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3107B1 - 버섯재배사 - Google Patents

버섯재배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3107B1
KR100373107B1 KR10-1998-0055425A KR19980055425A KR100373107B1 KR 100373107 B1 KR100373107 B1 KR 100373107B1 KR 19980055425 A KR19980055425 A KR 19980055425A KR 100373107 B1 KR100373107 B1 KR 1003731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midity
air
temperature
mushroom
mushroo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54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39927A (ko
Inventor
김남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우크린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우크린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우크린테크
Priority to KR10-1998-00554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3107B1/ko
Publication of KR200000399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99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31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31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60Cultivation rooms; Equipment therefor
    • A01G18/69Arrangements for managing the environment, e.g. sprinkl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6Air-condition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54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ultra-fine filter sheets or diaphrag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7Ventilation with forced flow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3/00Thermome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 G01W1/11Weather houses or other ornaments for indicating humidity

Abstract

본 발명은 버섯이 요구하는 온도, 습도, 청정도 등의 환경조건을 첨단의 항온, 항습, 무진의 자동화 공조기술을 통하여 최적의 환경조건으로 맞추어 줌으로서 고부가가치 작물인 버섯의 생산성을 높이고, 품질을 향상시킬수 있도록 한 자동버섯 재배사에 관한 것이다.
그 기술적인 구성은, 샌드위치 패널구조의 보온재를 이용한 콘테이너식 재배사의 내부에 온도, 습도및 CO2 센서를 장착하고, 공조기내의 쿨링 코일 및 히터에 의하여 그 온도를 기계적으로 조절함과 동시에, 공조기내의 가습기와 재배사 내부에 설치된 습도조절용 워터 노즐을 통해 습도를 자동으로 조절하고, 블로우어를 통하여 지속적으로 버섯이 느끼지 못할 정도의 느린 풍속으로 외부공기를 순환시켜 재배사내에 설치된 CO2 센서에 따라 재배사내의 CO2 농도를 버섯이 요구하는 쾌적한 수준으로 공기의 청정도를 유지하도록 하였고, 외기 흡입식 헤파필터(Hepa Filter)를 이용하여 깨끗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버섯 재배사 {APPFARATUS FOR GROWING MUSHROOM}
본 발명은 버섯이 요구하는 온도, 습도, 청정도등의 환경 조건을 첨단의 항온, 항습, 무진의 자동화 공조기술을 통하여 최적의 환경조건으로 맞추어 줌으로서 고부가가치 작물인 버섯의 생산성을 높이고,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 버섯재배사에 관한 것이다.
버섯재배의 환경요인인 온도, 습도, CO2 농도, 오염, 조사량등의 문제가 기존 재래식 재배사에서는 효율적으로 관리가 안됨으로 인하여 버섯 재배농가가 상당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보다 세부적인 문제점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일반적인 버섯 재배사에 있어서는 비닐 하우스의 외부에 보온덮개등을 씌워 보온을 유지하고 있으나, 이때 많은 열손실이 발생하므로 효율적인 관리가 어렵고, 하우스의 내부 온도를 버섯이 요구하는 최적의 온도로 재배사 내부 어느 곳이나 일정하게 유지하여야 하나 공조시설등의 미비로 인하여 적정한 관리가 불가능한 단점이 있는 것이다.
이때, 일부 에어콘등으로 온도를 조절하고 있으나 이 또한 불안정하기는 마찬가지인 것이다.
한편, 내부 습도는 습도의 정확한 측정도 하지 않은 상태에서 재배하는 사람의 경험에 의한 감각으로 물뿌리개를 이용하여 주기적으로 맞추고 있는 실정으로 정확한 관리가 불가능한 것이다.
또한, 매우 중요한 환경요인중의 하나인 버섯의 성장과정에서 발생하는 CO2농도의 조절을 위해서는 주기적인 환기가 필요하나 특별한 환기장치가 없이 환기통을 적당히 만들어 재배사의 경험을 통한 방법으로 환기를 시키고 있는 실정으로 정확한 CO2 농도의 관리가 어려운 관계로 CO2 농도가 일정수준에 이르면 버섯이 성장을 멈추고 어느 수준에 이르면 폐사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특히, 이러한 환기 과정중에 외부 공기 흡입시 공기중의 곰팡이 균, 버섯파리등의 버섯에 치명적인 영향을 끼치는 오염원이 유입되고 있으나 이를 막는 방법이 전무하여 버섯의 수확에 막대한 지장을 받고 있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전체적인 공조관리가 필요한 상황이나 온도가 만족되면 습도가 맞지 않고, 습도가 맞지 않으면 CO2 농도가 맞지 않고, CO2농도를 맞추다보면 공기중의 곰팡이 균, 버섯파리등에 의하여 오염되어 버섯이 폐사하는 등 버섯이 요구하는 환경을 동시에 맞추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며 이러한 개별적인 환경요인을 맞추기 위하여 밤장을 설치며 24시간 버섯재배에 몰두해야 하는 실정인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버섯이 요구하는 온도, 습도, 청정도등의 환경 조건을 항온, 항습, 무진의 자동화 공조기를 통하여 버섯이 요구하는 쾌적한 수준으로 공기의 청정도를 유지하여 줌으로서 고부가가치 작물인 버섯의 생산성을 높이고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 버섯 재배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온도, 습도를 버섯의 종류에 따라 자동으로 조절해줌으로서 버섯의 온,습도 관리에 투입되는 노동력을 거의 없앰으로서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버섯 재배시 발생하는 CO2의 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외부공기 투입시 헤파필터(Hepa Filter)를 사용함으로서, 다른 미생물의 침투를 원천적으로 봉쇄하면서 깨끗한 공기를 공급하여 버섯의 폐사율을 극소화함으로서 생산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체적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내부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덕트 상세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헤파 필터 4..... 블로우어
6..... 덕트 8..... 워터노즐
10..... 공조기 12..... 하우징
15..... 리턴덕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발명은, 하우징의 내부에 온도, 습도 및 CO2 센서가 각각 장착되고, 이들 센서에서 공급되는 정보를 바탕으로 쿨링 코일, 히터, 가습기, 오염방지 필터등을 갖춘 공조기가 버섯의 생육에 필요한 하우징내의 온도, 습도및 CO2 농도를 버섯이 원하는 조건으로 동시에 조절토록 하는 버섯 재배사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샌드위치 패널구조의 보온재가 내장되는 콘테이너식으로 구성되며, 상기 하우징 내의 전체 공기는 시간당 10회 이상 순환 가능토록 공조기내에 블로우어가 내설되고, 순환공기의 약 90-95%가 재유입되는 리턴덕트와 마이크로 헤파필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각도면을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도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표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재배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 샌드위치 패널구조의 보온재를 이용한 콘테이너식 하우징(12)의 내부에 온도센서, 습도센서및 CO2 센서를 장착하여 공조기(10)내의 쿨링 코일(Cooling Coil)및 히터(Heater)에 의해서 콘테이너식 하우징(12)내의 온도를 기계적으로 조절함과 동시에, 공조기(10)내의 가습기와 하우징(12) 내부에 설치된 습도조절용 워터 노즐(Water Nozzle)(8)을 통해 습도를 자동으로 조절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하우징(12)의 내부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공조기(10)는 센서에 입력된 온도를 가변 자동 프로그램(Programmable Logic Control System)에서 자동으로 조절하게 되며, 이러한 온도는 버섯의 종류에 따라 생육조건이 다르므로 버섯종류에 알맞게 생육온도인 15-25℃를 유지함과 동시에, 원하는 습도를 자동으로 유지토록 설정하여 블로우어(Blower)(4)를 통해 외부공기를 내부에 순환시킴으로서 하우징(12)내의 CO2농도를 쾌적한 수준으로 유지시켜 준다.
상기 워터노즐(8)은 하우징(12) 내부의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분무식 노즐로 구성하여 물의 입자가 안개와 같이 골고루 퍼지면서 분사되도록 하여 하우징(12)내의 습도편차가 거의 없게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외부공기의 순환시 가습기를 통해서 버섯이 요구하는 온,습도에 알맞는 적절히 조절된 공기를 블로우어(4)를 통해서 버섯이 싫어하지 않는 정도의 풍속으로 내부 공기를 순환시켜 하우징(12) 내의 어느 곳도 공기의 온, 습도의 편차가 거의 없도록 하는 것이고, 하우징(12) 내의 전체 공기는 시간당 10회 이상 순환가능토록 형성하고, 순환공기의 약 90%는 리턴덕트(Return Duct)(15)를 통해 헤파필터(2)를 거쳐 순환되도록 하여 에너지의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순환되는 공기는 온,습도가 조절된 공기로 마이크로 헤파필터(Micro Hepa Filter)(2)를 통해 하우징(12)내로 약 90%정도를 재유입시킴으로서 각종 오염균등의 유입을 원천적으로 봉쇄하여 버섯의 폐사를 극소화함으로서 생산성을 극대화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하우징(12)내에는 태양광과 같은 파장을 내는 삼파장 형광등(True Light)을 설치하여 자연조건과 같은 환경을 조성하여 버섯생육시 일정량 조사함으로서 버섯의 생육을 보다 우수하게 할 수 있는 것으로, 이 또한 PLC 시스템과 연계하여 자동으로 조사량을 조절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하우징(12)내부에 위치된 특수 제작의 이동식 트레이에 버섯 종균을 다단으로 투입하고 버섯이 요구하는 환경에 맞추어 가변자동프로그램에 생육온도와 습도를 설정하면, 하우징(12) 내부에 설치된 온도 센서와 습도 센서에 의해서 공조기(10)가 작동되어 하우징(12)내의 온,습도를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블로우어(4)를 통해 하우징(12)내의 전체 공기를 시간당 10회 이상 순환가능토록 지속적으로 외부공기를 순환시킴으로서, 하우징(12)내의 CO2 농도를 쾌적한 수준으로 유지시켜 주는 것이고, 순환되는 공기중 곰팡이 균, 버섯파리등의 미생물의 유입을 헤파 필터(2)가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버섯의 폐사율을 극소화할수 있는 것이다.
한편 하우징(12)내의 습도가 낮을 경우, 하우징(12)내에 설치된 습도센서에 의하여 공조기(10)내의 가습기및 하우징(12)내의 워터 노즐(8)을 통하여 물을 분사시켜 습도를 조절하는 것이다. 따라서, 습도센서에 의하여 정확한 양의 물을 분사하므로 원하는 습도를 정확하게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워터노즐(8)의 분사시 버섯종균이 투입된 트레이는 적당 간격을 띄우고 다단으로 적층되고, 워터노즐(8)에서 분사된 물의 입자가 안개와 같이 분무되는 상태에서 블로우어(4)에 의한 내부 공기 순환기류에 의해서 골고루 퍼짐으로서 하우징(12) 내부의 습도의 편차가 전혀 없게 되는 것이다.
또한, 온도 조절시 블로우어(4)를 통해 하우징(12)내로 유입되는 바람은 버섯이 싫어하지 않는 정도 즉, 바람을 거의 느끼지 못할 정도의 풍속으로 순환공기의 약 90-95% 정도를 리턴덕트(15)를 거쳐 헤파 필터(2)를 통해 재 유입시킴으로서, 오염균을 원천적으로 봉쇄하면서 에너지 회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것이다.
버섯이 요구하는 온도, 습도, 청정도등의 환경 조건을 항온, 항습, 무진의 자동화 공조기를 통하여 버섯이 요구하는 쾌적한 수준으로 공기의 청정도를 유지하여 줌으로서 고부가가치 작물인 버섯의 생산성을 높이고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되며, 온도, 습도를 버섯의 종류에 따라 자동으로 조절하여, 버섯의 온,습도 관리에 투입되는 노동력을 거의 없앰으로서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됨은 물론, 특히 버섯 재배시 발생하는 CO2의 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외부공기 투입시 헤파필터(Hepa Filter)를 사용함으로서, 다른 미생물의 침투를 원천적으로 봉쇄하면서 깨끗한 공기를 공급하여 버섯의 폐사율을 극소화함으로서 생산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하우징(12)의 내부에 온도, 습도 및 CO2 센서가 각각 장착되고, 이들 센서에서 공급되는 정보를 바탕으로 쿨링 코일, 히터, 가습기, 오염방지 필터등을 갖춘 공조기(10)가 버섯의 생육에 필요한 하우징(12)내의 온도, 습도및 CO2 농도를 버섯이 원하는 조건으로 동시에 조절토록 하는 버섯 재배사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2)은 샌드위치 패널구조의 보온재가 내장되는 콘테이너식으로 구성되며, 상기 하우징(12) 내의 전체 공기는 시간당 10회 이상 순환 가능토록 공조기(19)내에 블로우어(4)가 내설되고, 순환공기의 약 90-95%가 재유입되는 리턴덕트(15)와 마이크로 헤파필터(2)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 재배사.
KR10-1998-0055425A 1998-12-16 1998-12-16 버섯재배사 KR1003731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5425A KR100373107B1 (ko) 1998-12-16 1998-12-16 버섯재배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5425A KR100373107B1 (ko) 1998-12-16 1998-12-16 버섯재배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9927A KR20000039927A (ko) 2000-07-05
KR100373107B1 true KR100373107B1 (ko) 2003-06-11

Family

ID=19563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5425A KR100373107B1 (ko) 1998-12-16 1998-12-16 버섯재배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31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1696A (ko) * 2001-09-07 2003-03-15 대스캡피시엠주식회사 버섯 재배 자동화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6721A (ko) * 1996-11-19 1998-08-05 조경래 버섯 재배사용 배양, 발이 생육실 내의 공기정화 및 온도, 습도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6721A (ko) * 1996-11-19 1998-08-05 조경래 버섯 재배사용 배양, 발이 생육실 내의 공기정화 및 온도, 습도조절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1696A (ko) * 2001-09-07 2003-03-15 대스캡피시엠주식회사 버섯 재배 자동화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9927A (ko) 2000-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67732A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the environment in a greenhouse
US7278237B2 (en) Transplant production system
US20180359946A1 (en) Apparatus for growing vegetables, mushrooms, ornamental plants and the like
JP5467438B2 (ja) 植物栽培施設
CN110012750B (zh) 多层隔板式植物培育装置以及植物培育系统
KR200207824Y1 (ko) 무균 자동화 버섯재배장치
KR102088593B1 (ko) 순환식 버섯재배 시스템
KR101934482B1 (ko) 기화열 냉각 방식을 가진 식물 재배기 냉각 시스템
JP2015223118A (ja) 植物生育環境の制御方法、制御装置および制御用プログラム
KR101222399B1 (ko) 수경재배 온실용 냉,난방장치
KR101889217B1 (ko) 식물재배용 공조장치
JP7382229B2 (ja) 栽培方法
EP3986116B1 (en) Greenhouse
US20220192105A1 (en) Hvac system for hydroponic farm
RU2549087C1 (ru) Теплица и способ поддержания и регулирования микроклимата в ней
KR100373107B1 (ko) 버섯재배사
KR20200011724A (ko) 바이오필터가 내장된 공기조화장치
JP2003219736A (ja) 育苗用の開放型空調装置
RU2676316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ультивирования растений
KR20180031334A (ko) 원격 제어 기능을 갖는 이동식 버섯 재배 시스템
KR100772473B1 (ko) 육묘 장치
JP2007071418A (ja) 無風環境型植物育成チャンバー及び温度調整方法
JPH0837944A (ja) 植物育成装置
JP3427372B2 (ja) キノコ栽培室の栽培環境調整方法及びその装置
JPS6374429A (ja) 葉菜類の水耕栽培施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0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