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7628A -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소거회로 - Google Patents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소거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7628A
KR19980037628A KR1019960056411A KR19960056411A KR19980037628A KR 19980037628 A KR19980037628 A KR 19980037628A KR 1019960056411 A KR1019960056411 A KR 1019960056411A KR 19960056411 A KR19960056411 A KR 19960056411A KR 19980037628 A KR19980037628 A KR 199800376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rase
block
signal
unit
outpu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64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27639B1 (ko
Inventor
김대현
Original Assignee
김영환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환,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환
Priority to KR10199600564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7639B1/ko
Publication of KR199800376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76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76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76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6/00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 G11C16/02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electrically programmable
    • G11C16/06Auxiliary circuits, e.g. for writing into memory

Landscapes

  • Read Only Memo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소거회로에 관한 것으로 기준값과 소거된 메모리 셀의 데이터값을 비교 하기 위한 데이터 비교부와, 데이터 비교부로부터의 출력신호를 입력으로 하며 소거확인을 판단하는 소거판단부와, 클럭신호가 인가될 때 마다 블록 어드레스 신호를 발생하는 블록 카운터부와, 소거판단부 및 블록 카운터부의 출력신호를 입력으로 하며 재 소거신호에 따라 소거 페일된 블록의 신호를 출력하는 블록 디코더부와, 어드레스 신호 및 상기 블록 디코더부의 출력신호를 입력으로 하며 소거 페일된 블록에 소거 바이어스 패스(Path)를 열어주는 블록 선택부와, 재 소거 확인신호와 블록 선택부의 출력신호를 입력으로 하며 재 소거된 블록의 소거확인을 하기 위한 재 소거 확인부로 이루어져서 블록단위로 소거 및 소거확인하므로써 소거시간을 감소시키고 메모리 셀이 과잉소거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소거회로
본 발명은 플래쉬 메모리소자(Flash Memory device)의 소거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체 메모리를 다수개의 블록으로 나눈 다음 단위 블록을 순차적으로 소거 및 소거확인할 수 있는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소거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소거에 있어서, 일단 소거동작을 실시한 후 소거가 제대로 이루어졌는지 확인하는 소거확인 동작을 실시한다. 종래에는 칩 소거동작시 전체의 메모리 셀에 소거전압을 인가하여 칩 소거동작을 완료한 후 최초의 어드레스를 갖는 메모리 셀부터 소거확인 동작을 실시하게 되는데 이때, 임의의 메모리 셀이 소거가 안되었을 경우 그 해당 메모리 셀에서 소거확인 동작을 멈춘 다음 재 소거 전압을 인가하여 전체 메모리 셀에 소거동작을 실시한 후 다시 최초의 어드레스를 갖는 메모리 셀부터 소거확인 동작을 재 실행하게 되며 소거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질 때까지 소거동작 및 소거 확인동작을 반복 실행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종래의 방법에 의한 칩소거 방법은 소거 확인동작시 소거되지 않은 셀이 발생될 경우 원점으로 돌아가게 되므로 소요되는 시간이 증가하게 될 뿐 아니라 반복 소거동작을 실시하므로 메모리 셀의 과잉 소거로 인해 소자의 특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체 메모리 셀을 다수개의 블록으로 나눈 다음 단위 블록을 순차적으로 소거 및 소거확인할 수 있는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소거회로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소거 회로는 기준값과 소거된 메모리 셀의 데이터값을 비교 하기 이한 데이터 비교부와, 상기 데이터 비교부로부터의 출력신호를 입력으로 하며 소거확인을 판단하는 소거 판단부와, 클럭신호가 인가될 때 마다 블록 어드레스 신호를 발생하는 블록 카운터부와, 소거 판단부 및 블록 카운터부의 출력신호를 입력으로 하며 재 소거신호에 따라 소거 페일된 블록의 신호를 출력하는 블록 디코더부와, 어드레스 신호 및 상기 블록 디코더부의 출력신호를 입력으로 하며 소거 페일된 블록에 소거 바이어스 패스를 열어주는 블록 선택부와, 재 소거 확인신호와 블록 선택부의 출력신호를 입력으로 하며 재 소거된 블록의 소거확인을 하기 위한 재 소거 확인부로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소거회로를 전반적으로 도시한 블록 다이어 그램도.
도 2는 도 1의 소거 판단부에 대한 상세 회로도.
도 3은 도 1의 블록 카운터부에 대한 상세 회로도.
도 4는 도 1의 블록 디코더부에 대한 상세 회로도.
도 5는 도 1의 블록 선태부에 대한 상세 회로도.
도 6은 도 1의 재 소거 확인부에 대한 상세 회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데이터 비교부2 : 소거 확인부
3 : 블록 카운터부4 : 블록 디코더부
5 : 블록 선택부6 : 재 소거 확인부
F1 내지 F6 : 플립플롭N1 내지 N21 : 난드 게이트
I1 내지 I21 : 인버터
이하, 본 발명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앞서 본 발명의 설명을 간단하게 하기 위하여 다수개의 블록중 4개의 블록만 있다고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소거회로를 도시한 전체적인 블록 다이어 그램도로서, 소거된 메모리 셀의 데이터값과 기준값을 비교 하기 위한 데이터 비교부(1)와, 상기 데이터 비교부(1)로부터의 출력신호를 입력으로 하며 소거확인을 판단하는 소거 판단부(2)와, 클럭신호가 인가될 때 마다 블록 어드레스 신호를 발생하는 블록 카운터부(3)와, 상기 소거 판단부(2) 및 블록 카운터부(3)의 출력신호를 입력으로 하며 재 소거신호에 따라 소거 페일(Erase Fail)된 블록의 신호를 출력하는 블록 디코더부(4)와, 어드레스 신호 및 상기 블록 디코더부(4)의 출력신호를 입력으로 하며 소거 페일된 블록에 소거 바이어스 패스(Path)를 열어주는 블록 선택부(5)와, 재 소거 확인신호와 블록 선택부(5)의 출력신호를 입력으로 하며 재 소거된 블록의 소거확인을 하기 위한 재 소거 확인부(6)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소거회로의 동작원리를 도 2 내지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도 1의 소거 판단부(2)에 대한 상세 회로도로서, 제1 난드 게이트(N1) 및 제1 인버터(I1)가 직렬로 구성되며 데이터 비교부(1)로부터의 출력신호(DATACMP)와 메모리 셀의 어드레스 신호(LASTADD)에 따라 소거 판단신호(VPASS)를 출력하게 된다. 상기 데이터 비교부(1)로부터의 출력신호(DATACMP)는 소거 확인시 소거된 메모리 셀의 데이터 값과 기준값을 비교하여 값이 같을 때만 하이신호를 출력하게 되고, 어드레스 신호(LASTADD)는 소거확인을 진행중인 블록내의 메모리 셀의 마지막 어드레스 신호일 때만 하이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출력신호(DATACMP) 및 어드레스 신호(LASTADD)가 하이신호일 때만 소거 판단신호(VPASS)는 하이신호를 출력하므로써 메모리 셀의 소거가 정상적으로 이루어 졌음을 알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블록 카운터부(3)에 대한 상세 회로도로서, 제1 및 제2 플립플롭(F1 및 F2), 제2 내지 제5 난드 게이트(N2 내지 N5) 및 제2 내지 제5 인버터(I2 내지 I5)로 구성된 2비트 바이너리(Binary) 카운터이다. 제1 및 제2 플립플롭(F1 내지 F2)에 클럭신호(CLK)가 인가될 때마다 제1 블록에서 제4 블록까지 4개의 블록 어드레스 신호(BLK0 내지 BLK3)를 순차적으로 발생한다.
도 4는 도 1의 블록디코더부(4)에 대한 상세 회로도로서, 제6 내지 제9 난드 게이트(N6 내지 N9), 제6 내지 제9 인버터(I6 내지 I9) 및 제3 내지 제6 플립플롭(F3 내지 F6)의 각각이 직렬로 구성된다. 이 블록 디코더부(4)에 입력되는 4개의 블록 어드레스 신호(BLK0 내지 BLK3) 중 제1 블록에 페일이 발생하였고 제2 내지 제4 블록은 패스(Pass) 되었다고 가정하면 제1 블록 어드레스 신호(BLK0)는 로우신호이고 제2 내지 제4 블록 어드레스 신호(BLK1 내지 BLK3)는 하이신호이다. 이때, 제6 난드 게이트(N6)의 입력 즉, 소거 판단신호(VPASS)는 로우신호이고 제1 블록 어드레스 신호(BLK0)는 하이신호 이므로 제3 플립플롭(F3)에는 로우신호가 저장되고, 그 외의 제4 내지 제6 플립플롭(F4 내지 F6)에는 하이신호가 저장된다. 따라서 재 소거신호(ERASE)가 하이신호로 인에이블(Enable)될 때 즉, 재 소거할 때 제3 플립플립(F3)의 출력신호(PBL0)는 로우신호 이고, 그 외의 제4 내지 제6 플립플롭(F4 내지 F6)의 출력신호(PLB1 내지 BPL3)는 하이신호 이다.
도 5는 도 1의 블록 선택부(5)에 대한 상세 회로도로서, 제10 내지 제13 난드 게이트(N10 내지 N13), 제10 내지 제13 인버터(I10 내지 I13), 제14 내지 제17 난드 게이트(N17 내지 N17) 및 제14 내지 제17 인버터(I4 내지 I17)의 각각이 직렬로 구성된다. 블록 선택부(5)는 블록 디코더부(4)의 출력신호(PBL0 내지 PBL3)를 입력으로 하며 2개의 어드레스 신호(A0 및 A1)에 의해 4개의 블록중 하나를 선택해 순차적으로 소거를 실시할 때 블록 디코더부(4)의 제1 출력신호(PBL0)가 로우신호 이므로 제14 난드 게이트(N14) 및 제14 인버터(I14)를 거친 출력신호(DISBLK0)는 로우신호가 되어 해당 블록의 소거 바이어 패스(Path)를 열어 주고 그 외의 출력신호(DISBLK1 내지 DISBLK3)는 하이신호가 되어 해당 블록의 소거 바이어스 패스를 닫아주게 된다. 따라서 제1 블럭 어드레스 신호(BLK0)에 해당되는 블록만 재 소거 동작이 실행된다.
도 6은 도 1의 재 소거 확인부(6)에 대한 상세 회로도로서, 제18 내지 제21 난드 게이트(N18 내지 N21) 및 제18 내지 제21 인버터(I18 내지 I21)의 각각이 직렬로 구성된다. 재 소거 확인부(6)는 블록 선택부(5)로부터 출력된 출력신호(PBL0 내지 PBL3)를 입력으로 하며 재 소거 확인신호(REVEREN)에 따라 재 소거 확인동작이 실시될 때 해당블록(즉, 여기서는 제1 블록)의 출력신호(VERCONT0)가 하이신호로 인에이블 되어 그 블록만이 실시된다. 상기와 같은 동작을 거쳐 모든 어드레스 신호가 패스되면 칩 소거동작은 종료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전체 메모리 셀을 다수개의 블록으로 나눈 다음 단위 블록을 순차적으로 소거 및 소거확인 하므로써 소거시간을 감소시키고 메모리 셀이 과잉소거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소거회로에 있어서,
    기준값과 소거된 메모리 셀의 데이터값을 비교 하기 위한 데이터 비교부와,
    상기 데이터 비교부로부터의 출력신호를 입력으로 하며 소거확인을 판단하는 소거 판단부와,
    클럭신호가 인가될 때 마다 블록 어드레스 신호를 발생하는 블록 카운터부와,
    상기 소거 판단부 및 블록 카운터부의 출력신호를 입력으로 하며 재 소거 신호에 따라 소거 페일된 블록의 신호를 출력하는 블록 디코더부와,
    어드레스 신호 및 상기 블록 디코더부의 출력신호를 입력으로 하며 소거 페일된 블록에 소거 바이어스 패스를 열어주는 블록 선택부와,
    재 소거 확인신호와 상기 블록 선택부의 출력신호를 입력으로 하며 재 소거된 블록의 소거확인을 하기 위한 재 소거 확인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소거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 소거 확인부는 다수개의 난드 게이트와, 상기 난드 게이트의 출력에 대응하여 연결되는 다수개의 인버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소거회로.
KR1019960056411A 1996-11-22 1996-11-22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소거회로 KR1002276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6411A KR100227639B1 (ko) 1996-11-22 1996-11-22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소거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6411A KR100227639B1 (ko) 1996-11-22 1996-11-22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소거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7628A true KR19980037628A (ko) 1998-08-05
KR100227639B1 KR100227639B1 (ko) 1999-11-01

Family

ID=19483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6411A KR100227639B1 (ko) 1996-11-22 1996-11-22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소거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763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2496A (ko) * 1996-12-24 1998-09-25 김영환 플래쉬 메모리셀의 과소거 된 셀 확인 방법
KR100519534B1 (ko) * 2000-11-09 2005-10-05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소거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2496A (ko) * 1996-12-24 1998-09-25 김영환 플래쉬 메모리셀의 과소거 된 셀 확인 방법
KR100519534B1 (ko) * 2000-11-09 2005-10-05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소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27639B1 (ko) 1999-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43839B1 (en) Non-volatile memory system including apparatus for testing memory elements by writing and verifying data patterns
US6031760A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of programming the same
US5224070A (en) Apparatus for determining the conditions of programming circuitry used with flash EEPROM memory
KR100343647B1 (ko) 일괄소거형불휘발성기억장치와그소거방법
US7889592B2 (en) Non-volatile memory device and a method of programming the same
US6711054B2 (en) Semiconductor device, data processing system and a method for changing threshold of a non-volatile memory cell
US6826116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including page latch circuit
US6597605B2 (en) Systems with non-volatile memory bit sequence program control
JP2648840B2 (ja) 半導体記憶装置
US5287317A (en)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with over-erasing prevention
US20050024948A1 (en) Semiconductor device and data processing system
US5327384A (en) Flash memory
US7057935B2 (en) Erase verify for non-volatile memory
US5400287A (en) Method for erasing and verifying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5724289A (en)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capable of selectively performing a pre-conditioning of threshold voltage before an erase self-test of memory cells and a method related therewith
JP2007184073A (ja) 基準フェイルビットの確認回路及び不揮発性半導体メモリ装置
KR970051345A (ko) 플래쉬 메모리 소자 및 그를 이용한 프로그램 방법
US5563824A (en)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of erasing stored data thereof
JP2870260B2 (ja)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
KR100953055B1 (ko) 불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동작 방법
KR100227639B1 (ko)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소거회로
US6137717A (en) Nonvolatile memory and writing circuit for same
USRE40076E1 (en) Program circuit
KR100313555B1 (ko) 소거기능의테스트용테스트회로를가진비휘발성반도체메모리
KR0153219B1 (ko) 비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및 그 시험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26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