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3606U - 트렁크 플로어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트렁크 플로어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3606U
KR19980033606U KR2019960046530U KR19960046530U KR19980033606U KR 19980033606 U KR19980033606 U KR 19980033606U KR 2019960046530 U KR2019960046530 U KR 2019960046530U KR 19960046530 U KR19960046530 U KR 19960046530U KR 19980033606 U KR19980033606 U KR 1998003360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trunk floor
spare tire
bent
installation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65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훈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20199600465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33606U/ko
Publication of KR1998003360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3606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스페어 타이어 룸 부분의 성형성이 좋을 뿐만 아니라 종래의 것에 비해 필요한 공구 등을 보관하기 위한 공간을 보다 충분하게 마련할 수 있도록 해주는 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예비 타이어를 보관하기 위한 스페어 타이어 룸의 측벽이 소정 각도씩 차례대로 절곡되어 성형되고 하단 절곡부위는 보관되는 타이어의 일측 외주면에 외접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뒤쪽 끝단은 아래쪽으로 절곡되어 제1플랜지를 형성하는 트렁크 플로어 및 제1플랜지와 대응되게 성형되어 제1플랜지에 접합되는 제2플랜지, 제2플랜지 상단에 뒤쪽으로 꺾여져 트렁크 플로어와 동일 평면 상으로 배치되는 수평부 및 수평부 뒤쪽 끝단에는 위쪽으로 절곡되어 수직하게 배치되는 수직부를 갖는 엔드 패널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트렁크 플로어 설치 구조에 관한 고안.

Description

트렁크 플로어 설치구조
본 고안은 자동차의 트렁크 플로어(trunk floor)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페어 타이어(spare tire)를 보관해 두기 위한 스페어 타이어 룸(spare tire room)이 설치되는 트렁크 플로어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트렁크 플로어가 설치되어 있다. 트렁크 플로어는 자동차의 트렁크 바닥을 이루는 부분으로, 프레스 등에 의해 소정 형태로 성형되어 센터 플로어의 후단부에 설치된다. 이러한 트렁크 플로어 후단에는 엔드 플레이트(end plate)가 설치되어 있다.
제1도는 일반적인 트렁크 플로어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1도에는 트렁크 플로어(10)가 도시되어 있다. 이 트렁크 플로어(10)는 트렁크의 바닥을 구성하는 부분이다. 이 트렁크 플로어(10)에는 스페어 타이어 룸(12)이 형성되어 있다. 이 스페어 타이어 룸(12)은 예비 타이어를 장착해두기 위한 것으로, 타이어를 수용할 수 있도록 아래쪽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그 바닥 중앙부에는 스페어 타이어를 고정하기 위한 스페어 타이어 고정 브래킷(14)이 설치되어 있다. 이 스페어 타이어 고정 브래킷(14)에 볼트 등을 이용해 스페어 타이어를 고정해둔다.
제1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스페어 타이어 룸(12)의 깊이가 깊고 또한, 스페어 타이어 룸(12)의 상단 모서리(15)와 하단 모서리(16)의 곡률반경이 작다. 이에 따라 트렁크 플로어(10)의 성형성이 매우 나쁘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스페어 타이어 룸(12) 후단은 스페어 타이어 룸(12)의 바닥보다 조금 높은 위치에서 대략 수평을 유지하고 있으며, 그 뒤쪽 끝단은 아래쪽으로 절곡되어 제1플랜지(18)를 구성하고 있다. 이러한 트렁크 플로어(10)의 뒤쪽 끝단에 엔드 플레이트(20)가 대략 수직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엔드 플레이트(20)는 승용차 등의 트렁크의 뒤쪽을 막는 뒤쪽벽 역할을 한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트렁크 플로어 설치구조를 갖는 차량에서는 스페어 타이어 룸(12)의 깊이가 깊고 또한, 스페어 타이어 룸(12)의 상단 모서리(15)와 하단 모서리(16)의 곡률반경이 작아 트렁크 플로어(10)의 성형성이 매우 나쁘다. 뿐만 아니라 타이어 교체 등에 필요한 공구 등을 보관해두기 위한 공간이 충분치 않다는 단점도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스페어 타이어 룸 부분의 성형성이 좋을 뿐만 아니라 종래의 것에 비해 필요한 공구 등을 보관하기 위한 공간을 보다 충분하게 마련할 수 있도록 해주는 트렁크 플로어 설치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제1도는 일반적인 트렁크 플로어를 나타낸 도면,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트렁크 플로어 설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제3도는 제2도 스페어 타이어 룸에 스페어 타이어가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트렁크 플로어112:스페어 타이어 룸
114:스페어 타이어 고정 브래킷115:측벽
118:제1플랜지120:엔드 패널
122:제2플랜지124:수평부
126:수직부130:예비 타이어
본 고안의 목적은 자동차의 트렁크 플로어 설치구조에 있어서, 예비 타이어를 보관하기 위한 스페어 타이어 룸의 측벽이 소정 각도씩 차례대로 절곡되어 성형되고 하단 절곡부위는 보관되는 타이어의 일측 외주면에 외접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뒤쪽 끝단은 아래쪽으로 절곡되어 제1플랜지를 형성하는 트렁크 플로어 및 제1플랜지와 대응되게 성형되어 제1플랜지에 접합되는 제2플랜지, 제2플랜지 상단에 뒤쪽으로 꺾어져 트렁크 플로어와 동일 평면 상으로 배치되는 수평부 및 수평부 뒤쪽 끝단에는 위쪽으로 절곡되어 수직하게 배치되는 수직부를 갖는 엔드 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렁크 플로어 설치구조에 의해 달성 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트렁크 플로어 설치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제3도는 제2도의 스페어 타이어 룸에 스페어 타이어가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제2도에는 트렁크 플로어(110)가 도시되어 있다. 이 트렁크 플로어(110)는 트렁크의 바닥을 구성하는 부분이다. 이 트렁크 플로어(110)에는 스페어 타이어 룸(112)이 형성되어 있다. 이 스페어 타이어 룸(112)은 예비 타이어를 장착해두기 위한 것으로, 타이어를 수용할 수 있도록 아래쪽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그 바닥 중앙부에는 스페어 타이어를 고정하기 위한 스페어 타이어 고정 브래킷(114)이 설치되어 있다. 이 스페어 타이어 고정 브래킷(114)에 볼트 등을 이용해 스페어 타이어를 고정해둔다.
제2, 제3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트렁크 플로어 설치구조에서는 예비 타이어(130)를 보관하기 위한 스페어 타이어 룸(112)의 측벽(115)이 소정각도씩 차례대로 절곡된 상태로 성형되어 있다. 이는 스페어 타이어 룸(112) 부근의 성형성을 좋게 하기 위한 것이다.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페어 타이어 룸(112) 측벽(115)의 하단 절곡부위는 보관되는 예비 타이어(130)의 일측 외주면에 외접하게 구성되어 있고, 그 뒤쪽 끝단은 아래쪽으로 절곡되어 제1플랜지(118)를 형성하고 있다.
트렁크 플로어(110)의 뒤쪽 끝단에 엔드 패널(12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엔드 패널(120)은 제1플랜지(118)와 대응되게 성형된 제2플랜지(122)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제2플랜지(122)는 제1플랜지(118)의 후면에 접합된다. 이 엔드 패널(120)은 제2플랜지(122) 상단에서 뒤쪽으로 꺾여져 트렁크 플로어(110)와 동일 평면 상으로 배치되는 수평부(124)를 구비하고 있다. 이 수평부(124)는 스페어 타이어 룸(112)의 뒤쪽 공간을 넓혀주는 역할을 한다. 여기에 잭(jack)이나 공구 박스등을 넣어두면 편리하다. 이러한 엔드 패널(120)의 수평부(124) 뒤쪽 끝단에는 위쪽으로 절곡되어 수직하게 배치되는 수직부(126)가 형성되어 있다. 이 수직부(126)는 트렁크의 후부벽의 역할을 한다.
제2,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트렁크 플로어 설치구조에서는 스페어 타이어 룸(112)의 측벽(115)이 소정 각도씩 차례대로 절곡되어 성형되므로 성형성이 뛰어나다. 뿐만 아니라 스페어 타이어 룸(112)의 후반부의 타이어 교체 등에 필요한 공구 등을 보관해두기 위한 공간이 확보된다는 장점도 있다.

Claims (1)

  1. 자동차의 트렁크 플로어 설치구조에 있어서,
    예비 타이어(130)를 보관하기 위한 스페어 타이어 룸(112)의 측벽(115)이 소정 각도씩 차례대로 절곡되어 성형되고 하단 절곡부위는 보관되는 예비 타이어(130)의 일측 외주면에 외접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뒤쪽 끝단은 아래쪽으로 절곡되어 제1플랜지(118)를 형성하는 트렁크 플로어(110); 및
    상기 제1플랜지(110)와 대응되게 성형되어 상기 제1플랜지(110)에 접합되는 제2플랜지(122), 상기 제2플랜지(122) 상단에 뒤쪽으로 꺾어져 상기 트렁크 플로어(110)와 동일 평면 상으로 배치되는 수평부(124) 및 상기 수평부(124) 뒤쪽 끝단에는 위쪽으로 절곡되어 수직하게 배치되는 수직부(126)를 갖는 엔드 패널(1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렁크 플로어 설치구조.
KR2019960046530U 1996-12-09 1996-12-09 트렁크 플로어 설치구조 KR1998003360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6530U KR19980033606U (ko) 1996-12-09 1996-12-09 트렁크 플로어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6530U KR19980033606U (ko) 1996-12-09 1996-12-09 트렁크 플로어 설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3606U true KR19980033606U (ko) 1998-09-05

Family

ID=53987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6530U KR19980033606U (ko) 1996-12-09 1996-12-09 트렁크 플로어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33606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9446B1 (ko) * 2004-08-27 2006-08-03 장동복 메모리 수율 테스트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9446B1 (ko) * 2004-08-27 2006-08-03 장동복 메모리 수율 테스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22639B2 (en) Front structure of vehicle
JP4175107B2 (ja) 車両用フロアパネル
US8327600B2 (en) Support for an entrance trim panel on a carrying element of a motor vehicle
JP2005119410A (ja) サイドシルガーニッシュの取付構造
US6702329B1 (en) Integrally molded fender cover and step for industrial vehicles
KR100521567B1 (ko) 자동차용 사이드 스텝의 장착 구조
KR19980033606U (ko) 트렁크 플로어 설치구조
JP4550524B2 (ja) 自動車用トリム構造
JP2007091072A (ja) 車両のスペアタイヤ取付構造
KR20000021595U (ko) 자동차용 루프박스의 장착구조
CN219295287U (zh) 后备箱和车辆
CN220518407U (zh) A柱结构及车辆
CN210852274U (zh) 车辆扬声器的安装结构和车辆
CN219172524U (zh) 车身组件、车身和车辆
JP3747384B2 (ja) タイヤケース
JPS6135471Y2 (ko)
JP3719109B2 (ja) 車両用ルーフモール構造
CN220483188U (zh) 车身顶盖中横向行李架总成和车辆
JPH053409Y2 (ko)
JP4468561B2 (ja) ルーフライニングとピラーガーニッシュの取付構造
KR100324399B1 (ko) 차체의 후부구조
JP3912040B2 (ja) 車両用荷室構造
JPH08310318A (ja) バンパーフェーシア
JP3959585B2 (ja) フェンダーライニング
JPH052458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