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5075A - 직렬접속된 2차전지 배터리군의 정파워 출력 회로 - Google Patents

직렬접속된 2차전지 배터리군의 정파워 출력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5075A
KR20200085075A KR1020190001166A KR20190001166A KR20200085075A KR 20200085075 A KR20200085075 A KR 20200085075A KR 1020190001166 A KR1020190001166 A KR 1020190001166A KR 20190001166 A KR20190001166 A KR 20190001166A KR 20200085075 A KR20200085075 A KR 202000850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series
output
voltage
secondary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11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광철
송광석
박성민
Original Assignee
(주)엘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탑 filed Critical (주)엘탑
Priority to KR10201900011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85075A/ko
Publication of KR202000850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50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1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acting upon several batterie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02J7/0014Circuits for equalisation of charge between batteries
    • H02J7/0019Circuits for equalisation of charge between batteries using switched or multiplexed charge circ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8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f two or more battery modules
    • B60L58/22Balancing the charge of battery modu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1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acting upon several batterie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02J7/0025Sequential battery discharge in systems with a plurality of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2010/4271Battery management systems including electronic circuits, e.g. control of current or voltage to keep battery in healthy state, cell balancing
    • H02J2007/0067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2207/20Charging or discharging characterised by the power electronics conver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2Electric energy management in electromobil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80Technologies aiming to reduce greenhouse gasses emissions common to all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 Y02T10/92Energy efficient charging or discharging system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bstract

직렬접속된 2차전지 배터리군의 정파워 출력 회로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렬접속된 2차전지 배터리군의 정파워 출력 회로는, 복수의 2차전지 배터리 셀이 직렬접속된 배터리군과, 상기 배터리군에 접속되어 상기 배터리군의 출력 전압을 가변하여 출력하는 스위칭 네트워크와, 상기 스위칭 네트워크로부터의 출력 전압을 승압 또는 강압하여 출력하는 DC/DC 컨버터, 및 정파워 출력을 위해 상기 DC/DC 컨버터로부터의 출력 전류를 제어하는 리미터 회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직렬접속된 2차전지 배터리군의 출력전압을 부하에서 요구되는 전압으로 가변하여 출력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직렬접속된 2차전지 배터리군의 자체 배터리 밸런싱 수행 및 정파워 출력을 보장하여 출력전력의 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다.

Description

직렬접속된 2차전지 배터리군의 정파워 출력 회로{STATIC POWER OUTPUT CIRCUIT}
본 발명은 정파워 출력 회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직렬접속된 이차전지 배터리군의 출력전력 안정화를 위한 정파워 출력 회로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전화 단자기, 음성재생장치, 노트형 PC와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또한 전기적 구동원에 의해 구동되는 전기차량 또는 하이브리드 차량, 전기 오토바이 등이 점차 널리 사용됨에 따라, 재충전 가능한 2차전지가 중요하게 되었다.
전기 차량 등에 적용되는 배터리 팩은 통상적으로 단위 배터리 셀(cell)이 복수 개 구성되는 어셈블리와 상기 어셈블리가 복수 개로 이루어지는 구성을 가진다. 즉, 고출력을 위해 수 내지 수십 개의 단위 배터리 셀이 직렬로 연결되는 것이 요구된다. 상기 단위 배터리 셀은 양급 집전체, 세퍼레이터, 활물질, 전해액, 알루미늄 박막층 등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들 간의 전기 화학적 반응에 의하여 충방전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2차 전지에는 내부 임피던스가 있고, 내부 임피던스는 수 kHz까지의 저주파에서는 용량성, 그 이상에 있어서는 유도성의 특성을 가진다. 이 때문에, 2차전지에 흐르는 충전 또는 방전 전류가 시간적으로 변화되거나(전류 리플(current ripple)이라고 함) 서지 전류(surge current)와 같은 교란을 포함하면, 전지의 전압은 전류의 고주파성분의 영향으로 인하여 과도적인 진동 성분을 포함하게 되고, 이로 인해 2차 전지의 정파워 출력을 보장할 수 없게 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65707호 (2012.06.21)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직렬접속된 2차전지 배터리군의 출력전압을 부하에서 요구되는 전압으로 가변하여 출력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직렬접속된 2차전지 배터리군의 자체 배터리 밸런싱 및 정파워 출력을 보장할 수 있는 출력전력 안정화를 위한 정파워 출력 회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해결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직렬접속된 2차전지 배터리군의 정파워 출력 회로는, 복수의 2차전지 배터리 셀이 직렬접속된 배터리군; 상기 배터리군에 접속되어 상기 배터리군의 출력 전압을 가변하여 출력하는 스위칭 네트워크; 상기 스위칭 네트워크로부터의 출력 전압을 승압 또는 강압하여 출력하는 DC/DC 컨버터; 및 정파워 출력을 위해 상기 DC/DC 컨버터로부터의 출력 전류를 제어하는 리미터 회로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직렬접속된 상기 배터리군의 각각의 2차전지 배터리 셀의 전압을 직접 센싱하는 배터리 전압 계측부; 및,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을 포함하여 상기 스위칭 네트워크, DC/DC 컨버터 및 리미터 회로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 전압 계측부를 통해 전송받은 SOC(State Of Charge) 등을 기초로 상기 스위칭 네트워크와 2차전지 배터리 셀의 접속 관계를 제어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전압 계측부는 옵토커플러가 적용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직렬접속된 2차전지 배터리군의 출력전압을 부하에서 요구되는 전압으로 가변하여 출력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직렬접속된 2차전지 배터리군의 자체 배터리 밸런싱 수행 및 정파워 출력을 보장하여 출력전력의 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렬접속된 2차전지 배터리군의 정파워 출력회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배터리 전압 계측부와 직렬접속된 2차전지 배터리군의 개별 배터리 셀의 접속을 도시한 회로도의 일 예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렬접속된 2차전지 배터리군의 정파워 출력회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직렬접속된 2차전지 배터리군의 정파워 출력회로(100)는 다수의 2차전지 배터리 셀(1a~1n)이 직렬접속된 2차전지 배터리군(10)과, 스위칭 네트워크(20), DC/DC 컨버터(30), 리미터 회로부(40), 배터리 전압 계측부(50) 및 제어부(60)를 포함한다.
먼저, 2차전지 배터리군(10)과 스위칭 네트워크(20)의 접속 조합을 통하여 다양한 가변전압을 출력가능하다. 예를 들어, 각 배터리셀(1a~1n)의 기준전압이 각각 12V이고, 5개의 배터리셀(1a~1e)이 직렬접속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이때, 스위칭 네트워크(20)과 배터리셀(1a~1e)의 접속 조합에 의해 12V, 24V, 36V, 48V, 60V의 출력전압을 각각 얻을 수 있다.
즉, 스위칭 네트워크(20)가 제1 배터리셀(1a) 및 제2 배터리셀(1b)과 접속되도록 하고, 제3 내지 제5 배터리셀(1c~1e)는 접속은 오프되도록 함으로써, 24V의 출력전압을 얻게 된다. 상기 스위칭 네트워크(20)는 메커니컬 릴레이, 반도체 스위칭 소자(ex: MOSFET 등) 등에 의해 구현가능하다.
스위칭 네트워크(20)의 뒷단에는 DC/DC 컨버터(30)가 접속되어, 부하에서 요구되는 전압에 맞게 스위칭 네트워크(20)로부터 입력되는 전압을 가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DC/DC 컨버터(30)는 스위칭 네트워크(20)로부터 입력되는 전압을 부하에서 요구되는 전압으로 승압하여 출력하기 위한 부스터 회로부(booster circuit)와 상기 스위칭 네트워크(20)로부터 입력되는 전압을 부하에서 요구되는 전압으로 강압하여 출력하기 위한 벅 회로부(buck circuit)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위칭 네트워크(20)로부터 24V의 전압이 입력된 경우, 부하에서 요구되는 전압이 240V이면, DC/DC 컨버터(30)는 스위칭 네트워크(20)로부터의 입력전압 24V를 10배 승압하여 240V의 직류전압을 출력한다.
리미터 회로부(40)는 DC/DC 컨버터(30)의 출력 전류가 제1 기준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를 위해, 리미터 회로부(40)는 비교기(comparator)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리미터 회로부(40)는 DC/DC 컨버터의 출력 전류가 제1 기준값 이상으로 판단된 경우, DC/DC 컨버터(30)의 출력 전류를 제2 기준값 이하가 되도록 제어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기준값과 제2 기준값은 동일한 값일 수 있으며, 또는 동일한 값이 아닐 수도 있다.
배터리 전압 계측부(50)는 직렬접속된 2차전지 배터리군(10)의 각각의 개별 배터리 셀의 전압을 직접 센싱하고 관측하여 제어부(60)에 전송하다. 도 2는 배터리 전압 계측부(50)와 직렬접속된 2차전지 배터리군(10)의 개별 배터리 셀의 접속을 도시한 회로도의 일 예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배터리 전압 계측부(50)는 옵토커플러(예를 들어 PC817)가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압 계측을 기존 고가의 전압측정센서를 적용하는 대신 저가형 옵토커플러를 사용함으로써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제어부(60)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 Battery Management System)을 포함하여 본 발명의 정파워 출력 회로의 각 기능 블럭들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60)는 배터리 전압 계측부(50)를 통해 전송받은 SOC(State of Charge) 등을 기초로, 스위칭 네트워크(20)와 2차전지 배터리셀의 접속 관계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60)는 방전시에는 SOC가 높은 배터리셀 기준으로 2차전지 배터리군(10)이 직렬접속 되도록 스위칭 네트워크(20)를 제어하는 한편, 충전시에는 SOC가 낮은 배터리셀 기준으로 2차전지 배터리군(10)이 직렬접속 되도록 스위칭 네트워크(20)를 제어한다. 이에 의해, 정파워 출력회로(100)의 2차전지 배터리군(10)이 자체 배터리 밸런싱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직렬접속된 2차전지 배터리군(10)과 스위칭 네트워크(20)의 접속을 통하여 다양한 직류 가변 전압을 출력할 수 있고, 스위칭 네트워크(20)의 뒷단에 DC/DC 컨버터(30)와 리미터 회로부(40)를 구비하여 직렬접속된 2차전지 배터리군의 출력전압을 부하에서 요구되는 전압으로 가변하여 출력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직렬접속된 2차전지 배터리군의 정파워 출력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의하면, 배터리 전압 계측부(50)를 저가의 옵토커플러를 적용하여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DC/DC 컨버터(30)와 리미터 회로부(40)는 별개의 기능 블럭으로 도시되었지만, 실질적으로 하나의 기능 블럭으로 구현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1a~1n: 2차전지 배터리셀 10: 2차전지 배터리군
20: 스위칭 네트워크 30: DC/DC 컨버터
40: 리미터 회로부 50: 배터리 전압 계측부
60: 제어부 100: 정파워 출력회로

Claims (3)

  1. 복수의 2차전지 배터리 셀이 직렬접속된 배터리군;
    상기 배터리군에 접속되어 상기 배터리군의 출력 전압을 가변하여 출력하는 스위칭 네트워크;
    상기 스위칭 네트워크로부터의 출력 전압을 승압 또는 강압하여 출력하는 DC/DC 컨버터; 및
    정파워 출력을 위해 상기 DC/DC 컨버터로부터의 출력 전류를 제어하여 부하로 출력하는 리미터 회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렬접속된 2차전지 배터리군의 정파워 출력 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직렬접속된 상기 배터리군의 각각의 2차전지 배터리 셀의 전압을 직접 센싱하는 배터리 전압 계측부; 및,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을 포함하여 상기 스위칭 네트워크, DC/DC 컨버터 및 리미터 회로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 전압 계측부를 통해 전송받은 SOC(State Of Charge) 등을 기초로 상기 스위칭 네트워크와 2차전지 배터리 셀의 접속 관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렬접속된 2차전지 배터리군의 정파워 출력 회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계측부는 옵토커플러가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렬접속된 2차전지 배터리군의 정파워 출력 회로.
KR1020190001166A 2019-01-04 2019-01-04 직렬접속된 2차전지 배터리군의 정파워 출력 회로 KR202000850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1166A KR20200085075A (ko) 2019-01-04 2019-01-04 직렬접속된 2차전지 배터리군의 정파워 출력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1166A KR20200085075A (ko) 2019-01-04 2019-01-04 직렬접속된 2차전지 배터리군의 정파워 출력 회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5075A true KR20200085075A (ko) 2020-07-14

Family

ID=71526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1166A KR20200085075A (ko) 2019-01-04 2019-01-04 직렬접속된 2차전지 배터리군의 정파워 출력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8507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619797A (en) * 2022-04-27 2023-12-20 Rolls Royce Corp Electrically propelled aircraft with partially rated convert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65707A (ko) 2010-12-13 2012-06-21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팩의 충전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65707A (ko) 2010-12-13 2012-06-21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팩의 충전 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619797A (en) * 2022-04-27 2023-12-20 Rolls Royce Corp Electrically propelled aircraft with partially rated converter
US11851198B2 (en) 2022-04-27 2023-12-26 Rolls-Royce Singapore Pte. Ltd. Electrically propelled aircraft with partially rated convert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81343B1 (en) Hybrid power supply device
US9735592B2 (en) Battery control system, battery pack, electronic device
US20030062874A1 (en) Circuit for adjusting charging rate of cells in combination
US10097035B2 (e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unit
KR101698766B1 (ko) 배터리 팩, 이의 충전 방법, 및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KR101916970B1 (ko)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그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US20150008885A1 (en) Battery control system, battery pack, electronic device and charger
JP2008220167A (ja) 直列接続されたエネルギー蓄積装置のための等化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04145400A (zh) 电池控制系统、电池组、电子设备和充电器
US20140312849A1 (en) External battery
KR101632005B1 (ko) 교류방식으로 연결된 셀 밸런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5219652B2 (ja) 電源装置
CN111712988A (zh) 电池组以及其充电控制方法
KR20210047816A (ko) 병렬 연결된 배터리 팩의 밸런싱 장치 및 방법
KR20210047744A (ko) 병렬 멀티 배터리 팩에 포함된 스위치부의 턴온 동작 제어 장치 및 방법
US20200119563A1 (en) Battery management
KR20200085075A (ko) 직렬접속된 2차전지 배터리군의 정파워 출력 회로
JP2009148110A (ja) 充放電器とこれを用いた電源装置
JP4440717B2 (ja) 直流電圧供給装置
US9768633B2 (en) External battery and driving method thereof
JP2003217675A (ja)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の充電方法及び装置
JPH0928042A (ja) 組電池の充電制御装置
US10177567B2 (en) Power supply apparatus and electronic apparatus having the same
KR101509323B1 (ko) 선형 레귤레이터를 이용한 2차 전지 충전회로
KR101973049B1 (ko) 외장 배터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