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6541U - 자동차용 배터리 취부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배터리 취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6541U
KR19980036541U KR2019960049542U KR19960049542U KR19980036541U KR 19980036541 U KR19980036541 U KR 19980036541U KR 2019960049542 U KR2019960049542 U KR 2019960049542U KR 19960049542 U KR19960049542 U KR 19960049542U KR 19980036541 U KR19980036541 U KR 1998003654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fixing
mounting structure
vehicle
fixing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95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윤영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600495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36541U/ko
Publication of KR1998003654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6541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4Arrangement of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엔진룸에 배터리를 고정되도록 하는 구성 요소들을 최대한 줄이고 경량화 하여 비용의 절감 및 노력의 절감 등이 있게 하여 생산성의 향상을 가져오도록 한 자동차용 배터리 취부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자동차에 배터리를 고정하는 취부구조에 있어서, 배터리가 안착되는 배터리 박스의 일측에 수직 방향으로 박판의 연결편을 연장하여 배터리의 높이와 근접된 위치에 일측이 너트홈이 형성된 배터리 고정편을 힌지결합하기 위해 경첩부를 형성하고, 상기 너트홈에 배터리의 타측에서 고정 브래킷에 끼움 결합하여 배터리의 측단 상부로 연장된 수직 걸이 연결봉의 끝단과 고정·결합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배터리 취부구조
본 고안은 자동차의 배터리(BATTERY)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엔진룸(ENGINE)에 배터리를 고정되도록 하는 구성 요소들을 최대한 줄이고 경량화 하여 비용의 절감 및 노력의 절감 등이 있게 하여 생산성의 향상을 가져오도록 한 자동차용 배터리 취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배터리는 가솔린차, 디젤차를 불문하고 차량에 탑재되어 엔진의 시동, 점화, 조명 및 기타 전장품의 전원으로 사용되고 있다.
배터리라는 것은 각각 다른 금속으로 만들어진 양극, 음극을 전극으로 하여 이들과 전해액으로 구성되며 양극을 도체로 연결하면 각 전극의 작용물질과 전해액이 가지는 화학적 에너지를 전기적 에너지로 만들어 낼 수 있다.
또한 반대로 전기적 에너지를 부여하면 또다시 화학적 에너지를 가진 원래의 작용물질로 환원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작용이 가역적인 것을 축전지(2차전지)라고 하며, 비가역적인 것을 1차전지라고 한다. 축전지가 1차전지와 다른 점은 필요에 따라 전기 에너지를 만들어 낼 수 있고 또 이것을 보충할 수 있는 점이다.
배터리는 엔진룸 내의 전방 측부에 장착되는데, 그 설치구조는 다음과 같다.
도 1 은 종래의 배터리 취부구조를 보인 결합 사시도이고, 도 2 는 도 1 에 도시된 배터리 취부구조의 측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배터리(1)는 상부에 양·음극 단자(2, 3)와 전해액이나 증류수를 보충하도록 하는 벤트 플러그(4)가 다수개 형성된 배터리(1)의 하부에 안정적인 지지를 위한 배터리 트레이(5)가 위치되며, 상기 배터리 트레이(5)의 길이 방향 측단 중앙부에 걸이 고정홈(6a)이 천공된 '7┛자 형상의 고정 브래킷(6)이 웰딩 설치되고, 일측단이 상기 고정 브래킷(6)의 걸이 고정홈(6a)에 끼움 결합되고 타측단이 볼트부(7a)가 형성된 수직 걸이 연결봉(7)이 대향 설치되는 한편, 대향하는 상기 수직 걸이 연결봉(7)의 일측단을 수평 되게 서로 연결하되 배터리(1)의 수직 위치가 변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수평 걸이 고정봉(8)의 양단에 형성된 고리홈(8a)이 상기 수직 걸이 연결봉(7)의 상단에 형성된 볼트부(7a)로 체결된 다음 그 상단에서 고정너트(9)가 상기 수직 걸이 연결봉(7)의 볼트부(7a)로 나사 결합시켜 고정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자동차용 배터리의 취부구조는 너트를 사용하여 고정하였기 때문에 조립시간이 오래 걸리게 될 뿐 아니라 다수의 너트를 사용함에 따른 원가가 상승되어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고리형태의 걸이봉을 사용하므로서, 결합력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따른다. 따라서 자동차의 주행시 진동이나 흔들림 등에 의해서 배터리에 균열이 발생할 우려가 있기도 하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은 배터리의 고정·결합력을 향상시키는 한편, 배터리를 취부하는 구성 요소를 최대한 줄이고 경량화 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자동차용 배터리의 취부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즉 자동차에 배터리를 고정하는 취부구조에 있어서, 배터리가 안착되는 배터리 박스의 일측에 수직 방향으로 박판의 연결편을 연장하여 배터리의 높이와 근접된 위치에 일측이 너트홈이 형성된 배터리 고정편을 힌지결합하기 위해 경첩부를 형성하고, 상기 너트홈에 배터리의 타측에서 고정 브래킷에 끼움 결합하여 배터리의 측단 상부로 연장된 수직 걸이 연결봉의 끝단과 고정·결합되도록 한 특징이 있다.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배터리 고정편의 하부면에는 상기 배터리 고정편의 접촉에 의해 배터리의 상단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쿠션부가 구비된 특징이 있다.
도 1 은 종래의 배터리 취부구조를 보인 결합 사시도.
도 2 는 도 1 에 도시된 배터리 취부구조의 측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배터리 취부구조를 보인 측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배터리 취부구조를 보인 요부 발췌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배터리 2. 양극단자
3. 음극단자 4. 벤트 플러그
5. 배터리 트레이 6. 브래킷
7, 11. 연결봉 7a, 11a. 볼트부
8. 고정봉 8a. 고리홈
9, 12. 고정너트 10. 고정 브래킷
15. 연결편 20. 고정편
21. 너트홈 25. 쿠션부
30. 경첩부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은 본 고안의 배터리 취부구조를 보인 측단면도이고, 도 4 는 본 고안의 배터리 취부구조를 보인 요부 발췌 사시도이다.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배터리 취부구조는 자동차의 엔진룸 측부에 설치되는 배터리(1)가 안착되는 배터리 트레이(5)의 일측을 수직 방향으로 박판의 연결편(15)을 연장하여 배터리(1)의 높이와 근접된 위치에 일측이 너트홈(21)이 형성된 배터리 고정편(20)을 힌지결합하기 위해 경첩부(30)를 형성한다. 그리고 너트홈(21)에 배터리(1)의 타측에서 고정 브래킷(10)에 끼움 결합하여 배터리(1)의 측단 상부로 연장된 수직 걸이 연결봉(11)의 끝단에 형성된 볼트부(11a)를 체결하여 그 상단으로부터 고정너트(12)를 체결하여 배터리(1)가 고정·결합되도록 한 구조이다.
한편 배터리 고정편(20)의 하부 즉, 배터리(1)의 상단과 접촉되는 면에는 배터리 고정편(20)이 수직 걸이 연결봉(11)과 고정너트(12)로 결합되어 조여질 때 배터리 고정편(20)의 하부면이 배터리(1)의 상단면에 압력을 가하여 흠집 및 파손을 가하는 경우를 방기하기 위해 쿠션부(25)를 형성한다.
따라서 전술한 배터리(1)는 배터리 트레이(5)에 안착된 상태로 배터리 고정편(20)의 너트홈(21)을 통해서 수직 걸이 연결봉(11)에 고정너트(12)가 결합되므로서, 자동차의 주행시 차체의 진동 등에 의하여 배터리(1)가 움직이지 않게 된다. 또한 차체의 진동에 의해 배터리(1)가 움직이더라도 배터리 고정편(20)의 하부면에 형성된 쿠션부(25)에 의해 배터리(1)로 전달되는 진동이 쿠션부(25)로 흡수된다.
한편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트레이(5)의 일측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박판의 연결편(15)이 배터리(1)의 높이와 근접되게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이 연결편(15)의 상부 끝단에는 경첩부(30)가 형성되고, 이 경첩부(30)에 배터리 고정편(20)의 일단이 힌지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배터리 고정편(20)의 타단에는 너트홈(21)이 형성된다.
이처럼 구성된 본 고안은 연결편(15)의 상단과 배터리 고정편(20)의 일측이 힌지결합되어 회동되는 경첩부(30)를 형성하므로서, 배터리(1)를 배터리 트레이(5)에 장착 및 탈거할 때 손쉬운 작업이 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를 움직이지 않게 고정하는 수단으로서도 배터리 트레이(5)에 배터리(1)를 장착한 상태로 배터리 고정편(20)의 일측에 형성된 너트홈(21)을 수직 걸이 연결봉(11)의 볼트부(11a)에 체결하고, 고정너트(12)로 볼트부(11a)에 체결하면 배터리(1)의 고정·결합이 이루어진다.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일단이 힌지결합되고, 타단은 고정너트로 고정함으로서, 배터리의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배터리를 취부하는 구성 요소를 최대한 줄이고 경량화하므로서, 생산성을 향상이 기대되고, 그리고 작업공정에 있어서도 노력의 절감 및 시간의 절감 등이 기대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Claims (2)

  1. 자동차에 배터리를 고정하는 취부구조에 있어서,
    배터리(1)가 안착되는 배터리 트레이(5)의 일측에 수직 방향으로 박판의 연결편(15)을 연장하여 배터리(1)의 높이와 근접된 위치에 일측이 너트홈(21)이 형성된 배터리 고정편(20)을 힌지결합하기 위해 경첩부(30)를 형성하고, 상기 너트홈(21)에 배터리(1)의 타측에서 고정 브래킷(10)에 끼움 결합하여 배터리(1)의 측단 상부로 연장된 수직 걸이 연결봉(11)의 끝단과 고정·결합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배터리 취부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고정편(20)의 하부면에는 상기 배터리 고정편(20)의 접촉에 의해 배터리(1)의 상단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쿠션부(25)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배터리 취부구조.
KR2019960049542U 1996-12-16 1996-12-16 자동차용 배터리 취부구조 KR1998003654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9542U KR19980036541U (ko) 1996-12-16 1996-12-16 자동차용 배터리 취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9542U KR19980036541U (ko) 1996-12-16 1996-12-16 자동차용 배터리 취부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6541U true KR19980036541U (ko) 1998-09-15

Family

ID=53990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9542U KR19980036541U (ko) 1996-12-16 1996-12-16 자동차용 배터리 취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36541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3565404U (zh) 一种新能源汽车电池包及油箱共用安装结构
KR19980036541U (ko) 자동차용 배터리 취부구조
KR102033722B1 (ko) 상용차의 배터리 마운팅 어셈블리
KR0140646Y1 (ko) 자동차용 뱃터리의 취부구조
KR0140647Y1 (ko) 차량용 뱃터리의 취부구조
KR0140648Y1 (ko) 차량용 뱃터리의 취부구조
KR0140659Y1 (ko) 안내편을 갖는 자동차용 배터리 트레이
KR0140649Y1 (ko) 차량용 뱃터리의 취부구조
KR0168729B1 (ko) 자동차용 축전지 고정장치
CN213816050U (zh) 一种耐高温减震保险丝座
CN215436290U (zh) 一种综合能源运维检测车用绝缘底板结构
CN103277441A (zh) 汽车发动机橡胶悬置
CN217881722U (zh) 一种新能源汽车电池箱
CN214492557U (zh) 一种安全性高的新能源汽车蓄电池结构
CN215244708U (zh) 一种汽车蓄电池固定塑料支架
KR102610773B1 (ko) 단자용 회전방지형 체결개선장치
CN216850187U (zh) 电芯安装支架及电芯模组
CN219687247U (zh) 一种蓄电池安装组件、蓄电池总成、车体以及车辆
CN217574926U (zh) 电池包用快换支架及电动汽车
CN215398135U (zh) 一种新能源用汽车备用电池存储装置
CN212659454U (zh) 一种汽车电源开关下盖总成
CN219191925U (zh) 连接器组件及电动车辆
CN214527636U (zh) 一种新能源汽车车身底板专用吊具
KR200150402Y1 (ko) 자동차용 배터리 고정 구조물
KR19980048646U (ko) 밧데리 고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