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1332U - 배터리 증류수 감지장치 - Google Patents

배터리 증류수 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1332U
KR19990031332U KR2019970044043U KR19970044043U KR19990031332U KR 19990031332 U KR19990031332 U KR 19990031332U KR 2019970044043 U KR2019970044043 U KR 2019970044043U KR 19970044043 U KR19970044043 U KR 19970044043U KR 19990031332 U KR19990031332 U KR 1999003133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illed water
ball
battery
touch sensor
wate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440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범은균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700440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1332U/ko
Publication of KR1999003133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1332U/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4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for measuring electrolyte level, electrolyte density or electrolyte conductivit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8Cells or batteries combined with indicating means for external visualization of the condition, e.g. by change of colour or of light densit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illing, Topping-Up Batte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터리의 증류수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볼탑과; 상기 볼탑이 삽입되어 있는 증류수관과; 상기 증류수관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볼탑을 감지하기 위한 볼탑터치센서와; 상기 볼탑터치센서에 의해 감지된 신호를 제어하여 증류수부족을 알리기 위한 제어수단으로 구성되어 증류수가 최저치에 이르면 증류수를 채울 수 있도록 보충등이 밝혀져 운전자에게 알려줌으로서 운전자에게 신뢰감을 줄 수 있고, 안전운행을 도와주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배터리 증류수 감지장치
본 고안은 배터리의 증류수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배터리에 공급되는 증류수의 부족을 감지하여 증류수가 부족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배터리 증류수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각 전기장치를 작동하게 하는 전원으로는 배터리와 충전장치의 2계통이 있고, 엔진 운전중에는 알터네이터에서 전력을 공급하나, 엔진 정지시나 시동시에는 배터리에 의해 전력이 공급된다.
자동차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납산 배터리는 보통 6개의 셀로 이루어진 케이스가 있고 각 셀마다 양극판, 음극판, 격리판 및 전해액이 들어 있다.
양극판과 음극판 사이에는 격리판(부도체)과 유리매트가 끼워져 있고 이러한 여러장의 극판은 1개의 셀속에 완전 충전시 약 2.1V의전압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셀이 6개인 경우에는 12V의 전압을 발생시킬 수 있다.
전해액은 황산을 증류수로 희석시킨 무색,무취의 묽은 황산으로 극판과 접촉하여 셀 내부의 전류 전도 작용과 전류를 발생시키거나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전해액 비중은 섭씨 20도를 기준으로 하여 완전 충전되었을 때 1.280을 표준으로 하고 있으며, 1.200이면 보충전 해주어야 한다.
근간의 승용차에서는 보통 배터리의 단점은 자기 방전과, 화학 반응시 발생하는 가스로 인한 전해액 감소 등을 개선한 MF(Maintence Free) 배터리를 고가임에도 불구하고 사용하는 경향이 많다. 이것은 증류수 보충이 거의 필요가 없고 자기방전이 적으며 장기간 보존도 가능한 특징이 있다. 또한 배터리의 충전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배터리 상단 부위에 표시기가 설치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배터리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로서, 단자(10)가 배터리 케이스(12)의 상부에 돌출 설치되어 있고, 그 내부에는 음극판(14)과 양극판(16)이 서로 번갈아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의 배터리는 차량의 운행시 증류수의 부족으로 인하여 충전이 되지 않을 경우에는 차량의 운행자들에게 큰 불편이 따랐으며, 운전자들이 일일이 육안으로 관찰할 수 없었고, 이로 인하여 차량의 안전운행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의 배터리 증류수 감지장치는 차량운행시 제일 중요한 배터리의 증류수가 부족하지 않도록 하여 배터리의 충전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운전자들의 안전운행을 도와주기 위한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배터리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배터리 증류수 감지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단자 12 ; 배터리 케이스
14 ; 음극판 16 ; 양극판
18 ; 볼탑터치센서 20 ; 제어수단
22 ; 계기판 24 ; 보충등
26 ; 증류수관 28 ; 볼탑
A ; 증류수 최저치의 위치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볼탑과; 상기 볼탑이 삽입되어 있는 증류수관과; 상기 증류수관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볼탑을 감지하기 위한 볼탑터치센서와; 상기 볼탑터치센서에 의해 감지된 신호를 제어하여 증류수부족을 알리기 위한 제어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 그리고 그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은, 볼탑(28)과; 상기 볼탑(28)이 삽입되어 있는 증류수관(26)과; 상기 증류수관(26)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볼탑(28)을 감지하기 위한 볼탑터치센서(18)와; 상기 볼탑터치센서(18)에 의해 감지된 신호를 제어하여 증류수부족을 알리기 위한 제어수단(20)으로 구성된다.
상기 볼탑터치센서(18)는 배터리에 필요한 증류수 최저치의 위치에 설치한다.
상기 볼탑터치센서(18)에 의해 감지된 신호를 받은 제어수단(20)의 제어에 의해 증류수 부족을 표시하기 위한 보충등(24)이 설치된다.
도 2는 본 고안의 배터리 증류수 감지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배터리 케이스(12)의 상부에 돌출되도록 설치된 단자(10)와, 상기 배터리 케이스(12)의 내부에 설치된 음극판(14)과, 그 음극판(14)와 번갈아 설치된 양극판(16)과, 그 양극판(16)의 일측에 설치되고 증류수를 공급하기 위한 증류수관(26)으로 구성되어 상기 증류수관(26)의 내부에 원형의 부유성을 가진 볼탑(28)이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한다.
상기 증류수관(26)의 내부에는 볼탑터치센서(18)가 배터리가 필요로 하는 증류수의 최저치에 이르는 위치(A)에 설치되어 있고, 제어수단(20)이 상기 볼탑터치센서(18)의 일측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어수단(20)은 볼탑터치센서(18)가 증류수를 감지하면, 그 신호를 받아서 계기판(22)에 있는 증류수 보충을 알려주는 보충등(24)을 켜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용은, 배터리 내부에 채워져 있는 증류수의 양이 점점 줄어듬에 따라 상기 볼탑(28)이 증류수관(26)을 따라 내려오고, 상기 증류수관(26)의 내저부에 설치된 볼탑터치센서(18)와 접촉이 이루어지면, 상기 볼탑터치센서(18)가 전기적인 신호를 제어수단(20)에 보내게 되고, 그 감지된 신호를 수신한 제어수단(20)은 계기판(22)에 있는 보충등(24)을 점등시키므로서 운전자가 증류수의 부족을 확인하게 되어 증류수를 보충함으로서 증류수 부족으로 인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본 고안의 배터리 증류수 감지장치는 증류수가 최저치에 이르면 증류수를 채울 수 있도록 보충등이 밝혀져 운전자에게 알려줌으로서 운전자에게 신뢰감을 줄 수 있고, 안전운행을 도와주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볼탑과; 상기 볼탑이 삽입되어 있는 증류수관과; 상기 증류수관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볼탑을 감지하기 위한 볼탑터치센서와; 상기 볼탑터치센서에 의해 감지된 신호를 제어하여 증류수부족을 알리기 위한 제어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증류수 감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볼탑 터치센서는 배터리에 필요한 증류수 최저치의 위치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증류수 감지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볼탑터치센서에 의해 감지된 신호를 받은 제어수단의 제어에 의해 증류수 부족을 표시하기 위한 보충등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증류수 감지장치.
KR2019970044043U 1997-12-30 1997-12-30 배터리 증류수 감지장치 KR1999003133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4043U KR19990031332U (ko) 1997-12-30 1997-12-30 배터리 증류수 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4043U KR19990031332U (ko) 1997-12-30 1997-12-30 배터리 증류수 감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1332U true KR19990031332U (ko) 1999-07-26

Family

ID=69696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44043U KR19990031332U (ko) 1997-12-30 1997-12-30 배터리 증류수 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31332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04433A (en) Capacity indicator for lead-acid batteries
CN106998085A (zh) 蓄电装置以及蓄电元件的不当使用判断方法
CN112550071A (zh) 用于电动车辆的防亏电系统和车辆
KR19990031332U (ko) 배터리 증류수 감지장치
CN108963391B (zh) 一种金属空气电池
CN215008389U (zh) 防水垫圈及电池包
KR100984291B1 (ko) 배터리 전해액 강제순환 보충냉각 장치
KR19980041499U (ko) 차량의 배터리전해액 부족 경고장치
KR0138201Y1 (ko) 자동차 배터리의 방전 방지용 경보장치
KR960013949B1 (ko) 자동차용 배터리 충전상태 표시기
CN218414733U (zh) 一种带有过度充电提醒的锂电池
CN219476867U (zh) 一种具有防护功能的电池包
KR100192225B1 (ko) 충전전압 곡률감지에 의한 전기자동차 배터리의 충전종지장치
KR970003753Y1 (ko) 축전지의 부표식 전해액량 표시구
KR200162475Y1 (ko) 배터리의 단자이탈방지장치
RU2091925C1 (ru) Устройство индикации состояния аккумулятора
WO2002052672A2 (en) Storage battery with integrated detecton and indicating means
JPH065122U (ja) 蓄電池状態検出装置
CN211698109U (zh) 一种电动汽车电池组电池电量检测装置
KR20200046402A (ko) 납축전지 수명종지 여부 파악을 위한 광섬유 인디케이터
JP4774713B2 (ja) 蓄電池の過充電防止装置
KR102184936B1 (ko) 자동차용 연축전지에 내장 가능한 배터리 센서의 장착 구조
KR200161078Y1 (ko) 자동차용 전기장치의 축전지
CN116937730A (zh) 一种基于余电量的电池切换设备
KR19980019667U (ko) 배터리 완전방전 방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