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1180U - 세탁기 모터의 구속 감지장치 - Google Patents

세탁기 모터의 구속 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1180U
KR19980041180U KR2019960054272U KR19960054272U KR19980041180U KR 19980041180 U KR19980041180 U KR 19980041180U KR 2019960054272 U KR2019960054272 U KR 2019960054272U KR 19960054272 U KR19960054272 U KR 19960054272U KR 19980041180 U KR19980041180 U KR 1998004118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washing machine
washing
current
tria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542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현철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20199600542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41180U/ko
Publication of KR1998004118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1180U/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47Responding to irregular working conditions, e.g. malfunctioning of pum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3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ctric mot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46Drum speed; Actuation of motors, e.g. starting or interrupt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8Indications or alarms to the control system or to the user
    • D06F2105/60Audible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세탁물이 세탁조의 회전축에 끼어 모터가 구속될 때 경고음을 발생시키고 이어 모터의 작동을 중지시키도록 하는 세탁기 모터의 구속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모터구속시 세탁이 않된상태로 세탁행정이 종료되어 소비자는 이유도모르는 불만을 갖게 되고 심한 경우에는 모터의 과열로 화재의 위험성이 존재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세탁기 모터(22)의 전원공급라인에 세탁기 모터(22)에 흐르는 전류량을 검출하는 전류검출부(28)와 세탁기 모터(22)에 흐르는 전류의 공급과 차단을 스위칭하는 트라이악(30)이 각각 연결되고, 상기 트라이악(30)의 게이트에는 트라이악구동부(32)를 매개로 마이크로프로세서(34)가 연결되는 한편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34)는 전류검출부(28)를 통해 입력되는 전류데이타가 사전에 설정되어 있는 기준전류량 이상으로 기준시간 이상 흐르는 것으로 판단되면 경고음발생부(36)를 동작시킴과 동시에 트라이악구동부(30)를 통해 모터(22) 전원을 차단하도록 이루어진 고안임.

Description

세탁기 모터의 구속 감지장치
본 고안은 세탁기의 세탁과정중 세탁물이 세탁조와 펄쉐이터 또는 내부케이스등에 끼이어 세탁조의 회전을 방해함으로써 모터가 구속될 때 이를 감지하는 세탁기 모터의 구속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세탁물이 모터의 회전을 방해하는 방향으로 끼여 모터의 회전이 원활하지 못할 때 모터에 흐르는 전류량을 체크하여 모터의 구속여부를 감지하도록 하는 세탁기 모터의 구속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세탁물이 들어 있는 세탁조에 물을 넣고 모터의 구동력으로 세탁조를 회전시켜 세탁작용이 이루어지도록 된 가전기기로서, 그 기본적인 구성을 예시도면 도 1에 도시된 세탁기의 단면도를 통해 살펴보면, 세탁기(10)의 외부케이스(12)내에 내부케이스(14)가 장착되어 있고, 내부케이스(14)의 안쪽으로는 세탁조(16)가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세탁조(16)는 기어메카니즘(18)의 회전축(20)에 결합되어 있고, 기어메카니즘(18)은 모터(22)로 부터 벨트(24)를 통해 회전력을 전달받아 그 회전축(20)이 회전됨으로써 세탁조(16)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세탁조(16)를 중심으로 상단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세탁을 위한 물을 세탁조(16)에 급수하기 위한 급수장치가 설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세탁을 위한 세제를 공급하는 세제 공급장치가 설치되어 있으며, 하단에는 세탁으로 인해 발생한 오수를 배수하기 위한 배수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세탁시에는 세탁조(16)에 있는 세탁물을 펄쉐이터(26) 또는 펄쉐이터(26)와 세탁조(16)가 회전되면서 세탁작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세탁작용중에는 세탁조(16)와 펄쉐이터(26)가 별개의 개체로서 분리되어 각각 회전되고 있기 때문에 세탁조(16)와 펄쉐이터(26)간에 제작공차에 의해 틈이 발생되며 이 틈사이로 세탁물이 끼일 수도 있다.
또한 세탁조(16)와 내부케이스(14)의 각 상단간에는 구조적으로 일정 간격의 틈이 형성되어 있는데, 세탁조(16)내에 세탁물이 과다하여 세탁조(16)가 회전될 때 작은 세탁물이 세탁조(16)를 넘어 세탁조(16)와 내부케이스(14)사이의 틈새로 빠지게 되면 이는 세탁조(16)의 저면에서 기어메카니즘(18)의 회전축(20)에 끼일 수도 있다.
세탁이나 헹굼 또는 탈수동작에서는 모터(22)가 회전되어 기어메카니즘(18)을 통해 세탁조(16)를 회전시킴으로써 소정의 작용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세탁조(16)를 회전시키는 기어메카니즘(18)의 회전축(20)에 세탁물이 끼이게 되면 세탁조(16)가 원활하게 회전될 수 없으며, 세탁조(16)가 원활하게 회전되지 못하면 벨트(24)를 통해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22)도 원활하게 회전되지 못하게 된다.
그러나 모터(22)는 모터(22)에 인가되는 전류에 따라 회전되는 것으로서 고정자와 회전자로 이루어져 있는데 앞서와 같은 이유로 회전자가 회전되지 못하는 모터구속상태가 발생되면 고정자화 회전자에 과부하가 걸려 고정자와 회전자에 귄취된 코일에 열이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상태가 장시간 지속되거나 구속상태가 큰 경우에는 짧은 시간일지라도 발생열이 높아 화재의 위험성이 있다.
또한 세탁물의 끼임으로 모터에 구속사태가 발생되어도 세탁행정에 설정된 시간은 계속 진행되어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세탁작용은 종료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에는 세탁조가 별로 회전되지 못하였으므로 세탁행정에 설정된 시간만 경과되었지 실제 세탁은 이루어지지 않았으므로 소비자들은 불만을 갖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세탁기 모터가 구속되어 세탁조가 원활하게 회전되지 않을지라도 항상 세탁기 모터에 공급되는 전류량을 체크하여 세탁행정에 설정된 전류량보다 많은 전류가 설정된 시간 이상 흐르는 것이 감지되면 세탁물의 끼임에 의한 모터구속상태라고 판단되어 모터의 전원을 차단하고 경고음을 발생시켜 사용자에게 알려주도록 된 세탁기 모터의 구속 감지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고안의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세탁기 모터, 세탁기 모터에 흐르는 전류량을 검출하는 수단, 상기 모터에 흐르는 전류의 공급 및 차단을 제어할 수 있는 스위칭수단, 상기 전류검출수단으로 부터의 검출데이타를 입력받아 사전에 설정되어 있던 기준조건과 비교한 후 모터구속상태라 판단되면 상기 스위칭수단으로 모터로의 전원공급을 차단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송출하는 제어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도 1은 세탁기 모터의 구속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세탁기의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세탁기 모터의 구속 감지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세탁기,12 - 외부케이스,
14 - 내부케이스,16 - 세탁조,
18 - 기어메카니즘,20 - 회전축,
22 - 모터,24 - 벨트,
26 - 펄쉐이터,32 - 트라이악구동부,
34 - 마이크로프로세서,36 - 경고음발생부.
이하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세탁기 모터(22)의 전원공급라인에 세탁기 모터(22)에 흐르는 전류량을 검출하는 전류검출부(28)와 세탁기 모터(22)에 흐르는 전류의 공급과 차단을 스위칭하는 트라이악(30)이 각각 연결되고, 상기 트라이악(30)의 게이트에는 트라이악구동부(32)를 매개로 마이크로프로세서(34)가 연결되는 한편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34)는 전류검출부(28)를 통해 입력되는 전류데이타가 사전에 설정되어 있는 기준전류량 이상으로 기준시간 이상 흐르는 것으로 판단되면 경고음발생부(36)를 동작시킴과 동시에 트라이악구동부(30)를 통해 모터(22) 전원을 차단하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세탁기 모터(22)에는 그의 전원선로에 트라이악(30)이 연결되어 트라이악(30)의 동작에 따라 전원이 공급 또는 차단되도록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트라이악(30)의 게이트에는 트라이악구동부(32)를 통해 마이크로프로세서(34)가 연결되어 있어서 마이크로프로세서(34)에 미리 설정되어 있던 프로그램 또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마이크로프로세서(34)에 연결되는 키조작부에 의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마이크로프로세서(34)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그 스위칭동작이 제어되는 것이다.
마이크로프로세서(34)에는 기본적으로 세탁을 위한 세탁, 헹굼, 탈수, 배수 행정에 대한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어 세탁이나 헹굼, 탈수행정에서는 모터(22)의 회전을 위해 트라이악구동부(32)로 제어신호를 송출하여 트라이악(30)을 구동시키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한편, 전류검출부(28)는 모터(22)에 전류가 흐를때 모터(22)의 전원공급라인에 흐르는 전류량을 검출하여 그 결과를 마이크로프로세서(34)에 인가하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모터구속 감지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마이크로프로세서(34)는 모터(22)를 동작시키기 위한 세탁행정이 진행되는 동안에는 트라이악구동부(32)의 제어를 통해 모터(22)를 동작시키면서 전류검출부(28)로 부터 입력되는 모터(22) 전원공급라인의 전류량을 감지한다.
이때 감지되는 전류량이 모터(22)의 구속상태라고 판단되는 기준전류량으로서 예컨대 6A이상 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감지전류량이 6A이상 된다고 판단되면 다시 6A이상 전류가 흐르는 시간을 감지한다.
또한 위와 같이 6A이상 전류가 흐르는 시간을 감지하여 그 감지시간이 미리 설정해 놓은 기준시간으로서 예컨대 4초 이상 흐르는 것으로 판단되면 현재 모터(22)가 구속상태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경고음발생부(36)를 작동시켜 경고음을 발생시킨다.
그리고 나서 또다시 모터(22)에 흐르는 전류량이 6A이상 흐르고 있다고 판단되면 모터(22)의 과열로 인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 모터(22)를 오프시킨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세탁물이 세탁조의 회전축에 끼여 모터가 구속되고나서 부터 짧은 시간 이내에 모터구속을 감지하여 경보음을 작동시켜 사용자에게 알려줌과 더불어 기준시간 이상 모터구속상태가 지속될 때에는 모터의 작동을 중지시켜 과부하에 따른 모터의 파손을 방지하고 화재위험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세탁기 모터(22)의 전원공급라인에 세탁기 모터(22)에 흐르는 전류량을 검출하는 전류검출부(28)와 세탁기 모터(22)에 흐르는 전류의 공급과 차단을 스위칭하는 트라이악(30)이 각각 연결되고, 상기 트라이악(30)의 게이트에는 트라이악구동부(32)를 매개로 마이크로프로세서(34)가 연결되는 한편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34)는 전류검출부(28)를 통해 입력되는 전류데이타가 사전에 설정되어 있는 기준전류량 이상으로 기준시간 이상 흐르는 것으로 판단되면 경고음발생부(36)를 동작시킴과 동시에 트라이악구동부(30)를 통해 모터(22) 전원을 차단하도록 이루어진 세탁기 모터의 구속 감지장치.
KR2019960054272U 1996-12-23 1996-12-23 세탁기 모터의 구속 감지장치 KR1998004118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4272U KR19980041180U (ko) 1996-12-23 1996-12-23 세탁기 모터의 구속 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4272U KR19980041180U (ko) 1996-12-23 1996-12-23 세탁기 모터의 구속 감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1180U true KR19980041180U (ko) 1998-09-15

Family

ID=53994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54272U KR19980041180U (ko) 1996-12-23 1996-12-23 세탁기 모터의 구속 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41180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22974B2 (ja) 洗濯機
US4676077A (en) Washing machine
JP2007117136A (ja) ドラム式洗濯機
CA2622137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redundancy in monitoring the lid switch and basket of a washing machine
JP4581922B2 (ja) ドラム式洗濯機
JP2000202190A (ja) 洗濯機の扉開放安全装置
KR19980041180U (ko) 세탁기 모터의 구속 감지장치
JP2627358B2 (ja) ドラム式洗濯機
KR0160413B1 (ko) 세탁기의 자동도어 개폐장치의 제어방법
JP4806436B2 (ja) 洗濯機
JP3788630B2 (ja) 洗濯機および洗濯機の運転制御方法
KR100474902B1 (ko) 세탁기의 클러치 이상감지장치 및 방법
JP4162580B2 (ja) 乾燥機能付き洗濯機
KR100281768B1 (ko) 세탁기의 도어개방시 내조를 정지시키는 제어장치 및 그제어방법
KR100442373B1 (ko) 세탁기의모터제어장치및방법
KR19980039510A (ko) 세탁기 모터의 부하 제어방법 및 부하 제어장치
JPH07144087A (ja) 洗濯機
JPH06126088A (ja) 洗濯機のトルクモーターの動作検知方法
JP2001276471A (ja) 洗濯機の運転制御方法
KR100652480B1 (ko) 드럼 세탁기의 세탁수 회전방지장치
JP2005312569A (ja) 洗濯機
KR100998904B1 (ko) 비엘디시 모터를 구비한 세탁기의 제동에너지 제어장치 및그 제어방법
KR100605733B1 (ko) 드럼 세탁기의 탈수 제어장치 및 방법
KR20030012412A (ko) 세탁기의 커플링 위치감지 장치
KR20030089091A (ko) 세탁기의 제어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