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5252A - 절연 게이트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 Google Patents

절연 게이트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5252A
KR19980035252A KR1019960053532A KR19960053532A KR19980035252A KR 19980035252 A KR19980035252 A KR 19980035252A KR 1019960053532 A KR1019960053532 A KR 1019960053532A KR 19960053532 A KR19960053532 A KR 19960053532A KR 19980035252 A KR19980035252 A KR 199800352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ype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gate bipolar
epitaxial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3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18262B1 (ko
Inventor
임필규
김한수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600535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8262B1/ko
Publication of KR199800352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52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82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82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00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66075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 H01L29/6622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the devices being controllable only b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e.g. three-terminal devices
    • H01L29/66234Bipolar junction transistors [BJT]
    • H01L29/66325Bipolar junction transistors [BJT] controlled by field-effect, e.g.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s [IGB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0Bipolar devices
    • H01L29/72Transistor-type devices, i.e. able to continuously respond to applied control signals
    • H01L29/739Transistor-type devices, i.e. able to continuously respond to applied control signals controlled by field-effect, e.g. bipolar static induction transistors [BSIT]
    • H01L29/7393Insulated gate bipolar mode transistors, i.e. IGBT; IGT; COMF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hyristors (AREA)
  • Bipolar Transis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P형 기판 위에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있는 고농도의 제 1 N형 에피층 및 저농도의 제 2 N형 에피층과, 상기 제 2 N형 에피층에 일정 접합 깊이를 갖는 P형 활성 웰이 형성된 소자에 있어서, 상기 제 1 N형 에피층과 접합된 제 2 N형 에피층에는 스위칭 작동을 할 때 과잉 캐리어의 소멸 속도를 빠르게 하기 위하여 고농도의 P형 불순물이 주입된 것으로서, P-N접합 부분에 고농도의 P형 불순물을 국부적으로 주입하여 스위칭 작동을 할 때 과잉 캐리어의 소멸 속도를 빠르게 하므로 고속의 스위칭소자로 이용할 수 있는 절연 게이트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절연 게이트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본 발명은 절연 게이트 바이폴라 트랜지스터(IGBT;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P-N접합 부분에 고농도의 P형 불순물을 국부적으로 주입하여 스위칭 작동을 할 때 과잉 캐리어의 소멸 속도를 빠르게 하는 절연 게이트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에 관한 것이다.
전력용 반도체 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고전력 고에너지 효율을 갖는 전력용 소자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우수한 스위칭 특성을 갖고 있는 POWER MOSFET를 비롯하여 MOSFET와 BJT의 장점을 결합시킨 IGBT(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가 전력 전자 응용 부분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상기 IGBT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자의 P-N 접합은 고농도의 P형 기판(1)위에 고농도와 저농도로 형성된 N형 에피층(2)(3)이 적층된 구조로 되어 있어서, 접합 부분에는 홀에 의해서 다량의 과잉 전하들이 분포되어 있어서, 소자가 턴오프되면 주입되었던 과잉의 전하들이 애노드 전극으로 소인(sweep)되거나 소멸된다. 특히 과잉 전하는 p-n 접합에서 최대가 되므로 이 영역에서의 전하가 소멸되는 시간이 많이 소비되기 때문에 스위칭 작동을 고속으로 할 수 없는 문제점 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스위칭 손실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과도 주입된 캐리어들이 소멸되는 시간을 짧게 하여야 하는데, 이 방법을 life time killing process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life time killing 방법으로는 전자 조사에 의한 방법과 프로톤(proton)조사에 의한 방법이 있다. 전자 조사 방법은 전자를 칩에 조사하여 트랩(trap)을 형성함으로써 과도 캐리어의 소멸 시간을 짧게 하는 구조이나 전자의 질량이 작기 때문에 트랩의 분포를 임의로 조절하기 어렵다. 반면에 프로톤(proton)조사는 프로톤(proton)의 질량이 크므로 프로톤(proton)의 분포를 칩 내의 의도된 영역에 조사할 수 있으나 전자 조사와 비교하여 수행하기가 용이치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P-N접합 부분에 고농도의 P형 불순물을 국부적으로 주입하여 스위칭 작동을 할 때 과잉 캐리어의 소멸 속도를 빠르게 하여 턴 오프 시간을 빠르게 하는 절연 게이트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절연 게이트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는, P형 기판 위에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있는 고농도의 제 1 N형 에피층 및 저농도의 제 2 N형 에피층과, 상기 제 2 N형 에피층에 일정 접합 깊이를 갖는 P형 활성 웰이 형성된 소자에 있어서, 상기 제 1 N형 에피층과 접합된 제 2 N형 에피층에는 스위칭 작동을 할 때 과잉 캐리어의 소멸 속도를 빠르게 하기 위하여 고농도의 P형 불순물이 주입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은 선행 기술에 의한 절연 게이트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절연 게이트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단면 구조를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P형 기판 20...제 1 N형 에피층
30...제 2 N형 에피층
이하, 예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는 본 발명에 따른 절연 게이트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로서, 동도면에서, P형 기판(10)위에는 고농도의 제 1 N형 에피층(20) 및 저농도의 제 2 N형 에피층(30)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N형 에피층(30)에 일정 접합 깊이를 갖는 P형 활성 웰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N형 에피층(20)과 접합된 제 2 N형 에피층(20)에는 고농도의 P형 불순물(25)이 국부적으로 주입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진 절연 게이트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는 P형 기판(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애노드 전극쪽의 재결합 (recombination)효과를 증대하기 위하여 고농도의 p형 불순물을 국부적으로 주입하여 주입된 과잉 캐리어의 소멸 속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이 구조는 접합에서의 캐리어 소멸 속도를 국부적으로 감소시킴으로써 제 2 N형 에피층(30)이나 산화막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따라서, 순방향 도전 시에 전류 밀도의 감소 없이도 스위칭 속도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순방향 전압 강하 - 턴오프 시간의 상관관계 곡선 상에서 순방향 전압 강하 특성은 유지하되 턴 오프 시간을 감소시킴으로써 보다 개선된 소자 특성을 얻을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하면 소자의 P-N접합 부분에 고농도의 P형 불순물을 국부적으로 주입하여 스위칭 작동을 할 때 과잉 캐리어의 소멸 속도를 빠르게 하므로 고속의 스위칭소자로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P형 기판 위에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있는 고농도의 제 1 N형 에피층 및 저농도의 제 2 N형 에피층 등으로 형성된 소자에 있어서, 상기 제 1 N형 에피층과 접합된 제 2 N형 에피층에는 스위칭 작동을 할 때 과잉 캐리어의 소멸 속도를 빠르게 하기 위하여 고농도의 P형 불순물이 주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 게이트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N형 에피층에 일정 접합 깊이를 갖는 복수 개의 P형 활성 웰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 게이트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3. P형 기판 위에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있는 고농도의 제 1 N형 에피층 및 저농도의 제 2 N형 에피층 등으로 형성된 소자에 있어서, 상기 제 2 N형 에피층과 접합된 제 1 N형 에피층에는 고농도의 P형 불순물 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 게이트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N형 에피층에 일정 접합 깊이를 갖는 복수 개의 P형 활성 웰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 게이트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KR1019960053532A 1996-11-12 1996-11-12 절연 게이트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KR1002182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3532A KR100218262B1 (ko) 1996-11-12 1996-11-12 절연 게이트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3532A KR100218262B1 (ko) 1996-11-12 1996-11-12 절연 게이트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5252A true KR19980035252A (ko) 1998-08-05
KR100218262B1 KR100218262B1 (ko) 1999-09-01

Family

ID=19481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3532A KR100218262B1 (ko) 1996-11-12 1996-11-12 절연 게이트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82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7858B1 (ko) * 1996-12-27 2003-12-18 페어차일드코리아반도체 주식회사 절연게이트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18262B1 (ko) 1999-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32583B2 (en) Reduced free-charge carrier lifetime device
US5572048A (en) Voltage-driven type semiconductor device
US5702961A (en) Methods of forming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s having built-in freewheeling diodes and transistors formed thereby
Shekar et al. Characteristics of the emitter-switched thyristor
JP2000216409A (ja) 整流装置およびパルス幅変調モ―タ制御回路
CN102169892B (zh) 一种增强型平面绝缘栅双极型晶体管
CN102157551A (zh) 一种具有载流子存储层和额外空穴通路的igbt
CN113471290A (zh) 隧穿辅助导通的硅/碳化硅异质结mosfet功率器件
JPH09186323A (ja) 電力用絶縁ゲートバイポーラトランジスタ
Udrea et al. A unified analytical model for the carrier dynamics in trench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s (TIGBT)
CN107516669B (zh) 一种igbt器件
JP3695249B2 (ja) 半導体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電力変換装置
JP3885616B2 (ja) 半導体装置
CN111933687B (zh) 具有高安全工作区的横向功率器件
CN111430454B (zh) 一种低饱和电流的绝缘体上硅横向绝缘栅双极型晶体管
KR19980035252A (ko) 절연 게이트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Kajiwara et al. High speed high voltage static induction thyristor
US9209287B2 (en) Power semiconductor device
GB2286484A (en) Conductivity modulated semiconductor device
Zhang et al. A Novel Snapback-Free BRT with A N-Type Buried Carrier Storage Layer
JPH0531829B2 (ko)
CN114695519B (zh) 屏蔽层状态自动切换的沟槽型碳化硅igbt器件及制备方法
GB2130028A (en) Integrated semiconductor device
KR100486348B1 (ko) 펀치스루우형절연게이트바이폴라트랜지스터
KR0149779B1 (ko) 턴-오프 전류능력이 향상된 수평형 모스 제어 다이리스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6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5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9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