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8948A - 상용차의 적재함 구조 - Google Patents

상용차의 적재함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8948A
KR19980038948A KR1019960057898A KR19960057898A KR19980038948A KR 19980038948 A KR19980038948 A KR 19980038948A KR 1019960057898 A KR1019960057898 A KR 1019960057898A KR 19960057898 A KR19960057898 A KR 19960057898A KR 19980038948 A KR19980038948 A KR 199800389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height
commercial vehicle
loading box
box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7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현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10199600578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38948A/ko
Publication of KR199800389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8948A/ko

Links

Landscapes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용차의 적재함 구조에 관한 것으로, 플로어 패널의 양측면 및 후면에 사이드 패널과 리어 패널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박스형상의 적재함 구조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패널과 리어 패널의 상부에 제2패널을 수개의 경첩을 개재하여 접었다 폈다 할 수 있도록 설치하여 적재함의 높이를 적어도 2단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제2패널은 하부의 제1패널에 해당하는 사이드 패널 및 리어 패널의 높이와 같은 높이로 함이 바람직하며, 또한 본 발명은 제2패널을 세워 사용하는 경우 지탱을 보조하는 수단을 더 구비한다. 상기 제2패널 지탱보조수단은 하부의 제1패널과 상부의 제2패널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수개의 지지공에 삽입되는 지지봉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적재함 구조에 의하면, 적재함의 높이를 필요에 따라 높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보다 다양한 화물을 간편하게 적재하여 운반할 수 있고, 적재물의 양뿐만 아니라 잡다한 물건들을 보다 안전하게 실어 운반할 수 있다. 따라서 상용차에 의한 화물운반의 효율성을 도모할 수 있다. ( 선택도 : 도 2 )

Description

상용차의 적재함 구조
본 발명은 상용차의 적재함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이드 패널의 높이를 적어도 2단으로 조절할 수 있어 보다 다양한 종류의 화물을 적재할 수 있도록 한 상용차의 적재함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
일반적인 상용차의 적재함은 그 크기가 일정하게 정해져 있으며, 사이 패널의 높이 또한 일정한 높이로 정해져 있다.
이러한 적재함을 탑재한 상용차의 한 예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 이를 간단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면에서 부호 1은 캐빈이고, 2는 적재함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적재함(2)은 그의 양측 사이드 패널(2a)의 높이가 일정하게 정해져 있다.
그리고,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적재함(2)은 직사각형 형상의 박스 구조를 하고 있는데, 플로어 패널의 양측면 및 후면(캐빈 측을 전면으로 하여 후면임)에 사이드 패널과 리어 패널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으며, 상부는 개방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적재함에 화물을 실거나 내릴때, 양측 및 후면의 사이드패널과 리어 패널을 선택적으로 내린 상태에서 화물을 실거나 내린 후 사이드 패널과 리어 패널을 세워 적재된 화물을 지지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일반적인 상용차의 적재함에 있어서는, 그의 양측 사이드 패널과 리어 패널의 높이가 일정한 높이로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화물을 실을 때 한정된 높이로만 실을 수 있어 화물의 적재에 불편함이 따르는 문제가 있었다. 예를 들면 정형화된 물건을 실을 때가 있는반면 이삿짐 등과 같이 작은 물건을 많이 실을 때가 있는데, 이 때 사이 패널의 높이가 한정되어 있어 많은 수의 작은 물건을 실을 수가 없고, 경우에 따라서는 별도의 판재를 사이드 패널에 덧대어 세운후 물건을 싣고있으나, 이러한 작업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운반 도중 적재된 화물이 떨어질 우려가 있는 등 문제를 안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적재함의 사이 패널 및 리어 패널의 높이를 적어도 2단으로 조절할 수 있어, 보다 다양한 화물을 적재할 수 있고, 적재된 화물이 운반 도중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상용차의 적재함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는 일반적인 상용차의 적재함 구조를 보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상용차의 적재함 구조를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플로어 패널 11'11' : 사이드 패널
12 : 리어 패널 21'21',22 : 제2패널
30 : 경첩 40 : 지지공
50 : 지지봉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상용차의 적재함구조는, 플로어 패널의 양측면 및 후면에 사이드 패널과 리어 패널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박스 형상의 적재함 구조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패널과 리어 패널의 상부에 제2패널을 수개의 경첩을 개재하여 접었다 폈다 할수 있도록 설치하여 적재함의 높이를 적어도 2단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2패널은 하부의 제1패널에 해당하는 사이드 패널 및 리어 패널의 높이와 같은 높이로 함이 바람직하며, 또한 본 발명은 제2패널을 세워 사용하는 경우 지탱을 보조하는 수단을 더 구비한다. 상기 제2패널 지탱보조수단은 하부의 제1패널과 상부의 제2패널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수개의 지지공에 삽입되는 지지봉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적재함 구조에 의하면, 적재함의 높이를 필요에따라 높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보다 다양한 화물을 간편하게 적재하여 운반할 수 있고, 적재물의 양뿐만 아니라 잡다한 물건들을 보다 안전하게 실어 운반할 수 있다. 따라서 상용차에 의한 화물 운반의 효율성을 도모할 수 있다.
[실시 예]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첨부한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상용차의 적재함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상용차의 적재함 구조는,기존 적재함의 패널, 즉 플로어 패널(10)의 양측면 및 후면(캐빈 측을 전면으로 한 후면임)에 경첩의 개재하에 회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사이드 패널(11)(11')과 리어 패널(12)의 상부에 별도의 제2패널(21)(21')(22)을 수개의 경첩(30)을 개재하여 접었다 폈다 할 수 있도록 설치하여 필요에 따라 적재함의 높이를 조절하여 화물을 실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부연하면, 본 발명은 평상시에는 기존의 1단 높이로 사용하다가 필요할때, 예를 들면 이삿짐 등과 같은 작은 물건을 많이 실을 필요가 있을때, 제2패널(21)(21')(22)를 세워 적재함의 높이를 높게한 상태로 잡다한 물건을 효율적으로 실어 운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2패널(21)(21')(22)의 높이는 기존의 패널, 예컨대 하부의제1패널에 해당하는 사이드 패널(11)(11')과 리어 패널(12)의 높이와 같게 함이 바람직하나, 이를 꼭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2패널(21)(21')(22)을 세워 사용하는 경우, 제2패널이 세워진 상태를 지탱하도록 보조하는 수단이 더 구비되는 바, 이와 같은 제2패널 지탱 보조수단은 제1패널에 해당하는 사이드 패널(11)(11') 및 리어 패널(12)과 이들 패널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2패널(21)(21')(22)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지지공(40)에 삽입되는 지지봉(50)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된 본 발명에 의한 적재함은 일반적인 적재함과 같이 다양한 화물을 실어 나르는데 이용되는데, 정형화된 물건인 경우에는 기존의 1단높이로 물건을 실어 운반하고, 잡다한 물건인 경우에는 각각의 패널에 설치되어 있는 제2패널(21)(21')(22)을 세워 그 높이를 높게 한 상태에서 안전하게 실어 운반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적재함 구조에 의하면, 적재함의 높이를 필요에 따라 높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보다 다양한 화물을 간편하게 적재하여 운반할 수 있고, 적재물의 양뿐만 아니라 잡다한 물건들을 보다 안전하게 실어 운반할 수 있다. 따라서 상용차에 의한 화물운반의 효율성을 도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상용차의 적재함 구조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3)

  1. 플로어 패널의 양측면 및 후면에 사이드 패널과 리어 패널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박스 형상의 적재함 구조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패널과 리어 패널의 상부에 제2패널을 수개의 경첩을 개재하여 접었다 폈다 할 수 있도록 설치하여 적재함의 높이를 적어도 2단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용차의 적재함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패널은 하부의 제1패널에 해당하는 사이드패널 및 리어 패널의 높이와 같은 높이로 형성되며, 상기 제2패널을 세워 사용하는 경우 지탱을 보조하는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상용차의 적재함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패널 지탱보조수단은 하부의 제1패널과 상부의 제2패널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수개의 지지공에 삽입되는 지지봉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용차의 적재함 구조.
KR1019960057898A 1996-11-27 1996-11-27 상용차의 적재함 구조 KR199800389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7898A KR19980038948A (ko) 1996-11-27 1996-11-27 상용차의 적재함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7898A KR19980038948A (ko) 1996-11-27 1996-11-27 상용차의 적재함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8948A true KR19980038948A (ko) 1998-08-17

Family

ID=66482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7898A KR19980038948A (ko) 1996-11-27 1996-11-27 상용차의 적재함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3894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2449B1 (ko) 차량 물품 브래킷 및 차량 물품 브래킷 세트
RU2363637C2 (ru) Платформенный контейнер для перевозки крупных колоннообразных грузов
DE60003193D1 (de) Frachtcontainer
JPH08175541A (ja) 載荷物運搬用パレット
US6637351B1 (en) Shipping pallet with retractable rails
KR19980038948A (ko) 상용차의 적재함 구조
US7258231B1 (en) Increasing cargo loading of vehicles
KR100205514B1 (ko) 물류의 피킹방법 및 그 장치
CA2428682C (en) A load carrying vehicle
JPH07228183A (ja) コンテナや車輌荷台用の荷役方法および荷役装置
KR102163236B1 (ko) 차량 이송 컨테이너용 팔레트
KR200295648Y1 (ko) 화물운반용 손수레
WO2001070599A1 (en) Container frame
AU2002220938A1 (en) A load carrying vehicle
KR19980033048U (ko) 화물자동차 적재함 구조
KR200234986Y1 (ko) 분리형 이동식 도크
JPH031392Y2 (ko)
JPS61226360A (ja) 折り畳み台車
KR19980040823U (ko) 트럭의 리어 게이트
JPH08113240A (ja) ユニットの輸送用台枠とユニットの輸送方法
JPH0848390A (ja) コンテナーの据置構造
JPH0255311B2 (ko)
JPS62198534A (ja) 長尺物多段積載装置
JP2005153815A (ja) 荷物載せ台
JPS6387419A (ja) トラツクの一括積卸方法およびそ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