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7689U - 스러스터 브레이크 - Google Patents

스러스터 브레이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7689U
KR19980037689U KR2019960050730U KR19960050730U KR19980037689U KR 19980037689 U KR19980037689 U KR 19980037689U KR 2019960050730 U KR2019960050730 U KR 2019960050730U KR 19960050730 U KR19960050730 U KR 19960050730U KR 19980037689 U KR19980037689 U KR 1998003768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lever
thruster
hanger
lever ha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507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욱
Original Assignee
김종진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진,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종진
Priority to KR20199600507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37689U/ko
Publication of KR1998003768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7689U/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9/00Brakes with a braking member co-operating with the periphery of a drum, wheel-rim, or the like
    • F16D49/16Brakes with two brake-blocks

Abstract

본 고안은 스러스터 브레이크(Thruster Brake)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러스터 브레이크(Thruster Brake)에 있어서, 레버(1)의 내측에 고정핀(12)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레버행거(9)와; 상기 레버행거(9)에 편심 고정되면서 상기 레버행거(9)의 하면이 브레이크포스트(6)의 상면으로부터 분리되도록 상기 레버행거(9)를 회전시키는 웨이트(8)와; 상기 레버(1)의 내측에 설치되면서 전원에 의해 전후진되는 코일로드(11)가 내장되고, 전진되는 상기 코일로드(11)에 의해 상기 레버행거(9)의 하면이 상기 브레이크포스트(6)의 상면에 안착되는 솔레노이드코일(1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러스터 브레이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러스터 브레이크
본 고안은 스러스터 브레이크(Thruster Brake)에 관한 것으로, 특히 크레인의 제동장치로서 강토크모드와 약토크모드를 구분하여 정상동작에서 약토크모드로 부드럽게 제동하고 비상동작에서 강토크모드로 급제동할 수 있도록 전환이 가능한 스러스터 브레이크(Thruster Brake)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스러스터 브레이크(Thruster Brake)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러스터(2)에서 모터의 회전으로 압상기가 상승하면 로드(4)가 상승되면서 레버(1)을 밀어 올리게 되고, 브레이크포스트(6)를 밀게 되어 브레이크가 오픈된다.
이때 브레이크드럼(5)과 브레이크디스크(14)사이에 브레이크갭(Gap)(3)이 형성되어, 브레이크드럼은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압상기의 전원이 차단되면서 스프링(13)의 힘에 의해 레버(1)의 우측단이 하강되고, 이에 따라 압상기의 오일이 빠지는 속도에 따라 로드(4)가 하강되며, 이때 브레이크드럼(5)에 브레이크디스크(14)가 밀착되면서 브레이크갭(3)이 제거된다.
그러나 종래의 스러스터 브레이크(Thruster Brake)는 정상적으로 조정하여 작동하게 되면 제동력이 강하게 급제동이 발생되고, 이 급제동에 의해 호이스트장치의 와이어로프가 심하게 흔들리면서 와이어로프에 메달려 있는 중량물이 추락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종래의 스러스터 브레이크(Thruster Brake)는 운전자가 원하는 위치에 정확히 정지하기가 어려워 크레인이 정지한 상태에서 밀리지 않을 정도로만 조정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제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정상적인 크레인 운전시 전기적인 제동인 Plugging제어로 크레인을 거의 정지시킨 후 스러스터 브레이크(Thruster Brake)로 정지하여 와이어로프의 흔들림을 방지한 다음, 원하는 위치에 정지하였으나, 이러한 일련의 작업은 정전작업이 사용할 수 없고, 스러스터 브레이크(Thruster Brake)에 의한 제동력으로 크레인이 계속 미끄러져 충돌할 가능성이 높다.
본 고안은 평상시의 크레인작동의 경우 약토크모드로 동작되어 와이어로프의 흔들림발생이 억제되고, 크레인의 급제동시 자동 또는 수동으로 강토크모드로 전환되어 급제동이 가능하면서 크레인의 미끄러짐에 의한 충돌을 방지할 수 있는 스러스터 브레이크(Thruster Brake)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스러스터 브레이크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스러스터 브레이크를 나타내는 요부 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레버 2:스러스터 3:브레이크갭 4:로드 5:브레이크드럼 6:브레이크포스트
8:웨이트 9:레버행거 10:솔레노이드코일 11:코일로드 12:고정핀 13:스프링
14:브레이크 디스크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스러스터 브레이크(Thruster Brake)에 있어서, 레버의 내측에 고정핀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레버행거와; 상기 레버행거에 편심 고정되면서 상기 레버행거의 하면이 브레이크포스트의 상면으로 부터 분리되도록 상기 레버행거를 회전시키는 웨이트와; 상기 레버의 내측에 설치되면서 전원에 의해 전후진되는 코일로드가 내장되고, 전진되는 상기 코일로드에 의해 상기 레버행거의 하면이 상기 브레이크포스트의 상면에 안착되는 솔레노이드코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러스터 브레이크를 제공한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한다.
양단이 각각 레버(1)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고정핀(12)에는 레버행거(9)의 상단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고, 이때 레버행거(9)는 하면이 브레이크포스트(Brake Post)(6)의 상면에 수직으로 안착될 경우 그 높이에 의해 레버(1)가 약간 들어올려져 스러스터 브레이크(Thruster Brake)가 약토크모드(Torque Mode)로 전환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레버행거(9)는 상면의 좌측으로 평향되게 웨이트(8)의 하단이 고정되어 있고, 대략 t1 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웨이트 좌측단이 좀더 중량을 갖도록 형성되어 레버행거(9)을 항상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토크를 준다.
그리고 웨이트(8)의 상하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레버(1)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솔레노이드코일(10)에 코일로드(11)가 좌우로 전후진되도록 내장되어 있고, 솔레노이드코일에 전원이 인가되면 코일로드가 전진되면서 레버행거(9)의 좌측면 상부를 밀게 되고, 이로써 레버행거는 고정핀(12)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하면이 브레이크포스트(6)의 상면에 안착된다.
이하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한다.
크레인의 정상사용시는 솔레노이드코일(10)에 전원이 인가되면서 코일로드(11)가 전진되도록 작동되면 전진되는 코일로드에 의해 레버행거(9)가 고정핀(12)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도록 밀리게 된다.
이때 레버행거(9)는 브레이크포스트(6)의 상면에 안착되고, 이로써 레버(1)가 레버행거(9)에 의해 약간 들어 올려지면서 스러스터 브레이크(Thruster Brake)는 약토크모드로 운전된다.
한편 정전시에는 솔레노이드코일(10)에 전원이 차단되면서 코일로드(11)가 좌측으로 후진되고, 이때 레버행거(9)는 미는 힘이 제거됨에 따라 웨이트(8)의 힘에 의해 고정핀(12)을 중심으로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브레이크포스트(6)의 상면으로부터 벗어나게 된다.
따라서 스러스터 브레이크(Thruster Brake)는 레버(1)가 스프링(13)의 인장탄성력에 의해 하강되면서 강토크모드로 자동으로 전환되면서 크레인을 급제동하게 된다.
그리고 운전자의 판단으로 급제동 필요시 운전실의 비상스위치를 오프하여 솔레노이드코일(10)의 전원을 차단할 수 있게 하여 운전자가 원할 때 바로 강토크모드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은 급제동에 의한 와이어로프 흔들림을 방지하고, 급제동에 의한 브레이크 드럼 및 라이닝의 발열, 이상마모를 방지하며, 반복되는 급제동에 의해 주행감속기 및 휠에 기계적 피로가중을 제거할 수 있고, 정전시 크레인의 미끄럼짐에 의한 크레인충돌을 예방할 수 있다.

Claims (1)

  1. 스러스터 브레이크(Thruster Brake)에 있어서,
    레버(1)의 내측에 고정핀(12)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레버행거(9)와;
    상기 레버행거(9)에 편심 고정되면서 상기 레버행거(9)의 하면이 브레이크포스트(6)의 상면으로부터 분리되도록 상기 레버행거(9)를 회전시키는 웨이트(8)와;
    상기 레버(1)의 내측에 설치되면서 전원에 의해 전후진되는 코일로드(11)가 내장되고, 전진되는 상기 코일로드(11)에 의해 상기 레버행거(9)의 하면이 상기 브레이크포스트(6)의 상면에 안착되는 솔레노이드코일(1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러스터 브레이크.
KR2019960050730U 1996-12-18 1996-12-18 스러스터 브레이크 KR1998003768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0730U KR19980037689U (ko) 1996-12-18 1996-12-18 스러스터 브레이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0730U KR19980037689U (ko) 1996-12-18 1996-12-18 스러스터 브레이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7689U true KR19980037689U (ko) 1998-09-15

Family

ID=53991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50730U KR19980037689U (ko) 1996-12-18 1996-12-18 스러스터 브레이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37689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7970A (ko) 2016-12-13 2018-06-21 주식회사 포스코 호이스트 브레이크 디스크 슬립 방지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7970A (ko) 2016-12-13 2018-06-21 주식회사 포스코 호이스트 브레이크 디스크 슬립 방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458511B (zh) 用于悬挂结构的制动系统重置机构
US5873434A (en) Brake apparatus for an elevator hoisting machine
US5680911A (en) Elector emergency device
US2233798A (en) Brake controlling means for hoists
US3056624A (en) Cargo hook device
KR930005898A (ko) 권상 견인기
EP0575045B1 (en) Hoist machine
KR19980037689U (ko) 스러스터 브레이크
US6516921B1 (en) Protective means against inertial slip of elevator cab during brake release in an emergency
JPS62274152A (ja) 力アクチュエ−タ
CN108994813A (zh) 机器人制动底盘
KR200260894Y1 (ko) 레일주행용 카의 유동방지장치
KR101947656B1 (ko) 도어스토퍼
JP2010173776A (ja) エレベータ巻上機の制動力設定装置
JPH03249075A (ja) エレベーターの停止制御方法及び停止制御装置
KR100675665B1 (ko) 권상기의 브레이크 수동해제장치
KR100350373B1 (ko) 엘리베이터 및 에스컬레이터의 브레이크장치
KR0151501B1 (ko) 가속페달 록킹장치
SU1076400A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аварийного торможени подъемной лебедки
JPS61101398A (ja) ホイストの巻過防止装置
KR100301643B1 (ko) 승강기비상탈출조립체
KR940000031Y1 (ko) 이동식 라체트휠의 역전방지장치
JPH09301687A (ja) 巻上装置
KR100579955B1 (ko) 파킹 브레이크용 브레이크 슈
SU1125119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зажима детале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