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1499U - 차량의 배터리전해액 부족 경고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배터리전해액 부족 경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1499U
KR19980041499U KR2019960054592U KR19960054592U KR19980041499U KR 19980041499 U KR19980041499 U KR 19980041499U KR 2019960054592 U KR2019960054592 U KR 2019960054592U KR 19960054592 U KR19960054592 U KR 19960054592U KR 19980041499 U KR19980041499 U KR 1998004149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electrolyte
transistor
vehicle
coll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545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주훈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20199600545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41499U/ko
Publication of KR1998004149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1499U/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8Cells or batteries combined with indicating means for external visualization of the condition, e.g. by change of colour or of light densit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4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for measuring electrolyte level, electrolyte density or electrolyte conductiv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11Electric energy storages
    • B60Y2400/112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90Driver alar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에서 배터리전해액의 레벨을 감지하여 졍격레벨 이하로 떨어진 경우에 경고등이 점등되도록 하는 차량의 배터리전해액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배터리전해액 표시장치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아 배터리전해액을 미리 보충하지 못함에 따라 배터리를 교체해야 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었다.
본 고안은 배터리(10)의 양극(22)에 저항(26)을 통해 트랜지스터(28)의 컬렉터가 연결되는 한편 트랜지스터(28)의 에미터에는 배터리(10)의 음극(24)이 연결되고, 상기 트랜지스터(28)의 베이스에는 전해액의 과부족을 감지하도록 설치된 전해액감지봉(30)이 연결되는 한편, 상기 배터리(20)의 양극(22)에는 경고등(32)을 통해 트랜지스터(34)의 컬렉터가 연결되고, 트랜지스터(28)의 에미터에는 배터리(10)의 음극(24)이 연결되며, 상기 트랜지스터(28)의 베이스에는 상기 트랜지스터(28)의 컬렉터가 연결되어 이루어진 고안임.

Description

차량의 배터리전해액 부족 경고장치
본 고안은 차량의 배터리전해액이 부족한 경우 경고등을 점등시키도록 하는 경고장치에 관한 것으로, 배터리전해액의 레벨을 감지하여 졍격레벨 이하로 떨어진 경우에 경고등이 점등되도록 하는 차량의 배터리전해액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터리는 가솔린 자동차, 디이젤 자동차 할 것 없이 모든 자동차에 설치되어 엔진을 기동할 때와 발전량이 부족할 때의 점화, 조명 등의 전원으로 사용된다.
현재 자동차용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납산 축전지(배터리)는 각각 다른 금속으로 만든 양극과 음극의 전극과 전해액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양 전극을 도체로 연결하여 각 전극의 작용 물질과 전해액이 가지는 화학적 에너지를 전기적 에너지로 끌어낼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역으로 전기적 에너지를 주면 다시 화학적 에너지를 가진 본래의 작용 물질로 되돌아가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배터리에 사용되는 전해액은 황산을 증류수로 희석시킨 무색, 무취의 묽은 황산으로 극판과 접촉하여 셀 내부의 전류 전도 작용과 전류를 발생시키거나 저장하는 역할을 하는 것을 적정한 양만큼 채워져 있어야 한다.
그리하여 종래에는 예시도면 도 1과 같이 배터리(10)의 외측에 보유하고 있어야 될 전해액의 최대 정격레벨(MAX)과 최저 정격레벨(MIN)에 대해 눈금(12)(14)으로 표시해 놓고 육안으로 눈금(12)(14)과 전해액을 비교확인하여 전해액이 어느 정도 채워져 있나를 판별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운전중 배터리액의 감소에 무관심하여 고장원인이 되기도 하고 배터리액의 충진상태를 확인하려 하면 그때마다 일일이 본네트를 열고 육안으로 확인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불편함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고, 배터리의 전해액이 적정 레벨이하로 떨어진 경우 이를 감지하여 계기판에 설치되는 경고등을 점등시킴으로써 배터리전해액이 부족함을 알려줄 수 있도록 된 차량의 배터리전해액 부족 경고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고안의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배터리내측에 전해액이 정상일 때 잠기고 부족할 때 전해액으로부터 노출되는 전해액레벨감지수단, 상기 전해액레벨감지수단에 따라 온오프되는 스위칭수단 및 경고등이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이다.
도 1은 종래 배터리의 보충액레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라 배터리전해액이 부족할 때 경고등이 점등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배터리12 : 최대 정격레벨눈금
14 : 최저 정격레벨눈금20 : 배터리
22 : 양극24 : 음극
30 : 전해액감지봉32 : 경고등
이하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배터리(10)의 양극(22)에 저항(26)을 통해 트랜지스터(28)의 컬렉터가 연결되는 한편 트랜지스터(28)의 에미터에는 배터리(10)의 음극(24)이 연결되고, 상기 트랜지스터(28)의 베이스에는 전해액의 과부족을 감지하도록 설치된 전해액감지봉(30)이 연결되는 한편, 상기 배터리(20)의 양극(22)에는 경고등(32)을 통해 트랜지스터(34)의 컬렉터가 연결되고, 트랜지스터(28)의 에미터에는 배터리(10)의 음극(24)이 연결되며, 상기 트랜지스터(28)의 베이스에는 상기 트랜지스터(28)의 컬렉터가 연결된 구조로 되어 있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라 배터리전해액이 부족할 때 경고등이 점등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해액감지봉(30)은 아연과 같은 도체로 이루어진 것으로, 배터리(10)에 전해액이 정상적으로 차 있을 때 즉 전해액의 수면이 A레벨을 유지하고 있을 때 전해액감지봉(30)은 전해액에 닿아 있게 된다.
전해액감지봉(30)의 최하단은 배터리(10)에서 유지하고 있어야될 전해액의 로우레벨인 B지점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C지점까지 전해액이 증발되면은 전해액감지봉(30)은 전해액으로부터 노출된다.
전해액이 A지점까지 차있어 전해액감지봉(30)이 전해액에 닿아 있는 경우에는 양극(22)과 전해액감지봉(30)간에 형성되는 바이어스전압에 따라 트랜지스터(28)가 턴온되고, 이에 따라 트랜지스터(34)는 바이어스전압이 형성되지 않아 턴오프되므로써 경고등(32)은 점등되지 않는다.
그러나 전해액이 줄어들어 B지점 이하로 떨어지게 되면 전해액감지봉(30)은 전해액으로부터 노출되며, 이에 따라 트랜지스터(28)에 형성되던 바이어스전압이 제거되어 트랜지스터(28)가 턴오프된다. 이에 따라 양극(26)에 인가되는 전압이 저항(26)을 통해 트랜지스터(34)에 바이어스전압으로 인가됨으로써 트랜지스터(34)가 턴온되어 경고등(32)이 점등된다.
이와 같이 전해액감지봉(30)이 전해액에 닿거나 그로부터 노출될 때 경고등(32)이 소등되거나 점등되어 전해액의 보충시기를 알려주게 된다.
경고등(32)은 운전자가 확인하기 용이하도록 계기판넬 등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배터리전해액의 로우레벨위치에 전해액감지봉을 설치하여 이로부터 전해액의 접촉과 비접촉에 따라 경고등의 점소등을 제어하므로써 전해액의 부족시 충전시기를 알려주므로써 배터리재충전이나 교체를 해야되는 과오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

  1. 배터리(10)의 양극(22)에 저항(26)을 통해 트랜지스터(28)의 컬렉터가 연결되는 한편 트랜지스터(28)의 에미터에는 배터리(10)의 음극(24)이 연결되고, 상기 트랜지스터(28)의 베이스에는 전해액의 과부족을 감지하도록 설치된 전해액감지봉(30)이 연결되는 한편, 상기 배터리(20)의 양극(22)에는 경고등(32)을 통해 트랜지스터(34)의 컬렉터가 연결되고, 트랜지스터(28)의 에미터에는 배터리(10)의 음극(24)이 연결되며, 상기 트랜지스터(28)의 베이스에는 상기 트랜지스터(28)의 컬렉터가 연결된 차량의 배터리전해액 부족 경고장치.
KR2019960054592U 1996-12-23 1996-12-23 차량의 배터리전해액 부족 경고장치 KR1998004149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4592U KR19980041499U (ko) 1996-12-23 1996-12-23 차량의 배터리전해액 부족 경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4592U KR19980041499U (ko) 1996-12-23 1996-12-23 차량의 배터리전해액 부족 경고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1499U true KR19980041499U (ko) 1998-09-25

Family

ID=53994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54592U KR19980041499U (ko) 1996-12-23 1996-12-23 차량의 배터리전해액 부족 경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41499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5598B1 (ko) 2019-07-16 2020-10-14 세방전지(주) 배터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5598B1 (ko) 2019-07-16 2020-10-14 세방전지(주) 배터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41499U (ko) 차량의 배터리전해액 부족 경고장치
US2836808A (en) Battery tester
KR102165598B1 (ko) 배터리
KR19990031332U (ko) 배터리 증류수 감지장치
KR20200046402A (ko) 납축전지 수명종지 여부 파악을 위한 광섬유 인디케이터
JP2005067293A (ja) 鉛蓄電池の制御方法
KR200169986Y1 (ko) 배터리의 배터리액량 확인장치
WO2002052672A2 (en) Storage battery with integrated detecton and indicating means
KR100267693B1 (ko) 자동차 밧데리의 캡 구조
KR100192225B1 (ko) 충전전압 곡률감지에 의한 전기자동차 배터리의 충전종지장치
US2056578A (en) Battery electrolyte level indicator
KR19980042652U (ko) 배터리의 전해액 보충시기 알림장치
KR960013949B1 (ko) 자동차용 배터리 충전상태 표시기
KR19990000835A (ko) 축전지의 충전장치
KR0138201Y1 (ko) 자동차 배터리의 방전 방지용 경보장치
JPH07211359A (ja) 鉛蓄電池
KR19980016293A (ko) 자동차용 밧데리의 전해액 확인 장치
KR19980051436A (ko) 축전지 수명예측 표시방법
KR980012690A (ko) 전기자동차 배터리의 초기잔존용량 측정장치
KR920004388Y1 (ko) 액면센서가 부착된 축전지마개
KR970003753Y1 (ko) 축전지의 부표식 전해액량 표시구
KR100230873B1 (ko) 자동차의 배터리 방전 차단시스템
JPH08321328A (ja) 蓄電池状態検出装置
KR0142246B1 (ko) 자동차 비상 전원 장치
KR0144600B1 (ko) 연료보충 경고등의 오동작 방지용 플로팅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