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0982A - 리튬전지(Li/MnO₂Battery)의 방향전환이송장치. - Google Patents

리튬전지(Li/MnO₂Battery)의 방향전환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0982A
KR19980040982A KR1019960060238A KR19960060238A KR19980040982A KR 19980040982 A KR19980040982 A KR 19980040982A KR 1019960060238 A KR1019960060238 A KR 1019960060238A KR 19960060238 A KR19960060238 A KR 19960060238A KR 19980040982 A KR19980040982 A KR 199800409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thium battery
redirection
transfer device
guid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0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16171B1 (ko
Inventor
최병희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10199600602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6171B1/ko
Publication of KR199800409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09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61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61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84Star-shaped wheels or devices having endless travelling belts or chains, the wheels or devices being equipped with article-engaging elements
    • B65G47/846Star-shaped wheels or wheels equipped with article-engag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34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 B65G47/44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04Machines for assembling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6/00Prim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6/005Devices for making primary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6/00Prim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6/14Cell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imary Cells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튬전지(Li/MnO₂Battery)를 생산하는 공정중에서 수평상태로 이송되어오는 리튬전지를 직립시켜 하나씩 공급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하는 리튬전지의 방향전환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리튬전지(Li/MnO₂Battery)를 생산하는 공정중에서 수평상태로 이송되어오는 리튬전지를 직립시켜 하나씩 공급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하는 리튬전지의 방향전환 이송장치에 관한 것인바,
수평상태로 눕혀져 공급되는 리튬전지(1)가 방향전환공급장치(10)를 통과되면서 직립상태로 변위되어 전후 차기공정으로 이송되어지므로 리튬전지(1)를 단속적으로 공급시킬 수 있고 따라서 차기공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여 주므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구조가 간단하고 단조롭게 작동되므로 고장이 발생할 염려가 전혀 없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리튬전지(Li/MnO₂Battery)의 방향전환이송장치.
본 발명은 리튬전지(Li/MnO₂Battery)를 생산하는 공정중에서 수평상태로 이송되어오는 리튬전지를 직립시켜 하나씩 공급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하는 리튬전지의 방향전환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벨트콘베이어에 의해 수평상태로 이송되어오는 반제품의 리튬전지가 슈트에 의해 직하방으로 낙하되어질 수 있도록 하고 수평 낙하되는 리튬전지가 단속적으로 회전되는 방향전환장치를 통과할 때 수평상태에서 수직의 직립상태로 전환되어진 후 방향전환장치와 중첩되게 설치되는 이송장치에 의해 이송되어지도록 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중하부판이 구비된 방향전환장치에서 상하부판이 동일방향으로 동일하게 회전되어지도록 하여 상부판의 안치홈에 수평상태로 낙하된 리튬전지가 상.하부판의 단속적인 회전에 의해 회전 이동될 때 방향전환용의 중간판에 의해 직립 상태로 전환되어지고 직립된 리튬전지는 하부판의 안치홈에 안치되어 직립상태가 지속되어지도록 하였으며, 직립된 리튬전지는 상기 방향전환공급장치의 상.하부판과 중첩되어지도록 설치된 이송장치의 인덱스테이블로 전이되어져 이송되어지도록 하되 이송장치에서는 예컨데 상부링과 같은 부품을 삽입시킨 후 배출시켜 벨트콘베이어에 의해 차기공정으로 이송되어질 수 있도록 된 그러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반제품의 리튬전지(1)에 상부링(2)을 자동으로 삽입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수평으로 뉘어져 이송되는 리튬전지(1)를 수직의 직립상태로 세워서 공급시켜줄 수 있도록 하는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그런데 종래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부링(2)이 담아져 있는 상자(6)를 작업자(3)의 옆에 놓아둔 상태에서 작업자(3)는 벨트콘베이어(4)의 작동에 의해 가이드(4-1)를 따라 이송되어지는 리튬전지(1)를 한손으로 파지하고 다른 손으로는 상자(6)에 있는 상부링(2)을 파지하여 상부링(2)을 리튬전지(1)에 삽입시킨 후 벨트콘베이어(5)의 가이드(5-1)내에 안치하여 차기공정으로 이송되어지도록 하였다.
이와같이 인위적인 방법에 의해 상부링(2)을 삽입시키는 방법은 작업자(3)의 숙련도에 따라 작업속도가 달라지기 때문에 전후공정을 유기적으로 연계시킬 수가 없고, 따라서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부링(2)의 삽입상태가 불균일하여 이송도중에 상부링(2)이 망실되는 현상도 발생하게 되어 차기공정에서는 작업이 지연되는 문제가 있었으며, 특히 생산라인을 자동화하는데 큰 장애가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리튬전지(Li/MnO₂Battery)의 방향 전환 이송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리튬전지의 생산라인에서 리튬전지에 상부링을 자동으로 삽입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수평상태로 이송되는 리튬전지를 수직으로 직립시켜 공급시킬 수 있도록 된 방향 전환이송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리튬전지의 생산라인을 자동화할 수 있고 전후공정을 유기적으로 연계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방향전환이송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리튬전지를 수평상태에서 수직상태로 전환시키는 장치와 수직으로 직립된 리튬전지를 차기공정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장치를 단일 동력원에 의해 동시에 작동될 수 있도록 한 방향전환이송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은,
벨트콘베이어(11)(37)에 의해 리튬전지(1)를 이송시키도록 된 것에 있어서,
벨트콘베이어(11)(37)의 사이에 베이스(10-1)를 구비하여 방향전환공급장치(20)와 이송장치(32)를 중첩되게 설치하여 모터(14)에 의해 동시에 작동되어지도록 하되,
상기 방향전환공급장치(20)는 중간판(26)의 축공(26-1)에 기어(18)가 축착된 축(21)을 삽입하고 상기 축(21)에는 중간판(26)의 상하측에 상부판(23)과 하부판(30)을 굴대고정시켜 가이드(22)내에서 회전되어지도록 하되 상부판(23)과 하부판(30)에는 경사면(25)이 형성된 안치홀(24)과 안치홈(24)을 등각으로 구비하고, 중간판(26)에는 외주연(29)의 일측편에 받침판(27)을 일체로 형성하여 받침판(27)과 외주연(29)사이에는 점진적으로 직립되는 경사면(28)을 일정한 각도만큼 형성하며,
이송장치(32)는 상. 하부판(23)(30)사이를 중첩되게 통과하도록 된 인덱스테이블(34)을 축(33)으로 굴대설치하여 가이드(36)내에서 회전되도록 하고 안치홈(31)을 안치홀(24)과 동일간으로 형성하며,
벨트콘베이어(11)의 가이드(12)와 연계되는 슈트(13)에 의해 리튬전지(1)가 방향전환공급장치(20)의 받침판(27)에 낙하되어지도록 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전환이송장치(10)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되어 있으므로 본 발명은 리튬전지(Li/MnO₂Battery)를 생산하는 공정중에서 수평상태로 이송되어오는 리튬전지를 직립시켜 하나씩 공급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하는 리튬전지의 방향전환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리튬전지의 상측에 상부링이 삽입되어지는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2]는 리튬전지의 상측에 상부링을 삽입시키는 종래의 작업 공정을 보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향전환이송장치가 설치된 상태의 평면도.
[도 4]는 [도 3]의 정면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향전환이송장치에 설치된 방향전환 공급장치의 측단면도.
[도 6]은 방향전환공급장치에서 리튬전지가 투입된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7]은 방향전환공급장치의 요부인 중간판을 보인 사시도.
[도 8a][도 8b][도 8c]는 방향전환공급장치의 요부인 상부판, 중간판, 하측판을 차례로 보인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리튬전지2 : 상부링
10 : 방향전환이송장치11 : 벨트콘베이어
13 : 슈트14 : 모터
15,16 : 풀리17 : 벨트
18,19 : 기어20 : 방향전환공급장치
21 : 축22 : 가이드
23 : 상부판24 : 삽입홈
25 : 경사면26 : 중간판
27 : 받침편28 : 경사면
29 : 외주연30 : 하저부판
31 : 안치홈32 : 이송장치
33 : 축34 : 인덱스테이블
35 : 안치홈36 : 가이드
37 : 벨트콘베이어38 : 전압검사부
39 : 상부링장착장치부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과 특징은 첨부도면 [도 3]내지 [도 8]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향전환이송장치(10)를 보인 평면도 및 지면도이다.
베이스(10-1)에 방향전환공급장치(20)와 이송장치(32)를 구비하되 단일동력원에 의해 작동(회전)되어지도록 하였다.
방향전환장치(20)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베이스(10-1)에 회전자재하게 굴대 설치되는 축(21)의 상측에 상부판(23)과 하부판(30)을 서로 이격시켜 굴대 고정시키고 이들 상.하부판(23)(30)사이에 정지상태를 유지하는 중간판(26)을 구비하였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중간판(26)의 축공(26-1)을 축(21)에 삽입시켜 주었다.
상기 상부판(23)은 [도 8a]에 도시된 바와같이 안치홀(24)이 등각으로 통공되어 있고 안치홀(24)에는 낙하되는 리튬전지(1)가 용이하게 안치되어지도록 경사면(25)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판(23)은 [도 8c]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안치홀(24)과 동일한 각으로 안치홈(31)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들 안치홀(24)과 안치홈(31)은 동일 수직 선상에 위치하여 항상 동일하게 등각으로 회전이동된다.
중간판(26)은 [도 7]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의 외주연(29)이 상부판(23)의 안치홀(24)보다 짧은 지름을 유지하고 있으며 상부판(23)의 어느 하나의 안치홀(24)의 하측에 위치하는 받침판(27)이 일체로 형성되고 받침판(27)과 외주연(29)사이에는 경사면(28)이 일정한 각도만큼 예컨데 상부판(23)의 안치홀(24)끼리의 내부 각도만큼의 경사면(28)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경사면(28) 받침판(27) 측으로부터 외주연(29)으로는 경사상태에서 점진적으로 직립되어져 있고, 축공(26-1)은 축(21)의 회전을 간섭하지 못하도록 충분히 넓게 유지시켰다.
이와같이 구성된 방향전환공급장치(20)의 측면에는 이송장치(32)가 구비되어 있다.
베이스(10-1)에 굴대 설치되는 축(33)에 인덱스테이블(34)을 축착시키되 인덱스테이블(34)의 안치홈(35)이 방향전환이송장치(10)의 상.하부판(23)(30)의 안치홀(24) 및 안치홈(31)과 중첩되어지면서 이들 사이에서 통과되어지도록 하였다.
상기 방향전환이송장치(10)의 상.하부판(23)(30)은 원형상으로 된 가이드(22)내에서 회전되어지고, 이송장치(32)의 인덱스테이블(34)은 원형상으로 된 가이드(36)내에서 회전되어 지도록 하되 이송장치(32)의 가이드(36)에는 방향전환이송장치(10)에까지 삽입되는 전이유도 가이드(36-1)를 일체로 형성하였다.
이와같이 된 방향전환이송장치(10)에서 방향전환공급장치(20)에는 리튬전지(1)를 공급시켜 주는 장치가 구비되어지는데 벨트콘베이어(11)의 가이드(12)와 연계되는 슈트(13)가 받침편(27)의 상측에 위치하여 리튬전지(1)를 공급하게 되고,
이송장치(32)에는 안치홈(35)이 정지되는 위치에 상부링장착장치부(39)가 구비되어지며, 가이드(36)의 일단과 타단에 구비되는 배출유도가이드(36-1)가 벨트콘베이어(37)의 가이드(37-1)가 연계되어진다.
도 방향전환공급장치(20)와 이송장치(32)의 축(21)(33)에는 서로치합되는 기어(18)(19)가 굴대설치되고 축(33)에는 모터(14)와 풀리(15)와 벨트(17)로 연결되는 풀리(16)가 굴대설치되어 있다.
이하 작동관계를 설명한다.
벨트콘베이어(11)에 의해 이송되어지는 리튬전지(1)는 이송도중에 전압검사부(38)에 전압을 검사받게 되고 정품은 벨트콘베이어(11)에 의해 이송되어져서 슈트(13)에 유입된다.
슈트(13)에 유입된 리튬전지(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방향전환공급장치(20)의 상부판(23)의 안치홀(34)에 낙하되는데, 이 낙하된 리튬전지(1)는 +극 측이 내측을 향하도록 하여 수평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안치홀(34)에 안치될 때 경사면(25)에 의해 항상 정위치를 유지하고 중간판(26)이 받침판(27)에 의해 받쳐져 있게 된다.
이와같이 안치된 상태에서 모터(14)가 소정의 시간동안 작동하면 서로 치합된 기어(18)(19)에 의해 축(21)(33)이 회전하고 따라서 방향전환공급장치(20)의 상.하부판(23)(30)과 이송장치(32)의 인덱스테이블(34)은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반시계 또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축(21)의 회전에 의해 상.하부판(23)(30)도 함께 회전되는데 상부판(23)에 의해 이끌리는 리튬전지(1)는 받침판(27)을 벗어나자마자 하측부가 하부판(30)의 안치홈(31)에 유입되도록 낙하되면서 경사면(28)에 의해 경사지게 되고, 경사면(28)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점진적으로 직립되어지며,
상.하부판(23)(30)의 회전이 정지되면 리튬전지(1)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직립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리튬전지(1)가 직립되면 그의 하측부가 하부판(30)의 안치홈에 억류되어 지게 되므로 상.하부판(23)(30)이 회전될 때 넘어지지 않고 이송되어진다.
상기와 같은 과정이 수차 반복실시되면 직립된 리튬전지(1)는 중첩부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송장치(32)의 인덱스테이블(34)의 안치홈(35)에 유입되어진다. 이 상태에서 방향전환공급장치(10)와 이송장치(32)가 한 번 더 작동하여 상.하부판(23)(30)과 인덱스테이블(34)을 한 스탭 더 회전시키면 방향전환공급장치(10)와 이송장치(32)는 상술한 과정이 반복실시되는데,
이송장치(32)에서는 중첩부에 있던 리튬전지(1)가 상부링장착장지부(39)측으로 이동하여 상부링(2)이 삽입되어진다.
이후 정기 공정이 반복실시되면서 방향전환공급장치(10)측에서는 눕혀져 있던 리튬전지(1)를 직립시켜 공급하여 주고 이송장치(32)측에서는 직립되어 이송되는 리튬전지(1)에 상부링(2)을 삽입시켜 주게 되며,
배출유도가이드(36+)를 통하여 벨트콘베이어(37)측으로 배출된 후 가이드(37-1)를 따라 차기공정으로 이송되어진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수평상태로 눕혀져 공급되는 리튬전지(1)가 방향전환공급장치(10)를 통과되면서 직립상태로 변위되어 전후 차기공정으로 이송되어지므로 리튬전지(1)를 단속적으로 공급시킬 수 있고 따라서 차기공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여 주므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구조가 간단하고 단조롭게 작동되므로 고장이 발생할 염려가 전혀 없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Claims (2)

  1. 벨트콘베이어(11)(37)에 의해 리튬전지(1)를 이송시키도록 된 것에 있어서,
    벨트콘베이어(11)(37)의 사이에 베이스(10-1)를 구비하여 방향전환공급장치(20)와 이송장치(32)를 중첩되게 설치하여 모터(14)에 의해 동시에 작동되어지도록 하되,
    상기 방향전환공급장치(20)는 중간판(26)의 축공(26-1)에 기어(18)가 축착된 축(21)을 삽입하고 상기 축(21)에는 중간판(26)의 상하측에 상부판(23)과 하부판(30)을 굴대고정시켜 가이드(22)내에서 회전되어지도록 하되 상부판(23)과 하부판(30)에는 경사면(25)이 형성된 안치홀(24)과 안치홀(24)을 등각으로 구비하고, 중간판(26)에는 외주연(29)의 일측편에 받침판(27)을 일체로 형성하여 받침판(27)과 외주연(29)사이에는 점진적으로 직립되는 경사면(28)을 일정한 각도만큼 형성하며,
    이송장치(32)는 상. 하부판(23)(30)사이를 중첩되게 통과하도록 된 인덱스테이블(34)을 축(33)으로 굴대설치하여 가이드(36)내에서 회전되도록 하고 안치홈(31)을 안치홀(24)과 동일간으로 형성하며,
    벨트콘베이어(11)의 가이드(12)와 연계되는 슈트(13)에 의해 리튬전지(1)가 방향전환공급장치(20)의 받침판(27)에 낙하되어지도록 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전지(Li/MnO₂Battery)의 방향전환이송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이송장치(32)의 가이드(36)에는 방향전환이송장치(10)에까지 삽입되는 전지유도 가이드(36-1)를 일체로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전지(Li/MnO₂Battery)의 방향전환이송장치.
KR1019960060238A 1996-11-30 1996-11-30 리튬전지의 방향전환이송장치 KR1002161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0238A KR100216171B1 (ko) 1996-11-30 1996-11-30 리튬전지의 방향전환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0238A KR100216171B1 (ko) 1996-11-30 1996-11-30 리튬전지의 방향전환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0982A true KR19980040982A (ko) 1998-08-17
KR100216171B1 KR100216171B1 (ko) 1999-08-16

Family

ID=19484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0238A KR100216171B1 (ko) 1996-11-30 1996-11-30 리튬전지의 방향전환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617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99088A (zh) * 2017-12-28 2018-06-22 福建猛狮新能源科技有限公司 组合式锂离子电池生产线及其应用方法
CN109713374A (zh) * 2019-02-21 2019-05-03 东莞市华慧新能源有限公司 一种锂电池的加工系统及加工方法
CN112173548A (zh) * 2020-09-21 2021-01-05 安徽工程大学 一种汽车零件用调整输送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99088A (zh) * 2017-12-28 2018-06-22 福建猛狮新能源科技有限公司 组合式锂离子电池生产线及其应用方法
CN109713374A (zh) * 2019-02-21 2019-05-03 东莞市华慧新能源有限公司 一种锂电池的加工系统及加工方法
CN109713374B (zh) * 2019-02-21 2024-05-14 东莞市华慧新能源有限公司 一种锂电池的加工系统及加工方法
CN112173548A (zh) * 2020-09-21 2021-01-05 安徽工程大学 一种汽车零件用调整输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16171B1 (ko) 1999-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658755B2 (en) Machine for automatically positioning and aligning containers
US3231065A (en) Article feeding apparatus
US482192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oading articles onto feeder by elevating ramp segments
CN111744808A (zh) 一种智能生产线货物分拣装置
CN208825000U (zh) 一种水果分级设备
KR19980040982A (ko) 리튬전지(Li/MnO₂Battery)의 방향전환이송장치.
EP0374107A1 (en) An improved machine for the erection and alignment of containers such as plastic bottles
NZ200991A (en) Automatic cup dispenser:cups dispensed using helically grooved rolls
EP1719703A1 (en) Apparatus for packaging products in boxes
EP0729906A2 (en) Article supply apparatus
KR100217404B1 (ko) 리튬전지의 상부링삽입장치
CN215046478U (zh) 一种小件快速皮带上料机
US2321471A (en) Dinnerware machine
JPS61145016A (ja) 果実選別供給装置
CN212197378U (zh) 一种实木板材加工装置的输料设备
CN209905798U (zh) 一种注射瓶整理机
US3733680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assembling internesting members
US2910211A (en) Feeding mechanism for fragile articles
JPH02100906A (ja) 人参などのような比較的短くて先細り形状の根葉類供給装置
CN214692012U (zh) 粗喷到精喷自动化生产线衔接装置
CN217024004U (zh) 一种快速试剂全自动提升送料选料双导伺服装置
CN219335048U (zh) 一种多级重量分级机
EP0945374B1 (en) Device for orienting containers, in particular empty bottles made of plastic
US3621974A (en) Conveyors for rotatably moving containers
CN215557387U (zh) 一种定量出料的耐火材料进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