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2418A - 유압 반응식 전기 스위치 - Google Patents

유압 반응식 전기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2418A
KR19980032418A KR1019970049487A KR19970049487A KR19980032418A KR 19980032418 A KR19980032418 A KR 19980032418A KR 1019970049487 A KR1019970049487 A KR 1019970049487A KR 19970049487 A KR19970049487 A KR 19970049487A KR 19980032418 A KR19980032418 A KR 199800324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k
movable
snap
switch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9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47476B1 (ko
Inventor
죠지베라스
Original Assignee
러셀이.바우만
텍사스인스트루먼츠인코오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러셀이.바우만, 텍사스인스트루먼츠인코오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러셀이.바우만
Publication of KR199800324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24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74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74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5/00Switches operated by change of a physical condition
    • H01H35/24Switches operated by change of fluid pressure, by fluid pressure waves, or by change of fluid flow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5/00Switches operated by change of a physical condition
    • H01H35/24Switches operated by change of fluid pressure, by fluid pressure waves, or by change of fluid flow
    • H01H35/26Details
    • H01H35/2657Details with different switches operated at substantially different press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5/00Switches operated by change of a physical condition
    • H01H35/24Switches operated by change of fluid pressure, by fluid pressure waves, or by change of fluid flow
    • H01H35/34Switches operated by change of fluid pressure, by fluid pressure waves, or by change of fluid flow actuated by diaphrag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Switches Operated By Changes In Physical Conditions (AREA)

Abstract

유압 반응식 전기 스위치(100)가 도시되며, 이 내부에서 제1 및 제2 개별 전기 스위치들이 제어된다. 제1 가동 지지 링(122)은 이 링의 반대쪽상에 지지 링에 접하는 규격화된 오목 면을 각각 갖는 제1 및 제2 스냅 작동 디스크(120a,124a)가 장착된다. 제1 디스크는 압력에 대한 힘을 인가받고 이 힘을 컨버터(134)에 제공하고, 컨버터(134)는 제2 디스크를 통해 가동 콘택 아암에 접하며 규격화된 오목 표면을 갖는 제3 스냅 작동 디스크(128a)와 제2 가동 지지부(126)에 힘을 전송한다. 시스템 압력이 제1 최소 레벨을 초과할 경우, 제3 디스크(128a)는 스냅 작동 행하여, 작동 전송핀으로 하여금, 압축기를 기동하는 압축기 기동 스위치(118)의 가동 콘택 암(118a)에 힘을 전송하게 한다. 시스템 압력이 제2의 상위 레벨로 증가하면, 제1 디스크(120c)는 스냅 작동을 행하고, 작동 상태를 작동 전송핀(120c)을 경유하여, 팬을 기동하기 위한 팬 기동 스위치의 작동 암(116a)에 전송한다. 시스템 압력이 제3 상위 레벨로 계속하여 증가하면, 제2 디스크(124a)는 스냅 작동을 행하므로써, 압축기 기동 스위치의 가동 암(118a) 스프링 바이어스를 매팅 고정 콘택으로 부터 이격시켜, 압축기의 기동이 차단되게 한다.
제2 실시예에 의해, 스위치(200)는 제3 디스크를 제거하고, 단지 제2 지지 부(130c')만으로 고정함으로써, 팬 기동 기능 및 고압 절단의 압축 기능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유압 반응식 전기 스위치
본 발명은 일반적인 전기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대향하는 볼록 및 오목 모양의 접시 형상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며 유압과 같은 선택 조건의 발생에 따라 가동되는 스프링 디스크 소자(spring disc element)를 이용하는 전기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조건 반응식 스위치는 하나의 스위치 위치로 전단 편향(prebias)된 제1 및 제2 스위치 위치들 사이에서 가동하는 콘택 암(movable contact arm)을 갖는다. 대향하는 볼록 및 오목 모양의 접시 형상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접시 모양의 스냅 작동 디스크 소자가 제공되어, 선택된 온도 또는 압력 조건에 반응하여, 콘택 암을 다른 스위치 위치로의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형태의 스위치의 일예는 본 발명의 양수인에게 발행된 미국 특허번호 제4,581,509호에 도시 및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형태의 스위치는 다른 장치 즉, 에어콘 컨디셔너 압축 시스템과 같은 자동차 주변 장치에서 폭넓게 이용되어 왔다. 예컨대, 이러한 시스템에서 요구되는 것은, 과다한 압력으로 부터 시스템을 보호하기 위한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추가적으로, 압축기의 손상을 초래하는 윤활유 전하 및 프레온의 손실로부터 시스템을 보호하기 위한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두가지 목적의 스위치는 전형적으로 압축기 하우징내에 장착되며, 시스템의 고압 상황을 모니터한다. 이 두가지 기능을 하는 스위치는 본 발명의 양수인에게 또한 발행된 미국 특허번호 제4,757,165호에 도시 및 개시되어 있으며, 과다한 압력 뿐만 아니라 미소한 압력으로 부터 보호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후자의 특허에 따르면, 통상의 개방 전기 스위치는 선택된 조건의 발생에 따라 한 접시형 배열에서 대향하는 접시형 배열로서 이동하는데 적합한 수직방향으로 정렬된 제1 및 제2 디스크에 인접하게 장착된다. 제1 디스크는 제1 디스크 시트에 배치되며, 통상적으로 스위치에 면접하는 오목한 표면 형상을 갖는다. 제1 디스크는 중앙에 배치된 구멍을 갖고, 이 구멍을 통해 제2 디스크 시트에 배치된 제2 디스크와 전기 스위치의 가동 콘택 암 사이에서 작동 전송핀이 신장한다. 제2 디스크는 스위치에 향하여 면접하는 볼록 표면 형상을 갖고, 두개의 디스크의 중간에 배치된 부유링(floating ring)상의 반응 표면에 대하여 제2 디스크가 가동가능하게 채용된 압력 컨버터상에 장착된다. 제1 디스크는 스위치를 기동하기 위해 선택된 제1 레벨의 압력 증가에 노출될 경우 자신의 곡면을 전회하기 위해 채용되고, 제2 디스크는 스위치의 기동을 차단하기 위해 선택된 보다 높은 레벨의 압력 증가에 노출될 경우 자신의 곡면을 전회하기 위해 채용된다. 에어-컨디션 시스템에 대해 높은 압력 레벨에 의존하는 다른 기능은 임의의 레벨 이상의 압력으로 팬을 작동함에 있다. 팬 작동 기능 및 저압 보호 기능은 도 1에서 나타낸 종래 기술의 스위치에 결합되어 있으며, 이 기술에서 제1 디스크 수단(12)은 다수개의 디스크로 이루어져 있고, 중앙에 배치된 구멍을 갖는 이동 가능한 제1 디스크 시트 부재(16)상에 장착된 제1 스택(14)을 포함한다. 제1 작동 전송핀(18)은 디스크의 스택으로부터의 구멍을 통해 신장하며, 제1 가동 콘택 암(20)을 접하는 디스크(14)의 오목측을 갖는 제2 관 작동 전송 핀(22)을 통해, 안쪽으로는 제1 가동 콘택 암(20)을 접하고, 바깥쪽으로는 팬 작동 스위치인 제2 가동 콘택 암(21)에 접한다. 제2 디스크 수단(24)은, 중앙에 배치된 구멍을 갖고, 이 구멍을 통해 제 1 및 제2 작동 전송 핀이 신장되는 제2 가동 디스크 시트 부재(30)의 일측(28)상에 장착된 디스크의 제2 스택(26)을 포함한다. 제2 작동 전송 핀(22)은 디스크들의 제2 스택(26)사이에 신장하며, 제3 가동 콘택 암을 면접하는 디스크(26)의 오목측을 갖는 압축 작동 스위치의 제3 가동 콘택 암(32)이 접합되게 채용된다. 제3 가동 콘택 암(32)은 제4 가동 콘택 암(34)에 접합된 상태 및 접합되지 않은 상태로의 이동이 가능하다. 단일 디스크(38)를 포함하는 제3 디스크 수단(36)은 제3 비가동 디스크 시트 부재(40)에 장착되며, 이 부재(40)는 제3 및 제4 콘택 암에 면접하는 단일 디스크(38)의 오목측을 갖는 디스크의 제2 스택에 대향하는 제2 가동 디스크 시트 부재(30)의 일측에 접합된다. 제2 가동 디스크 시트 부재(30)에는 제4 가동 콘택 암(34)에 접합된 상태 및 접합되지 않은 상태로의 이동이 가능한 작동 전송부(42)가 제공된다. 시스템 압력이 제1 레벨로 증가하면, 제3 디스크 수단(36)은 격판(diaphragm)(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전송된 힘으로써 제1 디스크 수단(12), 제1 디스크 시트 부재(16), 제2 디스크 수단(24) 및 제2 디스크 시트 부재(30)를 스냅 작동하여, 제2 디스크 시트 부재의 작동 전송 표면(42)로 하여금, 제4 가동 콘택 암(34)를 제3 가동 콘택 암(32)에 점선 라인(44)에 의해 나타낸 바와 같이 전기적으로 접촉하도록 이동하게 하여 압축기를 작동시킨다. 이와 동시에 작동 전송 부재(18)는 점선(4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래 방향으로 이동되어 가동 암(20) 가까이에 인접하게 된다. 시스템에서의 추가의 압력 상승은 제1 디스크 수단(12)의 스냅 작동을 행하게 하여, 제1 작동 전송 부재(18)가 제1 가동 암(20)을 바이어스하고, 제2 가동 콘택 암(21)에 접합되게 하여, 점선(4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팬 회로를 작동시키게 한다. 시스템에서 제3 레벨로의 압력 상승은 제2 디스크 수단(24)의 스냅 작동을 행하게 하여, 제2 작동 전송 부재(22)가 제3 가동 콘택 암(32)를 이동시켜, 제4 가동 콘택 암(34)와의 전기적 접촉으로 부터 떨어지게 하여, 점선(5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압축기의 작동을 차단하게 한다.
이 후자의 장치는 단일 장치에서 팬 및 압축기의 작동 제어를 결합하게 하는 바람직한 특징을 제공하지만, 다수의 제한들이 있다. 제1 제한은 한쌍의 가동 콘택 암과 관련된다. 즉, 각각의 전기적 회로를 접합 및 접합되지 않게 동일 방향으로 이동하는 각각의 가동 콘택 암상에 장착된 전기 콘택의 접합 및 비 접합 동작은 접촉 와이핑 동작이 거의 또는 완전히 없어져서, 이러한 전기적인 콘택들 사이에는 상대적으로 낮은 레벨의 콘택력이 초래되어, 각각의 장치가 일치되지 않게 된다. 제2 제한은 스위치를 기동하기 위해 필요한 레벨의 힘을 제공하는데 이용되는 수단에 관련된다. 즉, 필요한 레벨의 힘을 얻기 위해, 복수개의 디스크들은 다른 디스크 상에 적층되어, 2 가지의 기능 즉, 팬 작동 기능 및 고압 절단의 압축 기능을 행한다. 적층 디스크를 이용할때에는, 디스크 서로간의 냉각 용접(cold welding)을 방지하는 것과, 인접한 디스크 사이의 마찰을 최소하는 것에 대하여 특별한 주의가 선행되어야만 한다.
전술한 종래 기술의 제한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스냅 작동 디스크를 포함하는 개선된 압력 반응식 전기 스위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콘택 접합 및 콘택 비접합 동작이 콘택면상의 산화층을 제거시키기 위해, 접합면 사이에서의 접촉 와이핑(contact wiping) 동작을 행하게 하는 스위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기적 콘택 사이에서 일치된 콘택력을 갖게 하는 스위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2 개의 개별 전기 회로의 가동 동작을 제어하는 종래 기술의 압력 반응식 전기 스위치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절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압력 반응식 전기 스위치의 절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압력 반응식 전기 스위치의 절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유압 스위치
112a : 액체 결합부
112 : 하우징 부재
112d : 압력 챔버
114 : 기저부
116,118 : 제1 및 제2 전기 스위치
114b : 스위치 챔버
116a, 118a : 제1 및 제2 가동 콘택 암
120 : 제1 디스크 수단
122 : 제1 가동 디스크 지지부
120b : 디스크 시트
120a : 스냅 작동 디스크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을 요약하면, 유압 스위치는 유압과 스위치 매카니즘 사이를 조화시켜, 가동 압력을 통해, 컨버터에 힘을 가하기 위한 가요성 판(flexible membrane)을 갖는다. 이 컨버터는, 가동 콘택 암에 면접하는 오목 표면과, 제1 가동 지지 부재의 일측면에 장착된 디스크를 함께 갖는 제1 스냅 작동 디스크를, 제1 가동 지지 부재의 반대쪽상에 장착된 가동 콘택 암을 면접하는 볼록 표면을 갖는 제2 스냅 작동 디스크에 접하게 하며, 이 접합으로 확장된 표면은 제2 가동 지지 부재에 접하게 된다. 가동 콘택 암을 접하는 오목 표면을 갖는 제3 스냅 작동 디스크는 제2 가동 지지 부재의 반대쪽에 배치된다. 제1 작동 전송 핀은 팬 기동 스위치의 제1 가동 콘택 암과 제1 디스크 사이에 신장한다. 제1 작동 전송 핀은 제2 디스크와 제1 가동 지지 부재에 있는 구멍을 통해 신장하며, 제2 관 작동 전송 핀의 내경을 통해 비스듬히 수용된다. 제1 가동 콘택 암은 고정 콘택으로 접하게 되거나 접하지 않게 이동한다. 제2 작동 전송 핀은 제2 가동 지지부에 있는 구멍을 통해 압축 기동 스위치의 제2 가동 콘택 암과 제2 디스크 사이를 신장한다. 제2 가동 콘택 암은 고정 콘택으로 전기적으로 접하게 되거나 접하지 않게 이동한다. 시스템 압력이 제1 최소 레벨로 증가하면, 제3 디스크는 가동 콘택 암을 접하는 오목 형상에 대해, 스냅 작동을 행하여, 제1 및 제2 가동 지지부로 하여금, 고정 콘택으로 접하게 되는 제2 가동 콘택 암을 바이어싱하는 제2 작동 전송 부재를 갖는 가동 콘택 암으로 이동하게 하므로써, 압축 회로를 작동시킨다. 제2 시스템 압력 레벨로 보다 높게 되면, 제1 디스크는 가동 콘택 암을 접하는 볼록 형상에 스냅 작동을 행하고, 제1 작동 전송 핀을 통해 작동 동작을 전송하여, 제1 가동 콘택 암을 고정 콘택으로 접하게 바이어스하므로써, 팬 작동 스위치를 차단시킨다. 시스템 압력 레벨이 제3 최대 레벨로 되면, 제2 디스크는 가동 콘택 암을 접하는 오목 형상에 스냅 작동을 행하고, 제2 가동 지지부와 제2 작동 전송 핀으로 하여금, 제2 가동 암의 스프링 동작의 영향으로 뒤로 이동하게 함으로써, 압축기 기동 스위치를 작동되지 않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2 개의 가동 콘택암은 고정 콘택으로 접하게 되거나 접하지 않게 이동됨으로써, 콘택 표면에 구성되려하는 임의의 산화층을 제거하는 와이핑 동작을 제공할 수 있다. 힘 확장 표면이 압력으로서, 컨버터와 제2 가동 지지 부재에 힘을 가하기 때문에, 일치된 높은 콘택력이 구현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단순한 형태의 스위치는 팬 작동 스위치와 고압 절단용 스위치를 포함하며, 이 내부에 제2 지지부가 고정되어 있고 제3 디스크는 제거된다.
이하, 본 발명의 압력 반응식 스위치에 대한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 및 상세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유압 스위치(100)는, 유압원이 모니터될 수 있도록 하는 액체 결합부(112a)를 갖는 하우징 부재(112)를 포함한다. 하우징 부재(112)는 측벽(112c)에 형성된 구멍(112b)을 가짐으로써, 압력 챔버(112d)로 종래의 방법처럼, 액체의 진입을 가능하게 한다. 하우징 부재(112)의 측벽(112f)의 말단(112e)은 크림핑 처리에 의한 것처럼, 기저부(114)에 대해 방사식으로 신장하는 플랜지(114a)에 부착된다. 기저부(114)는 각각 제1 및 제2 전기 스위치(116,118)을 하우징하는 스위치 챔버(114b)를 한정한다. 제1 스위치(116)는 종단(116b)상에 켄틸레버식으로 장착된 제1 가동 콘택 암(116a)을 포함하며, 종단(116e)상에 장착된 고정 콘택(116d)에 접하거나 접하지 않게 이동하기 위한 가동 콘택(116c)이 채용된다. 제2 스위치(118)는 종단(118b)에 켄틸레버식으로 장착된 제2 가동 콘택 암(118a)을 포함하며, 종단(118e)상에 장착된 고정 콘택(118d)에 접하거나 접하지 않게 이동하기 위한 가동 콘택(118d)이 채용된다.
제1 디스크 수단(120)은 제1 가동 디스크 지지부(122)의 제1측상에 있는 디스크 시트(120b)에 장착된 스냅 작동 디스크(120a)를 포함한다. 스냅 작동 디스크(120a)는 제1 전기 스위치(116)의 대응하는 가동 콘택 암(116a)을 접하고 있는 오목 표면(도시하지 않음)을 갖는 대향성으로 접시형의 오목, 볼록 형상들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가동적이다). 세라믹 같은 적절한 물질로 형성된 제1 작동 전송 핀(120c)은 디스크(120a)로부터, 가동 디스크 지지부(122)의 구멍(122a)을 관통하고, 이하에 설명될 가동 스위치 암(118a)와 제2 디스크 수단(124)내의 구멍을 관통하여, 가동 콘택 암(116a)으로 신장한다. 제2 디스크 수단(124)은 디스크(120a)의 제1측과 반대인 제1 가동 디스크 지지부(122)의 제2측상에 있는 디스크 시트(124b)에 장착된 스냅 작동 디스크(124a)를 포함한다. 스냅 작동 디스크(124a)는 대응하는 가동 콘택 암(118a)을 접하는 통상의 볼록 표면을 갖는 서로 대향하게 오목, 볼록모양인 접시 형상들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디스크(124a)는 작동 전송 핀(120c)을 관통하도록 중앙에 구멍(124c)이 형성된다. 제2 가동 디스크 지지부(126)는 제1 디스크 지지부(122)와 이격되며 디스크(124a)의 일측에 접하게 배치된다. 제2 가동 디스크 지지부(126)는 디스크(124a)를 접하도록 채용된 고리모양의 반응식 링(126a)을 가지며, 지지부(126)의 중심에는 구멍이 형성되어, 이를 통해 작동 전송 핀 슬리브(124b)가 수직하방으로 신장하여 디스크(124a)와 이격된다. 제2 작동 전송 핀(124c)는 세라믹과 같은 적절한 물질로서, 튜브의 형태로 형성되며, 슬리브(124b)내에 굴림 가능하게 배치되고, 디스크(124a)와 제2 가동 콘택 암(118a) 사이로 신장한다. 작동 전송 핀(120c)은 관 작동 전송 핀(124c)내에 굴림 가능하게 배치되며, 각각의 전송핀들은 서로 무관하게 작동한다.
제3 디스크 수단(128)은 대응하는 가동 콘택 암(118a)에 접하는 통상의 오목 표면(도시하지 않음)을 가지며, 대향하는 오목, 볼록 모양의 접시 형상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고정된 디스크 시트(128b)에 장착된 스냅 작동 디스크(128a)를 포함한다. 고정 디스크 시트(128b)는 측벽(130b)과, 슬리브(124b)를 슬라이딩 가능할 정도로 수용할 수 있게, 바닥 벽에 구성된 구멍(130a)을 갖는 컵 모양의 고정 지지 부재(130)의 바닥 벽내에 형성된다. 고리 모양의 와셔(132)는 종단이 없는 측벽(130b)상에 배치된다. 컵 모양의 지지 부재(130) 및 와셔(132)는 가동 지지 부재 및 디스크를 수용가능하도록, 고정되며 빳빳하게 둘러쌓는 식으로 형성된다. 컨버터(134)에 가해지는 압력은, 와셔(132)의 구멍(132a)안에 수용되는 압력 수용 표면(134a)을 한정하는 허브부(hub portion)를 포함한다. 힘 인가 링(120d)은 힘 인가 표면(134a)의 반대쪽인 컨버터(134)의 일측에 형성되며, 압력 챔버(112d)내에 수용된 액체의 유압에 대응하는 제1 디스크 수단(120)에 힘을 가하기 위해 채용된다. 가요성 판(136)은 유압을 갖는 액체 매체와 디스크 수단 및 스위치 사이를 상호작용시키는 역할을 하며, 와셔(132)와 압력 수용 표면(134a)에 수용된다. 엘라스토메릭 개스켓(elastomeric gasket)(138)은 와셔(132)상의 격판(136)과 하우징(112)의 중첩 표면(112g) 사이에 배치된다.
시스템의 압력이 증가하면, 힘은 격판(136)을 통해, 컨버터(134)에 압력을 가한다. 미리 선택된 압력의 증가는 디스크(128a)가 스냅 작동을 행하게 하여, 컨버터(134)와 가동 지지 부재(122,126)으로 하여금, 작동 전송 핀(124c)을 따라 이동하게 함으로써, 스위치(118)를 접속시킨다. 예컨대, 가동 콘택(118c)을 고정 콘택(118d)에 접하게 하여, 가동 암(118a)이 고정되기 때문에, 콘택(118c)이 고정 콘택(118d)에 대해 와이핑 작동을 행함과 동시에 스위치가 접속된다. 스위치(118)는 자동차 에어 컨디션 시스템의 압축기에 대한 접속용으로 채용된다. 작동 전송 핀(120c) 또한 가동 암(116a)을 향하여 이동하지만, 가동 암(116a)에 대해 미처 전송 작동을 행하지 못한다. 유압이 계속하여 증가함에 따라, 디스크(120a)는 자신으로 전송된 작동에 의해, 콘택 암(116a)에 대한 스냅 작동을 행하여, 스위치(116)를 접속시킴과 동시에, 가동 콘택(116c)은 가동 암(116a)가 고정되기 때문에, 고정 콘택(116d)에 대해 와이핑 작동을 행하게 된다. 스위치(116)는 팬 회로에 대한 접속용으로 채용된다. 미리 선택된 상위의 압력 레벨로 계속하여 증가시킨 압력은 디스크(124a)가 스냅 작동을 행하게 함으로써, 가동 콘택 암(118a)의 정상 개방 콘택 바이어스는 작동 전송 핀(124c)으로 부터의 대향 힘을 더이상 수용하지 못하기 때문에, 가동 콘택(118c)은 고정 콘택(118d)과의 접속이 않된다. 이것은 결국 압축기의 동작을 차단하는 것이 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도 3에서 도시된다.
제2 실시예의 스위치(200)는 2 개의 개별적인 전기 회로가 제1 실시예의 스위치(100)과 같은 동작을 행한다. 하지만, 통상적으로 제2 실시예에서의 제2 스위치(118')는 도 2에서의 통상의 개방 제2 스위치(118)와는 구별되게 접속된다. 스위치(200)는 이전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각각 제1 및 제2 디스크 수단(120,124)을 포함한다. 하지만, 고리 모양의 반응식 링(126a)은 고정된 바닥 벽(130')상에 형성된다. 슬리브(130d')는 제2 관 작동 전송 핀(124c)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한다. 하우징 부재(112)는 도 2의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기저부의 플랜지(114a')상에 있는 측벽(112f)의 단부(112e)의 굴절에 의해 기저부(114')에 부착된다. 스위치(200)의 다른 성분들은 도 2의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이하에서의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3의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스위치(118')는 통상의 방법으로 접속된다. 힘은 도2의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격벽(136)을 통해 컨버터(134)상에 인가되며, 미리 선택된 제1 레벨의 압력으로의 압력이 증가하게 되면, 힘은 디스크로 전송되어, 디스크(120a)가 스냅 작동을 행하게 함으로써, 가동 콘택(116c)이 고정 콘택(116d)에 접하게 되어, 제1 스위치(116)가 기동된다. 압력이 미리 선택된 상위 레벨로 증가하게 되면, 디스크(124a)는 스냅 작동을 행하여, 가동 콘택(118c)은 고정 콘택(118d)과의 접속이 않되는 방향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스위치(118')는 작동되지 않는다. 압력이 감소할 경우에는 전술한 설명이 반전된 순서에 의해 스위치가 동작한다.
자동차의 에어 컨디션 시스템에서 이용될 경우, 에어 컨디셔너의 압축 회로는 통상적으로 접속되며, 팬 회로도 통상적인 방법으로 개방된다. 그러므로, 압축기는 에어 컨디셔너가 턴온되면,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접촉된다. 팬은 스위치(118)의 동작과 무관한 스위치(116)에 의해 회전이 진행되거나 중단된다. 미리 선택된 레벨로의 계속적인 압력 증가는 디스크(124a)가 스냅 작동을 행하게 함으로써, A/C 시스템은 작동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의 개선된 스위치는 종래 기술상에서 의존적이던 제3 작동 전송 핀의 필요성이 없어지며, 힘 인가 표면(120d,126a)의 이용으로, 필요로 하는 힘을 증대시켜, 각각의 고정 콘택(118d,116d)상에서 가동 콘택(118c,116c)의 와이핑 작동을 제공할 수 있게, 각 디스크 수단에서의 단일 디스크의 이용이 가능하게 되므로써, 접촉면에 형성되려고 하는 산화층과 같은 오염 물질을 제거하는 것과 같은 개선된 동작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수단에 의해, 제1 및 제2 개별 전기 회로들은 자동차상에서의 통상적인 진동발생에 의해 야기되는 문제점들을 제거하는 높은 접촉력을 가지며, 접촉 표면에 있는 산화층과 같은 오염 물질을 제거하는 접촉 와이핑 작동을 행하는 제1 및 제2 스위치를 통해 제어된다. 컨버터 및 스냅 작동 디스크 어셈블리에 힘을 가하는 압력 인가부는, 압력 표면을 갖는 고리모양의 고정 부재와 고정 지지 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고리 모양의 부재내에 있는 구멍을 관통하는 컨버터에 힘을 인가한다. 가요성 격벽 및 개스켓은 고리 모양의 부재상에 클램핑되어 제어 가능한 압력 감지 유닛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압력 반응식 스위치, 다수개의 회로들과 같은 특정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지만, 반드시 이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은 이하에 첨부되는 청구범위내에서의 변경 및 개시된 실시예와 동일한 모든 부분을 포함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Claims (7)

  1. 선택된 압력 레벨에 응답하여, 개별적인 제1 전기 회로와 제2 전기 회로를 제어하기 위한 압력 반응식 전기 스위치에 있어서,
    상단부 및 하단부와, 이 하단부에 장착되고 고정 콘택 부재와 이 고정 콘택 부재에 대해 접하거나 접하지 않게 이동 가능한 가동 콘택 부재로 이루어진 전기 콘택들로 각각 구성되는 제1 세트 및 제2 세트를 구비하는데 상기 제2의 가동 콘택 부재에는 그 내부에 관통 구멍을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기 상단부내에 형성된 액체 수용부와,
    일측에는 압력 수용 표면을 갖고 타측에는 힘 전송 표면을 갖는 컨버터에 힘을 가하기 위한 가동 장착 압력과,
    상기 컨버터의 상기 압력 수용 표면과 상기 부재 사이에 배치된 가요성 격판과,
    외각 주변부와 이 외각 주변부의 반대쪽에 제1 상부 및 제2 하부 디스크 시트가 형성되며, 구멍이 형성된 중심을 갖는 지지 링과,
    상기 컨버터의 상기 힘 전송 표면에 접속되며, 상기 링의 상기 제1 상부 디스크 시트에 수용되고 대향하는 접시 형상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제1 스냅 작동 디스크와,
    중심에 위치된 구멍을 가지며, 상기 링의 상기 제2 하부 디스크 시트에 수용되고 대향하는 접시 형상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제2 스냅 작동 디스크와,
    상기 하우징내에 장착되며, 가동 전송 핀 슬리브가 신장하도록 중심에 위치된 구멍과, 상기 제2 스냅 작동 디스크에 접합되는 반응 표면을 갖는 지지 부재와,
    상기 제2 가동 콘택 부재와 상기 제2 스냅 작동 디스크의 구멍과 링의 구멍을 통해, 상기 제1 스냅 작동 디스크로부터 상기 제1 가동 콘택 부재로 신장하는 제1 작동 전송 핀과, 자체내에 구멍을 가지며 이 구멍을 통해, 상기 지지 부재의 상기 작동 전송 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되며, 상기 제2 스냅 작동 디스크와 상기 제2 가동 콘택 부재 사이로 신장하는 제2 작동 전송 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반응식 전기 스위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하우징내에 고정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반응식 전기 스위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반응식 전기 스위치는 중심에 구멍을 갖는 제3 스냅 작동 디스크와 상기 하우징 내에 형성되는 제3 디스크 시트를 추가로 포함하는데, 상기 제3 스냅 작동 디스크는 상기 제3 디스크 시트에 장착되며, 하부면을 가지면서 이동가능하게 상기 하우징에 장착된 상기 지지 부재의 상기 하부면에 접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반응식 전기 스위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향하는 접시 형상은 오목 및 볼록 모양으로 각각 대응하는 가동 콘택 부재에 면접하며, 상기 제1 스냅 작동 디스크는 상기 제1 가동 콘택 부재에 면접하는 통상의 오목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2 스냅 작동 디스크는 상기 제2 가동 콘택 부재에 면접하는 통상의 볼록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반응식 전기 스위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세트의 전기 콘택은 통상 개방되며, 상기 제2 세트의 전기 콘택은 통상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반응식 전기 스위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스냅 작동 디스크는 상기 제2 가동 콘택 부재에 면접하는 통상의 오목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반응식 전기 스위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세트 및 제2 세트의 전기 콘택들은 통상 개방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반응식 전기 스위치.
KR1019970049487A 1996-10-01 1997-09-29 유압반응전기스위치 KR1004474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724,202 US5814779A (en) 1996-10-01 1996-10-01 Fluid pressure responsive electric switch
US8/724,202 1996-10-01
US08/724,202 1996-10-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2418A true KR19980032418A (ko) 1998-07-25
KR100447476B1 KR100447476B1 (ko) 2004-12-14

Family

ID=24909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9487A KR100447476B1 (ko) 1996-10-01 1997-09-29 유압반응전기스위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814779A (ko)
EP (1) EP0834893B8 (ko)
JP (1) JPH10112248A (ko)
KR (1) KR100447476B1 (ko)
DE (1) DE69737054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91034A (en) * 1999-09-17 2000-07-18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Low cost fluid pressure responsive electric switch having increased longevity
US6595051B1 (en) * 2000-06-08 2003-07-22 Chandler Systems, Inc. Fluid level sensing and control system
US6596951B1 (en) 2002-05-17 2003-07-22 Sherwood-Templeton Coal Company, Inc. Snap disc pressure switch
US6740828B1 (en) 2003-08-08 2004-05-25 Claudio R. Dacal Arm and safety switch
CN100593831C (zh) * 2005-06-23 2010-03-10 王正宗 充气产品的气压开关
CN100468596C (zh) * 2005-07-07 2009-03-11 王正宗 充气产品的气压开关的缓冲装置
US7256361B1 (en) * 2006-12-27 2007-08-14 Su-Yun Lee Pressure switch
WO2009032973A2 (en) * 2007-09-07 2009-03-12 Pacific Scientific Company Pneumatic fire detector
US7779701B2 (en) 2008-06-02 2010-08-24 Sensata Technologies, Inc. Pressure sensor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172133B (it) * 1981-12-04 1987-06-18 Texas Instruments Italia Spa Perfezionamento negli interuttori o commutatori elettrici azionati a bimetallo ad una o piu' temperature di intervento
US4581509A (en) * 1984-07-20 1986-04-08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Features of a condition responsive switch
US4747165A (en) * 1986-09-02 1988-05-31 Limbach Karl A Belt and buckle
US4757165A (en) * 1986-12-23 1988-07-12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Dual condition responsive electrical switch
JPH07101583B2 (ja) * 1987-07-02 1995-11-01 株式会社不二工機製作所 二動作形圧力スイッチ
JPH07114094B2 (ja) * 1987-07-23 1995-12-06 株式会社不二工機製作所 三動作形圧力スイッチ
US4794214A (en) * 1987-10-28 1988-12-27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Fluid pressure responsive electrical switch
FR2628885B1 (fr) * 1988-03-15 1990-08-24 Jaeger Dispositif de commande de mises en service successives de charges
US4948931A (en) * 1989-04-17 1990-08-14 Therm-O-Disc, Incorporated Combined pressure cutoff and pressure relief val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834893B8 (en) 2008-12-31
EP0834893A2 (en) 1998-04-08
US5814779A (en) 1998-09-29
EP0834893A3 (en) 2000-11-08
DE69737054D1 (de) 2007-01-18
KR100447476B1 (ko) 2004-12-14
JPH10112248A (ja) 1998-04-28
DE69737054T2 (de) 2007-09-20
EP0834893B1 (en) 2006-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32418A (ko) 유압 반응식 전기 스위치
US5947479A (en) Mechanical seal with flexible metal diaphragm
EP0272934B1 (en) Dual condition responsive electronic switch
US4794214A (en) Fluid pressure responsive electrical switch
JPH06221454A (ja) 感温型圧力解放弁
JPH03291820A (ja) 圧力応答スイッチ
JPH0658419A (ja) シール装置
JP3056820B2 (ja) 常時閉の圧力スイッチ
JP3031679B2 (ja) 圧力応答スイッチ
US5123332A (en) Condition-responsive device with diaphragm protection means
US5828286A (en) Temperature-dependent switch
US4657157A (en) Pressure relief method and rupture disk assembly
US20240029975A1 (en) Temperature-dependent switching mechanism and temperature-dependent switch
US4287780A (en) Snap-action member
JPH0341929B2 (ko)
WO1999065719A3 (en) Self-centering motor
US4351105A (en) Method of making a control device
JPH0416890B2 (ko)
KR860004346A (ko) 압력제어장치 및 그 제작방법
JPH10153220A (ja) クラッチカバー組立体
JP3965514B2 (ja) スイッチ用ボディーアース装置
JP3717537B2 (ja) 高圧圧力スイッチ
JP2003156001A (ja) アキュムレータ
JPH10252874A (ja) 自動変速機の油圧制御装置
JP2605175Y2 (ja) 圧力スイ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