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0548U - 자동차용 배터리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배터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0548U
KR19980040548U KR2019960053629U KR19960053629U KR19980040548U KR 19980040548 U KR19980040548 U KR 19980040548U KR 2019960053629 U KR2019960053629 U KR 2019960053629U KR 19960053629 U KR19960053629 U KR 19960053629U KR 19980040548 U KR19980040548 U KR 1998004054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vehicle
wire
power supply
c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536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조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20199600536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40548U/ko
Publication of KR1998004054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0548U/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01R11/12End pieces terminating in an eye, hook, or for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배터리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배터리는 전극 단자로부터 전원공급계통으로 연결되는 전선이 다른 자동차의 배터리에 연결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를 가짐으로써, 장시간 주차 등으로 배터리가 완전히 방전되었을 때 별도의 점퍼 케이블 없이도 다른 자동차의 배터리에 쉽게 연결하여 충전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배터리
본 고안은 전극 단자와 전원공급계통을 연결하는 전선이 다른 자동차의 배터리에 연결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를 가지는 자동차용 배터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 설치되는 각종 전장품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으로 발전기와 배터리가 있다. 엔진이 작동하고 있을 때는, 엔진에 연결되어 엔진과 함께 작동되는 발전기로부터 각종 전장품에 전력이 공급된다. 그러나, 엔진이 정지되어 있거나, 엔진의 시동시는 발전기가 작동되지 않으므로, 전력을 저장하고 있는 배터리로부터 각종 전장품으로 전력이 공급된다. 또한, 배터리는 엔진이 작동되는 동안에도, 과다한 전력 소모로 인한 발전기의 출력 부족이나 전압 변동을 보상하여, 전력 공급이 안정되도록 하는 역할도 한다.
이러한 배터리는 엔진이 작동되는 동안 발전기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충전해 두었다가, 엔진이 작동되지 않는 동안 전장품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납축전지가 주로 사용된다.
한편,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는 엔진룸 일측에 설치되어, 상부면에 형성된 전극 단자로부터 인출된 전선에 의해 발전기측 전원공급계통에 연결된다.
한편, 자동차가 오래동안 주차되어 배터리가 완전히 방전되었을 경우, 배터리로부터 전력이 공급되지 못하여, 엔진의 시동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경우, 전선을 통하여 방전된 배터리를 다른 자동차의 배터리와 연결하여, 다른 자동차의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으로 방전된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배터리와 전원공급계통을 연결하는 전선은 방전된 배터리와 다른 자동차의 배터리를 연결시키기에는 전선의 길이가 짧다. 따라서, 방전된 배터리와 다른 자동차의 배터리를 연결하기 위하여, 별도의 길이가 긴 점퍼 케이블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운전자들은 이러한 점퍼 케이블을 따로 구입하여 자동차에 구비하고 다녀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전극단자와 전권공급계통을 연결하는 전선의 길이를 충분히 길게함으로써, 배터리의 연결시 별도의 점퍼 케이블이 필요없는 자동차용 배터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자동차용 배터리가 장착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배터리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배터리의 전선이 수납된 모습을 보인 부분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배터리2 : 전극단자
3 : 전선4 : 집게형 연결부
4 : 수납용 고리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배터리는 전극 단자로부터 전원공급계통으로 연결되는 전선이 다른 자동차의 배터리에 연결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선은 일단에 집게형 연결부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선은 중앙부가 원형으로 감겨서, 배터리에 근접되는 엔진룸 내부패널 일측에 설치도는 수납용 고리에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에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배터리가 도시되어 있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배터리는 전극 단자로부터 전원공급계통으로 연결되는 전선이 다른 자동차의 배터리에 연결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를 가진다. 전선의 길이는 2 내지 3m가 적당하다. 또한, 전선의 일단에는 집게형 연결부가 부착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배터리는 별도의 점퍼 케이블 없이, 전원케이블에 연결되는 전선의 일측이 다른 자동차의 배터리 전극에 연결됨으로써 방전된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으며, 집게형 연결부에 의해 전선의 전원공급계통 또는 다른 자동차의 배터리의 전극에 대한 연결 및 분리가 용이해진다. 또한,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에 근접되는 위치의 엔진룸 내부패널 일측에는 수납용 고리가 설치되며, 전선의 중앙부가 원형으로 감겨서 수납용 고리에 수납된다.
상기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배터리는 완전히 방전되었을 때, 별도의 점퍼 케이블 없이 전극 단자와 전원공급계통을 연결하는 전선을 통해 다른 자동차의 배터리에 연결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3)

  1. 전극 단자로부터 전원공급계통으로 연결되는 전선이 다른 자동차의 배터리에 연결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배터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은 일단에 집게형 연결부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배터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은 중앙부가 원형으로 감겨서, 배터리에 근접되는 엔진룸 내부패널 일측에 설치되는 수납용 고리에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배터리.
KR2019960053629U 1996-12-23 1996-12-23 자동차용 배터리 KR1998004054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3629U KR19980040548U (ko) 1996-12-23 1996-12-23 자동차용 배터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3629U KR19980040548U (ko) 1996-12-23 1996-12-23 자동차용 배터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0548U true KR19980040548U (ko) 1998-09-15

Family

ID=53993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53629U KR19980040548U (ko) 1996-12-23 1996-12-23 자동차용 배터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40548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93185A (en) Jump starter
US3963972A (en) Portable power package
JP3239773B2 (ja) 電気自動車の充電装置及び充電方法
JPH07503837A (ja) 電動輸送機関のための充電ステーション
US4157492A (en) Battery access system
JPS62247730A (ja) 電力供給装置
JP3185027U (ja) 可搬型補助給電装置用のブースタケーブル
JP2004080841A (ja) 電気接続箱のバスバー構造
US6840813B2 (en) Connecting apparatus for three phase induction motor of electric vehicle
US20050070155A1 (en) Jumper cable system, jumper cable system kit, and battery charging system
US4443751A (en) Portable battery booster assembly
KR19980040548U (ko) 자동차용 배터리
KR19980056695A (ko) 자동차용 배터리
CN210706930U (zh) 慢充集成装置
JP2022026710A (ja) 車載電源装置
CN218616271U (zh) 一种电动车用发电机
CN111645543A (zh) 慢充集成装置
KR970003750Y1 (ko) 자동차용 밧데리 충전용 점프케이블 보관함
JPH09286289A (ja) バッテリーの自動車用充電装置
CN216648644U (zh) 一种电源夹子接头
CN220053543U (zh) 车载电源管理模块、车载充放电系统、车辆
CN218276122U (zh) 一种多功能车用转换器
JPH06351107A (ja) 電気自動車のバッテリー充電装置
KR100195055B1 (ko) 점프케이블감김대를 갖는 자동차용 밧데리
CN210970926U (zh) 汽车启动系统的电源回路线束优化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