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3092A - 화장재료 및 n-아실아미노산에스테르 - Google Patents

화장재료 및 n-아실아미노산에스테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3092A
KR19980033092A KR1019970054466A KR19970054466A KR19980033092A KR 19980033092 A KR19980033092 A KR 19980033092A KR 1019970054466 A KR1019970054466 A KR 1019970054466A KR 19970054466 A KR19970054466 A KR 19970054466A KR 19980033092 A KR19980033092 A KR 199800330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carbon number
acyl group
acid ester
cosmetic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44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00816B1 (ko
Inventor
오기하라기미히코
다카야마요시히로
Original Assignee
후쿠다다케지
가시마세키유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쿠다다케지, 가시마세키유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쿠다다케지
Publication of KR199800330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30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08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08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6Preparations for styling the hair, e.g. by temporary shaping or colou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04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lips
    • A61Q1/06Lipstic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기수탄소수의 아실기를 갖는 N-아실아미노산에스테르를 함유하는 화장재료 및 그 화장재료에 사용되는 13∼17의 범위의 수의 기수탄소원자로된 아실기를 갖는 N-아실아미노산에스테르로서 우수한 육모촉진효과, 보습작용, 피하혈류량 증진작용등을 갖고 육모용, 피부용 등에 아주 적당하다.

Description

화장재료 및 N-아실아미노산에스테르
본발명은 육모제, 양모제 등의 화장재료에 관한것이며 특히 우수한 육모촉진효과, 보습작용, 피하혈류량증진작용 등을 갖는 모발용, 피부용 등에 아주 적당한 화장재료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각종의 약효제를 배합한 화장재료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육모제에 있어서는 이와 같은 약효제로서 비타민E 등의 비타민류, 아세틸콜린유도체 등의 혈관확장제, 자근에키스 등의 항염증제, 엘라스토디올 등의 여성홀몬제, 세프아란틴 등의 피부기능항진제, 판토텐산동 등의 멜라닌합성촉매제, 살리실산 등의 각질용해제 등이 배합되고 탈모증의 예방 및 치료에 사용되고 있다.
지방산 또는 그 유도체가 육모제 등의 화장재료에 배합된 예로서 올리브유,피마자유 등의 천연식물유 혹은 스테아르산을 제품의 물성개선의 목적으로 배합한예가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식물유나 동물유 등의 천연에 의존하는 각종 지방질의 구성지방산은 스테아르산, 팔미트산 등의 포화지방산이며 올레산, 리놀산 등의 불포화지방산이나 그것의 모두가 우수의 탄소원자를 갖는 지방산인 것이 알려져 있다.
또 한편 탄소수가 기수의 지방산 또는 그 유도체를 모발화장재료에 배합한 예로서 예를 들면 일본국 특공소 63-41363호공보에 기재된 화합물이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육모제 등의 화장재료는 예를 들면 비듬, 가려움, 발모 등의 예방 및 개선에 유효하고 발모나 육모를 촉진한다고 되어 있지만 아직 만족할 만한 효과를 발휘하는 것은 얻어지지 않은 것이 실상이다.
본 발명은 그러한 사정하에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우수한 육모촉진효과, 보습작용, 피하혈류량 증진작용 등을 갖는 모발용, 피부용 등에 아주 적당한 화장재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등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화장재료에 있어서 특정의 탄소수를 갖는 아실기를 갖는 아실아미노산에스테르를 함유하므로서 우수한 육모촉진효과, 보습작용, 피하혈류량 증진작용 등을 나타내는 것을 발견한 것이다.
다시 또 이와 같은 아실아미노산에스테르를 사용함으로서 화장재료의 기초재료가 되는 용제에 대한 용해성이 현저히 개선된다고 하는 이점도 발견했다. 본 발명은 그러한 발견에 기초해서 완성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기수탄소수의 아실기를 갖는 N-아실아미노산에스테르를 함유하는 화장재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음에 본 발명을 다시 또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유효성분으로서 기수탄소수의 아실기를 갖는 N-아실아미노산에스테르를 함유하는 화장재료에 관한 것이지만 여기서 배합되는 기수탄소수의 아실기를 갖는 N-아실아미노산에스테르란 아미노산 중의 아미노기의 적어도 하나가 기수탄소수를 갖는 아실기에 의해 아실화된 N-아실아미노산과 알코올화합물과의 에스테르화합물이다. 상기한 기수탄소수아실기를 갖는 N-아실아미노산의 제조에 사용되는 아미노산으로서는 천연유래의 아미노산, 비단백성아미노산 혹은 화학합성에 의해 제조된 아미노산, 예를 들면 α-아미노산, β-아미노산, γ-아미노산, δ-아미노산, 지방족아미노산, 방향족아미노산, 복소환아미노산, 중성아미노산, 염기성아미노산, 산성아미노산 등의 어느 것이라도 사용할 수가 있고 또 광학이성체를 갖는 것은 L형, D형, 라세미체의 어느 것이라도 사용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아미노산의 예로서는 알라닌, 발린, 로이신, 이소로이신, 메티오닌, 트리프토판, 페닐알라닌, 글리신, 세린, 트레오닌, 시스테인, 티로신, 아스파라긴, 글루타민, 리신, 아르기닌, 아스파라긴산, 글루타민산, β-알라닌, 히드록시리신, 오르니틴, 시트룰린, 5-아미노레블린산, γ-아미노부티르산 등이 사용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한 N-아실아미노산으로서는 바람직하게는 하기 일반식 (I)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사용된다.
R1
RCONHC (CH2)xCOOH (I)
R2
식중 R은 치환기를 가져도 되는 우수탄소수의 곧은 사슬식 지방족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R1및 R2은 각각 수소원자, 알킬기, 히드록시알킬기, 아릴기, 히드록시아릴기, -(CH2)yCOOH 또는 -(CH2)zNH2를 나타내고, 이들기는 각각 카르복실기(-COOH) 혹은 아미노기(-NH2)로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또 x, y 및 z는 각각 0∼4의 정수를 나타낸다.
상기한 일반식 (I)에 있어서 R로 표시되는 우수탄소수의 곧은 사슬식 지방족탄화수소기는 포화, 불포화의 어느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CH3(CH2)n-(여기서 n은 5∼17의 기수의 정수이다)로 표시되는 기를 들 수가 있다. 본 발명의 화장재료에 있어서는 상기한 일반식 (I)로표시되는 N-아실아미노산으로서 하기 일반식 (II)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가 있다.
R3
CH3(CH2)nCONHCHCOOH (II)
식중 R3은 -(CH2)yCOOH이며 [여기서 y는 상기한 일반식 (I)에 있어서의 것과 동일하다], n은 상기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한 y가 1 또는 2의 것이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 기수탄소수의 아실기를 갖는 N-아실아미노산의 기수탄소수의 아실기로서는 탄소수가 7∼19, 다시또 11∼19, 특히 13∼17의 범위내로서 기수의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탄소수가 상기범위를 일탈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효과가 충분히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다시 또 상기한 N-아실아미노산으로서는 산성 아미노산, 중성 아미노산, 염기성 아미노산으로부터 유도된 것이 어느 것이나 사용가능하지만 특히 산성 아미노산으로된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는 N-아실아스파라긴산 또는 N-아실글루타민산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상기한 기수탄소수의 아실기를 갖는 N-아실아미노산은 예를 들면 기수탄소수의 고급지방산클로라이드와 아미노산과의 축합반응에 의해 합성할 수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소위 쇼텐·바우만(Schotten·Baumann)반응, 혹은 「생화학」제35권, 제2호, 제67∼74쪽 (1963년) 「폴리아미노산의 연구(I)」에 기재된 방법으로도 합성할 수있다. 또 상기한 기수탄소수의 고급지방산은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가 있다. 즉 예를 들면 우수탄소수의 α-올레핀으로부터 소위 옥소법에 의해 합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또 일본국 특개평 6-253866호공보에 기재된 미생물을 사용하는 방법으로도 제조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화장재료에 있어서의 기수탄소수의 아실기를 갖는 N-아실아미노산 에스테르를 형성하는 알코올성 화합물은 N-아실아미노산에스테르의 용도 혹은 제형등에 의해 적절히 선택할 수가 있으나 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i-프로필알코올, t-부틸알코올, 라우릴알코올, 미리스틸알코올, 부탄디올,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등의 1가 또는 2가의 지방족알코올; 글리셀린 등의 다가의 지방족알코올;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등의 폴리글리콜; 소르비톨, 만니톨, 둘시톨 등의 당알코올; 설탕, 과당, 글루코오스 등의 당; 소르비탄; 콜레스테롤 등이 사용된다. 이들 중에서 1가 혹은 2가 이상의 지방족알코올,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이 아주적당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기수탄소수의 아실기를 갖는 N-아실아미노산에스테르는 상기한 기수탄소수아실기를 갖는 N-아실아미노산과 상기한 알코올성 화합물로부터 에스테르화반응에 의해 혹은 미리 아미노산과 상기한 알코올성화합물로부터 제조한 아미노산에스테르와 기수탄소수의 고급 지방산클로라이드를 반응시켜서 제조할 수가 있다. 또 상기한 N-아실아미노산에스테르는 1종으로 사용할 수있으나 2종 이상을 조합해서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한 기수탄소수아실기를 갖는 N-아실아미노산에스테르의 본 발명의 화장재료중에 있어서의 배합량은 사용목적, 처방형태 등에 따라서 적당히 결정할 수가 있지만 통상은 조성물 전체에 대해 0.01∼20중량%의 범위로 사용할 수가 있다. 배합량이 0.01% 미만이면 본 발명의 효과가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고 또 2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효과가 별로 변하지 않고 경제성의 관점으로부터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화장재료는 기수탄소수의 아실기를 갖는 N-아실아미노산에스테르에 필요에 따라 용매를 사용해서 조제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용매로서는 상기한 화합물이 용해가능한 용매라면 어느 것이나 사용가능하지만 특히 피부와의 친화성등의 점으로부터 알코올류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사용할 수있는 용매로서는 구체적으로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필알코올, 이소프로필알코올, 글리셀린,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n-파라핀 등을 들 수가 있다.
본 발명의 화장재료에는 주성분인 상기한 기수탄소수의 아실기를 갖는 N-아실아미노산에스테르에 추가해서 필요에 따라 기타의 성분을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배합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성분은 그용도, 종류, 제형 등에따라 적당히 선택되지만 예를 들면 증류수, 알코올류, 다가알코올류, 계면활성제, 유지류, 다당류등의 기초재료나 착색료, 향료, 비타민류, 아민노산류, 홀몬류, 혈관확장제, 항염증제, 각질용해제, 살균제, 방부제 등이 적절히 배합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기수탄소수의 아실기를 갖는 N-아실아미노산에스테르는 화장재료로서 용도에 따라 액상, 분말상, 크림상, 페이스트상 등 각종으로 조제할 수가 있고 또 육모제, 양모제, 로션, 헤어린스, 스킨크림 등 각종으로 제품화할 수가 있다. 또 예를 들면 세정제, 분산제, 유화제, 항균 방부제, 자외선흡수제 등에도 적용할 수가 있다. 다시 또 본 발명에 사용되는 N-아실아미노산에스테르는 그 특성으로부터 생리활성면, 예를 들면 항암제, 항비루스제 등에도 그 용도를 확대할 수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수탄소수의 아실기를 갖는 N-아실아미노산에스테르를 함유함으로서 우수한 육모촉진효과, 보습작용, 피하혈류량 증진작용 등을 갖는 육모용, 피부용 등에 아주 적당한 화장재료를 얻을 수가 있다. 다시 또 이와 같은 아실아미노산에스테르를 사용함으로서 화장재료의 기초재료가 되는 용제에 대한 용해성이 현저히 개선된다. 다음에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다시 또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예에 의해 하등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제조예1
N-트리데카노일-L-아스파라긴산메틸에스테르의 합성
(1) 염화트리데카노일의 합성
1ℓ, 2주입구의 플라스크에 트리데칸산 158.7g(0.74mol)과 시클로헥산 200㎖를 넣고 염화티오닐 83.3g(0.7mol)을 넣은 100㎖ 적하 깔대 및 환류관을 설치했다.
그 플라스크를 오일배스(oil bath)로 80℃로 가열교반하면서 트리데칸산을 완전히 용해시켰다. 그 후 2시간에 걸쳐서 염화티오닐을 적하시켰다. 다시 또 오일바스온도를 80℃로 1시간 유지했다. 이 반응액으로부터 아스피레이터(aspirator)감압하에 시클로헥산 및 염화티오닐을 제거하고 얻어진 반응혼합물을 감압증류해서 염화트리데카노일 166.0g(0.71mol)을 얻었다. 투입한 트리데칸산기준의 수율은 95.9%였다.
(2) N-트리데카노일-L-아스파라긴산의 합성
1ℓ의 3주입구 플라스크에 L-아스파라긴산 15.8g(0.12mol)과 수산화나트륨 9.6g(0.24mol)을 물 150㎖에 용해시킨 수용액을 첨가하여 교반했다. 아스파라긴산이 용해한 후 아세톤 120㎖를 첨가했다. 반응액을 0℃로 냉각시키고 염화트리데카노일23.3g(0.1mol)과 수산화나트륨 4g를 물 30㎖에 용해한 수용액과를 동시에 30분에 걸쳐 적하시켰다. 그 사이 반응온도를 0∼5℃, pH를 11∼12 로 유지했다. 그 후 2시간 실온(25℃)까지 천천히 온도를 올리면서 교반하여 N-트리데카노일-L-아스파라긴산디나트륨용액을 얻었다. 그 용액에 5N 염산 65㎖를 첨가하여 용액의 pH를 1로 하고 석출된 결정을 감압여과에 의해 분리하여 물로 세정 후 감압하에 건조시켰다. 얻어진 결정을 헥산 500㎖로 세정, 건조 후 에탄올:물중량비=3:7 용매로 재결정시켜 N-트리데카노일-L-아스파라긴산 14.4g(0.044mol)을 얻었다. 투입한 염화트리데카노일기준의 수율은 36.8%였다.
목적하는 N-트리데카노일-L-아스파라긴산의 물성은 다음과 같았다.
1H-NMR(CD3OD); δ(ppm)
0.89 (t,3H)
1.29 (s, 22H)
1.55-1.65 (m, 2H)
2.23 (t, 2H)
2.72-2.92 (m, 1H)
4.74 (dd, 1H)
IR(cm-1);
3353, 3310, 2926, 1725, 1296, 1196, 928
성분분석(C17H31NO5)
실측치 : C 62.15%, H 9.54%, N 4.22%
계산치 : C 61.98%, H 9.48%, N 4.25%
융점 : 117.5∼119.7℃
(3) N-트리데카노일-L-아스파라긴산메틸에스테르의 합성
200㎖의 2주입구 플라스크에 N-트리데카노일-L-아스파라긴산 1.02g(3.10mol)과 메탄올 20㎖를 넣어 용해시키고 14% 삼불화붕소메탄올 용액 0.5㎖를 첨가하여 환류관을 설치했다. 그 플라스크를 물탱크에서 50℃로 2시간 반응을 행하여 실온까지 냉각후 50g/L 식염수 25㎖를 첨가하여 디에틸에테르 40㎖로 석출시켰다. 다시 또 에테르층을 물 40㎖로 세정 후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켜 감압하 용매를 제거하고 하루밤 건조시켜서 반응혼합물의 결정을 얻었다. 이것을 직경 40mmΦ×길이 110mmh의 실리카겔 칼럼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클로로포름 600㎖에 의해 유출된 성분을 제1획분으로서, 다시 또 클로로포름:메탄올=2:1200의 혼합용매 200㎖에 의해 유출된 성분을 제2획분으로서 얻었다. 각 획분을 감압하에 용매를 제거하여 하루밤 건조시켜서 제1획분으로부터 N-트리데카노일-L-아스파라긴산디메틸에스테르 0.38g(1.05mmol, 수율 34%), 제2획분으로부터 N-트리데카노일-L-아스파라긴산메틸에스테르 0.55g(1.61mmol, 수율52%)를 얻었다.
제조예2
N-펜타데카노일-L-아스파라긴산메틸에스테르의 합성
(1) 염화펜타데카노일의 합성
1ℓ의 2주입구의 플라스크에 펜타데칸산 160.0g(0.66mol)과 시클로헥산 200㎖를 넣고 염화티오닐 83.3g(0.7mol)을 넣은 100㎖ 적하 깔대 및 환류관을 설치했다.
그 플라스크를 오일바스로 80℃로 가열교반하면서 펜타데칸산을 완전히 용해시켰다. 그 후 2시간에 걸쳐서 염화티오닐을 적하시켰다. 다시 또 오일배스 온도를 80℃로 1시간 유지했다. 이 반응혼합물로부터 아스피레이터감압하에 시클로헥산 및 염화티오닐을 제거하고 얻어진 반응조제물을 감압증류해서 염화펜타데카노일 110.0g(0.42mol)을 얻었다. 투입한 펜타데칸산기준의 수율은 63.9%였다.
(2)N-펜타데카노일-L-아스파라긴산의 합성
1ℓ의 3주입구 플라스크에 L-아스파라긴산 31.9g(0.24mol)과 수산화나트륨 19.2g(0.48mol)을 물 150㎖에 용해시킨 수용액을 첨가하여 교반했다. 아스파라긴산이 용해한 후 아세톤 120㎖를 첨가했다. 반응액을 0℃로 냉각시키고 염화펜타데카노일 52.2g(0.2mol)과 0.2N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30㎖를 동시에 30분에 걸쳐 적하시켰다. 그 사이 반응온도를 0∼5℃, pH를 11∼12 로 유지했다. 그 후 2시간 실온(25℃)까지 천천히 온도를 올리면서 교반하여 N-펜타데카노일-L-아스파라긴산디나트륨용액을 얻었다. 그 용액에 5N 염산 140㎖를 첨가하여 용액의 pH를 1로 하고 석출된 결정을 감압여과에 의해 분리하여 물로 세정 후 감압하에 건조시켰다. 얻어진 결정을 헥산 500㎖로 세정, 건조후 에탄올:물중량비=1:1 용매로 재결정시켜 N-펜타데카노일-L-아스파라긴산 39.8g(0.11mol)을 얻었다. 투입한 염화펜타데카노일기준의 수율은 55.6%였다.
목적하는 N-펜타데카노일-L-아스파라긴산의 물성은 다음과 같았다.
1H-NMR(CD3OD); δ(ppm)
0.89 (t,3H)
1.28 (s, 26H)
1.55-1.65 (m, 2H)
2.23 (t, 2H)
2.72-2.92 (m, 1H)
4.74 (dd, 1H)
IR(cm-1);
3353, 3310, 2926, 1725, 1296, 1196, 928
성분분석(C19H35NO5)
실측치 : C 63.10%, H 9.53%, N 4.08%
계산치 : C 63.84%, H 9.87%, N 3.92%
융점 : 122.8∼124.0℃
(3) N-펜타데카노일-L-아스파라긴산메틸에스테르의 합성
200㎖의 2주입구 플라스크에 N-펜타데카노일-L-아스파라긴산 1.04g(2.91mol)과 메탄올 20㎖를 넣어 용해시키고 14% 삼불화붕소 메탄올용액 0.5㎖를 첨가하여 환류관을 설치했다. 그 플라스크를 물탱크에서 50℃로 2시간 반응을 행하여 실온까지 냉각 후 50g/L 식염수 25㎖를 첨가하여 디에틸에테르 40㎖로 추출시켰다. 다시또 에테르층을 물 40㎖로 세정 후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켜 감압하 용매를 제거하고 하루밤 건조시켜서 반응혼합물의 결정을 얻었다. 이것을 직경 40mmΦ×길이 110mmh의 실리카겔 칼럼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클로로포름 600㎖에 의해 유출된 성분을 제1획분으로서, 다시또 클로로포름:메탄올=2:1200 혼합용매 200㎖에 의해 유출된 성분을 제2획분으로서 얻었다. 각 획분을 감압하에 용매를 제거하여 하루밤 건조시켜서 제1획분으로부터 N-펜타데카노일-L-아스파라긴산디메틸에스테르 0.29g(0.76mmol, 수율26%), 제2획분으로부터 N-펜타데카노일-L-아스파라긴산메틸에스테르 0.61g(1.63mmol, 수율56%)를 얻었다.
제조예3
N-헵타데카노일-L-아스파라긴산메틸에스테르의 합성
(1) 염화헵타데카노일의 합성
1ℓ의 2주입구의 플라스크에 헵타데칸산 102.1g(0.38mol)과 시클로헥산 200㎖를 넣고 염화티오닐 67.3g(0.57mol)을 넣은 100㎖ 적하 깔대 및 환류관을 설치했다.
그 플라스크를 오일배스로 80℃로 가열교반하면서 헵타데칸산을 완전히 용해시켰다. 그 후 2시간에 걸쳐서 염화티오닐을 적하시켰다. 다시 또 오일배스온도를 80℃로 1시간 유지했다. 이 반응혼합물로부터 아스피레이터감압하에 시클로헥산 및 염화티오닐을 제거하고 얻어진 반응혼합물을 감압증류해서 염화헵타데카노일 88.5g(0.31mol)을 얻었다. 투입한 헵타데칸산기준의 수율은 81.2%였다.
(2)N-헵타데카노일-L-아스파라긴산의 합성
1ℓ의 3주입구 플라스크에 L-아스파라긴산 16.0g(0.12mol)과 수산화나트륨 9.6g(0.24mol)을 물 150㎖에 용해시킨 수용액과를 첨가하여 교반했다. 아스파라긴산이 용해한 후 아세톤 120㎖를 첨가했다. 반응액을 0℃로 냉각시키고 염화헵타데카노일 29.0g(0.1mol)과 수산화나트륨 4g를 물 30㎖에 용해시킨 수용액을 동시에 30분에 걸쳐 적하시켰다. 그 사이 반응온도를 0∼5℃, pH를 11∼12 로 유지했다. 그 후 2시간 실온(25℃)까지 천천히 온도를 올리면서 교반하여 N-헵타데카노일-L-아스파라긴산디나트륨용액을 얻었다. 그 용액에 5N염산 65㎖를 첨가하여 용액의 pH를 1로 하고 석출된 결정을 감압여과에 의해 분리하여 물로 세정후 감압하에 건조시켰다. 얻어진 결정을 헥산 500㎖로 세정, 건조 후 에탄올:물중량비=8:1 용매로 재결정시켜 N-헵타데카노일-L-아스파라긴산 21.0g(0.054mol)을 얻었다. 투입한 염화헵타데카노일 기준의 수율은 54.3%였다.
목적하는 N-펜타데카노일-L-아스파라긴산의 물성은 다음과 같았다.
1H-NMR(CD3OD); δ(ppm)
0.89 (t,3H)
1.28 (s, 30H)
1.55-1.65 (m, 2H)
2.23 (t, 2H)
2.72-2.92 (m, 1H)
4.74 (dd, 1H)
IR(cm-1);
3353, 3310, 2926, 1725, 1296, 1196, 928
성분분석(C21H39NO5)
실측치 : C 65.34%, H 10.07%, N 3.85%
계산치 : C 65.42%, H 10.20%, N 3.63%
융점 : 126.4∼128.5℃
(3) N-헵타데카노일-L-아스파라긴산메틸에스테르의 합성
200㎖의 2주입구 플라스크에 N-헵타데카노일-L-아스파라긴산 1.10g(2.85mol)과 메탄올 20㎖를 넣어 용해시키고 14% 삼불화붕소 메탄올용액 0.5㎖를 첨가하여 환류관을 설치했다. 그 플라스크를 물탱크에서 50℃로 2시간 반응을 행하여 실온까지 냉각 후 50g/L 식염수 25㎖를 첨가하여 디에틸에테르 40㎖로 추출시켰다. 다시또 에테르층을 물 40㎖로 세정 후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켜 감압하 용매를 제거하고 하루밤 건조시켜서 반응혼합물의 결정을 얻었다. 이것을 직경 40mmΦ×길이 110mmh의 실리카겔 칼럼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클로로포름 600㎖에 의해 유출된 성분을 제1획분으로서 다시또 클로로포름:메탄올=2:1200㎖에의해 유출된 성분을 제2획분으로서 얻었다.
각 획분을 감압하에 용매를 제거하여 하루밤 건조시켜서 제1획분으로부터 N-헵타데카노일-L-아스파라긴산디메틸에스테르 0.27g(0.66mmol, 수율23%), 제2획분으로부터 N-헵타데카노일-L-아스파라긴산메틸에스테르 0.70g(1.74mmol, 수율61%)를 얻었다.
실시예1∼14 및 비교예1∼3
8주된 C3H계의 숫쥐(체중18∼24g)를 8마리를 1군으로 해서 등부위 약 2×3.5cm를 털을 제거하고 털을 제거한 등부위에 제1표에 나타내는 N-아실아미노산에스테르화합물의 1중량%의 에탄올용액을 피검사 샘플로서 1일 1회, 0.1㎖를 3주간에 걸쳐서 도포하여 육모의 상태를 관찰했다. 육모효과의 평가는 피시험구역에 있어서의 발모촉진의 상태를 눈으로 에탄올만을 도포한 경우와 비교하여 하기의 평가기준으로 행했다. 결과를 제1표에 나타낸다. 이 결과에 의하면 기수탄소수의 아실기를갖는 N-아실아미노산에스테르에 있어서 특히 양호한 육모효과가 확인되었다. 또한 시험기간 중 일반증상, 피부상태 및 체중추이에 대해서는 피시험샘플의 도포에 의해 하등 영향은 확인되지 않았다. 또한 N-아실아미노산에스테르는 상기한 제조예 1∼3 혹은 이에 준해서 합성한 것을 사용했다.
N-아실아미노산에스테르 평가
실시예 1 N-펜타데카노일아스파라긴산메틸에스테르
실시예 2 N-트리데카노일아스파라긴산메틸에스테르
실시예 3 N-헵타데카노일아스파라긴산메틸에스테르
실시예 4 N-펜타데카노일아스파라긴산디메틸에스테르
실시예 5 N-펜타데카노일아스파라긴산에틸에스테르
실시예 6 N-펜타데카노일아스파라긴산이소프로필에스테르
실시예 7 N-펜타데카노일아스파라긴산헥사데실에스테르
실시예 8 N-펜타데카노일아스파라긴산에틸렌글리콜에스테르
실시예 9 N-펜타데카노일아스파라긴산폴리에틸렌글리콜(n=6)에스테르
실시예 10 N-트리데카노일글루타민산메틸에스테르
실시예 11 N-펜타데카노일바린메틸에스테르
실시예 12 N-펜타데카노일트레오닌메틸에스테르
실시예 13 N-펜타데카노일페닐아라닌에틸에스테르
실시예 14 N-펜타데카노일리신메틸에스테르
비교예 1 N-도데카노일아스파라긴산메틸에스테르 ×
비교예 2 N-미리스트일스파라긴산 ×
비교예 3 N-도데카노일글루타민산메틸에스테르 ×
◎ : 발모촉진이 강한정도 ○ : 발모촉진이 중간정도△ : 발모촉진이 약한정도 × : 발모촉진이 확인되지않음
다시 또 본발명의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화장재료의 각종형태를 그 조성과 함께 다음에 나타낸다.
실시예 15
양모료
중량%
에탄올 75.0
N-펜타데카노일아스파라긴산메틸에스테르 4.0
올리브오일 1.0
α-토코페롤 0.5
향료 적당량
방부제 적당량
정제수 잔량
실시예 16
양모료
중량%
에탄올 60.0
N-트리데카노일글루타민산메틸에스테르 3.0
미리스틴산이소프로필 2.0
향료 적당량
방부제 적당량
정제수 잔량
실시예 17
헤어토닉
중량%
에탄올 60.0
N-펜타데카노일아스파라긴산메틸에스테르 1.0
아세트산토코페롤 0.5
글리세린 3.0
L-멘톨 0.1
향료 적당량
방부제 적당량
정제수 잔량
실시예 18
헤어린스
중량%
세틸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60.0
폴리옥시에틸렌세틸에테르 1.0
세틸알코올 0.5
N-트리데카노일리신메틸에스테르 1.0
프로필렌글리콜 5.0
향료 적당량
정제수 잔량
실시예 19
파운데이션
중량%
스테아르산 2.0
유동라놀린 2.0
유동파라핀 3.0
N-트리데카노일바린메틸에스테르 2.0
미리스틴산이소프로필 5.0
소르비탄모노올레이트 2.0
산화티탄 8.0
활석 4.0
벤토나이트 0.5
산화철 0.5
향료 적당량
방부제 적당량
정제수 잔량
실시예 20
입술연지
중량%
산화티탄 1.0
로즈벤갈 4.0
피마자유 50.0
옥틸도데카놀 10.0
N-트리데카노일루이신메틸에스테르 5.0
밀납 5.0
카르나우바왁스 5.0
고체파라핀 20.0
향료 적당량
방부제 적당량
실시예 21
로션
중량%
에탄올 15.0
폴리에틸렌글리콜 3.0
N-펜타데카노일트레오닌메틸에스테르 1.0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모노라우레이트 2.0
향료 적당량
방부제 적당량
정제수 잔량
실시예 22
바니싱크림
중량%
스테아르산 15.0
와세린 2.0
N-펜타데카노일아스파라긴산디메틸에스테르 1.0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2.0
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2.0
프로필렌글리콜 10.0
향료 적당량
방부제 적당량
정제수 잔량
본 발명에 의하면 기수탄소수의 아실기를 갖는 N-아실아미노산에스테르를 함유하므로서 우수한 육모촉진효과, 보습작용, 피하혈류량 증진작용 등을 갖는 육모용, 피부용 등에 아주 적당한 화장재료를 얻을 수가 있다.
다시 또 이와 같은 아실아미노산에스테르를 사용함으로서 화장재료의 기초재료가 되는 용제에 대한 용해성이 현저히 개선된다.

Claims (7)

  1. 기수탄소수의 아실기를 갖는 N-아실아미노산에스테르를 함유하는 화장재료.
  2. 제1항에 있어서,
    기수탄소수의 아실기를 갖는 N-아실아미노산에스테르가 알라닌, 바린, 로이신, 이소로이신, 메티오닌, 트리프토판, 페닐알라닌, 글리신, 세린, 트레오닌, 시스테인, 티로신, 아스파라긴, 글루타민, 리신, 아르기닌, 아스파라긴산, 글루타민산, β-알라닌, 히드록시리신, 오르니틴, 시트룰린, 5-아미노레블린산, 및 γ-아미노부티르산 중에서 선택되는 아미노산으로부터 유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재료.
  3. 제1항에 있어서,
    기수탄소수의 아실기를 갖는 N-아실아미노산에스테르가 산성 아미노산으로부터 유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재료.
  4. 제3항에 있어서,
    산성 아미노산이 글루타민산 또는 아스파라긴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재료.
  5. 제1항에 있어서,
    기수탄소수의 아실기를 갖는 N-아실아미노산에스테르가 1가 또는 2가 이상의 지방족알코올, 폴리에틸렌글리콜, 또는 폴리프로필렌글리콜을 사용해서 유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재료.
  6. 제1항에 있어서,
    기수탄소수의 아실기를 갖는 N-아실아미노산에스테르의 기수탄소수의 아실기가 7∼19의 범위의 기수탄소원자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재료.
  7. 13∼17의 범위의 수의 기수탄소원자로 된 아실기를 갖는 N-아실아미노산에스테르.
KR1019970054466A 1996-10-29 1997-10-23 N-아실아미노산에스테르및이것을이용한육모제혹은양모제 KR1003008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286218A JPH10130128A (ja) 1996-10-29 1996-10-29 化粧料
JP96-286218 1996-10-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3092A true KR19980033092A (ko) 1998-07-25
KR100300816B1 KR100300816B1 (ko) 2001-10-27

Family

ID=17701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4466A KR100300816B1 (ko) 1996-10-29 1997-10-23 N-아실아미노산에스테르및이것을이용한육모제혹은양모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010708A (ko)
EP (1) EP0839515A3 (ko)
JP (1) JPH10130128A (ko)
KR (1) KR100300816B1 (ko)
TW (1) TW47482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3817A (ko) * 1997-07-14 1999-02-25 후쿠다 다케지 N-아실아미노산 및 이것을 사용한 화장재료
JP3896579B2 (ja) * 1998-02-27 2007-03-22 味の素株式会社 紫外線吸収性組成物
TWI225793B (en) 1997-12-25 2005-01-01 Ajinomoto Kk Cosmetic composition
JPH11279040A (ja) * 1998-03-27 1999-10-12 Kao Corp 皮膚外用剤
GB9810869D0 (en) * 1998-05-20 1998-07-22 Ass Octel Biodegradable corrosion inhibitors
FR2787323B1 (fr) * 1998-12-22 2003-02-14 Seppic Sa Utilisation de composes n-acyles d'aminoacides comme agent de texture
FR2796550B1 (fr) * 1999-07-21 2003-05-09 Asepta Lab Preparations et applications d'esters de n-acylaminoacides
US6827942B2 (en) 2000-12-04 2004-12-07 Colgate-Palmolive Co. Composition and method of use
US20030133829A1 (en) * 2001-12-21 2003-07-17 Baxter Healthcare Corporation Process for inactivating pathogens in a biological material
US20050019356A1 (en) * 2003-07-25 2005-01-2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Regulation of mammalian keratinous tissue using N-acyl amino acid compositions
DE102004048324A1 (de) * 2003-10-08 2005-05-12 Ajinomoto Kk Kristalle von N-langkettigen Acyglycin-Salzen,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diese Kristalle enthaltende Reinigungsmittel-Zusammensetzungen
US20060057170A1 (en) * 2004-09-13 2006-03-16 L'oreal Oil-in-water emulsion containing fillers
FR2894136B1 (fr) * 2005-12-07 2008-01-18 Oreal Article cosmetique soluble moussant
US20100152480A1 (en) * 2008-12-16 2010-06-17 Ghare Vishwas Sadhu Process for synthesis of cationic surfactants
US9505820B2 (en) 2010-09-01 2016-11-29 Zotos International, Inc. Hair treatment composition with naturally - derived peptide identical to human hair
DE102010062807A1 (de) * 2010-12-10 2012-06-14 Henkel Ag & Co. Kgaa N-Acylaminosäuren als Korrosionsschutz
EP2583667B1 (fr) * 2011-10-20 2019-01-16 Les Laboratoires Asepta Complexe lipidique pour favoriser la repousse des phanères et compositions associées
FR2981932B1 (fr) 2011-10-27 2014-10-31 Seppic Sa Nouveaux esters de derives n-acyles d'acides amines et de diols, procede pour leur preparation, et utilisation en cosmetique et comme medicament
KR101294245B1 (ko) 2011-12-30 2013-08-07 다움코스텍 주식회사 5-아미노레블린산 및 실크펩타이드를 함유하는 손상된 모발용 트리트먼트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US9511144B2 (en) 2013-03-14 2016-12-06 The Proctor & Gamble Company Cosmetic compositions and methods providing enhanced penetration of skin care actives
FR3027599A1 (fr) * 2014-10-27 2016-04-29 Soc D'exploitation De Produits Pour Les Ind Chimiques Seppic Utilisation d'ester de derives n-acyles d'acide amines et de polyols comme agent antivieillissement de la peau humaine
FR3029410B1 (fr) * 2014-12-04 2016-12-30 Soc D'exploitation De Produits Pour Les Ind Chimiques Seppic Utilisation d'esters de 1,3-butanediol et de derives n-acyles d'acides amines comme agent de brunissage et/ou de bronzage de la peau humaine
FR3029412B1 (fr) * 2014-12-04 2018-01-26 Societe D'exploitation De Produits Pour Les Industries Chimiques Seppic Utilisation de derives n-acyles d'acide amines esterifies avec le 1,3-butanediol, comme agent antivieillissement de la peau humaine
WO2018186060A1 (ja) * 2017-04-04 2018-10-11 味の素株式会社 化合物、組成物、および保湿剤
JP2018177768A (ja) * 2017-04-04 2018-11-15 味の素株式会社 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234399A1 (de) * 1972-07-17 1974-01-31 Thomae Gmbh Dr K Hautschutzmittel
BR9306360A (pt) * 1992-05-12 1998-06-30 Procter & Gamble Composição em bastão de gel antiperspirante
US5540853A (en) * 1994-10-20 1996-07-3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ersonal treatment compositions and/or cosmetic compositions containing enduring perfume
JPH08337562A (ja) * 1995-04-11 1996-12-24 Kashima Sekiyu Kk N−アシルアミノ酸組成物
JPH08337563A (ja) * 1995-04-11 1996-12-24 Kashima Sekiyu Kk N−アシルアミノ酸及びその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00816B1 (ko) 2001-10-27
JPH10130128A (ja) 1998-05-19
EP0839515A2 (en) 1998-05-06
US6010708A (en) 2000-01-04
TW474821B (en) 2002-02-01
EP0839515A3 (en) 2000-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00816B1 (ko) N-아실아미노산에스테르및이것을이용한육모제혹은양모제
US7351716B2 (en) Dermatological preparations
CA1266860A (fr) Composes lipidiques amphiphiles, leur procede de preparation et leurs applications, notamment en cosmetique et en dermopharmacie
CH622698A5 (ko)
KR20010014687A (ko) 오일성 원료 조성물
JP3844866B2 (ja) セラミド類似化合物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これを含有する化粧料組成物
EP0891764B1 (en) Ethanolic solutions of N-pentadecanoylisoleucine and use thereof in cosmetics
JPH0517399A (ja) エステル誘導体及びこれを含有する化粧料
KR100545487B1 (ko) 킬레이트제의 친유성 디에스테르
JPH08337563A (ja) N−アシルアミノ酸及びその塩
FR2909378A1 (fr) Ceramides ou pseudo-ceramides quaternises et les compositions cosmetiques en contenant
EP0946516B1 (fr) Nouveaux derives d'histidine, procede de preparation et leur utilisation comme agents anti-radicaux libres
KR20190016702A (ko) 세라마이드, 이의 유도체 및 목근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236304B1 (ko) 세라미드 유사 화합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0181104B1 (ko) 세라미드 유사 화합물 및 이의 제조방법
US7943599B2 (en) Sesamol derivatives or their salts, the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and the skin external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US5871755A (en) Dehydroalanine derivatives for protecting the skin, the mucous membranes and/or the hair from oxidative stress, cosmetic or dermatolog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KR0181103B1 (ko) 세라미드 유사 화합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H08337515A (ja) 化粧料
CA2272833A1 (fr) Nouveaux derives d'histidine, procede de preparation et utilisations
KR100236303B1 (ko) 세라미드 유사 화합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H0859544A (ja) 新規なパントイン酸誘導体及びこれらを 有効成分として含有する養毛料
KR19980023897A (ko) 3-아미노프로판인산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H02306949A (ja) アミド誘導体及びそれ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
EP1533355A1 (en) Ultraviolet-absorbing composi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