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2400A - 정전인쇄장치 - Google Patents

정전인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2400A
KR19980032400A KR1019970048640A KR19970048640A KR19980032400A KR 19980032400 A KR19980032400 A KR 19980032400A KR 1019970048640 A KR1019970048640 A KR 1019970048640A KR 19970048640 A KR19970048640 A KR 19970048640A KR 19980032400 A KR19980032400 A KR 199800324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envelope
electrode
spark
electrostatic pri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8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66870B1 (ko
Inventor
트림본크리스챤
나카우치마사요시
Original Assignee
구마자키다다시
가부시키가이샤신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8289275A external-priority patent/JPH10114057A/ja
Priority claimed from JP30129096A external-priority patent/JP3194877B2/ja
Application filed by 구마자키다다시, 가부시키가이샤신코 filed Critical 구마자키다다시
Publication of KR199800324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24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68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68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38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supply of electric current or selective application of magnetism to a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41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supply of electric current or selective application of magnetism to a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for electrostatic 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9/00Rotary intaglio printing presses
    • B41F9/001Heliostatic print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003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electrostatic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imination Of Static Electricity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Particle Formation And Scattering Control In Inkjet Printers (AREA)

Abstract

정전인쇄장치에 있어서, 스파크 이외의 노이즈를 무시하고 스파크만을 정확히 검출할 수 있도록 한다. 엔벨럽 검출수단(17)로써, 전극(13)을 흐르는 전류의 직류성분의 엔벨럽을 검출한다. 신호비교 준비수단(18)로써, 엔벨럽 검출수단(17)로부터 출력되는 엔벨럽신호를 그 대로의 위상의 제1신호 S1과 그 제1신호 S1보다 위상이 늦은 제2신호 S2와로 분리한다. 신호비교수단(19)는, 제1신호 S1과 제2신호 S2의 신호레벨차를 연산함과 동시에, 그 신호레벨차가 소정치 이상으로 된 상태가, 소정시간 이상 지속한 경우에, 스파크검출신호를 출력한다.

Description

정전인쇄장치
본 발명은 정전인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전기에 의해 잉크를 전사하도록 한 정전인쇄장치에서는, 띠모양의 종이를 금속제의 판동(版胴)에 압압하기 위한 압동을 대전극에서 대전시킴로써, 종이의 판동으로의 흡착과 판동셀(판동의 표면凹부)내의 잉크의 대전에 의하여 고조되어, 잉크가 종이에 순조롭게 전사된다. 이러한 정전인쇄장치에서는, 압동 전위의 상승·하강 혹은 전극의 오염 등에 기인하는 스파크(불꽃방전)의 발생에 의한 화재 등의 사고를 방지해야만 한다.
종래의 인쇄장치에서는, 상술한 것 처럼 대전극 등의 전극을 흐르는 전류의 거동을, 직류성분을 무시하여, 교류성분이 단순한 미분, 미분과 적분, 혹은 주파수선택(공진) 등의 연산에 의해서 검출하는 방법을 취하고 있었다.
그러나, 상술과 같이 교류성분으로써 스파크를 검출하면, 전원투입시의 스파이크형상 노이즈가, 교류발생부나 전극으로부터 발생하는 스파크의 교류성분에 비슷하기 때문에, 그 스파이크형상 노이즈에 의한 오작동이 많았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여, 스파크 이외의 노이즈에 의한 오동작을 방지하여, 스파크만을 정확히 검출하여 화재 등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정전인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정전인쇄장치의 한 실시예의 기본블럭도,
도 2는 부분약도,
도 3은 스파크검출수단의 회로도,
도 4a는 스파크발생시의 스파크검출수단에 보내지는 전류신호의 그래프도,
도 4b는 스파크발생시의 엔벨럽신호의 그래프도,
도 4c는 스파크발생시의 신호레벨차의 그래프도,
도 4d는 스파크발생시의 플립플롭의 그래프도,
도 5a는 스파이크 노이즈발생시의 스파크검출수단에 보내지는 전류신호의 그래프도,
도 5b는 스파이크 노이즈발생시의 엔벨럽신호의 그래프도,
도 5c는 스파이크 노이즈발생시의 신호레벨차의 그래프도,
도 5d는 스파이크 노이즈발생시의 플립플롭의 그래프도,
도 6a는 고전압발생수단이 초기동작한 경우의 스파크검출수단에 보내지는 전류신호의 그래프도,
도 6b는 고전압발생수단이 초기동작한 경우의 엔벨럽신호의 그래프도,
도 6c는 고전압발생수단이 초기동작한 경우의 신호레벨차의 그래프도,
도 6d는 고전압발생수단이 초기동작한 경우의 플립플롭의 그래프도,
도 7은 전체의 약도,
도 8은 인쇄부의 약도,
도 9는 전원장치의 부분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0은 제어수단의 부분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을 자세히 설명한다.
도 7에 있어서, 101은 인쇄업자측에 설치되는 정전인쇄장치, 102는 정전인쇄장치(101)을 제조한 제조업자측에 설치되는 외부감시수단이다. 그리고, 정전인쇄장치(101)은, 복수의(도면예에서는 4개의) 인쇄부(1…)과, 각 인쇄부(1…)의 인쇄 제어를 하는 제어수단(2)를 구비한다.
인쇄부(1)은, 도 7과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동(3)과, 잉크욕(4)와, 판동(3)에 피인쇄물(6)을 압압하는 압동(5)와, 대전 유니트(8)과, 제전 유니트(9, 9)와, 그 대전 유니트(8)과 제전 유니트(9, 9)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원장치(7…) 을 구비한다.
판동(3)은, 인쇄되어야 할 형에 대응하는 凹부(판동셀)을 외주면에 가지고, 그 凹부에 잉크욕(4)로부터 잉크가 공급된다. 피인쇄물(6)은, 공급 롤러(11)로부터 권취 롤러(12)측과 화살표(A) 방향에 보내지고, 압동(5)와 판동(3)의 사이를 주행한다.
대전 유니트(8)은, 후술할 전극(대전극)을 가져, 압동(5)와 피인쇄물(6)(이 경우는 띠모양의 종이)을 통해 판동(3)의 凹부에 쌓아진 잉크를 마이너스 대전시킨다. 이에 따라, 잉크분자는 마이너스 대전하여 분자끼리 서로 반발하여, 피인쇄물(6)측에 고조되고, 잉크가 피인쇄물(6)에 전사된다. 또한, 압동(5)의 상류측과 하류측에 설정된 제전 유니트(9, 9)는, 후술할 전극(제전극)을 가져, 판동(3)의 잉크가 확실하게 대전하도록, 피인쇄물(6)의 전위를 갖춘다.
상기 인쇄부(1…)의 합계 4개의 전원장치(7a, 7b, 7c, 7d)는, 하나의 직렬통신회선(10)으로써, 제어수단(2)에 접속된다. 각 인쇄부(1…)의 잉크욕(4…)에는, 서로 다른 색(예컨대 빨강, 파랑, 노랑, 검정색 등)의 잉크가 수용된다. 그리고, 제어수단(2)에서의 명령신호에 의해, 각 전원장치(7a, 7b, 7c, 7d)가 독립하여 제어되어, 인쇄가 행해진다. 또, 직렬통신회선(10)의 규격으로서는, 미국 EIA(미국전자공업회)의 RS485을 들 수 있다. 이 RS485를 사용하면, 하나의 직렬통신회선(10)에서, 최대 10대의 전원장치(7…)을 제어수단(2)에 접속할 수 있고, 전송로의 구성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그리고, 도면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정전인쇄장치는, 복수의 전극(13…)(대전극)을 가지는 대전 유니트(8)과, 그 대전 유니트(8)의 전극(13…)에 고전압을 인가하는 고전압발생수단(14)와, 대전 유니트(8)의 전극(13…)을 흐르는 전류로부터 스파크(이상방전)의 발생을 검출하는 스파크검출수단(15)와, 그 스파크검출수단(15)로부터 출력되는 스파크검출신호를 받아 경보를 발하는 경보발생수단(22)와, 인터록 릴레이(21)과, 일차전원(23)을 구비한다. 경보발생수단(22)에는, 부저(24)와, 파트라이트(20)과, 스파크검출수단(15)에서의 명령신호를 받아 부저(24)와 파트라이트(20)을 작동시키는 경보회로(16)을 가진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전압발생수단(14)는, 고전압발생용의 변압기(25)와, 정류소자(26)과 제1저항기(27)과 콘덴서(28)로 이루어지는 정류회로와, 그 정류회로에 접속되는 전류취득용의 제2저항기(29)를 구비한다. 그리고, 변압기(25)의 일단측의 제1저항기(27)에 대전 유니트(8)(전극 13…)이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또한, 전극(13…)에 대향하는 압동(5)는, 도면밖의 판동(3)을 통해 기계프레임에 어스접속된다. 또한, 제2저항기(29)의 양단부에 스파크검출수단(15)를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파크검출수단(15)은, 직류성분의 엔벨럽을 검출하는 엔벨럽 검출수단(17)과, 그 엔벨럽 검출수단(17)로부터 출력할 수 있는 엔벨럽신호를 그 대로의 위상의 제1신호 S1과 그 제1신호 S1보다도 위상이 늦은 제2신호 S2와 분리하여 출력하는 신호비교 준비수단(18)과, 그 신호비교 준비수단(18)로부터 출력할 수 있는 제1신호 S1과 제2신호 S2의 신호레벨차를 연산함과 동시에, 그 신호레벨차가 소정치 이상으로 된 상태가, 소정시간 이상 지속한 경우에, 스파크검출신호를 출력하는 신호비교수단(19)으로 이루어진다.
엔벨럽 검출수단(17)은, 다이오드(30, 31, 32)와 저항기(33)과 콘덴서(34)와 오퍼레이쇼날앰프(5)를 가진다. 또한, 신호비교 준비수단(18)은, 제1신호 S1를 출력하기 위한 저항기(36, 37, 38)와 저항기(37)에 병렬접속되는 오퍼레이쇼날앰프(39)를 가지고, 또한, 제2신호 S2를 출력하기 위한 저항기(40, 41, 42)와 그 저항기(41)에 병렬접속되는 콘덴서(43) 및 오퍼레이쇼날앰프(44)를 가진다. 또한,신호비교수단(19)는 오퍼레이쇼날앰프(46)과 거기에 병렬로 접속되는 저항기(45)와 그 오퍼레이쇼날앰프(46)에 직렬접속되는 다이오드(47)과, 오퍼레이쇼날앰프(46)의 十단자측에 일단이 접속되는 저항기(48)과, 다이오드(47)에 직렬접속되는 플립플롭(50)과, 다이오드(47)과 플립플롭(50)과의 사이에 일단이 접속되는 저항기(49)를 가진다.
또, (도 2에 되돌아가)제전 유니트(9)는 제전용의 전극(13…)(제전극)을 가지고, 대전 유니트(8)의 경우와 같이, 고전압발생수단(14)에 접속된다. 또, 피인쇄물(6)은, 어스접속된다. 또한, 제전 유니트(9)와 대전 유니트(8)은, 각각 별도의 고전압발생수단(14)와 스파크검출수단(15)에 접속된다.
그리고, 스파크검출수단(15)의 작동을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파크검출수단(15)는 고전압발생수단(14)를 통해 전극(13…)에 흐르는 전류를 감시한다. 그리고, 전극(13)으로써 스파크가 발생한 경우, 스파크검출수단(15)에, 보내지는 (교류)전류신호는,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신호의 크기가 단시간에 급격히 변화한다. 그리고, 도 3에 나타낸 엔벨럽 검출수단(17)로써 상기 전류신호의 직류성분의 엔벨럽이 검출된다.
또한, 엔벨럽 검출수단(17)로부터 출력할 수 있는 엔벨럽신호는, 신호비교 준비수단(18)로써, 그 대로의 위상의 제1신호 S1과, 그 제1신호 S1보다도 위상이 늦은 제2신호 S2로 분리된다. 즉,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신호 S1과 제2신호 S2의 위상이 어긋난다.
다음에, 상기 제1신호 S1과 제2신호 S2는, 신호비교수단(19)에 보내지고, 제1신호 S1과 제2신호 S2의 신호레벨차(Y)가 연산된다. 구체적으로는, 제2신호 S2로부터 제l신호 S1가 감해진다. 그리고,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신호레벨차 Y가 소정치 b 이상으로 된 상태가 소정시간 T 이상 지속하면, 도 3에 나타낸 신호비교수단(19)의 플립플롭(50)에 작동신호가 보내지고, 플립플롭(50)은, 도 4d에 나타내는 것 같이 OFF 상태로부터 ON 상태로 전환되고, 그 ON 상태가 유지된다. 그리고, 그 ON 상태를 알리는 신호가, 도면 1에 나타낸 스파크검출수단(15)로부터 경보발생수단(22)에 보내지고, 경보가 발생한다.
또, 상기 소정치 b와, 소정시간 T는, 실험등에 의해 결정한다. 그리고 제1신호 S1과 제2신호 S2의 신호레벨차 Y가 그 소정치 b 이상으로 된 상태가 소정시간 T 이상 지속하면 플립플롭(50)에 작동신호가 보내지고 ON 상태가 되도록, 신호비교수단(19)를 설계해 놓는다. 또한, 플립플롭(50)이 ON 상태가 된 후는, 도시생략의 리세트회로로써 리셋트신호를 보내줌에 따라, 플립플롭(50)을 OFF 상태로 되돌린다.
다음에, 전원의 스파이크 노이즈같은 지속성이 없는 고레벨의 노이즈가 발생한 경우, 스파크검출수단(15)에 보내지는 전류신호는,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부에 고레벨의 노이즈(51, 51)이 포함된다. 그리고, 도 3에 나타낸 엔벨럽 검출수단(17)로써 검출되는 엔벨럽는, 완만한 산 모양이 되어, 신호비교 준비수단(18)로써,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대로의 위상의 제1신호 S1과, 그 제l신호 S1보다도 위상이 늦은 제2신호 S2로 분리된다.
그리고, 신호비교수단(19)로써 제l신호 S1과 제2신호 S2의 레벨차가 연산된다. 그 신호레벨차 Y는, 도 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소정치 b 보다도 작기 때문에, 도 3에 나타낸 신호비교수단(19)의 플립플롭(50)에 작동신호는 보내지지 않고, 플립플롭(50)은, 도 5b에 나타내는 것 같이 OFF 상태 그대로 된다. 따라서, 경보는 발생하지 않는다.
다음에, 고전압발생수단(14)가 초기동작하는 경우, 미리 소프트웨어가 시작하도록 회로가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스파크검출수단(15)에 보내지는 전류신호는,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완만히 증가한다. 그리고, 도 3에 나타낸 엔벨럽 검출수단(17)로써 검출되는 엔벨럽는, 신호비교 준비수단(18)로써,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대로의 위상의 제l신호 S1과 제2신호 S2로 분리된다. 그리고, 신호비교수단(19)로써 제1신호 S1과 제2신호 S2의 신호레벨차 Y가 연산된다. 그 신호레벨차 Y는, 도 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소정치 b 보다도 작기 때문에, 도 3에 나타낸 신호비교수단(19)의 플립플롭(50)에 작동신호는 보내지지 않고, 플립플롭(50)은, 도 6b에 나타내는 것 같이 OFF 상태 그대로 된다. 따라서, 경보는 발생하지 않는다.
상술과 같이, 이 정전인쇄장치에 의하면, 대전극이나 제전극 등의 전극(131)에 스파크가 발생한 것을 정확히 검출할 수 있고, 또한, 스파크 이외의 노이즈에 의한 오작동을 없애, 스파크의 발생만을 확실하고도 신속히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화재 등의 중대한 사고 방지에 공헌할 수 있다. 또, 스파크가 발생한 직후에 전원이 끊어지도록 구성해도 바람직하다. 또한, 전극(13)으로서는, 상술한 대전 유니트(8)의 대전극, 및, 제전 유니트(9)의 제전극 이외에도, 코로나표면처리용의 전극이더라도 좋다.
다음에,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원장치(7)은, 대전극의 오염, 스파크발생, 이상작동 등의 대전극(대전 유니트)에 관한 여러가지의 정보를 검출하는 대전정보검출수단(115)와, 제전극(제전 유니트)의 오염, 스파크발생, 이상작동 등의 대전극에 관한 여러가지 정보를 검출하는 제전정보검출수단(116)과, 대전·제전정보 검출수단(ll5, 116)으로써 검출한 데이타를 편집하는 데이타편집수단(117)과, 편집된 데이타를 제어수단(2)로 보내기 위한 통신수단(118)을 구비한다.
또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수단(2)는, 내부통신수단(119)와, 감시 데이타기억용의 메모리(125)와, 중앙처리장치(120)(CPU)과, 입력·표시수단(121)과, 외부통신수단(122)와, 관제지시 데이타전송수단(123)과, 관제·제어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억매체(124)(ROM)와, 프린터(126)을 구비한다.
제어수단(2)의 내부통신수단(119)는, 직렬통신용의 드라이버(127)과, 직렬통신용의 통신회로(128)과, 도면 밖의 전원장치(71)로부터 보내진 데이타를 편집하는 메모리(129)를 가진다. 또한, 입력·표시수단(121)은, 표시기(130)과, 키보드(131)과, 메모리(132)를 가진다. 외부통신수단(122)는, 외부통신용의 통신회로(133)과, 메모리(134)와, 모뎀(135)와, 프린터출력용의 병렬통신회로(136)을 구비한다. 관제지시 데이타전송수단(123)은, 관제표시수단(137)에 데이타를 보내기 위한 통신회로(138)과, 메모리(129)를 가진다. 관제표시수단(137)은, 정전인쇄장치(101)의 설치현장에서 그 장치(101)의 상태를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외부통신수단(122)의 모뎀(135)은 외부통신회선(139)에 접속된다. 여기서, 외부통신회선(139)으로서는, 예컨대 공중 전화회선을 들 수 있지만, 그것 이외의 회선을 사용하더라도 좋다. 또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감시수단(102)에 모뎀(140)을 접속하고, 그 모뎀(140)을 외부통신회선(139)에 접속한다. 결국, 모뎀(135, 140)과 외부통신회선(139)를 통해, 정전인쇄장치(101)과 외부감시수단(102)를 접속한다. 또, 외부통신회선(139)으로서는, 아나로그회선과 디지털회선의 어느 쪽을 사용하더라도 좋고, 디지털회선의 경우는 모뎀(135, 140) 대신에 디지털회선용의 접속장치를 사용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정전인쇄장치의 감시방법은, 정전인쇄장치(101)의 상태를 진단하기 위한 체크항목 데이타를, 그 정전인쇄장치(101)측으로 편집하고, 그 편집된 체크항목 데이타를 모뎀(135, 140)과 외부통신회선(139)를 통해 외부감시수단(102)에 전송하여, 그 외부감시수단(102)로써 체크항목 데이타를 기억·표시한다.
이것을 자세히 설명하면, 체크항목 데이타를, 정전인쇄장치(101)측에서 시계열(데이타검출시간이 빠른 순서)로 편집한다. 더욱 자세히는, 체크항목 데이타를, 정전인쇄장치(101)측으로 소정시간마다 편집한다. 그 소정시간으로서는, 예컨대 3-10분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 범위를 넘어도 좋다. 또한, 정전인쇄장치(101)에 이상이 발생했을 때에도 체크항목 데이타를 정전인쇄장치(101)측에서 편집한다.
구체적으로는, 미리 각전원장치 7a, 7b, 7c, 7d에 고유의 어드레스(번지)를 붙여 두고, 전원을 넣으면 리셋트상태가 된다. 그리고, 제어수단(2)는, 전원장치 7a로부터 전원장치 7d로 순차로 송신요구를 낸다. 즉, 그 송신요구의 신호에는, 상기 어드레스가 포함되어 있고, 그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전원장치(7)이 반응하여 제어수단(2)에 체크항목 데이타가 보내지고, 모든 전원장치 7a, 7b, 7c, 7d에 관한 데이타가, 제어수단(2)로써 편집·기억된다.
여기서, 체크항목 데이타란, 정전인쇄장치(101)의 상태를 진단하는 데 필요한 데이타를 말한다. 이것을 바꿔 말하면, 정전인쇄장치(101)에 고장이나 사고 등의 불편함이 생길 우려가 있는 부분을 사전에 알기 위한 데이타, 및, 정전인쇄장치(101)에 고장이나 사고 등 불편함이 생긴 경우에, 그 불편함의 발생원인과 수복방법을 진단하기위한 데이타의 양쪽을 포함하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체크항목 데이타는, 전원모듈 과열신호와, 제전극오염신호와, 제전극스파크발생신호와, 제전극인가전압저하·상승·이상신호와, 제전인터록정부신호와, 제전극소정전압공급정부신호와, 제전극일차전원입절신호와, 대전극스파크발생신호와, 대전인터록정부신호와, 대전극소정전압공급정부신호와, 대전극일차전원입절신호와, 대전극오염신호와, 대전전류신호와, 대전극인가전압신호와, 대전극인가전압설정치신호와, 통신에러신호, 로 구성된다. 또한, 그 체크항목 데이타는, 데이타검출시간을 포함한다.
전원모듈 과열신호는, 전원모듈의 온도가 어느 온도를 초과하여 고장이나 사고 등의 위험이 있는 것을 알리는 신호이다. 또, 제전극오염신호로서, 제전극오염에러신호와 제전극오염검지신호의 2종류가 있고, 그 중, 제전극오염검지신호는, 제전극의 오염이 어느 한도(미리 설정한 한도)를 초과한 것을 알리는 신호이고, 제전극오염에러신호는, 제전극의 오염이 더욱 진행하여 조급하게 제전극의 청소 또는 변환을 행할 필요가 있는 것을 알리는 신호이다. 또, 제전극스파크발생신호는, 제전극에 스파크가 발생한 것을 알리는 신호이고, 상기 스파크검출수단(15)로써 검출된다.
또한, 제전극인가전압저하·상승·이상신호는, 각각, 제전극의 인가전압이 정상적인 전압보다도 저하 또는 상승하여, 또는, 이상한 전압이 된 것을 알리는 신호이다. 제전인터록정부신호는, 제전극의 인터록이 정상으로 작동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알린다. 또한, 제전극소정전압 공급정부신호는, 고압발생회로의 직류전원으로부터 소정의 전압(예컨대 + 300 V)이 정상으로 보내지고 있는지 아닌지를 알린다. 또한, 제전극일차전원입절신호은, 제전극의 일차전원의 입절이 정상으로 행해지고 있는지 아닌지를 알린다.
대전극스파크 발생신호는, 대전극에 스파크가 발생한 것을 알리는 신호이고, 상기 스파크검출수단(15)로써 검출된다.
또한, 대전인터록 정부신호는, 대전극의 인터록이 정상으로 작동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알린다. 대전극소정전압 공급정부신호는, 고압발생회로의 직류전원으로부터 소정의 전압(예컨대 + 300 V)이 정상으로 보내지고 있는지 아닌지를 알린다. 대전극 일차전원 입절신호는, 대전극의 일차전원의 입절이 정상으로 행해지고 있는지 아닌지를 알린다.
또한, 대전극오염신호는, 대전극의 오염이 있는 한도(미리 설정한 한도)를 초과한 것을 알리고, 또한, 그 오염이 더욱 진행한 경우에 조급히 대전극의 청소 또는 변환을 행할 필요가 있는 것을 알리는 신호이다. 대전전류신호는, 대전전류치가 정상인지 아닌지를 알린다. 또한, 대전극인가전압신호는, 대전극의 인가전압이 정상인지 아닌지를 알린다. 또한, 대전극인가전압 설정치신호는, 대전극인가전압의 설정치가 정상인지 아닌지를 알린다. 또한, 통신에러신호는, 제어수단(2)와 전원장치(7…)과의 사이의 통신이 정상으로 행해지고 있는지 아닌지를 알린다.
또한, 체크항목 데이타로서, 정전인쇄장치(101)의 가동시간을 포함시킨다. 가동시간은, 구체적으로는, 연, 월, 일, 시, 분을 포함시킨 정전인쇄장치(101)의 시동시간과 정지시간의 데이타로서 편집한다. 또, 필요하면, 초 단위까지 편집해도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어수단(2)로써 편집·기억된 체크항목 데이타를, 모뎀(135, 140)과 외부통신회선(139)를 통해 외부감시수단(102)에 전송한다. 그 외부감시수단(102)는, 정전인쇄장치(101)을 제조한 업자의 사무실등에 설치된다. 그리고, 그 사무실내의 외부감시수단(102)로써 체크항목 데이타를 기억·표시한다. 이에 따라, 제조업자의 스태프가, 인쇄업자측에 설치된 정전인쇄장치(101)의 상태를 제조업자측의 사무실내에서 자세히 조사할 수 있다.
따라서, 인쇄업자의 스태프로써 복구가능한 경우는, 전화, 팩시밀리, 퍼스널 컴퓨터 통신등으로 그 복구방법을 인쇄업자측에 알린다. 또한, 제조업자의 스태프가 필요한 경우, 및, 부품의 변환이 필요한 경우는, 제조업자의 전문 스태프가 필요한 도구, 부품 등을 준비하여 인쇄업자측에 간다. 이에 따라, 정전인쇄장치(101)의 복구에 걸리는 시간을 종래에 비하여 현저히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제조업자의 전문 스태프가, 상기 체크항목 데이타를 진단하여 정전인쇄장치(101)에 불편함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고 판단한 경우는, 전화, 팩시밀리, 퍼스널 컴퓨터 통신 등으로 그 내용을 인쇄업자측에 알리면, 불편함의 발생을 사전에 막을 수 있다.
상술과 같이, 인쇄업자의 스태프와 외부의 제조업자의 전문 스태프와의 연휴에 의해, 정전인쇄장치(101)의 불편함의 방지와 복구를 행할 수 있어, 보전도(안전도)를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인쇄작업의 중지시간을 짧게 할 수 있어, 인쇄물의 납기를 종래 보다 한층더 엄격하게 지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정전인쇄장치는, 다음과 같은 현저히 큰 효과를 발휘한다.
스파크 이외의 노이즈에 의한 오작동을 없애, 전극(13)에서의 스파크의 발생만을 확실하고도 신속히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화재 등의 중대한 사고의 방지에 공헌할 수 있다. 또한, 오동작에 의한 인쇄장치의 낭비인 정지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스파크발생직후에 경보를 발할 수 있으므로, 신속한 대응이 가능해져, 안전성이 한층더 높아진다.
본 발명은 그 정신 및 필수의 특징사항으로부터 일탈하는 일없이 다른 방식으로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이고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Claims (2)

  1. 고전압이 인가되는 전극(13…)을 흐르는 전류의 직류성분의 엔벨럽를 검출하는 엔벨럽 검출수단(17)과, 해당 엔벨럽 검출수단(17)으로부터 출력할 수 있는 엔벨럽신호를 그대로의 위상의 제1신호 S1과 그 제1신호 S1보다도 위상이 늦은 제2신호 S2로 분리하여 출력하는 신호비교 준비수단(18)과, 그 신호비교 준비수단(18)으로부터 출력할 수 있는 상기 제1신호 S1과 제2신호 S2의 신호레벨차 Y를 연산함과 동시에, 그 신호레벨차 Y가 소정치 b 이상으로 된 상태가, 소정시간 T 이상 지속한 경우에, 스파크검출신호를 출력하는 신호비교수단(19)으로 이루어지는 스파크검출수단(15)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인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스파크검출수단(15)의 신호비교수단(19)로부터 출력할 수 있는 스파크검출신호를 받아 경보를 발하는 경보발생수단(22)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인쇄장치.
KR1019970048640A 1996-10-11 1997-09-25 정전인쇄장치 KR1002668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289275A JPH10114057A (ja) 1996-10-11 1996-10-11 静電印刷装置の監視方法
JP96-289275 1996-10-11
JP30129096A JP3194877B2 (ja) 1996-10-25 1996-10-25 静電印刷装置
JP96-301290 1996-10-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2400A true KR19980032400A (ko) 1998-07-25
KR100266870B1 KR100266870B1 (ko) 2000-09-15

Family

ID=26557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8640A KR100266870B1 (ko) 1996-10-11 1997-09-25 정전인쇄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0850760B1 (ko)
KR (1) KR100266870B1 (ko)
DE (1) DE69705922T2 (ko)
TW (1) TW351704B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43487A (en) * 1990-12-20 1993-09-07 Hurletron Incorporated Gravure press with crowbar circu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705922T2 (de) 2002-04-04
TW351704B (en) 1999-02-01
EP0850760A1 (en) 1998-07-01
KR100266870B1 (ko) 2000-09-15
DE69705922D1 (de) 2001-09-06
EP0850760B1 (en) 2001-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38314B2 (ja) 障害エラー検出機能付きバッテリ充電装置
RU2472266C2 (ru) Предохран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19980032400A (ko) 정전인쇄장치
KR100269581B1 (ko) 정전인쇄장치 및 그 감시방법
JPH0638360A (ja) コンデンサの劣化故障診断装置
EP0050953B1 (en) Flame detection circuit
KR101265267B1 (ko) 고압 전원장치
JP3194877B2 (ja) 静電印刷装置
JP3787443B2 (ja) 高圧電源装置
JPH06233445A (ja) 過電流防止回路
JPH1124371A (ja) 帯電器異常放電防止回路、高圧電源装置及び帯電器
JPH11237813A (ja) 画像形成装置
JPH0287970A (ja) 自励式スイッチィング電源における過電圧保護回路
JP2707614B2 (ja) 電源電圧検出装置
JPH10114057A (ja) 静電印刷装置の監視方法
KR20010061835A (ko) 스위칭 구동형 전원공급기의 이상동작 검출회로
JPS589525A (ja) 直流電源装置
JPS6310167A (ja) 電子写真記録装置
JPS6225801A (ja) 電気車走行制御装置用保護装置
JP3037171B2 (ja) 並列運転電源の異常検出方法および装置
JPH1065931A (ja) Crtディスプレイ装置の保護回路
JP2001092314A (ja) 画像形成装置
KR960003008B1 (ko) 이전압 인가시 경보 및 마이콤 전원차단 회로
JPH0734622B2 (ja) インバータの接地保護装置
JPH1090324A (ja) 絶縁監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3

Year of fee payment: 1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