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0853A - 금속기와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금속기와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0853A
KR19980040853A KR1019960060095A KR19960060095A KR19980040853A KR 19980040853 A KR19980040853 A KR 19980040853A KR 1019960060095 A KR1019960060095 A KR 1019960060095A KR 19960060095 A KR19960060095 A KR 19960060095A KR 19980040853 A KR19980040853 A KR 199800408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le
hanger
slab
metal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00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정인
Original Assignee
서정인
주식회사 우진실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정인, 주식회사 우진실업 filed Critical 서정인
Priority to KR10199600600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40853A/ko
Publication of KR199800408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0853A/ko

Links

Abstract

본 발명은 앵글을 이용하여 기와걸이 종가재를 콘크리트 슬래브의 경사도와 동일한 경사도로 용이하게 설치하여, 금속기와의 시공작업을 보다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시공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한 금속기와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A) 콘크리트 슬래브(10)를 타설하여 지붕을 구성하고;
(B) 다수개의 못공(21)이 각각 천공된 수직부(22)와 수평부(23)를 일체로 구비한 ㄴ형 앵글(20)을 상기 슬래브(10)의 상면바닥에 콘크리트못을 이용하여 일정간격으로 고정시키고;
(C) 상기 앵글(20)의 수직부(22)에 세로방향으로 기와걸이 종가재(30)들을 슬래브(10)의 경사도와 평행하게 일정간격으로 못을 박아 고정시키고;
(D) 상기 기와걸이 종가재(30)의 상부에 설치될 금속기와(40)의 폭규격에 맞추어 가로방향으로 기와걸이 횡가재(50)를 일정간격으로 고정시킨후;
(E) 상기 기와걸이 종가재(30)와 기와걸이 횡가재(50)의 상부에 금속기와(40)들을 배열시켜 고정한 것이다.

Description

금속기와의 시공방법
본 발명은 금속기와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앵글을 이용하여 기와걸이 종가재를 콘크리트 슬래브의 경사도와 동일한 경사도로 용이하게 설치하여, 금속기와의 시공작업을 보다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시공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한 금속기와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속기와는 최신의 철부식 방지도금철판인 갈바리움 소재를 사용하여 그 표면에 천연화산석 가루를 도포한 경량의 금속기와로서 최근 가장 이상적이고 경제성이 탁월한 신세대 지붕재로 각광을 받고 있다.
이러한 금속기와는 전·후면의 특수코팅 및 천연화산석 돌가루의 부착으로 내구연한 이 길고 일반 기와지붕과 비교하여 천연 돌가루 자체가 열전도율이 낮기 때문에 기본 철판에 전도되는 열이 극히 적어 단열효과가 우수하며, 또한 한 개의 패널에 7개의 모듈로 되어 있어 시공이 간편하여 시공기간의 단축 및 목재비용의 절감외에도 인건비와 자재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아울러 금속기와는 미관이 수려하게 처리되어 있어 한국전통양식에 자연의 멋을 더해주는 현대과학의 최첨단 지붕재다.
종래에 사용되어 왔던 금속기와의 시공방법을 첨부된 도면 도 1과 도 2에 따라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A) 소정의 경사도로 타설된 콘크리트 슬래브(1)의 상면바닥에 설치될 금속기와(2)의 길이규격에 맞추어 세로방향으로 기와걸이 종가재(3)들을 콘크리트못을 이용하여 일정간격으로 직접 고정시키고;
(B) 상기 기와걸이 종가재(3)의 상부에 설치될 금속기와(2)의 폭규격에 맞추어 가로방향으로 기와걸이 횡가재(4)를 일정간격으로 고정시킨후;
(C) 상기 기와걸이 종가재(3)와 기와걸이 횡가재(4)의 상부에 금속기와(2)들을 배열시켜 고정하는 시공방법으로 시공하였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5와 6은 용마루 각재 및 용마루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상기 기와걸이 종가재(3)와 횡가재(4)는 일정규격의 각목재를 사용하여 기와걸이 종가재(3)는 콘크리트못으로 슬래브(1)상에 직접 고정시키고, 기와걸이 횡가재(4)는 상기 종가재(3)의 상면에 못을 박아 고정시키며, 금속기와(2)는 기와 걸이 종가재(3)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횡가재(4)에 못을 박아 고정시킨다.
이때, 금속기와(2)의 시공작업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기와걸이 종가재(3)들을 슬래브(1)의 경사도와 정확하게 동일한 경사도로 일치하게 설치하여야 금속기와(2)들을 가지런한 평평한 상태에서 평행하도록 균형있게 설치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시공방법은 기와걸이 종가재(3)를 슬래브(1)의 상면바닥에 직접 밀착시킨 상태에서 콘크리트못을 박아 직접 고정시켰기 때문에, 기와걸이 종가재(3)의 설치시 슬래브(1)의 상면바닥이 고르지 않을 경우 즉, 콘크리트로 타설되는 슬래브(1)의 바닥면은 평평하지 않은 요철부가 곳곳에 형성되므로 그 요철부를 가로 질러가는 기와걸이 종가재(3)의 정확한 경사도를 유지할 수 없다.
따라서, 종래에는 기와걸이 종가재(3)의 설치시 그 설치되는 부위의 슬래브(1) 바닥면을 일일이 고르거나 또는 각목, 돌 등으로 고이거나 받치면서 기와걸이 종가재(3)들을 고정시켰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으며, 이로 인해 금속기와(2)의 시공시간이 길어지고 작업의 불편함으로 기와걸이 종가재(3)들을 동일한 경사도로 평행하게 설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종래의 시공방법으로는 상기에서와 같이 기와걸이 종가재(3)들을 동일한 경사도로 평행하게 고정시킬 수 없어 결국적으로 금속기와(2)들이 가지런하지 못한 상태에서 울퉁불퉁한 불균형하게 설치되므로 미관상 좋지 못하고, 빗물이 전체적으로 고르게 흐르지 못하여 처진부위를 통해 누수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앵글을 이용하여 기와걸이 종가재를 콘크리트 슬래브의 경사도와 동일한 경사도로 용이하게 설치하여, 금속기와의 시공작업을 보다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시공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한 금속기와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콘크리트 슬래브의 상면바닥에 ㄴ형 앵글을 콘크리트못을 박아 일정간격으로 고정시키고, 상기 앵글에 구비된 수직부에 세로방향으로 기와걸이 종가재들을 슬래브의 경사도와 평행하게 못을 박아 고정시키고, 상기 기와걸이 종가재의 상부에 가로방향으로 기와걸이 횡가재를 일정간격으로 고정시킨 후, 기와걸이 종가재와 기와걸이 횡가재의 상부에 금속기와를 배열시켜 고정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시공방법에 따른 금속기와의 시공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도 1의 A부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시공방법에 따른 금속기와의 시공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도 3의 B부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공방법의 요부를 발췌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앵글의 사시도.
도 7은 일반적인 금속기와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0 : 슬래브20 : 앵글
21 : 못공22 : 수직부
23 : 수평부30 : 기와걸이 종가재
40 : 금속기와50 : 기와걸이 횡가재
본 발명 금속기와의 시공방법을 첨부된 도면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A) 콘크리트 슬래브(10)를 타설하여 지붕을 구성하고;
(B) 다수개의 못공(21)이 각각 천공된 수직부(22)와 수평부(23)를 일체로 구비한 ㄴ형 앵글(20)을 상기 슬래브(10)의 상면바닥에 콘크리트못을 이용하여 일정간격으로 고정시키고;
(C) 상기 앵글(20)의 수직부(22)에 세로방향으로 기와걸이 종가재(30)들을 슬래브(10)의 경사도와 평행하게 일정간격으로 못을 박아 고정시키고;
(D) 상기 기와걸이 종가재(30)의 상부에 설치될 금속기와(40)의 폭규격에 맞추어 가로방향으로 기와걸이 횡가재(50)를 일정간격으로 고정시킨 후;
(E) 상기 기와걸이 종가재(30)와 기와걸이 횡가재(50)의 상부에 금속기와(40)들을 배열시킨 상태에서 기와걸이 횡가재(50)에 아연도금으로 코팅된 못을 박아 금속기와(40)를 고정시킨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60은 용마루 각재를 나타낸 것이고, 70은 용마루를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 금속기와의 시공방법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대략 ㄴ형으로 절곡 형성된 앵글(20)의 수평부(23)를 먼저 슬래브(10)상에 일정간격으로 고정시키는 것으로, 그 간격은 설치되는 금속기와(40)의 길이규격에 맞추어 기와걸이 종가재(30)가 설치되는 부위에 앵글(20)들을 일정간격으로 배열시켜 놓고 수평부(23)에 천공된 못공(21)에 콘크리트못을 박아서 앵글(20)을 슬래브(10)상에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상기와 같이 앵글(20)들이 슬래브(10)상에 일정간격으로 고정된후에는 그 앵글(20)의 수직부(22) 상부에 기와걸이 종가재(30)들을 세로방향으로 고정시키되, 중요한 것은 기와걸이 종가재(30)가 슬래브(10)의 경사도와 동일하도록 평행을 맞춘 상태에서 수직부(22)에 천공된 못공(21)들중 기와걸이 종가재(30)의 대략 중앙부에 위치하는 못공(21)에 못을 박아 고정시킨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기와걸이 종가재(30)가 종래와 같이 슬래브(10)의 바닥면에 직접 고정되지 않고 슬래브(10)의 바닥면에서 소정의 높이만큼 이격된 상태에서 앵글(20)에 고정되므로 기와걸이 종가재(30)의 경사도를 용이하게 일치시켜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와 같이 앵글(20)의 상부에 기와걸이 종가재(30)가 슬래브(10)의 바닥 경사도와 정확하게 일치한 상태로 배열고정되면 다음의 시공작업은 상술한 종래에 방법과 같이 상기 기와걸이 종가재(30)의 상부에 설치될 금속기와(40)의 폭규격에 맞추어 가로방향으로 기와걸이 횡가재(50)를 일정간격으로 고정시킨 후, 상기 기와걸이 종가재(30)와 기와 걸이 횡가재(50)의 상부에 금속기와(40)들을 배열시켜 고정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슬래브(10)의 울통불퉁한 바닥면과는 상관없이 앵글(20)을 이용하여 금속기와의 시공작업에서 가장 중요한 기와걸이 종가재(30)들을 슬래브(10)의 경사도와 정확하게 동일한 경사도로 일치하게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금속기와(40)들을 가지런한 평평한 상태에서 평행하도록 균형있게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기와걸이 종가재의 설치시 그 설치되는 부위의 슬래브 바닥면을 일일이 고르거나 또는 각목, 돌 등으로 고이거나 받치면서 기와걸이 종가재들을 고정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해소되므로 금속기와의 시공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기와걸이 종가재들을 동일한 경사도로 평행하게 고정시킬 수 있어 결국 금속기와들이 가지런하게 설치되므로 외관상 미려하고, 빗물이 전체적으로 고르게 흐르므로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A) 콘크리트 슬래브(10)를 타설하여 지붕을 구성하고;
    (B) 다수개의 못공(21)이 각각 천공된 수직부(22)와 수평부(23)를 일체로 구비한 ㄴ형 앵글(20)을 상기 슬래브(10)의 상면바닥에 콘크리트못을 이용하여 일정간격으로 고정시키고;
    (C) 상기 앵글(20)의 수직부(22)에 세로방향으로 기와걸이 종가재(30)들을 슬래브(10)의 경사도와 평행하게 일정간격으로 못을 박아 고정시키고;
    (D) 상기 기와걸이 종가재(30)의 상부에 설치될 금속기와(40)의 폭규격에 맞추어 가로방향으로 기와걸이 횡가재(50)를 일정간격으로 고정시킨 후;
    (E) 상기 기와걸이 종가재(30)와 기와걸이 횡가재(50)의 상부에 금속기와(40)들을 배열시켜 고정한 금속기와의 시공방법.
KR1019960060095A 1996-11-30 1996-11-30 금속기와의 시공방법 KR199800408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0095A KR19980040853A (ko) 1996-11-30 1996-11-30 금속기와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0095A KR19980040853A (ko) 1996-11-30 1996-11-30 금속기와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0853A true KR19980040853A (ko) 1998-08-17

Family

ID=66475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0095A KR19980040853A (ko) 1996-11-30 1996-11-30 금속기와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4085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601Y1 (ko) * 2012-07-16 2014-03-07 박서정 태양광 수광패널 고정용 금속기와 및 이를 갖는 태양광 수광패널 조립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601Y1 (ko) * 2012-07-16 2014-03-07 박서정 태양광 수광패널 고정용 금속기와 및 이를 갖는 태양광 수광패널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95721B2 (en) Fixture for building boards, a building board having the fixture fixed thereto, and the method of fastening the building boards
US9163411B2 (en) Exterior wall assembly systems
US20030140588A1 (en) Masonry wall insulation system
KR19980040853A (ko) 금속기와의 시공방법
US3327446A (en) Building siding and attaching means therefor
CN208594653U (zh) 一种装配式抗震内隔墙
JP2003213888A (ja) プレート部材取付具
JPH063073Y2 (ja) 窯業系外装材の取り付け構造
US11447959B2 (en) Masonry veneer hanger and spacer
CN211775451U (zh) 一种烟道悬浮贴砖结构
JPS62352Y2 (ko)
JPS5916411Y2 (ja) S形瓦葺急勾配屋根
JP2018155093A (ja) 面戸付棟部下地材
JP3681042B2 (ja) 建築工事に於ける立上り部の下地材固定金具
JP2004011122A (ja) 玄関庇ユニットの取付け構造
JPH0135847Y2 (ko)
JPH04286398A (ja) 電波吸収パネルおよびその取付方法
JP2672947B2 (ja) 壁構造及びその形成方法
JP2604146Y2 (ja) 屋根パネル
JP2001098668A (ja) 外壁の構造
JPS6347203Y2 (ko)
JPH05311821A (ja) 屋根の構造
JPS624108Y2 (ko)
JPH11217909A (ja) 屋根構造及び屋根の施工方法
JP2001040824A (ja) 屋根の妻部分の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