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8201Y1 - 자동차 배터리의 방전 방지용 경보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배터리의 방전 방지용 경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8201Y1
KR0138201Y1 KR2019940037930U KR19940037930U KR0138201Y1 KR 0138201 Y1 KR0138201 Y1 KR 0138201Y1 KR 2019940037930 U KR2019940037930 U KR 2019940037930U KR 19940037930 U KR19940037930 U KR 19940037930U KR 0138201 Y1 KR0138201 Y1 KR 01382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specific gravity
discharge
alarm
electroly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379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5695U (ko
Inventor
이준엽
Original Assignee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성원
Priority to KR20199400379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8201Y1/ko
Publication of KR96002569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569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82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820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4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for measuring electrolyte level, electrolyte density or electrolyte conductiv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1Circuits relating to the driving or the functioning of the vehicle
    • B60R16/0232Circuits relating to the driving or the functioning of the vehicle for measuring vehicle parameters and indicating critical, abnormal or dangerous condi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644Constructional arrangements
    • G01R31/3646Constructional arrangements for indicating electrical conditions or variables, e.g. visual or audible indica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8Cells or batteries combined with indicating means for external visualization of the condition, e.g. by change of colour or of light dens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90Driver alar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보통 6개의 셀로 이루어진 케이스와, 각 셀마다 양극판, 음극판, 격리판 및 전해액이 들어 있는 자동차용 배터리에 있어서, 배터리의 방전 상태 즉, 전해액의 비중 저하를 감지하여 이를 사전에 운전자에게 인지시켜 줌으로써, 배터리가 완전 방전될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하여, 상기 배터리에 평상시에는 단락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전해액의 비중이 기준치 이하로 내려갈 경우에 접속되는 비중 측정수단을 설치하여, 이를 경보부재와 연결함으로써, 상기 비중 측정수단의 접속시 운전자에게 그 사실을 인지시키게 되는 자동차 배터리의 방전 방지용 경보장치를 제안한다.

Description

자동차 배터리의 방전 방지용 경보장치
제1도는 본 고안에 관계되는 자동차 배터리의 방전 방지용 경보장치를 구성하는 회로도.
제2도는 전해액의 비중과 방전량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배터리 3 : 케이스
7 : 전해액 9 : 플로트
11 : 도전막 13 : 가동단자
15,17 : 고정단자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고안은 자동차 배터리의 방전 방지용 경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운전자에게 배터리 방전의 우려가 있음을 사전에 인지시켜 주기 위해 마련된 배터리의 방전 방지용 경보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배터리는 각 전기장치를 작동하게 하는 배터리와 충전장치의 2계통이 있다. 엔진이 운전하고 있을 경우에는 충전장치인 발전기가 각 전장품에 전력을 공급하고 있으나, 엔진이 정지한 상태이거나 시동을 할 경우에는 충전장치에서 전력을 얻을 수 없기 때문에, 필요한 전원을 배터리에 의존하게 되어 있다.
또, 배터리는 엔진이 운전하고 있을 경우라도 발전기의 출력 부족이나 전압 변동이 생길 경우에, 그를 보상해 주기 위해 전력을 공급하게 된다.
이러한 배터리의 구조는 보통 6개의 셀로 이루어진 케이스가 있고, 각셀마다 양극판, 음극판, 결리판 및 전해액이 들어 있다.
상기 양극판과 음극판의 사이에는 격리판과 유리매트가 끼워져 있으며, 이러한 여러장의 극판은 1개의 셀속에 완전 충전시 대략 2.1V의 전압을 발생시킨다. 이 경우에, 각각의 셀은 직렬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12V의 전압을 발생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배터리는 엔진이 정지된 상태에서 전기장치를 시동하거나 사용을 할 경우에만 방전이 되는 것이 아니고, 자기 방전이나 화학반응시 발생되는 가스 누출로 인한 전해액 감소와 같은 요인에 의해서도 그 충전 용량이 작아지게 되는데, 이를 그대로 방지할 경우 배터리가 완전히 방전되어 시동장치는 물론 모든 전기장치를 사용하지 못하게 되는 일이 종종 발생하게 된다.
[고안의 요약]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배터리의 완전 방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전해액의 비중 저하를 사전에 감지하여 이를 운전자에게 인지시켜 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자동차 배터리의 방전 방지용 경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보통 6개의 셀로 이루어진 케이스와, 각 셀마다 양극판, 음극판, 격리판 및 전해액이 들어 있는 자동차용 배터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배터리에는 평상시 단락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전해액의 비중이 기준치 이하로 내려갈 경우에 접속되는 비중 측정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비중 측정수단의 접속시 이를 운전자에게 인지시키기 위한 경보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한 비중 측정수단은 배터리 케이스의 내부에 수납되어 전해액의 비중에 따라 부유하는 플로트와, 이 플로트에서 케이스의 상측외부로 인출됨과 동시에 그 하측면에 도전막이 형성되어 있는 가동단자와, 케이스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플로트의 하강시 가동단자와 접속되는 고정단자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비중 측정수단은 전해액의 비중이 기준치 이하로 내려갈 경우에, 가동단자와 고정단자가 서로 접속되어 지는 바, 이때 고정단자의 일측에 연결된 경보부재는 고정단자의 타측에 연결된 전원에 의해 점등 혹은 경보음을 발하여, 운전자에게 그 사실을 인지시키게 된다.
[실시예]
이하, 본 고안을 실현하기 위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관계되는 자동차 배터리의 방전 방지용 경보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회로 구성도로서, 도면에서의 설명 부호 1은 배터리 전체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한 배터리(1)는 보통 6개의 셀로 구획된 케이스(3)와 이루어지는 바, 각 셀의 사이에는 격벽(5)이 설치되어져 있다.
이러한 배터리(1)의 각 셀에는 양극판과 음극판, 격리판 및 전해액(7)이 들어 있는데, 이들은 서로 화학적인 반응에 따라 충전 및 방전을 반복하여 행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배터리(1)의 충전상태를 확인하는 방법으로서 통상의 것은 전해액(7)의 비중을 측정하는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배터리(1)의 방전량과 전해액(7)의 비중과의 관계가 제2도에 도표로서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배터리(1)의 방전량은 전해액(7)의 비중값과 직선적으로 비례하여 나타나게 되는 바, 그 전해액(7)의 비중값이 곧 배터리의 방전량이 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전해액(7)의 비중값을 측정하기 위한 비중 측정수단을 마련하여, 상기 비중값이 기준치 이하로 내려갈 경우에, 상기 비중 측정수단에 의해 동작되는 경보부재를 통해, 그 사실을 운전자에게 사전에 인지하게 하여 배터리(1)의 완전 방전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한 비중 측정수단은 배터리 케이스(3)의 내부에 수납되어 전해액(7)의 비중에 따라 부유하는 플로트(9)와, 이 플로트(9)에서 케이스(3)의 상측 외부로 인출됨과 동시에 그 하측면에 도전막(11)에 형성되어 있는 가동단자(13)를 포함하고 있으며, 아울러 상기 케이스(3)의 상측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플로트(9)의 하강시 가동단자(13)와 접속되는 고정단자(15,1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경우에, 상기 일측 고정단자(15)는 전원(B+)과 접속되어 있으며, 타측 고정단자(17)는 경보부재로 되는 표시등(L)과 접속되어 있다. 또, 상기 전원의 (-) 단자와 표시등(L)의 타측 단자는 차체에 어스되어 있다.
상기 플로트(9)는 전해액(7) 상에서 부유가 가능해야 하기 때문에, 상기 전해액(7)의 비중과 동일한 비중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상기 경보부재는 전술한 표시등(L)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부저와 같이 경보음을 발하여 운전자에게 그 사실을 인지시킬 수 있는 것이면 어느 것이든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고안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엔진이 정지된 상태에서 전기장치를 사용하거나 차량에 시동을 거는 경우, 혹은 자기 방전이나 화학반응시 발생되는 가스 누출로 인해 전해액이 감소되는 경우와 같이, 배터리(1)에 임의의 방전이 생기게 되면, 그에 비례하는 전해액(7)의 비중값이 저하되어 지는 바, 이때 상기 비중 측정수단의 플로트(9)는 상기 전해액(7)의 수면을 따라 동시에 내려가게 된다.
이때, 상기 전해액(7)의 비중값이 기준치 이하로 내려가게 되면, 상기 가동단자(13)의 도전막(11)은 2개의 고정단자(15,17)를 서로 접속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전해액(7)의 기준치는 설계상 일정치로 규정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경보부재, 즉, 표시등(L)은 전원(B+)으로부터 전류가 인가되어 점등되어 지는 바, 운전자는 그 사실을 인지하여 전해액 또는 증류수를 보충하여 배터리(1)의 방전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고안의 효과]
이상에서 설명하고 있는 실시예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 배터리의 방전 방지용 경보장치는 기준과 달리, 배터리의 방전량 및 그 사실을 운전자가 사전에 인지하게 됨으로써, 그에 따른 적절한 조치로서 배터리의 완전 방전을 미연에 방지하게 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배터리의 완전 방전에 의한 수명 단축을 억제할 수 있으며, 그 방전에 의한 경제적 손실을 막을 수 있다.
아울러, 본 고안에 의한 경보장치는 실시예를 통하여 주지된 바와 같이, 구성이 간단하고 설치가 용이한 장점을 갖게 된다.

Claims (4)

  1. 복수개의 셀로 구획된 케이스와, 각 셀마다 양극판, 음극판, 격리판 및 전해액이 들어 있는 자동차용 배터리에 있어서, 상기 전해액(7)의 비중이 기준치 이하로 내려갈 경우에, 단속되어 있던 단자를 서로 접속시키는 비중 측정수단과, 이 비중 측정수단의 접속에 의해 온 상태로 되어 운전자에게 그 사실을 인지시키는 경보부재로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배터리의 방전 방지용 경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비중 측정수단은 배터리(1) 케이스(3)의 내부에 수납되어 전해액(7)의 비중에 따라 부유하는 플로트(9)와, 이 플로트(9)에서 케이스(3)의 상측 외부로 인출됨과 동시에 그 하측면에 도전막(11)을 보유하는 가동단자(13)와, 상기 케이스(3)의 상측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플로트(9)의 하강시 가동단자(13)와 접속되는 고정단자(15,17)로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배터리의 방전 방지용 경보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경보부재는 일측 고정단자(17)에 표시등(L)을 연결하고, 타측 고정단자(15)에 전원(B+)을 연결하여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배터리의 방전 방지용 경보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경보부재는 일측 고정단자(17)에 부저를 연결하고, 타측 고정단자(15)에 전원(B+)을 연결하여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배터리의 방전 방지용 경보장치.
KR2019940037930U 1994-12-29 1994-12-29 자동차 배터리의 방전 방지용 경보장치 KR01382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7930U KR0138201Y1 (ko) 1994-12-29 1994-12-29 자동차 배터리의 방전 방지용 경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7930U KR0138201Y1 (ko) 1994-12-29 1994-12-29 자동차 배터리의 방전 방지용 경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5695U KR960025695U (ko) 1996-07-22
KR0138201Y1 true KR0138201Y1 (ko) 1999-05-15

Family

ID=19404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37930U KR0138201Y1 (ko) 1994-12-29 1994-12-29 자동차 배터리의 방전 방지용 경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820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5695U (ko) 1996-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07196B2 (en) Battery having discharge state indication
EP0355461A2 (en) Monitoring device for electric storage battery and configuration therefor
KR102175691B1 (ko) 배터리팩의 배터리셀 등급 판정장치
CN1163759C (zh) 用于管理具有蓄电池的电池组的装置
JPH08185896A (ja) 蓄電池の異常検出装置
KR102655770B1 (ko)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CN107258028A (zh) 用于机动车电池的电池单体、电池和机动车
US20130216877A1 (en) Battery fluid level sensor
JPH11339747A (ja) バッテリのガス排出装置
KR0138201Y1 (ko) 자동차 배터리의 방전 방지용 경보장치
EP0568339B1 (en) Battery comprising cells connected in series
JP2000197277A (ja) 電気二重層コンデンサ内蔵電源装置
KR100391421B1 (ko) 전기 자동차용 초기 전지 잔존 용량 예측방법
JP4656677B2 (ja) 劣化電池検出装置
KR102225222B1 (ko) 무선 충전을 통한 자기 방전을 방지하는 납축전지
JPH0945376A (ja) 密閉型アルカリ2次電池の過放電検出装置
US1558076A (en) Indicating device for storage batteries
KR100230873B1 (ko) 자동차의 배터리 방전 차단시스템
JPH06290817A (ja) 二次電池装置
JP4172531B2 (ja) 劣化電池の検出センサー
SE516191C2 (sv) Pilotcell för batteri
WO2002052672A2 (en) Storage battery with integrated detecton and indicating means
JPH06283211A (ja) 異常警報型バッテリ
WO2023238697A1 (ja) 管理装置、蓄電装置及び電圧シミュレーション方法
KR100204272B1 (ko) 전기자동차용 배터리의 누전차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2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