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6721A - 버섯 재배사용 배양, 발이 생육실 내의 공기정화 및 온도, 습도조절장치 - Google Patents

버섯 재배사용 배양, 발이 생육실 내의 공기정화 및 온도, 습도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6721A
KR19980036721A KR1019960055327A KR19960055327A KR19980036721A KR 19980036721 A KR19980036721 A KR 19980036721A KR 1019960055327 A KR1019960055327 A KR 1019960055327A KR 19960055327 A KR19960055327 A KR 19960055327A KR 19980036721 A KR19980036721 A KR 199800367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temperature
foot
cultivation
humidity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5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15732B1 (ko
Inventor
조경래
Original Assignee
조경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경래 filed Critical 조경래
Priority to KR10199600553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5732B1/ko
Publication of KR199800367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67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57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57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60Cultivation rooms; Equipment therefor
    • A01G18/69Arrangements for managing the environment, e.g. sprinkl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6Air-conditioning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ushroom Cultiv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섯 재배사용 배양, 발이 및 생육실 내의 공기정화 및 온도, 습도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버섯 재배사 내에 공급되는 열에너지를 절약하고 버섯 재배사 내의 공기정화 및 버섯 재배에 필요한 온도, 습도조절을 간단한 구조의 조절장치에 의해 버섯 재배에 적합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버섯 재배사의 배양, 발이 생육실을 자연 환경과는 차단된 밀폐형으로 형성하여 버섯 재배사 내에 공급되는 열에너지의 소모를 최소화하는 기능과 상기 밀폐형 배양, 발이 생육실 내에서 자연 발생적으로 발생하는 유해가스 및 공기중에 포함된 불순물을 정화하여 신선한 공기만을 공급하는 공기정화 기능과 함께 온도조절과 습도를 공급하는 가습 기능을 가지는 버섯 재배사용 공기정화 및 온도, 습도조절장치에 의해 배양, 발이 생육실 내의 공기정화와 온도 및 습도를 조절하는 구성으로 됨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Description

버섯 재배사용 배양, 발이 생육실 내의 공기정화 및 온도, 습도조절장치
본 발명은 버섯 재배사용 배양, 발이 및 생육실(이하 배양, 발이, 생육실이라함) 공기정화 및 온도, 습도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버섯 재배를 위한 배양, 발이 생육실 내의 공기정화와 버섯 재배에 필요한 온도, 습도조절 등이 간단한 구조로 되는 조절장치에 의해 버섯 재배에 적합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팽이버섯, 느타리버섯, 영지버섯, 표고버섯 등과 같은 버섯류는 일반 농작물 재배와는 달리 생육실 내의 온도(냉·난방시설), 습도(가습), 환기(공기정화 및 신선도) 및 빛(일부 버섯의 경우에만 필요)과 같은 환경 조건을 충분히 만족한 상태에서만 재배가 가능하여 소수의 농가에서만 재배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버섯 재배는 재배환경이 그 성패를 좌,우하는 등 까다로운 조건을 만족하였을 때, 예를 들어 접종된 버섯 종균 배양시에는 약 65∼70% 정도의 습도를 유지하고, 버섯 발이시에는 85∼95% 정도를 버섯의 생육 억제 및 생육시에는 80∼85% 정도의 습도를 유지할때 비로서 품질 좋은 양질의 버섯 생산이 가능하다는데 비롯되고 있다.(물론, 버섯종류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버섯 재배를 위해 자연 환경을 이용하여 재배 환경을 조성하기 위하여 버섯 재배사 내의 배양, 발이 생육실의 온도, 습도를 조절하는 방법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그리고 버섯 재배사의 배양, 발이 생육실내에서 자연 발생적으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CO2), 암모니아(NH3) 등과 같은 유해가스는 버섯을 성숙시키는 호르몬 역할을 하는 반면에 재배사 내의 공기를 혼탁하게 하여 일부 버섯만이 속성되는 버섯의 겉자람으로 인한 버섯의 품질 저하를 초래하는 양면성을 가짐으로 가능한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지만 종래에는 배양, 발이 생육실 내의 공기를 정화하는 공기정화 시설의 필요성을 인식하면서도 온도조절장치 및 가습장치와 함께 공기정화장치를 함께 운용하는 경우, 시설 운용비가 과다하여 대부분 자연환기방식 즉, 재배사에 혼기구를 설치하여 대기 중의 공기를 그대로 도입시키는 방법을 통해 생육실 내의 공기조절 및 환기시킴으로서 에너지 손실이 많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버섯의 배양, 발이 조건과 생육실의 온도, 습도등 조건이 상이하므로 버섯을 배양, 발이한 다음 생육실로 옮겨서 생육하였기 때문에 작업이 번거롭고 비경제적이었다.
한편, 산업의 발달로 인한 심각한 대기오염으로 인해 사람들은 버섯 재배를 위한 부지를 도심으로부터 점차적으로 멀리 떨어진 곳에 설치하므로서 버섯 출하에 따른 과다한 물류 운송비 지출은 가격 상승을 부추기게 되어 더더욱 경쟁력을 약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문제점이 야기되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는 버섯 재배사 내의 온도 및 습도조절은 물론 배양, 발이 생육실 내의 공기 등도 함께 정화하여 버섯 재배에 적합한 환경을 용이하게 조성할 수 있는 버섯 재배사(배양, 발이 생육실)용 공기정화 및 온도, 습도조절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버섯 재배를 위한 배양, 발이 생육실이 자연 환경과 차단 밀폐된 공간 내에서 이루어지게 하여 계절에 관계없이 연중 버섯 재배가 가능케 하므로서, 농가 소득 증대를 꾀함은 물론, 도심인근 지역에서도 오염되지 않는 신선한 버섯 재배가 가능하고, 물류 운송비와 생산비의 절감으로 소비자들에게 저렴한 가격으로 양질의 버섯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버섯의 재배시 배양, 발이한 것을 생육실로 옮기지 않고 생육조건 즉, 온도 및 습도를 변화시켜 배양, 발이 생육실한 곳에서 배양, 발이 생육을 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버섯 재배사의 배양, 발이 생육실을 자연환경과는 차단된 밀폐형으로 형성하여 상기 밀폐형 배양, 발이 생육실 내에서 자연 발생적으로 발생하는 유해가스 및 공기중에 포함된 불순물을 정화하여 신선한 공기만을 공급하는 공기정화 기능과 함께 온도 및 습도를 공급하는 온도조절기능 및 가습 기능을 가지는 버섯 재배사(배양, 발이, 생육실)용 공기정화 온도 및 습도조절장치에 의해 배양, 발이 생육실 내의 공기 및 온도 습도를 조절하는 구성으로 됨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공기정화 및 온도, 습도조절장치는 물의 배수를 위해 밸브가 구비되는 배수구와 정화된 공기를 배양, 발이 생육실로 공급하는 공급구와 약품과 함께 물을 공급하여 주는 약품공급구 및 투시창이 구비되는 수조와 배양, 발이 생육실과 바깥쪽에서 유입된 공기를 정화시키는 약품이 들어 있는 공기정화 유니트와 배양, 발이 생육실내의 온도와 습도를 조절을 위해 팬코일장치와 가습기능을 가지는 습도조절 유니트로 구성되고 있다.
상기 공기정화 유니트는 에어공급관에 부설되는 송풍기에 의해 공기흡입구로 흡입된 공기를 수조에 공급하는 제1,2도관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도관은 수조의 물속에 잠긴 기포발생기와 연결되고, 제2도관은 수조의 중앙에 연결되어 공기분출구가 수면위에 위치하도록 되고, 공기흡입구에는 외부로부터 도입되는 대기중의 공기에 포함하고 있는 이물질과 같은 불순물을 포집하도록 된 에어필터가 개제되고 상기 공기흡입구 및 제1,2도관에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는 밸브가 구비되는 구성으로 되고 상기 습도조절 유니트는 배양, 발이 생육실에 가습공기를 공급하는 가습장치와 팬코일은 배양, 발이 생육실에 필요한 온도의 공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히터/냉동기에 연결되어 그 내측으로 매개체가 순환되는 팬코일로 되고 상기 팬코일은 가습장치의 하부측에 설치되어 수조에 고정되는 구성으로 되고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버섯 재배사의 배양, 발이 생육실을 외부와는 차단되는 밀폐형으로 형성하여 그 내측에 온도 및 습도조절과 공기정화 기능을 가지는 공기정화 및 온도, 습도조절장치를 설치함으로서, 배양, 발이 생육실의 온도, 습도는 물론 공기정화 등이 동시에 행해지는 이점이 있고, 구조 및 취급이 간단하고, 밀폐된 배양, 발이 생육실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자체 순환 방식을 이용함으로서 에너지 비용이 대폭 절감되어 농가 소득 향상에 크게 기여하는 등의 이점이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버섯 재배사용 배양, 발이 생육실 내에 공기정화 및 온도, 습도조절장치가 설치된 것을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정화 및 온도, 습도조절장치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버섯 재배사2:배양, 발이 생육실
3:공기정화 및 온도, 습도조절장치4:공기정화 유니트
5:습도조절 유니트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버섯 재배사를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버섯 재배에 적합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버섯 재배사(1)의 배양, 발이 생육실(2) 내부가 외부 환경(자연환경)과 격리되는 밀폐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배양, 발이 생육실(2) 내에는 유해가스 및 공기를 정화하는 공기정화 기능 및 온도, 습도를 공급하는 온도, 습도 조절 기능과 가습 기능을 갖는 버섯 재배사용 공기정화 및 온도, 습도조절장치(3)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되고 있다.
상기 버섯 재배사(1)는 비교적 시공이 간편한 비닐하우스 또는 이와 유사한 방법을 통해 조성되며, 재배사(1)의 내측에 형성되는 배양, 발이 생육실(2)은 외부와는 완전한 차단 효과를 기할 수 있도록 2중 구조 또는 단열 및 보온성이 뛰어난 소재에 의해 밀폐된 공간으로 이루어져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도 2는 배양, 발이 생육실 내의 공기 및 온도, 습도를 조절하도록 된 공기정화 및 온도, 습도조절장치를 묘사하고 있는 일예시도이다.
공기정화 및 온도, 습도조절 기능을 가지는 공기정화 및 온도, 습도조절장치(3)의 몸체는 내측에 물이 담겨지는 수조(30)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조(30)에는 물의 배수를 위해 밸브(310)가 구비되는 배수구(31)와 정화된 공기를 배양, 발이 생육실(2)로 공급하는 공급구(32)와 수조(30)의 내측으로 공기를 정화시키기 위해 약품과 함께 물을 공급하여 주는 약품공급구(33) 및 수조(30) 내의 수위 및 약품의 농도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된 투시창(34) 평상시에는 닫혀 있고, 수조(30)에 바깥공기(대기중의 공기)가 공급되어질 때 수조(30) 내의 공기압을 줄이기 위해 수조(30)의 공기를 배출시키도록 된 압력조절밸브(35)가 설치되는 구성으로 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수조(30)의 내측 상,하부에는 배양, 발이 생육실(2)과 바깥쪽에서 유입된 공기를 정화시키는 공기정화 유니트(4)와 배양, 발이 생육실(2) 내의 온도 및 습도를 조절을 위해 온도조절 기능과 가습 기능을 가지는 온도 및 습도조절 유니트(5)가 장착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공기정화 유니트(4)는 수조(30)에 공급되는 공기중의 불순물이나 유해가스등을 정화하여 신선한 공기만을 배양, 발이 생육실(2)로 공급하도록 수조(30)의 하부측에 설치되고 있다.
상기, 공기정화 유니트(4)는 송풍기(41)에서 흡입된 공기를 수조(30)에 공급하는 에어공급관(40)이 구비하여 상기 에어공급관(40)에 배양, 발이 생육실 내의 공기 및 대기중의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흡입구(42,43) 및 에어공급관(40)으로 유입된 공기를 수조(30)에 공급하는 제1,2도관(44,45)이 연결되고 있다.
수조에 공기를 공급하는 상기 제1도관(44)은 수조의 하부측에 연결되어 제1도관(44)으로 공급되는 공기가 수조(30)에 장입된 물 속으로 분출시키도록 되며 상기 제1도관(44)에는 기포발생기(440)가 부설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제2도관(45)은 에어공급관(40)과 제2도관(45)을 통해 공급되는 공기를 수면 위쪽으로 분출되도록 수조(30)의 중앙부에 연결되고 있다.
공기흡입구(43)에는 외부로부터 도입되는 대기중의 공기에 포함하고 있는 이물질과 같은 불순물을 포집하도록 된 에어필터(430)가 개제되고, 상기 공기흡입구(43) 및 제1,2도관(44,45)의 중간에는 조절밸브(431,441,451)가 구비되어 상기 조절밸브(431,441,451)에 의해 그 내측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도록 되고 제2도관(45)은 온도 변화에 따라 수조(30)에 분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상,하 방향으로 조정할 수 있는 구조로 되고 있다.
온도 및 습도조절 유니트(5)는 배양, 발이 생육실(2)에 일정한 습도 유지를 위한 가습공기를 공급하도록 안개의 형태로 수분을 분무하는 가습장치(51)와 배양, 발이 생육실내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온도조절기능을 가진 장치(52)는 같은 열매개체(예, 부동액)를 이용한 히터/냉동기에 연결되어 그 내측으로 순환되는 매개체를 가온/냉각시키도록 된 팬코일(52)로 구성되며, 상기 팬코일(52)은 가습장치(51)의 하부측에 고정 설치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팬코일(52)을 순환하는 매개체는 부동액이 이용되며 배양, 발이 생육실에서 자연 발생적으로 발생되는 유해가스(CO2) 제거를 위해 수조(30)에 투여되는 약품은 소석회 용액과 같은 알카리 화학물질로 구성되어 물에 희석된 알카리 화학물질과 유해가스간의 화학반응을 통해 수조(30)에 탄산칼륨과 같이 침전시키도록 되고 수조(30)에 침전된 침전물은 수조(30)에 배수구(31)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미설명 부호 442는 매쉬형태로 되는 판을 의미하는 것으로 상기 판(442)은 하부측에 설치된 기포발생기(440)로부터 발생되는 공기방울(기포)이 수조(30)에 넓게 확산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의 동작 상태는 다음과 같다.
외부 전원을 인가시킴에 따라 동작되는 송풍기(41)에 의해 배양, 발이 생육실(2) 내의 공기는 공기흡입구(42), 에어공급관(40), 제1도관(44)을 수조(30)에 유입되고 이때 수조(30)에 유입된 공기는 기포발생기(440)에 의해 기포 형태를 이루며 소석회 용액이 녹아 있는 물과 접촉하게 될 때 상기 공기에 포함하고 있는 이산화탄소는 소석회 용액과 반응하여 수조(30)의 하부측에 침전되고 암모니아 가스등과 같은 유해가스와 포자등은 물에 흡수되여야 된다.
유해가스가 제거된 공기는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도록 가열/냉각된 팬코일(52)에 의해 적정한 온도를 유지하며 공급구(32)를 통해 다시 배양, 발이 생육실(2)로 공급되는 일련의 연속 반복된 동작을 통해 배양, 발이 생육실(2) 내의 공기정화 및 온도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공기정화 유니트(4)와 함께 수조(30)에 구비되는 온도 및 습도, 조절 유니트(5)를 함께 가동하게 되면 가습장치(51)를 고압으로 가압하게 되어 안개 형태를 이루며 분무되어지는 물과 공기가 함께 공급구(32)를 통해 배양, 발이 생육실(2)로 배출되게 되어 배양, 발이 생육실(2) 내에는 항상 적당한 습도 및 온도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일련의 반복된 동작을 수행함에 따라 배양, 발이 생육실(2) 내에는 신선한 공기와 함께 적정한 온도와 습도를 유지하는 등 버섯 재배에 필요한 최적 환경을 이룰 수 있게 된다.
한편, 공기를 정화시킴에 따라 오염된 물과 소석회 용액 및 침전된 탄화칼슘과 같은 이물질의 양과 오염 정도는 관리자가 수조(30)에 형성되는 투시창(34)을 통해 육안으로 확인하고 수조에 보다 많은 양의 물과 소석회 용액을 투여하여 수위를 높게 되는 경우 유해가스(CO2, NH3) 등과 같은 이물질이 더 많이 녹게 되어 정화 효과가 크게 향상되는 등 정화량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오염 정도가 심하여 이를 교체시킬 경우에는 기기의 동작을 멈춘 상태에서 밸브(310)를 개방시킴에 따라 개방된 배수구(31)를 통해 수조(30) 내의 오염물질은 밖으로 배출되게 되고, 다시 밸브(310)를 닫은 후, 약품공급구(33)를 통해 새로운 소석회 용액과 일정량의 물을 보충하면 지속적인 정화 효과를 꾀할 수 있다.
그런데 기기의 연속적인 가동으로 인해 배양, 발이 생육실(2) 내의 산소가 부족할 경우 공기흡입구(43)에 부설되는 밸브(431)를 개방시킴에 따라 대기중의 공기가 배양, 발이 생육실(2)의 공기와 함께 수조(30)로 유입되어 필요한 산소를 공급받을 수 있다.
이때 공기중에 포함된 이물질은 에어필터(430)에 의해 1차 분리 제거된 후, 다시 수조(30)의 소석회 용액이 녹아 있는 물(수조층)을 통과함에 따라 2차 정화된 신선한 공기만에 의해 배양, 발이 생육실(2)로 공급 보충되게 된다.
그리고 동절기의 경우에는 재배사(1) 외부 온도가 배양, 발이 생육실(2)의 온도보다 더 낮은 온도를 갖으므로, 이 경우에는 팬코일(52)을 가동하지 않은 상에서도 배양, 발이 생육실(2)의 온도, 조절이 가능하며, 바깥쪽 공기와 배양, 발이 생육실(2) 내의 온도차가 비교적 큰 하절기의 경우에는 팬코일(52)에 전원을 인가시킴에 따라 내측으로 순환되는 매개체에 의해 냉각되는 팬코일(52)의 표면과 접촉되는 공기는 차가워지게 되어 배양, 발이 생육실(2)의 온도를 낮추는 방법을 통해 배양, 발이 생육실(2)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배양, 발이 생육실(2)의 온도는 낮추고 습도를 높이고자 할 때는 제2도관(45)측 밸브(451)는 개방하고 제1도관(44)과 공기흡입구(43)의 밸브(441,431)를 닫은 상태에서 송풍기(41)를 가동하면 송풍기(41)에 의해 흡입되는 배양, 발이 생육실(2)의 공기는 에어공급관(40)과 제2도관(45)을 통해 수조(30)에 공급되고 상기 수조(30)로 공급된 공기는 팬코일(52)과 가습장치(51)에 의해 저온 다습한 공기로 변하게 되어 배양, 발이 생육실의 온도는 낮추면서 습도를 높이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배양, 발이 생육실(2)의 보습과는 관계없이 온도를 급히 내리고자 할 경우 제2도관(45)을 통해 수조에 분출되는 공기분출구가 팬코일(52)측으로 향하도록 180° 회전시키고 온도를 급격하게 상승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다시 제2도관(45)의 공기분출구를 180° 회전시켜 물이 담겨진 수면쪽으로 향하게 하는 것에 의해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배양, 발이 생육실 내의 습도를 급히 올릴 필요가 있을 때는 수조에 담겨지는 물만으로 가습량이 부족하므로, 이 경우 온도 및 습도조절 유니트(5)의 가습장치(51)를 함께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재배사의 배양, 발이 생육실 내에 본 발명의 공기정화 및 온도, 습도조절장치가 설치되는 것을 일예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 공기정화 및 온도, 습도조절장치를 외부 배양, 발이(생육실 밖)에 설치하여 도관을 통해 배양, 발이 생육실 내로 정화된 공기 및 조절된 온도와 습도를 공급하는 구조로 변경 사용이 가능하며, 배양, 발이 생육실의 크기에 따라서 공기정화 및 온도조절/습도조절장치의 크기를 달리하여 설치하여야 효과를 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장치에 실내온도 및 습도 등을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설치하고 상기 센서의 신호에 따라 이를 자동제어하도록 콘트롤러 및 관로를 자동 개폐하는 전자밸브를 이용하는 경우 완전 무인화된 버섯 재배(배양, 발이 생육)가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버섯 재배사의 배양, 발이 생육실을 외부와는 차단되는 밀폐형으로 형성하여 그 내측에 온도와 습도조절 및 공기정화 기능을 가지는 공기정화 및 온도, 습도조절장치를 설치함으로서 배양, 발이 생육실의 온도, 습도는 물론 공기정화 등이 함께 행해지는 이점이 있다.
또한, 구조 및 취급이 간단하고, 밀폐된 배양, 발이 생육실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자체 순환 방식을 이용함으로서 에너지 비용이 대폭 절감되어 농가 소득 향상에 크게 기여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버섯 재배를 위한 배양, 발이 생육실이 자연환경과 차단되는 밀폐형으로 구성함으로서 계절에 관계없이 연중 버섯 재배는 물론 운송비가 크게 절감되어 소비자는 저렴한 가격으로 양질의 버섯을 제공받을 수 있다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7)

  1. 버섯 재배에 적합한 환경을 조성함에 있어서, 버섯 재배사(1)의 배양, 발이 생육실(2)을 외부와 격리되는 밀폐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배양, 발이 생육실(2) 내의 유해가스 및 공기를 정화하는 공기정화 및 온도, 조절과 가습 기능을 갖는 버섯 재배사용 공기정화 및 온도, 습도조절장치(3)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되어 배양, 발이 생육실 내의 공기정화 및 온도, 습도를 조절하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 재배사용 배양, 발이 생육실 공기정화 및 온도, 습도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정화 및 온도, 습도조절장치(3)는 물의 배수를 위해 밸브(310)가 구비되는 배수구(31)와 정화된 공기를 배양, 발이 생육실(2)로 공급하는 공급구(32)와 약품과 함께 물을 공급하여 주는 약품공급구(33) 및 투시창(34)이 구비하여 되는 수조(30)와 배양, 발이 생육실(2)과 바깥쪽에서 유입된 공기를 정화시키는 공기정화 유니트(4)와 배양, 발이 생육실(2) 내의 온도와 습도를 조절을 위한 기능을 갖는 온도, 습도조절 유니트(5)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 재배사용 배양, 발이 생육실 공기정화 및 온도, 습도조절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정화 유니트(4)는 에어공급관(40)에 부설되는 송풍기(41)에 의해 공기흡입구(42,43)로 흡입된 공기를 수조(30)에 공급하는 제1,2도관(44,45)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도관(44)은 수조(30)의 물에 잠기는 기포발생기(440)와 연결되고 제2도관(45)은 수조(30)의 중앙에 연결되어 공기분출구가 수면위에 위치하도록 되고 공기흡입구(43)에는 외부로부터 도입되는 대기중의 공기에 포함하고 있는 이물질과 같은 불순물을 포집하도록 된 에어필터(430)가 개제되고 상기 공기흡입구(43) 및 제1,2도관(44,45)에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는 밸브(431,441,451)가 구비되는 구성으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 재배사용 배양, 발이 생육실 공기정화 및 온도, 습도조절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및 습도조절 유니트(5)는 배양, 발이 생육실(2)에 가습공기를 공급하는 가습장치(51)와 히터/냉동기에 연결되어 그 내측으로 같은 매개체가 순환되는 팬코일(52)로 되고 상기 팬코일(52)은 가습장치(51)의 하부측에 설치되어 수조(30)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 재배사용 배양, 발이 생육실 공기정화 및 온도, 습도조절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도관(45)은 수조(30)에 분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상,하방향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회동되는 구조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 재배사용 배양, 발이 생육실 공기정화 및 온도, 습도조절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매개체는 부동액으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 재배사용 배양, 발이 생육실 공기정화 및 온도, 습도조절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30)에는 유해가스 및 불순물 제거를 위한 물과 알카리 화학물질이 일정비율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 재배사용 배양, 발이 생육실 공기정화 및 온도, 습도조절장치.
KR1019960055327A 1996-11-19 1996-11-19 버섯 재배사용 배양, 발이 생육실 내의 공기정화 및 온도, 습도 조절장치 KR1002157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5327A KR100215732B1 (ko) 1996-11-19 1996-11-19 버섯 재배사용 배양, 발이 생육실 내의 공기정화 및 온도, 습도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5327A KR100215732B1 (ko) 1996-11-19 1996-11-19 버섯 재배사용 배양, 발이 생육실 내의 공기정화 및 온도, 습도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6721A true KR19980036721A (ko) 1998-08-05
KR100215732B1 KR100215732B1 (ko) 1999-08-16

Family

ID=19482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5327A KR100215732B1 (ko) 1996-11-19 1996-11-19 버섯 재배사용 배양, 발이 생육실 내의 공기정화 및 온도, 습도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573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0684B1 (ko) * 1999-04-26 2001-05-15 이재복 재배사에 공급되는 공기의 정화 및 온도와 습도 조절장치
KR100373107B1 (ko) * 1998-12-16 2003-06-11 주식회사 성우크린테크 버섯재배사
KR100428924B1 (ko) * 2001-12-28 2004-04-29 윤기호 버섯배지 제조장치
KR101040278B1 (ko) * 2010-12-10 2011-06-10 (주) 여진 멀티 인큐베이터
KR102104631B1 (ko) 2018-12-06 2020-05-29 조재철 버섯 재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2951B1 (ko) 2019-05-22 2021-07-29 주식회사 디시에이 환경 자동제어 기능을 갖는 버섯재배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3107B1 (ko) * 1998-12-16 2003-06-11 주식회사 성우크린테크 버섯재배사
KR100290684B1 (ko) * 1999-04-26 2001-05-15 이재복 재배사에 공급되는 공기의 정화 및 온도와 습도 조절장치
KR100428924B1 (ko) * 2001-12-28 2004-04-29 윤기호 버섯배지 제조장치
KR101040278B1 (ko) * 2010-12-10 2011-06-10 (주) 여진 멀티 인큐베이터
KR102104631B1 (ko) 2018-12-06 2020-05-29 조재철 버섯 재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15732B1 (ko) 1999-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6481673U (zh) 一种植物生长可控培育架
CN106234201A (zh) 一种自动化大型无土栽培设备
WO2021017656A1 (zh) 一种种植环境调节系统及方法
AU2010359024A1 (en) Aerobic and anaerobic system for treating wastewater
KR19980036721A (ko) 버섯 재배사용 배양, 발이 생육실 내의 공기정화 및 온도, 습도조절장치
CN206620521U (zh) 一种杏鲍菇培养室
CN110178717A (zh) 全密封植物营养雾培装置及其植物雾培方法
CN113661910A (zh) 种植环境控制系统
CN108534281A (zh) 一种免日常维护绿窗供水通风系统及方法
TWM607846U (zh) 種植環境調節系統
KR100721804B1 (ko) 통합 축사 정화 시스템
CN106942125A (zh) 一种环保多功能水产养殖装置
WO2003006629A1 (fr) Procede et dispositif de culture de microbes de photosynthese
CN208354208U (zh) 一种食用菌养殖架
CN209057662U (zh) 一种有机废物生态环保发酵车间
CN103109703B (zh) 室内植物氧吧
CN203105214U (zh) 室内植物氧吧
CN215530643U (zh) 深-浅液流植物栽培环境调控系统
CN213214712U (zh) 移动式人工光立体高效育苗箱
CN210247716U (zh) 阳光节能型植物工厂
KR100458279B1 (ko) 버섯재배사의 에너지 절약형 무창 환기장치
CN205491873U (zh) 一种空气成分可控的仿野生栽培箱
CN220224184U (zh) 污水环境中微生物培养装置
CN204482929U (zh) 一种酱油制曲曲池环境控制装置
CN108401796A (zh) 节能控温蘑菇种植温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4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