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1780A - 프레스 브레이크 - Google Patents

프레스 브레이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1780A
KR19980041780A KR1019970030601A KR19970030601A KR19980041780A KR 19980041780 A KR19980041780 A KR 19980041780A KR 1019970030601 A KR1019970030601 A KR 1019970030601A KR 19970030601 A KR19970030601 A KR 19970030601A KR 19980041780 A KR19980041780 A KR 199800417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r
length
mold
holder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06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15383B1 (ko
Inventor
혼고도시오
Original Assignee
마루야스노스케
마루기카이고교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루야스노스케, 마루기카이고교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루야스노스케
Publication of KR199800417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17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53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53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21D5/02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on press brakes without making use of clamp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21D5/002Position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Abstract

램 하단의 상형 홀더내에 쿠션을 설치하여 상형을 장착함과 동시에 하형 양 어깨부분과 높이조절이 가능한 하형 바닥부와의 3점에서 각도를 결정한 상태로 판재를 절곡하는 프레스 브레이크이다. 상형 홀더(11)내의 기계중심(80)으로 하는 대칭위치에 일정한 피치로 배치된 압력 전달부재인 핀군(40)과, 유실(21)과 고무시트(23)로 이루어지는 유압쿠션(20)의 하부에 배치된 압력부여부재(25)와, 상기 압력부여부재(25)와 핀군과의 사이에 출입이 자유롭게 배치된 스페이서군(37)과, 스페이서군의 이동수단(30)을 갖추고 있다. 판재의 절곡길이에 따라서 유효 상형길이를 자동적으로 바꿈에 따라, 불균등 벤딩을 막아 효율이 좋은 각종 길이의 판재의 절곡가공을 한다.

Description

프레스 브레이크
본 발명은 프레스 브레이크에 관한 것으로, 특히 판재를 절곡할 때에 기계를 중심으로하여 가압력 전달을 받는 임의의 상형 유효길이를 설정하여, 그것 이외의 상형부분은 가압력 전달을 받지 않도록 한 프레스 브레이크에 관한다.
종래에 프레스 브레이크에 의해 V 굽힘 가공을 하기 위해서는 상하의 형을 충돌시키지 않고 자유벤딩하는 에어 벤딩과, 상하의 형으로 판을 강하게 압축해서 강하게 눌러서 구부리는 보토밍이 행해지고 있다.
에어 벤딩의 경우에는 스프링백에 대한 보정각을 구하면서 구부리는 것이지만, 정확한 각도를 유지시키는 것이 곤란하였다. 최근, 단순 V 벤딩을 연속적으로 사용하여 복잡한 단면의 제품을 구부리는 것이 행하여지고 있지만 기준의 각도 이외의 중간각도(예컨대 30。, 60。, 80。, 120。등)로 구부리면 램, 베드의 휘어짐, 사이드 프레임의 입구 열림(사이드프레임의 램 지지부분의 베드에 대한 상부 개방 변형)등에 의해서 정확한 구부림 각도를 유지할 수 없다. 한편 보토밍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 대신에 구부림 각도가 상이할 때마다 형을 교환하는 것이 필요해 진다.
프레스 브레이크의 휨 대책으로서는 하형에 쐐기를 부착하여 형 길이방향에 관한 형높이를 중고(中高)로 보정하고, 가공시의 램의 만곡상태와 하형열을 일치시키는 것이 행해진다. 또한 사이드프레임의 변형에 대해서는 변형의 영향을 받지 않는 부재를 별도로 설치하고 이것에 하한 제어밸브를 부착하여 가압시의 사이드프레임의 변위와 관계없이 최대 가압으로 판재를 가공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또한, 분할한 금형상부 또는 하부에 유압쿠션을 내장시켜, 유압쿠션기능에 의해 상하금형 간극을 보상하여 판재의 길이당 압력을 일정하게하여, 즉 판두께와 V 형홈의 폭에 의해서 가압력을 조정하는 방식의 프레스 브레이크나, 절곡길이에 관계없이 균일한 가압력으로 정밀하게 가공할 수 있는 프레스 브레이크도 알려져 있다.
상기 균일가압식 프레스 브레이크에 있어서는 판재에 균일한 가압력을 부여하기 위해서, 예컨대, 분할금형(split die)내에 25mm 피치로 압력부여부재가 배치되고, 형의 폭 100mm의 각 표준금형에 대하여 각각 핀 4개로 대응시키고 있는 것이 있다. 절곡폭이 분할금형의 폭보다 좁은 경우나, 판재의 끝이 분할금형의 폭의 일부에 걸리는 경우에, 형의 폭 100mm의 표준형으로 이것을 절곡하면 과대한 압력(예컨대 표준형의 폭의 50mm에 판재가 걸릴 때 2배의 압력)이 가해져 압력 오버가 되기 때문에, 판재끝부에 맞닿는 분할금형을 미리 빼어 놓던지, 혹은 형 길이가 작은 분리금형 또는 특수폭의 금형으로 교환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분할상형으로 절곡하면 절곡선에 있어서의 분할상형의 경계선에 약간의 요철이 나타난다. 이 약간의 요철은 제품마무리상, 대부분의 경우, 허용될 수 있는 것이지만, 스테인레스 스틸판의 정밀절곡등이 요구될 때에는 이 요철을 제거하기 위해서 후가공을 필요로 하고, 또한, 장단변을 테두리벤딩하여 패널을 제조할 경우에는 절곡길이에 따라서 압력을 조정할 필요가 있었다.
한쪽, 최근의 헨들링 장치의 진보에서 가공위치를 이동하여 판재를 구부림 가공하는 것보다도 동일가공 공정마다, 기계중심에서 가공하는 기술이 요망된다. 그러기 위해서는 판재의 끝부에 걸쳐 절곡 부적당하게 되는 금형을 피하는 것이 필요해 진다.
본 발명은 상형구성을 기계폭 전장 1개로 한 상형인지 분할상형의 집합인지를 불문하고, 판재의 절곡길이에 따라서 유효 상형길이를 자동적으로 바꿀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압력부여부재와 상형과의 사이에 개재시킨 압력 전달용 핀중, 기계중심으로부터 선택된 위치의 압력 전달용 핀열의 상면에, 보조적 압력 전달부재인 스페이서를 차례로 소정수 삽입할 뿐으로, 상형열에 관한 압력부여부재로부터의 가압력 전달 폭방향거리(유효 상형길이)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더욱이 상형구성을 기계폭 전장 1개로 하면서 유효 상형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절곡선상에 요철을 생기게하지 않고서 정밀절곡가공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 프레스 브레이크의 정면도,
도 2는 도1의 A-A 선에 있어서의 확대종단면도,
도 3은 도2의 B-B 선에 있어서의 확대평면도,
도 4는 도3의 C-C 선에 있어서의 확대종단면도,
도 5는 도3의 D-D 선에 있어서의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램 11:홀더
12:상형 13:베드
14:하형 15:사이드프레임
16:주실린더 17:상형길이 표시수단
18:인디케이터 밴드 19:투명 스케일
20:유압쿠션 21:유실
22:유로 23:고무시트
24:빈 부분 25:블록(압력부여부재)
26,28:풀리 27:세로축
29:반전상형 30:스페이서 이동수단
31:구동축 32:종동축
33:구동 스프로켓 34:종동 스프로켓
35:엔드리스 체인 36:링크핀
37:스페이서 38:경사면
39:어태치먼트 40,40a,40b:핀(압력 전달부재)
41,41a,41b:핀의 헤드 42:핀 헤드의 어깨부분
43:핀의 하면 44:노치부
46:핀 삽입용 구멍 48:스페이서 삽입용 간극
50:상형유지수단 51:클램프 클릭
52:기복 레버 53:상형 장착홈
54:하형의 바닥부재 55:하형홈
56:조절부재 57,58:하형의 양 어깨부분
59:하형 바닥부재의 정상부 60:기계 프레임
61:볼베어링 62:스페이서 링
63:모터 64:커플링
65:기준판 66:밴드수용홈
67:밴드수용홈의 세로벽 68:비스
70:판재 80:기계중심
H:기준핀(40a, 40b)의 높이 h:핀(40)의 높이
t:스페이서의 두께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프레스 브레이크의 램하단의 상형 홀더내에 쿠션을 설치하여 상형을 장착함과 동시에, 하형 양 어깨부분과 높이조절이 가능한 하형바닥부와의 3점에서 각도를 결정한 상태로 판재를 절곡하는 프레스 브레이크에 있어서, 상기 상형 홀더(11)내의 기계중심(80)으로 하는 대칭위치에 일정한 피치로 배치된 핀 군(압력 전달부재)(40)과, 유실(21)과 고무시트(23)로 이루어지는 유압쿠션(20)의 하부에 배치된 블록형상의 압력부여부재(25)와, 상기 압력부여부재(25)와 핀군과의 사이에 출입이 자유롭게 배치된 스페이서 군(37)과, 스페이서 군의 이동수단(30)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거하여 서술하면 주실린더의 작동에 의해서 승강하는 램(10)과, 램하단에 고착한 상형 홀더(11)와, 상형 홀더내의 거의 전장에 걸쳐 배치된 유실과 고무시트로 형성된 유압쿠션(20)과, 유압쿠션의 하부에 배치된 압력부여부재(25)와, 상기 상형 홀더의 하부에 장착된 상형(12)과, 베드(13)와, 그리고 베드상면에 설치한 홈 부착 하형에서 양 어깨부분(57,58)과 높이조절이 가능한 하형 바닥부재(54)를 가지는 하형(14)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램의 하강에 의한 상형의 가압시에, 하형의 양 어깨부분(57,58)과 높이조절된 하형 바닥부재(54)의 정상부면과의 3점에서 절곡각도를 결정하여, 주실린더의 작동에 의한 가공중의 금형에 대하여 균등한 유체압을 가한 상태로 판재를 절곡하는 프레스 브레이크이다.
본 발명은 상형 구성을 기계폭 전장 1개로 한 상형인지 분할상형의 집합인지 를 불문하고, 판재가 절곡 길이에 따라서 유효 상형길이를 자동적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 때문에, 압력부여부재와 상형과의 사이에 복수의 핀군(압력 전달부재)을 병렬시켜, 판재의 절곡 길이에 응하는 부분의 상형길이만 압력 전달부재로서의 기능을 활용하고, 그 밖의 상형부분은 압력부여부재로 부터의 가압을 받지 않도록 한 것이다.
상기 상형 홀더(11)는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되어있다. 즉, 압력부여부재(25)와 상형과의 사이로 또한 기계중심(80)을 기준으로 하여 좌우 대칭위치에 일정한 피치로 세워져 설치된 복수의 압력 전달용 핀(40)과, 상기 압력부여부재(25) 하면과 각 압력 전달용 핀(40) 상면과의 사이에 형성된 간극(48)과, 상기 간극(48)에 삽입될 수 있도록 체인에 의해서 연결된 스페이서군(37)과, 판재의 절곡 길이에 응하는 상형유효길이를 유지하도록 하고, 기계중심 쪽에서 선택된 위치에 이르기까지의, 각 압력 전달용 핀(40)의 상면에 대응하는 간극(48)에 차례로 소요수의 스페이서를 삽입될 수 있는 스페이서 이동수단(30)을 구비하고 있다.
더욱이, 압력 전달용의 각 핀(40,40a, 40b)은 홀더(11) 내부에 놓을 수 있는 압력부여부재 수용용의 빈 부분(24)의 하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뚫은 복수의 구멍(46)에 끼워 맞추어져 있고, 핀군 중 기계중심(80)에 인접하는 좌우 각각 2개의 핀(40a, 40b)은 스페이서가 삽입되지 않고서 블록형상의 압력부여부재(25)의 하면에 맞닿아 있고 거기에서 외측에 배치된 복수의 핀(40)은 스페이서 삽입분 만큼 높이가 낮게, 핀 상면에 스페이서가 삽입되었을 때 스페이서를 통해 상기 압력부여부재(25)로부터 가압력을 받아 그 부분의 상형에 전달하도록 구성되고 있다.
압력 전달용의 각 핀(40,40a, 40b)중, 기계중심(80)에 인접하는 좌우 각각 여러개의 핀(40a, 40a, 40b, 40b)은 압력부여부재(25) 하면과 상형(12) 상면과의 사이의 기준높이를 가져 스페이서(37)가 삽입되지 않고, 압력부여부재(25)로부터의 가압을 상형(12)의 해당 부분에 전달한다. 기준높이를 가지는 핀(40b, 40b)으로부터 외측의 좌우형 길이방향으로 향하여 배치된 복수의 핀(40)은 핀(40b, 40b)보다 스페이서 두께분만큼 낮게, 핀(40) 상면에 스페이서(37)가 삽입되었을 때 스페이서를 통해 상기 압력부여부재(25)에 의한 가압력을 받아 그 부분의 상형에 전달하는 것이다.
상기 스페이서의 이동수단(30)은 기계중심(80)으로 하는 좌우 대칭위치에 배치된 한쌍의 스프로켓(33,34)과, 각 스프로켓(33,34) 사이에 걸쳐져서 홀더(11)내부의 수평면내에 주행하고, 또한 일정한 피치에 복수의 스페이서를 부착한 한쌍의 엔드리스 체인(35)과, 체인구동용 모터(63)로 이루어지고,
상기 엔드리스 체인(35,35)은 기계중심(80)에 대하여 서로 역방향으로 주행하고, 게다가 체인의 플러스방향 구동에 의해 홀더후측의 대기위치에 있는 스페이서(37)를 기계중심으로부터 좌우 각각 형 길이방향을 따르는 간극(48)에 차례로 이동시켜 체인의 역방향 구동에 의해 스페이서(37)를 간극(48)으로부터 차례로 빼내는 것이다.
본 발명의 프레스 브레이크는 상형 길이 표시수단(17)을 더 포함하고 있다. 이 위에 형 길이 표시수단(17)은 밴드수용홈쪽 방향에 설치한 좌우 한쌍의 풀리(26,28)와, 각 엔드리스 체인(35)의 구동에 의한 스페이서(37)의 이동에 의해서 균등한 유체압이 가해진 상형길이를 표시하는 인디케이터 밴드(18)로서, 후단을 상기 체인(35)의 어태치먼트(39)에 고착하여, 풀리(26,28)를 감아 걸어 선단측을 밴드수용홈(66)에 삽입한 좌우 한쌍의 인디케이터 밴드(18)와, 인디케이터 밴드(18)가 투시될 수 있도록 밴드수용홈(66)의 전면을 덮어 설치된 투명 스케일(19)로서, 상기 스페이서(37)의 삽입수량 조작에 동기하여 밴드수용 홈내를 이동하였을 때, 인디케이터 밴드(18,18)의 선단사이의 거리가 최소 상형길이(1 min)부터 최대 상형길이(1 max)의 사이에 있는 유효 상형치수인 것을 판독할 수 있는 투명 스케일(19)로 이루어진다.
밴드 수용홈(66)의 길이 방향 중앙부분에는 최소 상형길이(l min)를 표시하는 색 부착 기준판(65)이 고착되고, 밴드수용홈(66)에 삽입된 인디케이터 밴드(18)의 전면은 기준판(65)과 동색으로 착색되고, 밴드수용홈의 적어도 세로벽(67)은 기준판과 반대색 또는 다른 빛깔농도를 갖는 색조로 착색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판재의 절곡길이에 응하여, 구동 스프로켓을 구동하여 엔드리스 체인을 주행시킴으로써 기계중심 쪽에서 선택된 위치에 이르기까지의 각 압력 전달용 핀의 상면에 대응하는 간극에 차례로 소요수의 스페이서를 삽입하여 상형유효길이로 조절한다. 인디케이터 밴드의 이동거리를 기계전면의 투명 스케일를 통해서 확인한 후, 램을 구동하여 판재를 절곡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선택된 위치에 이르기까지의 압력 전달용 핀의 상면에 차례로 스페이서를 삽입하는 것 만으로도 금형의 유효길이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판재의 장·단변 폭 차이에 대응하여 금형에 불균등 부하가 없는 절곡작업을 가능하게 하고, 이에 따라 형 착탈이 생력화하여 절곡작업의 자동화를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예)
다음에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및 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스 브레이크는 램(10) 하단에 상형 홀더(11)를 통해 장착한 상형(12)을 베드(13) 상면의 홈 부착 하형(14)에 대향시키고 있다. 램(10)은 사이드프레임(15,15)에 고착한 주실린더(16,16)의 작동에 의해서 승강한다. 상형 홀더(11)의 내부에는 거의 전장에 걸쳐 배치된 유압쿠션(20)과, 유압쿠션(20)의 하부에 형성한 단면 거의 4각형의 빈 부분(24)과, 빈 부분(24)내에 배치된 후판형상의 압력부여부재(25)와, 압력부여부재(25)와 상형(12)과의 사이에 배치된 압력 전달부재인 복수의 핀군(부호 40으로 총칭된다)을 가지고 있다.
상형(12)은 램과 동일한 길이를 가져 홀더(11)의 하부의 장착홈(53)에 장착되고, 전면의 클램프 클릭(51)과, 기복레버(52)와, 후면의 체결핀, 튜브(도시생략)로 이루어지는 유지수단(50)으로 유지되고 있다.
또,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전상형(29)을 갖춘다. 이 반전상형(29)은 일본 특공소60-29570호 공보에 개시되었듯이, 직검형(直劍型) 상형(12)을 구스넥형(29) 또는 알 벤딩형(도시생략)등으로 자동적으로 변환할 수 있도록 준비되고 있다. 직검형 상형(12)이 사용되고 있을 때에는 링크기구(도시생략)를 작동하여 도 2의 긴 점선으로 가리키는 것 같은 대피위치에 상승시켜 놓고, 사용시에는 직검형 상형(12)의 하부에 밀착시킨다.
도시예의 장치는 기계폭과 거의 같은 길이의 한 개의 상형을 장착한 경우를 나타냈지만, 복수의 분할상형을 나열해서 장착(도시생략)한 것도 좋다.
유압쿠션(20)은 상형 홀더(11)내에 형성된 유실(21)과, 유실(21)과 빈 부분(24)과의 빈 부분에 펴서 설치한 고무시트(23)로 구성된다. 도 4에서는 압력부여부재(25)는 빈 부분(24)내에 시리즈로 배치된 경우를 가리켰지만, 빈 부분(24)의 길이 방향에 따라서 여리개로 분할된 것을 배치하더라도 좋다(도시생략). 또한, 하형(14)은 도 2와 같이 양 어깨부분(57,58)과 높이조절이 가능한 하형 바닥부재(54)를 가지고 있다. 하형 바닥부재(54)는 형 길이방향으로 미끄럼이동할 수 있는 쐐기등의 높이조절수단(도시생략)에 관련한 조절부재(56)에 지지되고 있다. 도 3 및 4를 참조하여 후술하듯이, 압력부여부재(25)의 하면과 핀 헤드의 상면과의 사이에는 스페이서(37)를 삽입될 수 있는 간극(48)을 형성시킴과 동시에 기계중심으로부터 선택된 핀(40)에 이를 때까지 차례로 스페이서(37)를 삽입하기 위한 스페이서 이동수단(30)을 갖추고 있다.
다음에, 각부에 관하여 상술한다. 홀더(11)는 내부중앙에 유체압력부여수단인 유압쿠션(20)을 구성하는 얇은 형태의 유실(21)을 가지고 있다. 유실(21)의 하면은 고무시트(23)를 펴서 설치하여, 후판형상의 압력부여부재(25)의 상면에 마주 대한다. 유실(21)에 압유를 보내면 고무시트(23)는 아래쪽으로 팽출하고, 가압을 풀면 도 2와 같이 수축하여 수평으로 펴서 설치된다.
압력 전달부재로서의 각 핀(부호 40으로 총칭된다)은 홀더(11) 내부에 놓을 수 있는 압력부여부재 수용용의 빈 부분(24)의 하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예컨대 25mm 피치로 뚫은 복수의 구멍(46)에 끼워 맞추어져 있다. 핀군중 기계중심(80)에 인접하는 좌우 각각 2개의 핀(40a,40b)은 바닥부에서 그 핀 헤드(41a, 41b) 정상부면까지의 높이가 Hb(예컨대 40∼55mm)의 기준핀이고, 그 부위의 압력부여부재(25)의 하면에는 간극(48)이 없다. 따라서 핀 헤드(41a, 41b) 정상부면에 스페이서가 삽입되지 않고서 압력부여부재(25)의 하면에 접촉한다. 기준핀보다 외측에 배치된 복수의 핀(40)의 높이(h)는 기준핀의 높이(H) 보다 스페이서 두께(t) 분 만큼 낮게 핀 헤드(41)의 정상부면에 스페이서가 삽입되었을 때 스페이서를 통해 상기 압력부여부재(25)에서의 가압력을 받아 그 부분의 상형(12)에 전달한다. 또, 핀 헤드(41b)는 핀 헤드(41)의 정상부면에서의 스페이서 삽입시에 스페이서(37)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서 노치부(44)를 형성시키고 있다(도 3, 4).
도 3은 스페이서의 이동수단의 평면도, 도 4는 도 3의 C-C 선에 있어서의 확대단면도, 도 5는 도 3의 D-D 선에 있어서의 종단면도이다.
이동수단(30)은 기계중심으로 하여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즉, 이 수단은 압력부여부재(25)의 길이 방향에 배열된 핀(40)의 정상부에 필요수의 스페이서(37)를 삽입하여 유체압을 가할 수 있는 상형길이를 설정하기 위한 것으로, 한쌍의 스프로켓(33,34)과, 스프로켓(33,34) 사이에 걸쳐져서 홀더(11) 내부의 수평면내에 서로 역방향으로 주행하는 한쌍의 엔드리스 체인(35)과, 엔드리스 체인(35)의 링크핀(36)을 이용하여 설치한 복수의 스페이서(37)와, 체인구동용 모터(63)로 구성된다.
상기 엔드리스 체인(35,35)은 기계중심(80)에 대하여 서로 역방향으로 주행하고, 게다가 체인의 플러스방향 구동에 의해 홀더후측의 대기위치에 있는 스페이서(37)를 기계중심으로부터 좌우 각각 형 길이방향에 따르는 간극(48)에 차례로 이동시켜, 체인의 역방향 구동에 의해 스페이서(37)를 간극(48)으로부터 차례로 빼내는 것이다.
도 3 및 4는 기계중심(80)으로 하는 좌우 3번째로부터 5번째까지의 6개의 핀(40)의 각 헤드(41) 상면에 스페이서(37,37)를 차례로 삽입시킨 경우를 표시하고 있다. 예컨대 핀 하면의 직경을 15mm로 한 핀을, 25mm 피치로 배치하여 놓으면, 가압에 필요한 상형길이는 기계중심(80)의 좌우에 인접하는 4개의 기준핀(40a,40b)과 스페이서(37)가 삽입된 6개의 핀(40)과 합해서 합계 9피치× 25mm = 225mm로 조절된다. 핀 하면 직경이 15mm이면, 225 ± 15mm를 유효 상형길이로 조절한 것이 된다. 스페이서(37)의 핀 헤드(41) 상면으로의 삽입시에는 제일 먼저 스페이서(37)의 앞테두리에 경사면(38)이 형성되어 있으므로(도 4), 핀 헤드에 걸리는 일 없이 간극(48)내를 주행하여 순조롭게 삽입된다.
체인(35)의 구동에 의해 모든 스페이서(37)를 핀 상면에 삽입하면, 기계폭 전부(예컨대 4000mm)의 최대 길이의 절곡가공할 수 있다. 또한, 체인(35)을 역방향으로 구동에 의해서, 모든 스페이서(37)를 대기위치에 놓으면 4개의 기준핀(40a, 40a, 40b, 40b)에 의해 최소 100mm의 유효 상형길이에 의한 절곡가공할 수 있다. 엔드리스 체인(35)은 구동축(31)과 종동축(32)에 설치한 스프로켓(33,34) 사이에 걸려 있고, 스페이서(37)의 삽입수에 따른 수치제어 방식등의 조작으로 구동된다. 구동축(31)은 상기 스프로켓(33)의 아래에 스페이서 링(62) 및 풀리(26)를 가져, 축단에 커플링(64)을 부착하여 감속기 부착식 모터(63)에 직결하고 있다. 또한 구동축(31)은 홀더 외부의 기계 프레임(60)에 지지되고 있다(도 5).
또한, 이 실시장치에서는 상기 이동수단(30)에 연동하는 상형 길이 표시수단(17)을 갖추고 있다. 상형길이 표시수단(17)은 각 체인(35)에 설치한 어태치먼트(39)와, 한쪽끝을 비스(68) 부착식 어태치먼트(39)에 의해 연결하고 체인(35) 이동에 동기하여 스페이서(37)의 이동을 표시하는 한쌍의 인디케이터 밴드(18)와, 홀더(11)의 전면폭의 거의 전장에 걸쳐 형성된 인디케이터 밴드(18)의 수용홈(66)과, 홀더(11)의 측 방향에 있어서 밴드(18)를 감아 거는 풀리(26,28)와, 수용홈(66)의 전면에 설정되어 스페이서(37)의 이동에 의해 균등한 유체압이 가해진 상형길이에 해당하는 밴드(18)의 이동거리를 투시될 수 있는 투명 스케일(19)로 구성되어 있다(도1,2,3,5).
인디케이터 밴드(18)는 각 엔드리스 체인(35)의 구동에 의한 스페이서(37)의 이동에 의해서 균등한 유체압이 가해진 상형길이를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이 인디케이터 밴드(18)는 상기 구동축(31)에 설치한 풀리(26)와, 구동축(31)의 전방부에 설치한 세로축(27)의 풀리(28)와의 사이에 감아 걸려 있다. 풀리(26)는 구동축(31)에 볼베어링(61)을 통해, 또한 세로축(27)의 풀리(28)도 볼베어링(도시생략)을 사용하여 지지되고, 체인에 설치한 어태치먼트(39)의 이동에 동기하여 주행한다. 밴드(18)는 후단이 상기 체인(35)의 어태치먼트(39)에 고착되고, 풀리(26,28)에 감아 걸게 선단측을 밴드수용홈(66)에 삽입한다. 밴드수용홈(66)의 전면에는 인디케이터 밴드(18)에 투시될 수 있도록 투명 스케일(19)이 설치된다.
밴드수용홈(66)의 길이 방향 중앙부분에는 최소 상형길이(1 min)를 나타내는 기준판(65)이 고착되고, 밴드수용홈(66)에 삽입된 인디케이터 밴드(18)의 전면은 기준판(65)과 동색(예컨대 백색)으로 착색되고, 밴드수용홈의 적어도 세로벽(67)은 기준판과 반대색 또는 다른 빛깔농도를 갖는 색조로 착색되고 있다.
상기 스페이서(37)의 삽입수량 조작에 동기하여 밴드수용 홈내를 이동하였을 때, 인디케이터 밴드(18,18)의 선단사이의 거리가 최소 상형길이(1 min)로부터 최대 상형길이(1 max)의 사이에 있는 유효 상형치수인 것을 나타내고, 그 치수를 투명 스케일(19)을 투과시켜 외부에서 해독할 수 있다.
상기 장치를 사용하여, 예컨대 긴 변=725mm, 짧은 변=475mm, 각변 높이 15mm의 직사각형패널을 가공하는 경우에 관하여 설명한다.
판재(70)는 각변높이를 예상하여 긴 변측 725+(15 x 2) = 755mm, 짧은 변측 475+(15 x 2) = 505mm의 크기로 코너부에는 높이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서 한변 15mm의 각형 노치를 가지고 있다.
절곡작업에 앞서서 센터링장치(도시생략)에 의해 기계중심(80)과 판재중심선을 맞춰, 백 게이지에 의해서 끝테두리 절곡길이를 설정한다.
우선, 짧은변측 끝테두리 벤딩을 위해, 구동 스프로켓(33)을 구동하여 체인(35)을 주행시킴으로써 좌우에 각 8개의 스페이서(37)를 각 핀(40)의 상부에 삽입하여, 기계중심(80)의 좌우에 인접하는 핀(40a,40b)과 합쳐서 19피치× 25mm로서 짧은 변 가압에 필요한 상형길이 475mm로 조절한다. 인디케이터 밴드(18)의 이동거리를 기계 전면의 투명 스케일(19)를 통해서 확인한다. 이와 같이 한 후, 램을 하강시켜 한쪽의 짧은변측 끝테두리를 절곡하고, 판재(70)를 180。 선회시켜 다른쪽의 짧은변측 끝테두리를 절곡한다. 또, 램(10)의 하강에 의한 상형(12)의 가압시에 하형의 양 어깨부분(57,58)과 높이조절된 하형 바닥부재(54)의 정상부면(59)과의 3점에서 절곡각도를 결정하여, 주실린더(16,16)의 작동에 의한 가공중의 금형에 대하여 균등한 유체압을 가한 상태로 판재(70)를 절곡한다.
다음에, 판재를 수평면내에 90。선회시켜, 판재의 긴 변측에 관하여 센터링을 행한다. 이와같이 한 후, 구동 스프로켓(33)을 구동하여 좌우에 각 14개씩의 스페이서(37)를 삽입하여, 기계중심(80)의 좌우에 인접하는 핀(40a,40b)과 합쳐서 29피치× 25mm로서 긴변측 끝테두리 절곡에 필요한 상형길이 725mm로 조절한다. 앞과 마찬가지로 인디케이터 밴드(18)의 이동거리를 투명 스케일(19)을 통해서 확인하고 나서 한쪽의 긴변측 끝테두리를 절곡하고, 더욱이, 판재(70)를 180。선회시켜 다른쪽의 긴변측 끝테두리를 절곡한다. 이와 같이 하여 장단변의 가장자리를 절곡시켜서 세운 직사각형 패널의 가공을 종료한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상형구성을 기계폭 전장 1개로 한 상형이던지 분할상형의 집합인지를 불문하고, 판재의 절곡길이에 따라서 유효 상형길이를 자동적으로 바꿈에 따라, 불균등 벤딩을 막아 효율이 좋은 각종 길이의 판재 절곡작업할 수 있다. 또한, 압력부여부재와 상형과의 사이에 개재시킨 압력 전달용 핀중, 기계중심으로부터 선택된 위치의 압력 전달용 핀열의 상면에, 보조적 압력 전달부재인 스페이서를 차례로 소정수 삽입하는 것만으로, 상형열에 관한 압력부여부재로부터의 가압력 전달폭 방향거리(유효 상형길이)를 임의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프레스중앙부에 좌우에 배치한 금형의 유효길이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고, 판재의 장·단변 폭 차이에 대응하여 금형에 불균등 부하가 없는 선택의 자유도를 늘려 프레스 중앙에서의 절곡작업을 가능하게 하고, 이에 따라 형착탈이 생력화하여 절곡작업의 자동화를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신속한 금형 교환, 생력화를 달성할 수 있다.
또, 스테인레스 스틸판의 정밀 절곡가공할 때에 분할상형의 경계선에 의해서 생성되는 약간의 요철을 후가공으로 제거할 필요가 있지만, 본 발명에 의하면, 상형 한개의 것을 사용하고, 또한 스페이서 삽입에 의해 조정된 상형유효길이로 절곡함으로써, 절곡선에 요철이 나타나는 일없이 따라서 요철제거를 위한 후가공을 요하지 않고서 정밀절곡가공을 행할 수 있다.

Claims (7)

  1. 주실린더의 작동에 의해서 승강하는 램(10)과, 램 하단에 고착한 상형 홀더(11)와, 상형 홀더내의 거의 전장에 걸쳐 배치된 유실과 고무시트로 형성된 유압쿠션(20)과, 유압쿠션의 하부에 배치된 압력부여부재(25)와, 상기 상형 홀더의 하부에 장착된 상형(12)과, 베드(13)와, 그리고 베드상면에 설치한 홈 부착 하형에서 양 어깨부분(57,58)과 높이조절이 가능한 하형 바닥부재(54)를 가지는 하형(14)으로 구성되고, 상기 램의 하강에 의한 상형의 가압시에, 하형의 양 어깨부분(57,58)과 높이조절된 하형 바닥부재(54)의 정상부면과의 3점에서 절곡각도를 결정하여, 주실린더의 작동에 의한 가공중의 금형에 대하여 균등한 유체압을 가한 상태로 판재를 절곡하는 프레스 브레이크로서;
    상기 상형 홀더(11)는,
    압력부여부재(25)와 상형(12)과의 사이에서, 또한 기계중심(80)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위치에 일정한 피치로 세워져 설치된 복수의 압력 전달용 핀(40)과,
    상기 압력부여부재(25) 하면과 각 압력 전달용 핀(40) 상면과의 사이에 형성된 간극(48)과,
    상기 간극(48)에 삽입될 수 있도록 체인(35)에 의해서 연결되어 배치된 스페이서군(37)과,
    판재의 절곡 길이에 응하는 상형유효길이를 유지하도록 하고, 기계중심 쪽에서 선택된 위치까지의, 각 압력 전달용 핀(40)의 상면에 대응하는 간극(48)에 차례로 소요수의 스페이서(37)를 삽입될 수 있는 스페이서 이동수단(30)을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브레이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형 홀더(11)는 상기 압력부여부재(25)를 수용하는 빈 부분(24), 이 빈 부분(24)의 하부에 압력 전달용 핀을 끼워넣게하는 복수의 구멍(46)을 더 형성하고 있고, 또한 복수의 스페이서(37)가 장착된 한쌍의 엔드리스 체인(35,35)을 기계중심으로하여 좌우대칭으로 더 설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브레이크.
  3. 제 1 항에 있어서, 압력 전달용의 각 핀(40, 40a, 40b)중, 기계중심(80)에 인접하는 좌우 각각 여러개의 핀(40a, 40a, 40b, 40b)은 압력부여부재(25) 하면과 상형(12) 상면과의 사이의 기준높이를 가져 스페이서(37)가 삽입되지 않고, 압력부여부재(25)로부터의 가압을 상형(12)의 해당 부분에 전달하여,
    기준높이를 가지는 핀(40b, 40b)으로부터 외측의 좌우형 길이방향으로 향하여 배치된 복수의 핀(40)은 핀(40b, 40b) 보다 스페이서 삽입용 간극만큼 낮게, 핀(40) 상면에 스페이서(37)가 삽입되었을 때 스페이서를 통해 상기 압력부여부재(25)로부터의 가압력을 받아 그 부분의 상형에 전달되도록 구성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브레이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의 이동수단(30)은 기계중심(80)으로 하는 좌우 대칭위치에 배치된 한쌍의 스프로켓(33,34)과 각 스프로켓(33,34) 사이에 걸쳐서 홀더(11) 내부의 수평면내에 주행하고, 또한 일정한 피치에 복수의 스페이서를 부착한 한쌍의 엔드리스 체인(35)과, 체인구동용 모터(63)로 이루어지고,
    상기 엔드리스 체인(35,35)은 기계중심(80)에 대하여 서로 역방향으로 주행하고, 게다가 체인의 플러스방향 구동에 의해 홀더후측의 대기위치에 있는 스페이서(37)를 기계중심으로부터 좌우 각각형 길이방향에 따르는 간극(48)에 차례로이동시켜, 체인의 역방향 구동에 의해 스페이서(37)를 간극(48)에서 차례로 빼내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브레이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형길이 표시수단(17)을 더 포함하고 있고,
    상기 상형길이 표시수단(17)은 적어도 한쪽의 체인(35)에 설치된 어태치먼트(39)와, 한쪽끝을 어태치먼트(39)에 의해 연결되고 체인(35) 이동에 동기하여 스페이서(37)의 이동을 표시하는 인디케이터 밴드(18)와, 홀더(11)의 전면폭의 거의 전장에 걸쳐 형성된 인디케이터 밴드(18)의 수용홈(66)과, 수용홈(66)의 전면에 설정되어 스페이서(37)의 이동에 의해 균등한 유체압이 가해진 상형길이에 대응하는 밴드(18)의 이동거리를 투시될 수 있는 투명 스케일(19)을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브레이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형길이 표시수단(17)은 밴드수용홈쪽 방향에 설치된 좌우 한쌍의 풀리(26,28)와,
    각 엔드리스 체인(35)의 구동에 의한 스페이서(37)의 이동에 의해서 균등한 유체압이 가해진 상형길이를 표시하는 인디케이터 밴드(18)로서, 후단을 상기 체인(35)의 어태치먼트(39)에 고착하여, 풀리(26,28)를 감아 걸어 선단측을 밴드수용홈(66)에 삽입한 좌우 한쌍의 인디케이터 밴드(18)와, 인디케이터 밴드(18)가 투시될 수 있도록 밴드수용홈(66)의 전면을 덮어 설치된 투명 스케일(19)로서, 상기 스페이서(37)의 삽입수 조작에 동기하여 밴드수용 홈내를 이동하였을 때, 인디케이터 밴드(18,18)의 선단사이의 거리가 최소 상형길이(l min)로부터 최대 상형길이(l max)의 사이에 있는 유효 상형치수인 것을 표시할 수 있는 투명 스케일(19),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브레이크.
  7. 제 1 항에 있어서, 밴드수용홈(66)의 길이 방향 중앙부분에는 최소 상형길이(l min)를 표시하는 색 부착식 기준판(65)이 고착되고, 밴드수용홈(66)에 삽입된 인디케이터 밴드(18)의 전면은 기준판(65)과 동색으로 착색되고, 밴드수용홈의 적어도 세로벽(67)은 기준판과 반대색 또는 다른 색농도를 갖는 색조로 착색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브레이크.
KR1019970030601A 1996-11-12 1997-07-02 프레스브레이크 KR1003153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1411496 1996-11-12
JP96-314114 1996-11-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1780A true KR19980041780A (ko) 1998-08-17
KR100315383B1 KR100315383B1 (ko) 2002-03-08

Family

ID=18049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0601A KR100315383B1 (ko) 1996-11-12 1997-07-02 프레스브레이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813273A (ko)
EP (1) EP0841106A1 (ko)
KR (1) KR1003153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3089B1 (ko) * 2020-09-29 2021-04-21 주식회사 대성 절곡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25702B2 (en) 2001-10-26 2004-04-27 Ariel Financing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overcoming angular deviations in a workpiece
FR2942981B1 (fr) * 2009-03-13 2011-04-08 Amada Europe Presse plieuse pour le pliage de feuilles
CN107377817B (zh) * 2017-09-07 2023-03-14 河北骄阳焊工有限公司 焊机用拉网折弯机及拉网折弯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283851B (de) * 1969-02-18 1970-08-25 Haemmerle Ag Maschf Arbeitstisch an Blechbearbeitungsmaschinen
AT311153B (de) * 1972-04-13 1973-11-12 Haemmerle Ag Maschf Blechbearbeitungseinrichtung
DE3609632A1 (de) * 1986-03-21 1987-09-24 Fritz Hakemann Abkantpresse zum gesenkbiegen von insbesondere blechen
JPH0688079B2 (ja) * 1986-03-25 1994-11-09 株式会社アマダ プレスブレーキにおけるクラウニング装置
JPS63119931A (ja) * 1986-06-30 1988-05-24 Maru Kikai Kogyo Kk プレスブレ−キの上型交換装置
US5067340A (en) * 1988-05-05 1991-11-26 Macgregor Donald C Precision press brake
JPH0246922A (ja) * 1988-08-04 1990-02-16 Hisao Yamashina ブレーキプレスにおける中ダレ防止装置
US4894015A (en) * 1988-08-31 1990-01-16 Delco Electronics Corporation Flexible circuit interconnector and method of assembly thereof
AT392023B (de) * 1988-11-21 1991-01-10 Haemmerle Ag Verfahren zum biegen von blechstuecken
NL8901560A (nl) * 1989-06-21 1991-01-16 Wila Maschf Bv Kantpers en een automatische bombeerinrichting daarvoor.
US5009098A (en) * 1989-11-27 1991-04-23 Machinefabriek Wila B.V. Press and curve-forming means therefor
JP2543441B2 (ja) * 1990-12-13 1996-10-16 丸機械工業株式会社 折曲機の金型逃し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3089B1 (ko) * 2020-09-29 2021-04-21 주식회사 대성 절곡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813273A (en) 1998-09-29
EP0841106A1 (en) 1998-05-13
KR100315383B1 (ko) 2002-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32032A (en) Die crowning apparatus for press brake
CA2244317A1 (en) Apparatus for performing a hydroforming operation
CN112742886B (zh) 自带矫直装置的链式拉拔机
KR100315383B1 (ko) 프레스브레이크
CN109340231B (zh) 灯条装配装置
EP0186909A2 (en) Apparatus for adjusting tool length of bending machine
JP3223846B2 (ja) プレスブレーキ
US5327760A (en) Roller leveller
CN110899390A (zh) 一种单柱校正压力机的油缸伸缩杆校正方法
CN112536340B (zh) 一种校直机用多触头压头和校直机
JP2004330201A (ja) 板曲げプレス
SU969147A3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нат жени и/или перемещени ленточного издели при вулканизации в прессе
CN207900641U (zh) 一种简易式液压锤外壳加工组装系统
JP3948228B2 (ja) ガラス素子成形用金型およびガラス素子成形装置
JP2818439B2 (ja) 正逆曲げ装置
JP2819448B2 (ja) 油圧プレスブレーキ
US5778719A (en) Method of stretch-forming a channel material
CN212499567U (zh) 多工件增压打钢印装置
CN219551880U (zh) 一种方向盘骨架品检机及该品检机用骨架定位装置
CA2325813C (en) Cold steel cambering apparatus and method
GB2025822A (en) An improved Device for Guiding Pairs of Rolled Members to be Connected by Welding
CN211516409U (zh) 用于线路板的打标设备
CN211516407U (zh) 用于线路板的传送装置
JP2543441B2 (ja) 折曲機の金型逃し装置
JP3519104B2 (ja) プレスブレー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