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1464A - 자동차용 시트 벨트 고정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시트 벨트 고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1464A
KR19980041464A KR1019960060767A KR19960060767A KR19980041464A KR 19980041464 A KR19980041464 A KR 19980041464A KR 1019960060767 A KR1019960060767 A KR 1019960060767A KR 19960060767 A KR19960060767 A KR 19960060767A KR 19980041464 A KR19980041464 A KR 199800414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belt
panel
fixing
side seal
inner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0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0174413B1 (ko
Inventor
홍성호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10199600607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4413B1/ko
Publication of KR199800414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14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44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44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055Padded or energy-absorbing fittings, e.g. seat belt anch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2Side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트 벨트를 고정하는 고정 브라켓과 보강패널 사이에 충격 흡수용 완충재를 부착하여 결합함으로써, 충돌 사고시에 충격 에너지를 흡수하여 인체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자동차용 시트 벨트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 이것은 사이드 실 내측패널(28)과 보강패널(26)사이에는 허니콤 구조의 완충재(32)를 삽입한 다음, 사이드 실 내측패널(28)과 완충재(32) 및 보강패널(26)을 차례로 관통하는 앵커볼트(34)에 의해 고정 브라켓(22)을 견고히 고정함으로써, 시트 벨트(20)의 장력을 흡수하여 충격을 완화시킨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시트 벨트 고정구조
본 발명은 자동차용 시트 벨트에 관한 것으로, 시트 벨트를 고정하는 고정 브라켓과 보강패널 사이에 충격 흡수용 완충재를 부착하여 결합함으로써, 충돌 사고시에 충격 에너지를 흡수하여 인체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자동차용 시트 벨트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용 차량의 플로어(floor)에는 프론트 시트와 리어 시트가 장착되어 있으며, 프론트 시트는 주로 분리식을 채용하는 반면, 리어 시트는 2개의 좌석이 일체로 결합된 벤치식을 채용하고 있다.
시트의 등받이 부분인 시트 백의 상부에는 차량의 후방 충돌이나 급발진시의 충격으로부터 승객의 목부분을 안전하게 보호함과 동시에, 머리를 기대고 쉴 수 있도록 헤드레스트(headrest)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들 시트에는 충돌 사고시, 탑승자가 충격에 의해 외부로 튀어 나가는 것을 막기 위한 시트 벨트가 설치되어 있는 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첨부한 도 1을 참고로 종래의 차량용 시트 벨트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시트 벨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로, 통상, 자동차의 시트는 승객이 앉는 부분인 시트 쿠션(1)과, 시트 쿠션(1)에 앉아 등을 기대는 부분인 시트 백(2)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시트 백(2)의 상부에는 머리를 기댈 수 있는 헤드레스트(3)가 수납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한, 버클(4)에 삽입되어 충돌 사고시에 탑승자를 안전하게 보호하는 시트 벨트(5)는 내측 센터 필러(6)에 고정된 행거(7)에 의해 인출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도 2는 이러한 자동차용 시트에 있어서, 고정 브라켓(8)을 이용하여 시트 벨트(5)의 일단을 차체에 고정하는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시트 벨트(5)는 고정 브라켓(10)의 걸이홈(10a)에 삽입되어 있으며, 고정 브라켓(10)은 사이드 실 내측패널(12)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사이드 실 내측패널(12)과 사이드 실 외측패널(11)간에는 보강패널(13)이 용접에 의해 결합되어 있으며, 하부에는 플로어 패널(14)이 용접되어 있다.
조립시에는 시트 벨트(5)를 고정 브라켓(10)의 걸이홈(10a)에 끼운 상태에서, 앵커볼트(15)를 고정 브라켓(10)에 삽입한 다음, 풀림방지를 위한 와셔(17)를 끼운 후에, 너트(16)를 체결하여 사이드 실 내측패널(12)에 견고히 고정한다.
이러한 구성을 지닌 종래의 자동차용 시트 벨트에서는 충돌사고가 발생하는 경우에, 시트 벨트의 높은 장력(tension)이 탑승자의 신체에 직접적으로 가해지므로, 시트 벨트와 접촉하고 있는 가슴 부분을 비롯하여, 대시보드와 충돌하게 되는 무릎 부위에 큰 상처를 줄 우려가 있다. 특히, 시트 벨트가 삽입되는 고정대를 차체에 고정하고 있는 고정 브라켓 자체로는 에너지를 흡수할 수 없기 때문에, 머리 부분이 프론트 윈드 실드에 2차로 충돌하는 경우에는 탑승자에게 치명적인 상처를 주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시트 벨트를 고정하는 고정 브라켓과 보강패널 사이에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완충재를 배치한 다음, 앵커볼트를 체결하여 결합함으로써, 시트 벨트를 통해 인체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켜 인명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자동차용 시트 벨트 고정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의 시트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시트 벨트의 고정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 벨트의 고정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도 3에서 선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벨트에 가해진 힘과 완충재의 압축된 거리에 따라 변화되는 흡수 에너지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시트 벨트22: 고정 브라켓
24: 사이드 실 외측패널26: 보강패널
28: 사이드 실 내측패널30: 플로어 패널
32: 완충재34: 앵커볼트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시트 벨트가 삽입되는 걸이홈을 지닌 고정 브라켓과, 사이드 실 외측패널과 사이드 실 내측패널 간에 배치된 보강패널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시트 벨트 고정구조에 있어서, 사이드 실 내측패널과 보강패널 사이에는 허니콤 구조의 완충재가 삽입되며, 사이드 실 내측패널과 완충재 및 보강패널을 차례로 관통하는 앵커볼트에 의해 고정 브라켓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 벨트 고정구조에 의해서 달성된다.
이하, 첨부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 벨트 고정구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 벨트의 고정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에서 선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벨트에 가해진 힘과 완충재의 압축된 거리에 따라 변화되는 흡수 에너지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먼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시트 벨트의 고정구조에서는 시트 벨트(20)의 일단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 브라켓(22)을 사이드 내측패널(28)에만 고정시킨 종래의 고정구조와는 달리, 고정 브라켓(22)을 사이드 내측패널(28) 및 보강패널(26)을 이용하여 고정하는 구조를 채택하였다.
또한, 충돌 사고시에 시트 벨트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대한 흡수하기 위하여, 사이드 실 내측패널(28)과 보강패널(26)사이에는 완충재(32)를 삽입하였다. 이때, 고정 브라켓(22)에는 앵커볼트(34)를 삽입한 다음, 이 앵커볼트(34)를 다시, 사이드 실 내측패널(28)과 완충재(32) 및 보강패널(26)을 차례로 관통시켜 너트(36)로 체결함으로써, 견고하게 고정하였다.
보강패널(26)은 용접에 의해 사이드 실 외측패널(24)과 사이드 실 내측패널(28)사이에 결합되어 있으며, 사이드 실 외측패널(24)과 사이드 실 내측패널(28)이 접합되어 있는 하단에는 플로어 패널(30)이 부착되어 있다.
도 4는 도 3에서 선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로, 이것은 본 발명에서 채용한 완충재의 단면구조를 나타낸다.
도시한 바와 같이, 통상 스틸로 제조하는 보강재의 단면은 벌집 모양의 허니콤(honeycomb)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시트 벨트(20)에 강한 장력이 작용하게 되면, 완충재(32)를 구성하고 있는 허니콤 격자(32a)가 차례대로 압축되면서, 충격 에너지를 흡수하게 된다.
도 5는 시트 벨트(20)를 통해 가해지는 장력과 완충재가 압축된 거리에 따라 변화되는 흡수 에너지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완충재의 작용에 의해 얻을 수 있는 흡수 에너지(E)는 도 3에서 화살표 방향(P)을 따라 가해지는 장력(F)과 완충재(32)가 압축되는 거리(d)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시트 벨트(20)에 걸리는 힘(F)이 4KN이고, 완충재가 압축된 거리(d)가 80㎜라면, 이때, 얻을 수 있는 흡수 에너지(E)는 0.32KN·m가 된다. 이를, 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수학식 1]
Eabs=F(KN)·d(m)=4KN·0.08m=0.32KN·m
이것을 바탕으로 그래프로 표시하면 도 5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여기에서, X축은 압축된 거리(d)를 나타내며, Y축은 시트 벨트를 통해 가해진 장력(T)을 표시한다. 그래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허니콤 구조를 지닌 완충재에 의해 시트 벨트의 장력을 흡수하여 탑승자에게 가해지는 충격을 최대한 줄임으로써, 인체의 상해정도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이상으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하면, 시트 벨트를 고정하는 고정 브라켓과 보강패널 사이에 끼워진 완충재에 의해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시트 벨트를 통해 탑승자에게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하여 인명피해를 줄이는 이점을 제공한다.

Claims (1)

  1. 시트 벨트(20)가 삽입되는 걸이홈(22a)을 지닌 고정 브라켓(22)과, 사이드 실 외측패널(24)과 사이드 실 내측패널(28)간에 배치된 보강패널(26)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시트 벨트 고정구조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실 내측패널(28)과 상기 보강패널(26)사이에는 허니콤 구조의 완충재(32)가 삽입되며, 상기 사이드 실 내측패널(28)과 상기 완충재(32) 및 상기 보강패널(26)을 차례로 관통하는 앵커볼트(34)에 의해 상기 고정 브라켓(22)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 벨트 고정구조.
KR1019960060767A 1996-11-30 1996-11-30 자동차용 시트 벨트 고정구조 KR01744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0767A KR0174413B1 (ko) 1996-11-30 1996-11-30 자동차용 시트 벨트 고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0767A KR0174413B1 (ko) 1996-11-30 1996-11-30 자동차용 시트 벨트 고정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1464A true KR19980041464A (ko) 1998-08-17
KR0174413B1 KR0174413B1 (ko) 1999-10-01

Family

ID=19485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0767A KR0174413B1 (ko) 1996-11-30 1996-11-30 자동차용 시트 벨트 고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441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6960B1 (ko) 2006-09-14 2007-09-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시트벨트 하부 고정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6960B1 (ko) 2006-09-14 2007-09-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시트벨트 하부 고정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74413B1 (ko) 1999-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27167A (en) Method to safely restrain occupants in a crashing vehicle and a seat constructed to perform said method
US4272103A (en) Lateral protection of motor vehicles
JP5444256B2 (ja) 乗用車ドア用2点保護パッド
JP2002283891A (ja) 車両用シートにおけるシートバックフレーム
KR102648736B1 (ko) 자동차용 에어백 장치, 그리고 에어백 장치용 에어백 쿠션
US3961805A (en) Safety system for the occupants of vehicles, especially motor vehicles
KR0174413B1 (ko) 자동차용 시트 벨트 고정구조
JP4271055B2 (ja) 車両用シートベルト装置支持構造
US5857751A (en) Airbag barrier cage
KR0174411B1 (ko) 자동차용 시트 벨트 고정구조
JP2002283892A (ja) 車両用シートにおけるシートバックフレーム
KR100422694B1 (ko) 차량용 시트백의 결합구조
JP3772447B2 (ja) 自動車のドア構造
KR0123274Y1 (ko) 자동차용 안전벨트의 앵커취부구조
KR0116012Y1 (ko) 자동차용 도어 측면충격흡수장치
JP2002283893A (ja) 車両用シートにおけるシートバックフレーム
KR0130817Y1 (ko) 자동차용 리어 시트 벨트의 고정용 너트
KR100222352B1 (ko) 자동차 전방측면 충돌시 운전석 무릎 보호장치
KR100710671B1 (ko) 자동차의 글로브 박스용 니볼스터
KR19980029309U (ko) 차량의 조수석 무릎충돌부 완충구조
JPH0131566Y2 (ko)
KR20050037130A (ko) 리어시트의 3점식 시트벨트 보강부재
KR19990033342U (ko) 자동차 시트벨트의 충격흡수장치
KR19980038282U (ko) 자동차 도어의 충격흡수빔구조
JPH04129858A (ja) 自動車のニープロテクター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27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