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0873B1 - 자동차의 배터리 방전 차단시스템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배터리 방전 차단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0873B1
KR100230873B1 KR1019950064941A KR19950064941A KR100230873B1 KR 100230873 B1 KR100230873 B1 KR 100230873B1 KR 1019950064941 A KR1019950064941 A KR 1019950064941A KR 19950064941 A KR19950064941 A KR 19950064941A KR 100230873 B1 KR100230873 B1 KR 1002308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engine
capacity
state
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649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4789A (ko
Inventor
김기섭
Original Assignee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류정열
Priority to KR10199500649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0873B1/ko
Publication of KR9700547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47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08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08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al cells or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07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using generators driven by a machine different from the vehicle mo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1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using battery or load disconnect circ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6Lead-acid accumulators
    • H01M10/12Construction or manufac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이 발명은 자동차의 엔진 스타트에 필요한 최소한의 충전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여, 엔진의 시동 불능 상태를 미연에 방지하고자 한다. 이에 따라, 이 발명의 배터리 방전 차단시스템은 보통 6개의 셀로 이루어진 케이스와, 각 셀마다 양극판, 음극판, 격리판 및 전해액이 들어 있는 자동차용 배터리(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배터리에는 그 충전 상태를 감지하는 용량센서(3)가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용량센서로부터 신호를 받아 상기 배터리의 충전 용량이 기준치 이하로 내려갈 경우, 상기 배터리로부터 인출되는 모든 전원선을 단락시키는 전원차단기(7)가 포함되어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배터리 방전 차단시스템
제 1 도는 이 발명에 관련된 자동차의 배터리 방전 차단시스템을 도시한 회로도.
제 2 도는 이 발명에 관련된 배터리 방전 차단시스템의 플로우 챠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배터리 3 : 용량센서
7 : 전원차단기 S : 센서스위치
이 발명은 자동차의 배터리 방전 차단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엔진 스타트에 필요한 최소한의 충전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엔진이 정지된 상태에서 전기장치의 부하로 연결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배터리 방전 차단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 있어서 전기장치는 신경계통에 비유될 수 있으며, 이 전기장치가 정상적으로 작동해야 비로소 차량은 본래의 성능을 발휘하게 된다.
이러한 차량의 각 전기장치를 작동하게 하는 전원으로는 배터리와 충전장치의 2계통이 있다. 특히, 상기 배터리는 기관이 정지되어 있거나 시동시에 전원을 공급하여 주는 것으로서, 차량의 기동에 필수적인 구성이라고 할 수 있다. 또, 상기 배터리는 엔진이 운전하고 있을 경우라도 발전기의 출력 부족이나 전압 변동이 발생될 경우, 그를 보상해 주기 위해 전력을 공급하게 된다.
이러한 배터리의 통상적인 구조는 보통 6개의 셀로 이루어진 케이스가 있고, 각 셀마다 양극판, 음극판, 격리판 및 전해액이 들어 있다. 상기 양극판과 음극판의 사이에는 격리판과 유리매트가 끼워져 있으며, 이러한 여러장의 극판은 1개의 셀속에 완전 충전시 대략 2.1V의 전압을 발생시킨다. 이 경우에, 각각의 셀은 직렬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12V의 전압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배터리는 엔진이 정지된 상태에서 전기장치를 사용하거나 시동을 할 경우에만 방전이 되는 것이 아니고, 자기 방전이나 화학반응시 발생되는 가스 누출로 인한 전해액 감소와 같은 요인에 의해서도 그 충전 용량이 작아지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배터리는 비중액의 레벨 및 비중을 주기적으로 체크하여 황산 또는 증류수를 보충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배터리의 경우, 비중액의 레벨 및 비중의 유지를 위하여, 수시로 본네트를 열고 배터리의 상태를 눈으로 확인하거나, 별도의 비중계로 전해액을 뽑아 그 비중을 측정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 일반 사용자가 액비중을 눈으로 확인하는 상태만으로는 명확치 않기 때문에, 예고되지 않은 차량의 시동 불능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시동 불능의 상태는 차량의 모든 전기장치를 사용하지 못하게 만드는 문제점이 있다.
이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배터리의 완전 방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엔진의 스타트에 필요한 최소한의 용량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의 배터리 방전 차단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이 발명은 보통 6개의 셀로 이루어진 케이스와, 각 셀마다 양극판, 음극판, 격리판 및 전해액이 들어 있는 자동차용 배터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배터리에는 그 충전 상태를 감지하는 용량센서가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용량센서로부터 신호를 받아 상기 배터리의 충전 용량이 엔진 시동에 필요한 최소 용량에 근접될 경우, 상기 배터리로부터 인출되는 모든 전원선을 단락시키는 전원차단기가 포함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응용센서는 배터리 전원과의 사이에 센서스위치를 개재하여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이 발명의 배터리 방전 차단시스템은 배터리의 충전 용량이 엔진 시동에 필요한 최소 용량에 근접되는 기준치 이하로 내려갈 경우, 이를 용량센서에서 감지하여 전원차단기를 오프 동작시킴으로써, 차량의 모든 전기장치의 부하로부터 배터리의 전원을 차단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이 발명은 배터리의 방전에 의해 엔진의 시동이 불가능하게 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이 발명을 실현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1 도는 이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배터리 방전 차단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면에서의 설명 부호 1은 보통 6개의 셀로 이루어진 케이스와, 각 셀마다 양극판, 음극판, 격리판 및 전해액이 들어 있는 자동차용 배터리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이 실시예에 의한 배터리(1)에는 그 배터리가 완전 방전되는 것을 방지하려는 목적으로, 상기 배터리(1)의 충전 용량이 엔진 시동에 필요한 최소 용량에 근접될 경우, 차량의 전기장치 즉, 모든 전기적인 부하로 연결되는 전원을 끊어주는 방전 차단수단이 마련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 실시예에 의한 배터리(1)에는 그 충전 상태를 감지하는 용량센서(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용량센서(3)는 상기 배터리(1)의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배터리 전원(B+)과의 사이에 센서스위치(S)를 개재하여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용량센서(3)는 상기 센서스위치(S)에 의해 온/오프되어 진다.
또, 상기 배터리(1)로부터 인출되는 전원선에는 전원차단기(7)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전원차단기(7)는 상기 용량센서(3)로부터 신호를 받아 상기 배터리(1)의 충전 용량이 기준치 이하로 내려갈 경우, 상기 배터리(1)로부터 인출되는 모든 전원을 차단하게 된다.
한편, 도면에서의 설명 부호 9는 자동차의 전기장치로서, 상기 배터리(1)의 방전을 유도하는 전기적인 부하를 나타내고 있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이 실시예의 플로우 챠트가 제 2 도에 잘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여 이 실시예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자동차의 엔진이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배터리(1)는 차량의 각 전기장치(9)로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이러한 방전 개시 상태에서 상기 배터리(1)에 설치된 용량센서(1)는 그 충전용량을 측정하게 되는데, 이 경우에 상기 센서스위치(S)는 온 상태로 유지되어야 한다. 도면에서 S=1은 상기 센서스위치가 온인 상태를 나타내며, S≠1은 오프인 상태를 나타낸다.
상기와 같이 측정된 상기 배터리(1)의 충전 용량(C)이 기준값(Cmin) 보다 작거나 같아질 경우, 상기 전원차단기(7)는, 상기 배터리(1)로부터 인출되는 전원선을 차단시키게 된다.
반면, 상기와 같이 방전이 차단된 상기 배터리(1)는 차량의 시동을 위해 다시 방전 개시 상태로 되는데, 이는 사용자가 상기 센서스위치(S)를 오프시켜 상기 용량센서(3)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한 상태에서, 상기 전원차단기(7)를 온 상태로 환원시켜야지만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를 통하여, 이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배터리 방전 차단시스템은 배터리의 충전 용량을 엔진 스타트에 필요한 최소한의 상태가 유지시키게 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효과에 따라, 엔진의 시동불능 상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Claims (2)

  1. 자동차의 엔진 시동이나 발전기의 출력 부족 및 전압 변동이 발생될 경우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감지하는 용량센서와; 상기 용량센서로부터 신호를 받아 상기 배터리의 충전 용량이 엔진 시동에 필요한 최소 용량인 기준치 이하로 내려갈 경우, 상기 배터리로부터 인출되는 모든 전원선을 단락시키는 전원차단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배터리 방전 차단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용량센서는 배터리 전원과의 사이에 센서스위치를 개재하여 연결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배터리 방전 차단시스템.
KR1019950064941A 1995-12-29 1995-12-29 자동차의 배터리 방전 차단시스템 KR1002308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64941A KR100230873B1 (ko) 1995-12-29 1995-12-29 자동차의 배터리 방전 차단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64941A KR100230873B1 (ko) 1995-12-29 1995-12-29 자동차의 배터리 방전 차단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4789A KR970054789A (ko) 1997-07-31
KR100230873B1 true KR100230873B1 (ko) 1999-11-15

Family

ID=19446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64941A KR100230873B1 (ko) 1995-12-29 1995-12-29 자동차의 배터리 방전 차단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08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2553B1 (ko) 2015-12-29 2017-08-30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파일에 대한 공증 및 검증을 수행하는 방법 및 서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4789A (ko) 1997-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27903B1 (ko) 2차 전지 제어 회로
CN102906581B (zh) 电池单元平衡电路的异常诊断设备和方法
KR100415763B1 (ko) 2차 전지팩
EP2161812A1 (en) Power supply system, and power supply control method and power supply control program employed in power supply system
KR960702193A (ko) 전기 에너지 저장 장치와 그 장치의 충·방전 방법(Electrical energy storage device and method of charging and discharging same)
EP1083619A3 (en) Battery pack
CN103531861A (zh) 蓄电池和机动车
CN105811495A (zh) 车用锂电池的安全保护装置
US10656215B2 (en) Short circuit detection device
US5397974A (en) Rechargeable battery overdischarge prevention circuit
KR100230873B1 (ko) 자동차의 배터리 방전 차단시스템
KR100584233B1 (ko) 충방전 제어회로 및 충전형 전원장치
KR20220039414A (ko) 배터리 보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시스템
JPH10224998A (ja) 2次電池の保護装置
US20200139821A1 (en) Power supply device
CN1372346A (zh) 二次电池装置及其过放电的防护方法
KR102556389B1 (ko) 초소형 전기차용 보조 배터리 시스템, 초소형 전기차용 보조 배터리를 충전하는 장치 및 방법
KR20200085075A (ko) 직렬접속된 2차전지 배터리군의 정파워 출력 회로
KR102598680B1 (ko) 재사용 리튬이온 배터리 모듈을 이용한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
JP7421524B2 (ja) 蓄電池制御装置、蓄電システム、及び蓄電池制御方法
CN113071366B (zh) 车辆用蓄电系统
KR0138201Y1 (ko) 자동차 배터리의 방전 방지용 경보장치
JPH06265609A (ja) 有機電解液二次電池・組電池の監視・制御装置
CN113511108A (zh) 控制电路、方法以及系统
KR20230063865A (ko) 배터리 시스템 및 배터리 시스템을 제어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81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