 화상데이터에 이상이 생기기 쉽고, 전송품질의 점에서 문제가 생긴다.
또, 근년 팩시밀리 통신망(이하, 간단하게 F넷트라고 한다)에 가입하여, 무영동착 신계약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서비스에서는 1300㎐의 호출신호(통상의 호출신호는 16㎐)가 수신측에 도래하면 팩시밀리송신이라고 판단하여 팩시밀리장치의 명동부를 명동시키지 않게 하고 있다. 동시에, 이 1300㎐의 호출신호의 도래에 따라서, 즉시 팩시밀리수신동작으로 이행시키는 것이다. 그 때문에 명동음에 번잡됨이 없이 신속하고, 확실하게 화상데이터를 수신할 수가 있는 것이다.
또, 종래부터 다이얼인서비스가 보급되고 있다. 다이얼인서비스에 있어서는 외부와의 전화회선이 1개이나, 그 전화회선에 대하여 팩시밀리장치나 전화기등 복수의 통신단말장치가 접속되어 있다. 각 통신단말장치에는 상이한 전화번호가 할당되어서 외부로부터 그 전화번호의 호출이 있으면, 호출된 전화번호에 대응한 통신단말장치에 착신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1목적은, 무선회선에서 친기로부터 자기로 화상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 정확한 화상데이터의 전송을 행할 수 있는 무선통신단말장치을 제공하는 데 있다. 제2의 목적은, 자기를 소망의 장소에 설치된 통신단말장치의 아다프트로서 이용하여 통신단말장치를 무선단말화할 수 있는 무선통신단말장치을 제공함에 있다. 제3의 목적은, 친기가 무명동으로 불려진때에는, 자기에 접속된 단말장치도 무명동으로 호출하는 무선통신단말장치을 제공하는데 있다. 제4의 목적은, 자기와 그것에 접속되는 통신단말장치가 상호상태를 식별할 수 있는 무선통신단말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구항 1에 기재의 발명에서는, 유선의 전화회선에 접속된 친기와, 그 친기와 무선회선에서 접속되는 자기와 자기에 직접 접속되는 통신단말장치로 이루어지고, 상기한 친기와 자기와의 사이는 디지탈신호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것에 의하여, 교환기로부터 도래한 화상데이터는 디지탈신호화되어서 친기로부터 자기에 전송된다. 또한, 화상데이터는 자기로부터 통신단말장치에 전송된다.
청구항 2에 기재의 발명에서는, 청구항1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에 더하여 자기는 의사교환회로를 가지면, 상기한 통신단말장치로부터 제거가능하게 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것에 의하여, 청구항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의 작용에 의하여, 통신단말장치에 장착상태에 있는 자기를, 통신단말장치에서 떼어내어 다른 통신단말장치에 장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청구항3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청구항2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에 보태서, 상기한 친기는 교환기로부터 도래하는 호출신호를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호출신호의 종별에 따르는 동검출회로의 검출결과에 따라서 자기에 무명등에서의 팩시밀지수신 등을 촉진하는 코만드를 출력하는 코만드출력수단을 구비하고, 상기한의 교환회로는, 동 코만드출력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코만드에 따라서 무명동착신용의 의사호출신호 등을 상기한 통신단말장치에 출력하는 상기한의사 호출신호출력수단을 구비하도록 구성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것에 의하여,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2의 작용에 보태서, 도래하는 외부로부터의 호출신호를 친기가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하고, 그 종별에 따라서, 코만드출력수단으로부터 자기에 무영등에서의 팩시밀리수신 등을 촉진하는 코만드를 출력한다. 그 코만드를 받아서 자기는 무명동착신용의 사호출신호 등을 의사호출출력수단에 의해서 통신단말장치에 출력한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유선회선에 접속된 친기와 무선통신에서 접속되어야 할 자기와 자기에 유선통신에서 접속된 통신단말장치를 구비하고, 통신단말장치는 자기에 대하여 소정시간간격으로 소정의 신호를 송출하여, 자기가 통신단말자치로부터의 소정의 신호의 송출을 검출한 경우에만, 통신단말장치의 한발착신을 허가하도록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자기에 대하여 소정시간간격으로 송출된 소정의 신호에 응답하여 통신단말장치로부터의 소정의 신호의 송출을 검출한 경우에만, 통신단말장치에 의한 발착신이 허가되기 때문에, 자기는 통신단말장치가 시스템에 대응한 특정의 기능을 가지고 있느느가 아닌가를 인식할 수가 있다. 따라서, 자기는 통신단말장치가 가지고 있는 특정의 기능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유선회선에 접속된 친기와 무선통신에서 접속되어야 할 자기와, 자기에 유선통신으로 접속된 통신단말장치를 구비하고, 자기는 자신의 입상시에 단말장치에 대하여 소정의 신호를 송출하고, 그것에 응답하여 단말장치가 소정의 토온신호를 송출한 경우에만, 통신단말장치에 의한 발착신을 허가하도록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통신단말장치에서는, 자기가 자신의 입장시(서오름시)에 송출한 소정의 신호에 응답하여 통신단말장치가 소정의 토온신호를 송출한 경우에만, 통신단말장치에 의한 발신을 허가되기 때문에, 자기는 통신단말장치가 시스템에 대응한 특정의 기능을 가지고 있는가 아닌가를 인식할 수가 있다.
따라서, 자기는 통신단말장치가 가지고 있는 특정의 기능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유선회선에 접속된 친기와 무선통신에서 접속되어야 할 자기와, 자기에 유선통신으로 접속된 단말장치를 구비하고, 자기는 친기로부터의 착신호출에 응답하여 단말장치에 대하여 의사호출신호를 송출하고, 그것에 응답하여 단말장치가 소정의 토옴신호를 송출한 경우에만, 통신단말장치에 의한 발착신을 허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통신단말장치에서는, 친기로부터의 착신호출에 응답하여 자기가 송출한 의사호출신호에 응답하여 통신단말장치가 소정의 토온신호를 송출한 경우에만, 통신단말장치에 의한 발신을 허가되기 때문에, 자기는 통신단말장치가 시스템에 대응한 특정의 기능을 가지고 있는지 아닌지를 인식할 수가 있다.
따라서, 자기는 통신단말장치가 가지고 있는 특정의 기능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무선통신 단말장치를 구성하는 친기의 회로구성도.
도 2는, 도 1의 무선통신 단말장치를 구성하는 자기의 회로구성도.
도 3은, 도 1의 무선통신 단말장치를 구성하는 회로구성도.
도 4는, 도 1의 무선통신 단말장치를 구성하는 회로구성도.
도 5는, 도 1의 무선통신 단말장치를 구성하는 회로구성도.
도 6은, 자기에 할당된 다이얼인 번호와 그 종별의 테이블,
도 7은, 전화회선을 통하여 호출이 있었던 때의 친기의 동작을 표시하는 플로우차트.
도 8은, 전화회선을 통하여 호출이 있었던 때의 친기의 동작을 표시하는 플로우차트.
도 9는, 전화회선을 통하여 호출이 있었던 때의 자기의 동작을 표시하는 플로우차트.
도 10은, 도 9의 플로우차트에 대응하는 도면.
도 11은, 도 9의 플로우차트에 대응하는 도면.
도 12는, 전화회선을 통하여 호출하는 경우의 자기의 동작을 표시하는 플로우차트.
도 13은, 도 12의 플로우차트에 대응하는 도면.
도 14는, 도 12의 플로우차트에 대응하는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무선통신단말의 시스템의 자지 내부구성예를 표시하는 블록도.
도 16은, 본 발명의 무선통신 단말장치에 의한 통신단말장치의 접속상태확인동작의 제1실시형태의 설명도.
도 17은, 본 발명의 무선통신 단말장치에 의한 통신단말장치의 접속상태확인동작의 제2실시형태의 설명도.
도 18은, 본 발명의 무선통신 단말장치에 의한 통신단말장치의 접속상태확인동작의 제3실시형태의 설명도.
도 19는, 본 발명의 무선통신 단말장치에 의한 무선통신 단말장치의 접속상태확인 동작의 제3실시형태의 다른예의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0 : 친기 #1∼#3 : 자기
#4 : (또는#5)통신단말장치인 팩시밀리장치
20 : 코만트출력수단인 RF부, 22 : 코만트출력수단인 CPU
23 : 코만트출력수단인 ROM 24 : 코만트출력수단인 RAM
31 : 의사교환회로 35 : 의사호출신호수단인 CPU
L1∼L3 : 전화회선 X : 무선단말통신시스템
Y : 교환기 105 : 단말장치
K1 : 자기본체 133 : DTMF검출부
134 : 톤생성부 136 : 오프훅검출부
137 : CI발생부 143 : 제어부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에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무선통신장치(X)의 개요을 설명한다.
친기 #0는 3회선의 PSTN전회회선(일반전화회선망)L1∼L3에 접속되어 있다.
자기#1∼#3은 진기#0의 무선회선에 의하여 접속가능하다.
자기 #1은 통신단말장치로서의 팩시밀리장치 #4(또는 #5)에 장착되어서, 친기#0와 팩시밀리장치#4(또는 #5)간의 데이터의 주고 받음을 중개하는 아다프터로서 기능한다. 자기#2, #3은 자전화기이며, 그것 자체에 전화기능을 구비한다. 자기 #1가 팩시밀리장치#3(또는 #5)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자기#1의 단자(P1)이 팩시밀리장치#4자기 #1을 팩시밀리장치#4(또는 #5)로부터 떼어내면, 양단자(P1)(P2)는 비접속상태로 된다.
자기 #1∼#3과 친기#0의 사이의 무선통신은, PHS(퍼스날, 핸드폰, 시스템)에 의한 이동통신시스템을 이용하고 있다. PHS는, 전속방식에 TDMA/TDD(Time Division Multiple Access/Time Division Duplex)방식을 사용하고 있고, 주파수이용효율이 좋다. 또, 음성부호화방식에 ADPCM(적용차분펄스부호변조)방식을 채용하고 있으므로, 회선품질이 좋고, 또한 아날로그방식의 코오드레스전화기에 비하여 데이터전송속도가 고속이다. 이 때문에 PHS에 의한 팩시밀리통신에서는 고품질의 데이터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3회선의 전화회선L1∼L3의 중, 전화회선L1은 다이렁인에서의 호출용의 회선에 활당되고, 전화회선 L2는 자기#1을 개재하여서의 팩시밀지장치 #4(또는 #5)에의 팩시밀리전용선으로 활당되고, 전화회선L3은 F넷트용의 회선에 활당되고 잇다. 또, 본 실시형테에서는 자기#1에는 다이얼인에서의 호출용의 번호(이하, 다이얼인번호라고 한다)로서의 2개의 다이얼인번호가 활당되고 있다.
친기#0은, 외부로부터의 발호에 따라서 교환기(y)로부터 전화회선L1을 통하여 호출을 받은 때에는, 그 호출이 다이얼인에 따르는 것이라고하여, 후술하는 다이얼인기능에 의해, 자기#1∼#3의 중의 어느 것인가를 호출한다.
도, 친기#0는, 팩시밀리용전인 전화회선L2을 통하여 호출을 받은 때에는, 특히 자기#1을 호출한다. 또한, 자기#0은, F넷트용인 전화회선L3을 통해서 1,300㎐의 호출신호에 의한 호출을 받은 때에도, 즉시 자기 #1를 호출한다.
자기#1는 팩시밀리장치#4(또는 #5)에 장착되기 때문에, 자기#1의 호출은 팩시밀리장치#4(또는 #5)의 호출을 의미한다.
다음에, 친기#0의 상기한적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표시하는 바왁 같이, NCU(네트워크콘트롤유닛트)(10)은 친기#0의 전화회선L1∼L3의 폐결 및 개방을 제어한다. NCU(10)은 다이얼인 처리회로(11), 제1의 호출신호검출회로(12), 제2의 호출신호검출회로(13) 및 DTMF검출회로(14)를 구비하고 있다.
다이얼인처리회로(11)는, 다이얼인 처리르 행하기 위한 것이다. 제1의 호출신호검출회로(13)은, 교환기(Y)로부터 송신되어오는 1300㎐의 호출신호를 검출한다.
또, DTMF검출회로(1$)는 교환기(Y)로부터 송신되어오는 풋슈트온신호(DTMF신호)를 검출한다. NCU(10)에는 송수신데이터의 변조, 복조를 행하는 모뎀(1%)이 접속된다.
모뎀(15)에 접속된 ADPCM코오덱크(16)은, ADPCM(적응차분펄스부호변조)에 의해, 전화회선L1∼L3을 개재하여 수신한 데이터의 부호화 및 무선회선을 개재하여, 자기#1∼#3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의 복호를 행한다. ADPCM코오덱크(16)에 접속된 찬넬·코오덱크(17)은, TDMA/TDD방식에 적합한 데이터의 작성 및 자기#1∼#3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로부터 필요한 데이터의 추출을 행한다.
변조부(18)은, 자기#1∼#3에 송신하는 데이터를 π/4시프트QPSK방식에 의하여 변호하고, 복조부(19)는 자기#1∼#으로부터의 수신한 데이터를 동일한 방식으로 복조한다. RF부(20)은 변조부(18)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안테너(21)을 개재하여 자기#1∼#3에 송신함과 아울러, 안테너(21)을 개재하여 수신한 데이터를 복조부(19)에 출력한다.
또한, 친기#0는 상술의 각부를 제어하는 CPU(22), 그 제어에 필요한 프로그램 등을 기억한 ROM(23) 및 제어에 필요한 데이터 등을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RAM(24)를 구비하고 있다.
RAM(24)는, 도 6에 표시하는 전화번호 대응테이블(24a)를 기억하고 있다.
이 전화번호대응테이블(24a)는, 각 자기#1∼#3과 다이얼인번호를 대응시킨 것이다. 자기#1에서는, 팩시밀리장치#4(또는 #5)의 2개의 다이얼인번호가
ⅰ)무명 등의 팩시밀리수신기능과,
ⅱ)무명 등의 팩시밀리기능에는 4자리수가「0001」다이얼인 번호가, 통상의 통화 및 팩시밀리통신에서는 마찬가지로 「0002」의 다이얼인 번호가 대응한다.
또, 자기 #2 및 #3에는 다이얼인번호가 각각 통상의 전화기능에 대응하여 활당되어 있다. 자기 #2에는 아래4자리수가「0003」의 다이얼인 번호가, 자이#3에는, 마찬가지로「0004」의 다이얼인 번호가 대응한다.
CPU(22)는 전화번호대응테이블(24a)에 따라서 자기#1∼#3을 선택하고, DTMF검출회로(14)에 의하여 검출한 다이얼인번호의 종별에 따라서 디지탈신호화한 코만드를 RF부(20)로부터 출력한다. 코만드는 1300㎐의 호출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코만드(이하, 코만드1300이라고 한다)와, 16㎐호출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코만드(이하, 코만드16이라고 한다)이다. 상기 RF부(20), CPU(22), ROM(2#) 및 RAM(24)에 의하여 코만드 출력수단이 구성된다.
다음에, 자기#1의 상기한적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자기#1은 자기본체(R1)와 단말제어부(R2)에 의해 구성된다. 자기본체(R1)은 RF부(25), 변조부(26), 안테너(27), 복조부(28), 찬넬, 코오덱크(29), ADPCM코오덱크(30)을 구비한다.
RF부(25)는, 변조부(26)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안테너(27)을 개재하여 송신함과 아울러, 안테너(27)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복조부(28)에 출력한다. 변조부(26)은, 무선회선을 개재하여 송신되는 데이터를 π/시프트 QPS방식에 의하여 변조하고, 복조부(28)은 무선회선을 개재하여 수신한 데이터를 동일한 방식에 의하여 복조한다. 찬넬, 코오덱크(29)는, TDMA/TDDQKDTLR에 적합한 데이터의 작성, 및 수신한 데이터로부터 필요한 데이터의 추출을 행한다. ADPCM코오덱크(30)은, 무선회선을 개재하여 수신한 데이터를 ADPCM방식에 의하여 복호한다.
또한, 자기본체(R1)은, 상술의 각부를 제어하는 CPU(32), 그 제어에 필요한 프로그램 등을 기억한 ROM(33) 및 제어에 필요한 데이터 등을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RAM(34)를 구비하고 있다. CPU(32)는 친기#0로부터 출력된 코만드1300 혹은 코만드16에 대응하는 전송코만드를 출력한다.
단말제어부(R2)는 의사교환회로(31)을 제어하는 서브CPU(35), ROM(36) 및 RAM(37)을 구비하고 있다. 의사교환회로(31)은 16㎐또는 1300㎐의 어느 것인가의 호출신호를 팩시밀리장치 #4(또는 #5)에 대하여 출력한다.
서브CPU(35)는 CPU(32)로부터 출력된 전송코만드에 따라서 16㎐또는 1300㎐의 어느 것인가의 호출신호를 의사교환회로(31)에 대하여 출력한다. 또, 의사교환회로(31)은 팩시밀리장치#4(또는 #5)의 통신에 필요한 전류를 공급하는 기능, 팩시밀리장치#4(또는 #5)의 오프훅크를 검출하는 기능, 팩시밀리장치#4(또는 #5)가 송출한 풋규토온을 검출하는 기능을 가진다. 서브CPU(35)는 팩시밀리장치#4(또는 #5)의 개방, 폐결을 감시한다. RAM(37)은 제어에 필요한 데이터 등을 일시적으로 기억한다.
다음에, 도 3에 따라서 자기#2 및 #3의 상기한적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자기#2 및 #3이 가지는 RF부(25), 변조부(26), 안테너(27), 복조부(28), 찬넬·코오덱크(29), ADPCM코오덱크(30) 및 LCD(35)의 구성에 대하여는 상기한 자기#1과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스피커(40) 및 마이크(41)은, ADPCM코오덱크(30)과 접속되어 있다.
ADPCM코오덱크(30)은, 무선회선을 개재하여 수신한 데이터를 ADPCM방식에 의하여 복호하여 스피커(40)로부터 출력시킴과 아울러, 마이크(41)로부터 입력된 음성데이터를 동일한 방식에 의하여 부호화 한다. 또한 자기#2 및 #3은, 상술의 각 부를 제어하는 CPU(32), 그 제어에 필요한 프로그램 등을 기억한 ROM(33) 및 제어에 필요한 데이터 등을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RAM(34)를 구비하고 있다.
LCD(42)는, 입력된 전화번호 등의 각종 정보를 표시한다. 커이입력부(43)는 전화번호 등을 입력하기 위한 덴키이 등의 각종 조작키이를 구비하고 있다.
다음에, 도 4에 따라서 팩시밀리장치#4(또는 #5)의 상기한적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팩시밀리장치#4(또는 #5)는 판독부(45), 기억부(46), FAX코오덱크(47), 모뎀(48), NCU(49), 키이입력부(50), LCD(51) 및 음성송출부(52)를 구비한다.
판독부(45)는, CCD 등에 의하여 원고를 주사하여 판독환화상데이터를 2치화한다. 기록부(46)은, 전송된 화상데이터에 따라서 기록지상에 인자를 행한다. FAX코오덱크(47)은, 판독부(41)에서 2치화된 화상데이터당장도 압축을 위해 부호화함과 아울러, 회선으로부터 수신한 부호화상데이터를 복호하여 기록부(42)에 출력한다. 모뎀(47)에서 FAX코오덱크(47)에서 부호화된 데이터의 변조 및 복조를 행한다. NCU(49)는 팩시밀리장치#4(또는 #5)의 자기#1의 사이의 폐결 및 개방을 제어한다. 또, NCU(49)는 자기#1로부터 송신되어오는 16㎐의 호출신호를 검출하는 제3의 호출신호검출회로(53)와 자기#1로부터 송신되어오는 1300㎐의 호출신호르 검출하는 제4의 호출신호검출회로(54)를 가지고 있다.
키이입력부(50)은, 전화번호 등을 입력하기 위한 덴키이 등의 각종 조작키이를 구비하고 있다. LCD(51)은, 입력된 전화번호 등의 각종정보를 표시한다. 음성송출부(52)는 벨이나 부저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팩시밀리장치#4(또는 #5)는 상술의 각부를 제어하는 CPU(55), 제어에 필요한 프로그램 등을 기억한 ROM(56), 제어에 필요한 데이터 등을 일시적으로 기억하기 위한 RAM(57)을 가진다. 또, 팩시밀리장치#4(또는 #5)는 부속전화기(T)를 구비한다.
다음에, 상기한과 같이 구성된 무선통신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외부로부터의 발호에 따라 교환기(Y)로부터 전화회선L1∼L3을 통하여 친기#0에 호출이 있은 때의 친기#0의 동작에 대하여 도 7 및 도 8의 플로우차트에 따라서 설명한다.
스텝(S101)에 있어서 CPU(22)는 다이얼인에서의 호출용의 회선인 전화회선L1으로부터 호출신호가 도래하였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여기에서, 전화회선L1으로부터의 호출이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102)에 있어서 다이얼인처리로 이행한다.
다이얼인 처리는 개략다음과 같이 행하여진다.
먼저, 전화회선L1이 폐결되어서, 천기#0와 교환기(Y)와의 사이에서 직류루우프가 형성된다. 이 직류로우프의 형성이 1차응답신호로서 교환기(Y)에서 검출되고, 다이얼인번호에 대응한 풋슈토온신호가 교환기(Y)로부터 친기#0에 대하여 송신된다. 다음에, 전화교환기측으로부터 소정의 전화번호(팩시밀리번호)가, 풋슈토온신호로 송신되어 온다.
이 풋슈토온신호가 DTMF검출회로(15)에서 검출되면, 다이얼인처리회로(11)에 의하여 전화회선L1이 일단 개방되어서, 친기#0와 교환기(Y)의 사이의 직류루우프가 개방된다.
이 직류로우프의 개방이 내선지정번호수신완료신호로서 교환기(Y)에서 검출된다. 한편, 상기한 풋슈토온신호가 DTMF검출회로(15)에서 검출되면 다이얼인처리회로(11)에서 풋슈토온신호에 의하여 표시되는 내선지정번호가 해독된다. 그리고 친기#0는, RAM(24)내의 전화번호 대응테이블(24a)(도 6)에 따라, 다이얼인 번호에 대응하는 자기#1∼#3의 어느 것인가를 선택한다.
스텝(S103)에 있어서, 상기한 스텝(S102)의 다이얼인처리에 의해 아래4자리수가「0001」의 다이얼인번호인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아래4자리수가「0001」의 다이얼인번호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S104)에 있어서 자기#1에 대하여 디지탈신호화한 코만드1300을 출력한다.
한편, 아래4자리수가「0001」의 다이얼인번호가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105)에 있어서 아래4자리수가「0002」의 다이얼인번호인가 아닌가를 판단된다. 여기에서, 아래4자리수가「0002」의 다이얼인번호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S105)에서 자기#1에 대하여 코만드(16)이 출력된다.
한편, 스텝(S105)에 있어서 아래4자리수가「0002」의 다이얼인번호가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S107)에 있어서, 아래4자리수가「0003」의 다이얼인번호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아래 4자리수가「0003」의 다이얼인번호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S108)에서 자기#2에 대하여 디지탈신호화된 통화용의 코만드가 출력된다.
아래4자리수가「0003」의 다이얼인번호가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에는,「0004」의 다이얼인번호라고 판단하여 스텝(S109)에서 자기#3에 대하여 디지탈신호화된 통화용의 코만드가 출력된다.
상기한 스텝(S101)에 있어서 전화회선L1으로부터의 호출이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S110)에 있어서 팩시밀리전용선인 전화회선L2로부터 호출신호가 도래하였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여기에서, 전화회선L2로부터의 호출이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즉시 스텝(S106)으로 이행한다. 한편, 전화회선L2로부터의 호출이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 스텝(S111)에 있어서 F넷트용의 전화회선L3으로부터 호출신호가 도래하였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여기에서, 전화회선L3으로부터의 호출이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수신대기상태를 유지한다.
전화회선L3으로부터의 호출이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S112)로 이행되어, 교환기(Y)로부터의 16㎐의 호출레벨신호를 검출하였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16㎐의 호출레벨신호가 검출된 경우에는 처리는 스텝(S106)으로 이행한다. 16㎐의 호출레벨신호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 스텝(S113)에 있어서 교환기(Y)로부터의 1300㎐의 호출레벨신호를 검출하였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스텝(S113)에 있어서 1300㎐의 호출레벨신호가 검출되면 처리는 스텝(S104)로 이행한다. 스텝(S113)에 있어서 1300㎐의 호출레벨신호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는 수신대기상태를 유지한다.
스텝(S104), 스텝(S106), 스텝(S108) 및 스텝(S109)의 어느 것인가의 처리가 실행되면, 스텝(114)에 있어서 자기#1∼#3으로부터의 변신코만드를 검출하였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변신코만드는 자기#1∼#3측의 수신의 준비가 되었다는 끗을 친기#0측에 되돌려 알려주는 코만드이다.
변신코만드가 검출된 경우에는 스텝(S115)에 있어서 착신이 있었던 어느 것인가의 전화번호L1∼L3을 폐결한다. 이어서, 팩시밀리통신 또는 통화를 위한 수순이 실행된 후, 자기#1과의 사이에서는 자기#1을 개재하여 팩시밀리장치#4(또는 #5)의 팩시밀리통신 또는 통화가 개시되고, 자기#2또는 3과의 사이에서는 통화가 개시된다(스텝S116). 스텝(S117)에 있어서 절단코만드를 검출하였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절단코만드는 팩시밀리통신 또는 통화가 종료하여 회선의 절단을 용구하는 코만드이다. 절단코만드를 검출한 경우애는 스텝(S118)에 있어서 회선을 절단한다.
다음에, 친기#0로부터 코만드를 송신된 자기#1의 동작에 대하여 도 9의 플로우차트에 따라서 설명한다.
스텝(S121)에 있어서 코만드1300이 검출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코만드1300이 검출되었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S122)에 있어서 CPU(32)로부터 서브CPU(35)에 전송코만드가 출력되고, 또한 스텝(S123)에 있어서 변신코만드에 따라서 서브CPU(35)로부터의 1300㎐의 호출신호가 유사교환회로(31)로부터 단자(P1)(P2)를 개재하여, 팩시밀리장치#4(또는 #5)에 대하여 출력된다. 그리고 스텝(S124)에서 무명동팩시밀리수신처리로 이행한다. 도 10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무명동팩시밀리수신처리에서는, 친기#0착신후, 그 친기#0로부터 자기#1에 대하여 코만드1300이 무선송신된다.
이어서, 자기#1은 1300㎐의 호출신호를 팩시밀리장치#4(또는 #5)에 출력한다.
팩시밈리장치#4(또는 #5)측에서 자기#1로부터의 1300㎐의 호출신호가 출력되면, 팩시밀리장치#4(또는 #5)는 무명동으로 직류회로를 폐결시켜, 직류루우프를 형성한다. 그리고, 자기#측에서 그 폐결을 확인하면, 1300의 호출신호의 출력을 정지함과 아울러, 친기#0에 디지탈신호화한 변신코만드를 출력한다.
이 변신코만드를 받은 친기#0는 전화회선을 폐결시킴과 아울러, 자기#1의 사이에서 수신을 위한 수순을 실행하고, 자기#1을 개재하여 팩시밀리장치#4(또는 #5)와의 사이에서 수신을 위한 수순을 실행하고, 지기#1를 개재하여 팩시밀리장치#4(또는 #5)에 화상데이터의 전소을 개시한다. 그리고, 자기#1은, 1300㎐의 호출신호에 대한 응답신호인 CED신호는 기다리지 않는다.
1300㎐의 호출신호는 팩시밀리통신이외에 있을 수 없기 때문이다.
자기#1은 스텝(S125)에서 팩시밀리통신이 완료하여 직류회로가 개방되면 그 개방을 확인하고, 친기#0에 디지탈신호화한 무선회선절단용의 코만드를 출력하여 회선을 절단하여 팩시밀리수신동작을 종료한다.
한편, 스텝(S121)에 있어서 코만드1300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는 스텝(S126)에 있어서 코만드16이 검출되었는지 아닌지가 판단된다.
코만드16이 검출된 경우에는 스텝(S127)에 있어서 CPU(32)로부터 서브CPU(35)에 전송코만드가 출력되고, 또한 스텝(S128)에 있어서 전송코만드에 따라서 서브CPU(35)로부터의 16㎐의 호출신호가 의사교환회로(31)로부터 단자(P1)(P2)를 개재하여 팩시밀리장치#4(또는 #5)에 대하여 출력된다. 그리고, 스텝(S129)에서 통상의 통화 또는 팩시밀리 수신처리(이하, 단순하게 통상의 통신처리라 한다)로 이행한다. 도 11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통사의 통신처리에서는, 친기#0의 착신후, 그 친기#0로부터 자기#1에 대하여 코만드16이 무선송신된다. 이어서, 자기#1은 16㎐의 호출신호를 팩시밀리장치#4(또는 #5)에 출력한다. 팩시밀리장치#4(또는 #5)측에서 자기#1로부터의 16㎐의 호출신호가 검출되면, 팩시밀리장치#4(또는 #5)는 음성송출부(24)로부터 명동음을 발한다. 통화의 경우에는 부속전화기(T)의 핸드셋트를 올리는 것에 의한 오프훅크에 의하여 팩시밀리수신에서는 소정회수의 명동의 후, 직류회로를 폐결시켜, 직류루우프를 형성한다. 그리고, 자기#1측에서 그 폐결을 확인하면 16㎐의 호출신호의 출력을 저지함과 아울러, 친기#0에 디지탈신호화한 변신코만드를 출력하여 통화 또는 팩시밀리수신가능상태로 된 것을 알린다. 이 변신코만드를 받은 친기#0는 전화회선을 폐결시킴과 아울러, 자기#1의 사이에서 수신을 위한 수순을 실행하고, 자기#1을 개재하여 팩시밀리장치#4(또는 #5)에의 화상데이터의 전송 또는 친기#0와 자기#1와의 쌍방향의 음성데이터전송이 개시된다.
자기#1은 팩시밀리수신 또는 통화가 완료하여 직류회로가 개방되면, 그 개방을 확인하여, 스텝(S130)에서 친기#0에 디지탈신호화한 무선회선절단용의 코만드를 출력하여 회선을 절단하여 팩시밀리수신 또는 통화동작을 종료한다.
다음에, 외부의 팩시밀리장치에 대하여 팩시밀리장치#4(또는 #5)로부터 팩시밀리송신하는 경우, 또는 외부의 전화기에 대하여 팩시밀리장치#4(또는 #5)의 전화기(T)로부터 발호하여 통화하는 경우의 자기#1의 동작에 대하여 도 12의 플로우차트에 따라서 설명한다.
스텝(S201)에 있어서 팩시밀리장치#4(또는 #5)의 직류회로가 폐결되었는가 아닌가가 판단된다. 직류회로가 폐결되었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S202)에 있어서 친기#0에 디지탈신호화한 폐결코만드를 출력한다.
여기에, 직류회로의 폐결은 서브CPU(32)에 전송된 후, 친기#0에 출력된다.
폐결코만드를 받은 친기#0는 회선접속동작을 행한다. 스텝(S203)에서 팩시밀리장치#4(또는 #5)측에서 입력된 소정의 팩시밀리번호 또는 전화번호에 대응한 풋슈토온신호를 검출하면, 스텝(S204)에서 친기#0에 동풋슈토온신호에 따른 디지탈신호화한 키이코오드코만드를 순차 출력한다. 여기에, 풋슈토온신호는 서브CPU(35)에 의해 검출되어, 풋슈토온신호에 따르는 키이코오드코만드는 자기본체(R1)측의 CPU(32)에 일단전송된 후, 친기#0에 출력된다. 즉, 풋슈토온신호에 따라서 무선통신장치(X)이 오동작하는 우려가 회피된다.
스텝(S205)에 있어서 3초이내에 다음의 푸슈토온신호를 검출하였는가 아닌가를 판단하고, 3초이내에 검출되지 않으면 다이얼인이 종료하였다고 판단하여, 스텝(S206)에 있어서, 팩시밀리송신처리를 개시한다. 여기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다이얼인이 종료할 때까지는 자기#1부터 친기#0의 음성송신회로는 개방상태로 된다. 즉, 팩시밀리장치#4(또는 #5)로부터 출력된 풋슈토온신호는 친기#0에 송신되지 않는다.
자기#1는 스텝(S207)에 있어서 팩시밀리송신 또는 통화가 완료하여 직류회로가 개방되면, 그 개방을 확인하고, 스텝(S208)에 있어서 친기 #0에 디지탈신호화한 무선회선절단용의 코만드를 출력하여 회선을 절단하고, 팩시밀리송신 또는 통화동작을 종료한다.
도 13에 팩시밀리송신의 경우의 루우틴의 대응도를, 도 14의 경우의 루우틴의 대응도롤 표시한다.
다음에, 자기와 이에 접속되는 단말장치가 상호상대를 식별할 수 있는 무선통신단말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무선통신단말장치은 전술한 도 5에 표시되어 있는 시스템에 있어서, 팩시밀리장치#4는 특정의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하고, 자기 #1로부터 팻시밀리장치#4를 식별하기 위한 구성에 특징을 가지고 있다.
도 15는 도 2에 표시되어 있는 자기#1의 단말제어부(R2)의 내부구성예를 표시하는 블록도이다.
자기본체(R1)으로부터는 아날로그수신라인(이하, RXA라 한다)(131)과, 아날러그송신라인(이하, TXA라한다)(132)와, 디지탈수신라인(이하, TXD라 한다)(131), TXA(132)는, 자기본체(R1)을 개재하여 친기#0와의 사이에서 음성신호의 송수를 행하고, RXD(141) TXD(142)는 자기본체(R1)를 개재하여 친기#0와 제어부(143)과의 사이에서 여러 가지의 지시를 디지탈신호를 송수한다. 제어부(143)과 RXA(131)과는 토온생성부(124)를 개재하여 접속되어 있고, 또, 제어부(143)과 TXA(132)와는 DTMF검출부(133)을 개재하여 접속되어 있다. 또, RXA(131), TXA(132)는 2선-4선교환회로(135)를 개재하여 팩시밀리장치#4와의 접속단자L11, L12에 접속되어 있다.
참조부호(L11)은 이 자기#1와 팩시밀리장치#4를 접속하기 위한 접속단자의 수신측단자를 또, (L12)는 마찬가지로 송신측단자를 각각 표시하고 있다. 수신측단자(L12)는 리레이(RR)의 공통접점에, 또, 송신측단자(L12)는 오프훅크검출부(136) 및 리레이RT의 공통접점에 각각 접속하고 있다.
리레이(RR) 및 (RT)의 한쪽의 단자는 다함께 상술의 2선-4선교환회로(135)에 접속하고 있고, 리레이(RR) 및 (RT)의 다른쪽의 단자는 공히 CI발생부(137)에 접속하고 있다.
DTMF검출부(133)은 팩시밀리장치#4가 TXA(132)에 송출한 900㎐의 토온 및 DTMF토온을 검출하여 데코오드하고, DTMF검출신호(S0)로하여 제어부(143)에 부여한다.
또, 토온생성부(134)는 제어부(143)으로부터 제어신호가 부여된 경우에, F넷트착신에 대응하는 1300㎐의 토온, 900㎐의 의사토온, 또는 통화중인 비지토온(BT)의 어느 것인가를 발생하여 RXA(132)에 출력한다.
CI발생부(137)에는 전술한 제어부(143)으로부터 제어신호가 부여되어 있다.
친기#0에 CI착신한 경우에, 친기#0로부터 무선부(R1)을 개재하여 제어부(143)에 그 뜻의 지시가 부여되면, 제어부(143)으로부터 CI발생부(137)에 대하여 상술의 제어신호가 부여되고, 이에 따라서 CI발생부(137)는 16㎐의 호출신호(CI)을 발생하고, 또 동시에 제어부(143)은 상술의 양리레이(RR)(RT)를 제어하는 것에 의하여, CI발생부(137)를 수신측단자(L11) 및 송신측단자(L12)와 접속한다. 따라서 이 경우, CI발생부(137)가 발생하는 16㎐의 호출신호(CI)가 팩시밀리장치#4에 송출된다.
또, 오프훅크검출부(136)는, 팩시밀리장치#4가 오프훅크상태인 경우, 즉, 팩시밀리장치#4가 회선을 사용하여 통신을 행하고 있는 상태를 검출하여 오프훅크신호(OH)을 출력하여 제어부(143)에 부여한다. 환언하면, 팩시밀리장치#4가 온훅크상태인 경우, 즉, 팩시밀리장치#4가 회선을 사용하고 있지 않는 상태를 검출한 경우에는 오프훅크검출부(136)은 오프훅크신호(OH)를 출력하지 않는다.
도 16은 본 발명의 통신단말장치에 의한 단말장치의 접속상태확인 동작의 제1의 실시의 형태의 설명도이다. 도 16에 있어서 참조번호#1가 자기 아다프터를(105)가 팩시밀리장치#4단말장치를 (R1)이 무선부를 (143)이 제어부를 각각 표시하고 있는 것은 전술한 도 15와 마찬가지이나, 자기본체#1의 자기본체(R1) 및 제어부(143)의 부분에서 구성되는 의사교환기능을 의사교환부(150)로서 표시하고 있다.
이 제1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단말장치(105)로부터 자기#1에 대하여, 접속허가신호를 소정시간간격으로 송출하는 것에 의하여, 단말장치(105)가 특정의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것을 상시 확인하도록 하고 있다.
먼저, 도 16(a)에 표시되고 있는 것 같은 단말장치(105)의 대기상태, 즉, 단말장치(105)가 팩시밀리장치라면 송신도 수신도 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는, 단말장치(105)는 온훅크상태이기 때문에, 오프훅크검출부(136)로부터는 오프훅크신호(OH)가 출력되어서 제어부(143)에 입력된다.
이와 같이 오프훅크검출신호(OH)가 오프훅크검출부(136)로부터 출력되는 것에 의하여 단말장치(105)의 대기상태를 제어부(143)가 검출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단말장치(105)는 도 16(b)에 표시되고 있는 바와 같이, 자기#1에 대하여 소정시간(TI)간격으로 접속허가요구신호(SI)로서 900㎐의 의사토온을 송출한다.
이 단말장치(105)로부터 송출된 900㎐의 의사토온인 접속허가요구신호(SI)는 수신측단자(L11)로부터 자기#1에 입력하여 의사교환부(150)에서 검출된다. 구체적으로는, 접속허가요구신호(SI)는 오프훅크검출부(136), 리레이(RT), 2선-4선교환회로(135)를 통하여 DTMF검출부(133)에서 검출되어, DTMF검출부(133)부터 제어부(143)에 대하여 900㎐의 의사토온을 검출한 것을 표시하는 DTMF검출신호(SO)가 부여된다.
제어부(143)은 이 DTMF검출부(133)으로부터 전술한 시간(TI)간격으로 DTMF검출신호(SO)가 부여되고 있는 경우에만, 단말장치(105)가 특정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하여 단말장치(105)에 대하여 발착신을 허가한다.
구체적으로는, DTMF검출부(133)으로부터 DTMF검출신호(SO)가 부여되면, 제어부(143)은 그 시점부터 시간(TI)의 기간내에 있어서 단말장치(105)에 대한 발착신을 허가하나, 시간(TI)보다도 약간 긴 시간(T2)이 경과한 시점에 있어서도 DTMF검출부(133)로부터 DTMF검출신호(SO)가 부여되지 않는 경우에는, 제어부(143)은 그 시점부터 시간(TI)의 기간내에 있어서는 단말장치(105)에 대한 발착신을 금리한다.
이상과 같은 처리를 제어부(143)가 행하는 것에 의하여, 단말장치(105)가 특정의 기능을 가진 장치인가 아닌가를 자기#1측에 식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7은 본 발명의 통신단말장치에 의한 단말장치의 접속상태확인동작의 이 제2의 실시의 형태의 설명도이다. 그리고 도 17에 있어서 각 참조부호는 상술한 도 16와 동일하다.
이 제2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자기#1의 전원투입시, 실질적으로는 자기#1가 설치된 시점에 있어서 자기#1로부터 단말장치(105)에 대하여 단말확인신호를 송출하는 것에 의하여, 단말장치(105)가 특정의 가능을 가지고 있는가 아닌가를 확인하도록 하고 있다.
먼저, 도 17(a)에 표시되고 있는 바와 같이, 자기#1에 전원이 투입된 시점에서 단말장치(105)의 오프훅크상태가 검출되고 잇으면 단말장치(105)가 대기상태인 것을 제1의 실시의 형태와 마찬가지로 자기#1의 제어부(143)에서 검출가능하다.
이와 같은 자기#1의 전원 투입직후의 단말장치(105)의 대기상태에 있어서 제어부(143)은, 도 17(b)에 표시되고 있는 바와 같이, 단말장치(165)에 대하여 단말확인신호(S2)로서 900㎐의 의사토온을 송출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143)이 전원투입직후의 초기설정을 행한 후에 토온생성부(134)에 제어신호를 부여하는 것에 의하여, 900㎐의 의사토온을 송출시킨다.
이 토온생성부(134)로부터 송출된 900㎐의 의사토온인 단말확인신호(S2)는 RXA(131), 2선-4선변환회로(135), 리레이(RR)을 거처서 수신측 단자(L1)로부터 단말장치(105)에 착신한다.
그리고, 이 자기#1로부터의 단말확인신호(S2)의 송출은 소정시간에 걸처서, 또는 직류회로가 폐결할 때까지 계속된다.
단말장치(105)에서는, 상술한 900㎐의 의사토온인 단말확인신호(S2)를 검출하면, 도 17(c)에 표시되는 바와 같이, 미리 정하여진 반응신호(S3)으로서 4자리수의 DTMF토온을 송출한다. 다만, 이 도 17(c)에 표시되어 있는 예에서는, 직류회로가 폐결한 후에 단말장치(105)로부터 DTMF토온이 송출된 상태가 표시되어 있고, 이후에 단말장치(105)는 직류회로를 개방한다. 이 단말장치(105)로부터 송출된 4자리수의 DTMF토온인 응답신호(S3)는 수신측단자(L12)로부터 자기#1에 입력하여 의사교환부(150)에서 검출된다.
구체적으로는, 접속허가요구신호(S1)는 오프훅크검출부(136), 리레이(RT), 2선-4선교환회로(135)를 통하여 DTMF검출부(133)에서 검출되어서 데코오드되어, 그 수치가 DTMF검출부(133)로부터 제어부(143)에 대하여 DTMF검출신호(SO)로서 부여된다.
단말장치(105)의 제어부(143)은 이 DTMF검출신호(SO)가 표시하는 수치가 소정의 수치와 일치하고 있으면, 단말장치(105)는 특정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고하여 그 이후에 있어서 단말장치(105)에 대한 발착신을 허가한다.
그러나, DTMF검출신호(SO)가 표시하는 수치가 정하여지고 있는 수치와 불일치하면, 또는 소정시간경과시점에 있어서도 DTMF검출신호(SO)가 DTMF검출부(133)로부터 부여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술한 것과 동일하게하여 단말확인신호(S2)의 송신을 몇번인가 반복한다. 이와 같이하여 단말확인신호(S2)의 송출을 반복하고 있는 중에 단말장치(105)로부터 소정의 DTMF토온을 수신한 경우에는, 자기#1는 단말장치(105)에 대한 발착신을 허가하는 상태로 되나, 간말확인신호(S2)의 송출을 소정회수반복하여도 단말장치(105)로부터 소정의 DTMF토온을 수신할 수가 없는 경우에는, 자기#1는 그 시점후에 있어서 단말장치(105)에 대한 발착신을 금지한다.
그리고, 자기(#1)의 전원이 일단차단된 후에 재투입된 경우에는, 상술한 것과 동일한 처리가 재실행되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이상과 같은 처리를 제어부(143)가 행하는 것에 의하여, 단말장치(105)가 특정의 기능을 가진 장치인가 아닌가를 자기(#1)측에서 식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8은 본 발명의 통신단말장치에 의한 단말장치의 접속상태 확인동작의 제3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F넷트를 개재하여 착신한 경우의 설명도이다.
그리고, 도 18에 있어서 각 참조부호는 상술의 도 16와 도 17와 동일하다.
이 제3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소위 F넷트를 개재하여 착신시에 자기(#1)로부터 단말장치(105)에 대하여 단말확인신호를 송출하는 것에 의하여, 단말장치(105)의 확인을 행하도록 하고 있다.
먼저, 도 18(a)에 표시되는 바와 같은, 단말장치(105)의 대기상태, 즉, 단말장치(105)가 팩시밀리장치라면 송신도 수신도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 단말장치(105)는 오프훅크상태이기 때문에, 오프훅크검출부(136)로부터는 오프훅크검출신호(OH)는 출력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오프훅크검출신호(OH)가 출력되지 않는 것에 의하여 자기(#1)가 단말장치(105)의 대기상태를 검출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도 5에 표시되고 있는 친기(#10)에 F넷트로부터의 착신이 있었던 경우(1300㎐토온의 호출이 있었던 경우), 무선통싱에 의하여 자기(#1)에 그 뜻이 알려진다. 제어부(143)에는 F넷트착신이 있었던 일이 자기본체(R1)로부터 RXD(141)을 개재하여 코오드신호로 알려지므로, 도 18(b)에 표시되는 바와 같이, 단말장치(105)에 대하여 단말확인신호(S2)로서 900㎐의 의사토온을 송출한다. 구체적으로는, 친기(#0)가 1300㎐의 F넷트착신을 검출하여 자기(#1)에 무선송신하면, 제어부(143)가 토온생성부(134)에 제어신호를 부여하는 것에 의하여, 900㎐의 의사토온을 송출시킨다. 이 토온생성부(134)로부터 송출된 900㎐의 의사토온인 단말착신신호(S2)는 RXA(131),2선-4선변환회로(135), 리레이(RR)를 거처서 수신측단자(L11)로부터 단말장치(105)에 착신한다.
단말장치(105)에서는, 상술의 900㎐의사토온인 단말확인신호(S2)를 검출하면 풋킹을 행한다. 이에 의해, 도 18(c)에 표시되는 바와 같이, 자기(#1)의 오프훅크검출부(136)에서는 단말장치(105)의 오프훅크를 검출하므로, 오프훅크검출신호(OH)를 출력하여 제어부(143)에 부여한다. 이렇게 하여 오프훅크검출부(136)은 단말장치(105)의 오프훅크상태를 검출하여 오프훅크신호(OH)를 출력하는 것에 의하여, 제어부(143)은 특정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환언하면 이 시스템에 대응하고 있다고 판단한다.
단말장치(105)가 자시스템에 대응하고 있는 것이 확인되면, 이하는 통상의 F넷트의 착신처리가 행하여진다.
즉, 도 18(d)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제어부(143)은 토온생성부(134)에 제어신호를 주어서 1300㎐의 토온을 송출시키는 것에 의하여, 단말장치(105)를 호출한다. 이 1300㎐의 토온을 수신하면 단말장치(105)는 도 18(e)에 표시되고 있는 바와 같이, 직류회로를 폐결하여 회전접속을 행한다. 이에 의하여, 오프훅크검출부(136)가 단말장치(105)의 오프훅크상태를 검출하여 오프훅크신호(OH)를 출력하여 제어부(143)에 주므로, 제어부(143)은 단말장치(105)가 직류회로를 폐결하여 착신상태로 된 것을 검출하여, TXD(142)를 개재하여 무선부(13)에 착신을 표시하는「통화」모오드(C1)를 송출함과 아울러, 단말장치(105)에 대한 1300㎐토온의 송출도 정지시킨다.
그리고, 자기본체(R1)로부터는 친기(#0)에 대하여 착신한 뜻을 알린다.
이후는, 도 18(f)에 표시되고 있는 바와 같이, 팩시밀리통신이 행하여져서 단말장치(105)는 팩시밀리통신이 행하여져서 단말장치(105)는 팩시밀리수신상태로 된다. 이어서 팩시밀리통신이 종료하면 도 18(g)에 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단말장치(105)는 직류회로를 개방한다. 이 단말장치(105)가 직류회로를 개방하면, 오프훅크검출부(136)가 단말장치(105)의 온훅크상태를 검출하여 오프훅크신호(OH)의 제어부(143)의 출력을 정지하므로, 제어부(143)은 팩시밀리통신이 종료하였다고 판단하여, TXD(142)을 개재하여 무선부(R1)에「끊음」코오드(C2)를 송신한다. 그리고, 무선부(R1)로부터는 친기(#0)에 대하여 회전접단한 뜻이 알려진다.
이상과 같은 처리를 제어부(143)가 행하는 것에 의하여, 단말장치(105)가 특정의 기능을 가진 장치인 경우에만, F넷트를 개재한 팩시밀리수신이 가능하게 된다.
도 19는 본 발명의 통신단말장치에 의한 단말장치의 접속상태확인 동작의 제3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일반의 착신(CI착신)이 있었던 경우의 설명도이다.
그리고, 도 19에 잇어서 각 참조번호는 상술한 도 16, 도 17 및 도 18과 동일하다.
이 예에 있어서는, 일반의 회선을 개재하여서의 착신시에 자기(#1)로부터 단말장치(105)에 대하여 단말확인신호를 송출하는 것에 의하여, 단말장치(105)의 확인을 행하도록 하고 있다.
먼저, 도 105(a)에 표시되고 있는 것 같은 단말장치(105)의 대기상태, 즉, 단말장치(105)가 팩시밀리장치라면 송신도 수신도 하고 있지 않는 상태에 있어서는, 단말장치(105)는 온오프상태이기 때문에, 오프훅크검출부(136)부터는 오프훅크검출신호(OH)는 출력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오프훅크검출신호(OH)가 출력되지 않는 것에 의하여 자기(#1)가 단말장치(105)의 대기상태를 검출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도 5에 표시되고 있는 친기(#0)에 일반회선으로부터의 착신(CI착신)이 있었던 경우(16㎐토온의 호출이 있었던 경우), 무선통신에 의하여 자기(#1)에 그 뜻이 알려진다.
제어부(143)에는 CI착신이 있었던 것이 무선부(30)로부터 RXD(141)을 개재하여 알려지므로, 도 19(b)에 표시되고 있는 바와 같이, 자기본체(R1)에 대하여 단말확인신호(S2)로서 900㎐의 의사토온을 송출한다.
구체적으로는, 친기(#0)가 16㎐의 IC착신을 검출하여 자기(#1)에 무선송신하면, 제어부(143)가 토온생성부(134)에 제어신호를 부여하는 것에 의하여 900㎐의 의사토온을 송출시킨다. 이 토온생성부(134)로부터 송출된 900㎐의 의사토온인 단말확인신호(S2)는 RXA(131), 2선-4선변환회로(135), 리레이(RR)을 거처서 수신측단자(L11)로부터 단말장치(105)에 송출된다.
단말장치(105)에서는, 상술의 900㎐의 의사토온인 단말확인신호(S2)를 검출하면 풋킹을 행한다. 이에 의하여, 도 19(c)에 표시되고 있는 바와 같이, 자기(#1)의 오프훅크검출부(136)에서는 단말장치(105)의 오프훅크검출하므로, 오프훅크검출신호(OH)를 출력하여 제어부(143)에 부여한다. 이와 같이하여 오프훅크검출부(136)은 단말장치(105)의 오프훅크상태를 검출하여 오프훅크신호(OH)를 출력하는 것에 의하여, 제어부(143)은 단말장치(105)가 특정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즉, 자시스템에 대응하고 있다고 판단한다.
단말장치(105)가 자시스템에 대응하고 있는 것이 확인되면, 이하는 통상의 CI착신처리가 행하여진다. 즉, 도 18(d)에 표시되고 있는 바와 같이, 제어부(143)은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양리데이(RR)(RT)를 CI발생부(137)측에 변환한 후에 CI발생부(137)에 제어신호를 부여하여 16㎐의 호출신호(CI)를 송출시키는 것에 의해 단말장치(105)를 호출한다. 이 16㎐의 호출신호(CI)를 수신하면 단말장치(105)는 도 5(e)에 표시되고 있는 바와 같이, 직류회로를 폐걸하여 회선접속을 행한다.
이에 의하여, 오프훅크검출부(136)이 단말장치(105)의 오프훅크상태를 검출하여 오프훅크신호(OH)을 출력하여 제어부(143)에 부여하므로, 제어부(143)은 양리레이(RR)(RT)를 통상의 상태(수신측단자(L11), 송출측단자(L12)와 RXA(131) TXA (132)가 접속한 상태)로 되돌린다. 또 동시에 제어부(143)은, 단말장치(105)가 직류회로를 폐결하여 착신상태로 된 것을 검출하면 TXD(142)를 개재하여 자기본체(R1)에 착신을 표시하는「통화」코오드를 송출함과 아울러, 단말장치(105)에 대한 16㎐의 호출신호(CI)의 송출도 정지시킨다. 그리고, 자기본체(R1)로부터는 친기(#C)에 대하여 16㎐의 호출신호(CI)의 송출도 정지시킨다.
그리고, 자기본체(R1)로부터는 친기(#0)에 대하여 착신한 뜻이 알려진다.
이후는, 도 19(f)에 표시되고 있는 바와 같이, 팩시밀리통신 또는 통화가 행하여져서 단말장치(105)는 통화상태로 된다. 그리고, 자기본체(R1)로부터는 (#0)에 대하여 착신한 뜻이 알려진다.
이후는, 도 19(f)에 표시되고 있는 바와 같이, 팩시밀리통신 또는 통화가 행하여져서 단말장치(105)는 통화상태로 된다. 그리고 통화가 종료하면 도 19(g)에 표시되고 있는 바와 같이, 단말장치(105)가 직류회로를 개방하면, 오프훅크검출부(136)가 단말장치(105)의 오프훅크상태를 검출하여 오프훅크신호(OH)의 제어부(143)에의 출력을 정지하므로, 제어부(143)은 통화가 종료하였다고 판단하여, TXD(142)를 개재하여 자기본체(R1)에「끊음」코오드(C2)를 송신한다. 그리고, 무선부(R1)로부터는 친기(#0)에 대하여 회전접단한 뜻을 알린다.
이상과 같은 처리를 제어부(143)가 행하는 것에 의하여, 단말장치(105)가 소저으이 기능을 가진 장치인 경우에만, 일반회선을 개재한 팩시밀리수신 또는 통화가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토온생성부(134)가 발행하는 의사토온은 900㎐이나, 이것은 하나의 예로서 다른 주파수이더라도 좋은 것을 말할 것도 없다.
이상과 같이 구성하는 것으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발휘된다.
(1)무선회선에서 접속된 친기(#0)와 자기(#1)의 사이는 디지탈신호로 데이터의 주고받음을 하기 때문에, 아날로그신호의 경우에 비하여, 잡음이나 반송파의 왜곡 등의 영향을 받기 어렵고 화상데이터를 화상화한 경우의 화질이 유지된다.
(2)팩시밀리장치 자체에는 무선인터페이서를 설치하지 않아도 자기(#1)가 그 역할을 할 수가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복수의 팩시밀리장치(#4)(또는 (#5))을 설치한 경우, 하나의 자기만 있으면 이것을 아다프터로서 사용하는 것으로 같은 팩시밀리번호로 팩시밀리통신이 가능하다. 또, 팩시밀리장치자체에 무선인터페이스를 설치하지 않으므로, 팩시밀리장치의 경량화, 가격화가 도모된다.
(3)친기(#0)로부터 무명동팩시밀리수신용의 코만드가 자기(#1)에 출력된 겨웅에 자기(#1)내부에 잇어서 CPU(32)는 의사적으로 1300㎐의 호출신호를 생성하여 팩시밀리장치(#4)(또는 (#5))에 출력한다.
따라서, F넷트 이외의 호출신호라도, 그 호출신호에 대하여 의사적으로 1300㎐의 호출신호를 활당하여 팩시밀리장치(#4)(또는 (#5))에 출력하면 팩시밀리장치(#4)(또는 (#5))는 F넷트에 의한 무명동착신의 호출이라고 인식하기 때문에 F넷트 이외의 호출신호에 의한 무명동착신이 가능하다.
(4) 통상의 명동착신을 선택하는 경우에는, 자기(#1)을 개재하여 의사적으로 16㎐의 호출신호를 팩시밀리장치(#4)(또는 (#5))에 출력하면 좋고, 무명동착신도 명동착신 설정은 자재하다.
(5)교환기(Y)로부터도 도래하는 호출신호를 직넙자기(#1)에 전송함이 없이 친기(#0)에서 검출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자기(#1)는 제1, 제2이 호출신호검출회로(13)(14) 및 DTMF검출회로(15) 등의 검출회로나 다이얼인처리회로(11)를 갖지 않는다. 이 때문에, 자기(#1)의 구조가 극히 심풀하게 되고, 부피가 크지 않고 운반에 유리하다.
(6)친기(#0)가 다이얼인처리회로(11)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다이얼인처리회로라도, 자기(#1)에 접속되는 팩시밀리장치 등의 단말장치는 다이얼인처리회로를 구비하고 있지 않는 것이라도 사용할 수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이외에 다음과 같은 태양으로 변경하여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1)유선회로로서 아날로그회선망인 PSTN회선에 대신하여 디지탈회선망으로서의 ISDN회선을 사용하여 친기(#0)의 찬넬·코오덱크(4)을 ISDN인터페이스를 개재하여 ISDN회선에 접속하는 것, 이에 의하여, 32kbps의 데이터전송속도를 실현할 수가 있다.
(2) 통신단람장치로서 팩시밀리장치이외에, 통신기능을 구비한 퍼스널·컴퓨터나, 프린터를 사용하는 것, 이에 의하여, 화상데이터뿐아니라, 영상 등의 바이나리데이터통신도 가능하다.
(3)상기한 F넷트로부터의 무명동착신용의 호출신호는 1300㎐이였으나 다른 주파수라도 물론상관이 없다.
(4)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자기(#1)내부의 CPU(32)에 있어서 의사적으로 의사호출신호인 1300㎐또는 16㎐의 호출신호를 생성하여 의사교환회로(31)로부터 팩시밀리장치(#4)(또는 (#5))에 출력시키고 있었다. 그러나, 별도로 발진회로를 설치하여 동발진회로로부터 의사호출신호를 의사교환회로(31)에 출력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 의사교환회로내에 발진회로를 짜넣어도 좋다.
또, 이상의 실시형태에 의하여 파악되는 기타의 기술적사상에 대하여, 그 효과와 함께 이하에 기재한다.
(a)청구항 3의 코만드출력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코만드에 따라서 무명동착신용의 의사호출신호를 상기한 통신단말장치에 출력하는 전의의사호출신호출력수단을 구비한 무선통신장치용의 자기,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것에 의하여, 청구항 3도 동일한 효과를 발휘한다.
(b)청구항 3의 코만드출력수단을 구비하고, 동코만드출력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코만드에 따라서 자기에 무명동착신용의 의사호출신호를 상기한 통신단말장치에 출력시키는 무선통신장치용의 친기,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것에 의하여, 청구항 3과 동일한 효과를 발휘한다.
(c)다이얼인 처리회로 및 무명동착신용검출회로는 친기측에 배설된 무선통신장치,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것에 의하여, 자기의 구조가 극히 심풀하게 된다.
(d)자기는 통신단말장치의 개방, 폐결상태를 감시하는 감시수단을 가지는 무선통신장치.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뛰어난 효과를 발휘한다.
청구항 1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친기와 자기와의 사이는 디지탈신호로 데이터의 주고받음을 하기 때문에, 아날로그신호의 경우에 비하여 잡음이나 반송파의 왜곡 등의 영향을 받기 어렵고, 화상데이터를 화상화한 경우의 화질이 유지된다.
청구항 2에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1에 기재의 발명의 효과에 더하여 자기는 의사교환수단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자기와 통신단말장치는 제거자재하게 되고, 전화회선에 접속되어 있는 기존의 통신단말장치를 용이하게 무선단말로서 사용할 수가 있다.
청구항 3에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2에 기재의 발명에 효과에 더하여 교환기로부터 무명동으로 착신한 경우에는 자기는 무명동으로 통신단말을 호출하므로, 불측하게 벨이 울리는 일이 없다.
청구항 4에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단말장치로부터 자기에 대하여 소정시간간격으로 송출된 소정의 신호에 응답하여 통신단말장치로부터의 소정의 신호의 송출을 검출한 경우에만, 통신단말장치에 의한 발착신이 허가되기 때문에, 자기는 통신단말장치가 시스템에 있는가 아닌가를 식별할 수가 있다.
따라서, 자기는 통신단말장치가 가지고 있는 특정의 기능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청구항 5에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자기가 자신의 서오름시에 송출한 소정의 신호에 응답하여 통신단말장치가 소정의 토온을 송출한 경우에만, 통신단말장치에 의한 발신을 허가되기 때문에, 자기는 통신단말장치가 시스템에 대응한 특정의 기능을 가지고 있는가 아닌가를 식별할 수가 있다. 따라서, 자기는 통신단말장치가 가지고 있는 특정의 기능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청구항 6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친기로부터의 착신호출에 응답하여 자기가 송출한 의사호출신호에 응답하여 통신단말장치가 소정의 토온신호를 송출한 경우에만, 통신단말장치에 의한 발신을 허가하기 때문에, 자기는 통신단말장치가 시스템에 대응한 특정의 기능을 가지고 있는가 아닌가를 인식할 수가 있다. 따라서, 자기는 통신단말장치가 가지고 있는 특정의 기능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6)

  1. 유선회선에 접속된 친기(#0)와 상기한 친기와 무선회선으로 접속된 자기(#1)와, 상기한 자기에 직접 접속되는 통신단말장치로 이루어지고,
    상기한 친기와 상기한 자기와의 사이는 디지탈신호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단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자기는 의사교환수단을 가지며, 상기한 통신단말장치로부터 떼어 내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단말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친기는, 상기한 유선회선을 통하여 도래하는 호출신호 및 그 종별을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상기한 검출수단의 검출결과에 따라서, 상기한 자기에 상기한 호출신호의 종별을 표시하는 코만드를 출력하는 코만드출력수단을 구비하고,
    상기한 자기는, 상기한 친기로부터 수신한 상기한 코만드에 따라서, 상기한 의사교환수단에, 상기한 코만드에 따르는 종별의 의사호출신호를 상기한 통신단말장치에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단말장치.
  4. 유선회선에 접속된 친기와, 상기한 친기와 무선회선으로 접속되는 자기와, 상기한 자기에 직접 접속되는 통신단말장치로 이루어지고, 상기한 통신단말장치는 상기한 자기에 대하어 소정시간 간격으로 소정의 신호를 송출하고, 상기한 자기가 상기한 통신단말장치로부터의 상기한 소정의 신호의 송출을 검출한 경우에만, 상기한 통신단말장치에 의한 발착신을 허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단말장치.
  5. 유선회선에 접속된 친기와 상기한 친기와 무선회선으로 접속되는 자기와, 상기한 자기에 직접 접속되는 통신단말장치로 이루어지고,
    상기한 자기는 자신의 입상시에 상기한 통신단말장치에 대하여 소정의 신호를 송출하고, 상기한 통신단말장치가 상기한 소정의 신호에 응답하여 소정의 톤신호를 송출한 경우에만, 상기한 통신단말장치에 의한 발착신을 허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단말장치.
  6. 유선회선에 접속된 친기와, 상기한 친기와 무선회선으로 접속되는 자기와, 상기한 자기에 직접 접속되는 통신단말장치로 이루어지고, 상기한 자기는, 상기한 친기로부터의 착신신호에 응답하여 상기한 통신단말장치에 대하여 의사호출신호를 송출하고, 상기한 통신단말장치가 상기한 의사호출신호에 응답하여 소정의 톤신호를 송출한 경우에만, 상기한 통신단말장치에 의한 발착신을 허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단말장치.
KR1019970063277A 1996-11-26 1997-11-26 무선통신단말장치 KR1003723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315108A JPH10164247A (ja) 1996-11-26 1996-11-26 無線通信システム
JP96-315108 1996-11-26
JP96-344131 1996-12-24
JP8344131A JPH10190871A (ja) 1996-12-24 1996-12-24 通信端末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2800A true KR19980042800A (ko) 1998-08-17
KR100372397B1 KR100372397B1 (ko) 2003-05-17

Family

ID=26568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3277A KR100372397B1 (ko) 1996-11-26 1997-11-26 무선통신단말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0844774A3 (ko)
KR (1) KR100372397B1 (ko)
CN (2) CN1527492A (ko)
HK (1) HK1015104A1 (ko)
TW (1) TW34492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56908B2 (ja) * 2012-03-09 2015-07-2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マルチホップ通信システム、子機
CN106210360B (zh) * 2016-08-31 2021-11-05 广州先尚计算机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网络的监听传真线路并录制音频的系统及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94558A (ja) * 1989-09-06 1991-04-19 Sharp Corp コードレス電話機を利用したファクシミリ装置
US5426511A (en) * 1990-09-14 1995-06-20 Kabushiki Kaisha Toshiba Facsimile system with base unit connected to wire network and in communication with multiple extensions sets by wire or radio transmission
DE69323384T2 (de) * 1992-10-21 1999-09-09 Hitachi Ltd Faksimilesystem mit schnurlosen Untereinheiten
DE19514194A1 (de) * 1995-04-15 1996-10-17 Grundig Emv Schnurloses Faksimilegerät
DE19514713C2 (de) * 1995-04-21 1998-11-26 Grundig Ag Kennungsaustausch bei einem schnurlosen Faksimilegerä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844774A3 (en) 2003-05-14
KR100372397B1 (ko) 2003-05-17
CN1187099A (zh) 1998-07-08
EP0844774A2 (en) 1998-05-27
CN1527492A (zh) 2004-09-08
HK1015104A1 (en) 1999-10-08
CN1168336C (zh) 2004-09-22
TW344923B (en) 1998-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035318C (en) Mobile facsim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capable of automatically off-hooking a facsimile device
JPH06500452A (ja) ディジタル伝送システムにおける端末機器及び移動電話機への着呼を処理する方法
US5966432A (en) Remote answering of doorbell
JPH07336460A (ja) データ通信装置
JPH09149120A (ja) 発信電話番号表示コードレス電話機
KR19980042800A (ko) 무선통신 단말장치
JPH09270870A (ja) 通信端末装置
JPS63248271A (ja) 通信装置
KR100229021B1 (ko) 전화기에서 라인상태 알림 음성메시지 송출방법
WO2001048949A1 (en) Method of transmitting telephone number in wireless local loop system
JPH10164247A (ja) 無線通信システム
JP2600561B2 (ja) ダイヤルイン処理回路
JPH09270846A (ja) 通信端末装置
JP3548261B2 (ja) 自動通報システム
JPH07226810A (ja) 電話機
KR0167378B1 (ko) 구내 무선전화 시스템
JPH04213268A (ja) 自動車電話装置
JPH01161956A (ja) 通信装置システム
JPH0373654A (ja) 呼出入の識別機能を備えた付属電話機付ファクシミリ装置
JP2000023259A (ja) 通信装置
KR19990000164A (ko) 자동응답 전화기를 이용한 메시지 전달장치 및 방법
JPH11205483A (ja) 電話装置
JPH09186794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H1155495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2005124094A (ja) コードレス電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