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0326A - 자동차용 안전벨트 당김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안전벨트 당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0326A
KR19980030326A KR1019960049707A KR19960049707A KR19980030326A KR 19980030326 A KR19980030326 A KR 19980030326A KR 1019960049707 A KR1019960049707 A KR 1019960049707A KR 19960049707 A KR19960049707 A KR 19960049707A KR 19980030326 A KR19980030326 A KR 199800303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belt
anchor
rotating motor
high anchor
rot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97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03486B1 (ko
Inventor
심종근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10199600497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3486B1/ko
Publication of KR199800303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03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34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34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0Anchoring devices adjustable in position, e.g. in h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0Anchoring devices adjustable in position, e.g. in height
    • B60R2022/207Horizontally or transversally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0Anchoring devices adjustable in position, e.g. in height
    • B60R2022/208Anchoring devices adjustable in position, e.g. in height by automatic or remote control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에서 사용되는 안전벨트의 당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안전벨트를 손쉽게 당길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차체필러(1)의 소정위치에 앵커축(2)을 매개로하여 하이앵커(3)의 한쪽 선단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이 하이앵커(2)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된 연결부재(4)가 결합되어 있는 한편, 상기 앵커축(3)의 후면에 베벨기어(5)를 매개로하여 안전벨트 경고스위치(10)의 전기적 신호에 따라 작동되는 회동용 모우터(6)가 연결설치되어 있고, 이 회동용 모우터(6)와 병렬연결된 길이조절용 모우터(7)에 의해 회전되는 피니언(8)이 상기 연결부재(4)의 내부면에 형성된 랙 어셈블리(9)와 치차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안전벨트가 체결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하이앵커가 앵커축을 매개로하여 회동됨과 동시에 길이가 신장되어 사용자가 손쉽게 체결할 수 있는 위치에 머물러 있게 되고, 안전벨트가 체결된 상태에서는 전기적 신호에 의해 하이앵커가 원상복귀되면서 길이가 줄어들어 탑승자를 보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안전벨트 당김 장치(An apparatus for pulling a seat belt in a car)
본 발명은 자동차의 안전벨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착용하기 용이하도록 된 자동차용 안전벨트 당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시트에는 차량의 충돌 또는 급제동할 때의 돌발상황을 대비하여 운전자나 뒷좌석에 앉아 있는 탑승자를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한 안전벨트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자동차에서 사용되는 안전벨트는 차체와 시트에 연결되는 지점의 갯수에 따라 시트의 양쪽에 고정되어 허리만 붙잡아 지지하는 2점지지식과, 차량이 한쪽 측벽과 시트의 한쪽 모서리에 고정된 벨트의 중간부분을 시트의 다른쪽 모서리에 고정 결합시켜 지지하도록 된 3점지지식 등이 있는 바, 통상 안전 및 착용의 편의상 3점지지식의 안전벨트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한편, 상기한 종래의 3점식 안전벨트는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벨트 웨빙(webbing, 51)의 한쪽 끝이 차체에 내장된 리트렉터(retractor, 52)에 연결되어 있고, 다른쪽 끝은 하이앵커(high anchor, 53)를 통해 외부로 연장되어 로우앵커(low anchor, 54)에 의해 시트(55)의 한쪽 측면에 고정되어 있으며, 안전벨트(51)의 중간에는 텅 플레이트(tongue plate,56)가 끼워져 있는 한편, 이 텅 플레이트(56)가 시트(55)의 다른쪽 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버클(buckle, 57))에 끼워져 체결되도록 한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3점식 안전벨트는, 통상적으로 안전벨트 웨빙(51)의 중간에 끼워져 있는 텅 플레이트(56)를 잡아 당겨 버클(57)에 끼우게 되면, 그 상단이 하이앵커(53)에 의해 지지되고 하단은 상기 로우앵커(54)와 버클(57)에 의해 고정되므로, 상기 안전벨트 웨빙(51)이 인체의 어깨부위에서 허리쪽으로 경사지게 지지해 줌과 더불어 허리부분을 가로질러 지지해 주도록 되어 탑승자를 보호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종래의 안전벨트는 한쪽 끝이 하이앵커(53)를 통해 외부로 연장되어 있고, 안전벨트를 체결하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손을 들어올려 안전벨트(51)의 중간에 끼워진 텅플레이트(56)를 잡아 당기게 되므로, 이때 상기 안전벨트를 상부에서 지지하는 하이앵커(53)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손쉽게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안전벨트의 하이앵커가 가변식으로 되어 길이를 신장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트쪽으로 회동시킬 수 있도록 된 자동차용 안전벨트 당김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체필러의 소정위치에 하이앵커의 한쪽 선단이 앵커축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하이앵커의 외주면을 따라 길이가 가변되는 연결부재가 결합되어 있는 한편, 상기 앵커축의 후면이 베벨기어에 연결됨과 동시에 이 베벨기어를 구동시켜주는 회동용 모우터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하이앵커의 내주면에 설치된 길이조절용 모우터의 구동력으로 회전되는 피니언이 상기 연결부재의 내주면에 형성된 랙 어셈블리와 치차결합된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안전벨트가 체결되지 않게 되면 하이앵커가 앵커축을 매개로하여 회동됨과 동시에 길이가 신장되어 사용자가 손쉽게 텅 플레이트를 잡아 당겨 버클에 체결할 수 있게 되고, 상기 안전벨트의 체결이 완료되게 되면 전기적 신호에 의해 하이앵커가 원상복귀되면서 길이가 줄어들어 사용자를 보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안전벨트의 하이앵커가 회동되기 전후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a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안전벨트가 작동되기 이전의 상태를 도시한 내부구조도,
도 2b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안전벨트의 작동된 이후의 상태의 도시한 내부구조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안전벨트의 하이앵커와 연결부재의 작동회로도,
도 4 는 종래 기술에 따른 안전벨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 차체필러 2 : 앵커축
3 : 하이앵커 4 : 연결부재
5 : 베밸기어 6 : 회동용 모우터
7 : 길이조절용 모우터 8 : 피니언
9 : 랙 어셈블리 10 : 안전벨트 경고스위치
11 : 릴레이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안전벨트의 하이앵커가 회동되기 전후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a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안전벨트가 작동되기 이전의 상태를 도시한 내부구조도로서,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필러(1)의 소정위치에 하이앵커(2)의 한쪽 선단이 앵커축(3)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하이앵커(2)의 외주면을 따라 길이가 가변되는 연결부재(4)가 결합되어 있는 한편, 상기 앵커축(3)의 후면에 연결된 베벨기어(5)를 구동시켜주는 회동용 모우터(6)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하이앵커(2)의 내주면에 설치된 길이조절용 모우터(7)의 구동력으로 회전되는 피니언(8)이 상기 연결부재(4)의 내주면에 형성된 랙 어셈블리(9)와 치차결합된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안전벨트의 착용이 완료되면 도 3 에 도시된 회로도에서와 같이, 안전벨트 경고스위치(10)가 오프되어 게이트에서 신호가 발생되지 않게 되고, 이때 릴레이(10)가 리턴되면서 회동용 모우터(6)가 회전되어 하이앵커(3)가 원상태로 복귀되어 진다.
한편, 상기 회동용 모우터(6)의 회전력은 상기 베벨기어(5)에 의해 직각으로 앵커축(2)에 전달되며, 상기 안전벨트 경고스위치(10)의 신호에 따라 정 역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안전벨트 경고스위치(10)가 온되어 있는 경우 도 2b에 도시된 하이앵커와 연결부재의 내부구조도에서와 같이, 상기 회동용 모우터(6)가 회전되면서 베벨기어(5)를 작동시키게 되며, 이때 앵커축(2)을 매개로하여 하이앵커(3)가 회동됨과 동시에 길이조절용 모우터(7)의 구동에 의해 피니언(8)이 회전하게 되면서, 이 피니언(8)에 치차결합된 랙 어셈블리(9)가 작동되어져 연결부재(4)의 길이가 신장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안전벨트 경고스위치(10)가 온되어 있을 때 즉 안전벨트가 체결되어 있지 않게 되면 상기 앵커축(2)이 회전됨과 동시에 피니언(8)과 랙 어셈블리(9)의 작동에 의해 하이앵커(3)의 외주면에 덮혀씌워진 연결부재(4)의 길이가 신장되게 되고, 이때 상기 하이앵커(3)는 탑승자가 착용하기 좋은 위치에 머물러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안전벨트의 체결이 완료되게 되면 상기 안전벨트 경고스위치(10)가 오프되고, 이때 게이트에서 신호가 발생되지 않게 되므로 릴레이(11)가 리턴되어 회동용 모우터(6)가 역회전하면서 원상태로 복귀되어지짐과 동시에 길이조절용 모우터(7)의 구동에 의해 피니언(8)이 역회전하게 되고, 이 역회전된 피니언(8)에 치차결합된 랙 어셈블리(9)가 작동되어져 하이앵커(3)의 길이가 줄어들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안전벨트 경고스위치(10)가 온되어 있는 경우 하이앵커(3)가 회동하면서 동시에 길이가 신장되어 사용자가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위치에 머물게 되고, 안전벨트의 착용이 완료되어 안전벨트 경고스위치(10)가 오프되어 있는 경우 하이앵커(3)가 앵커축(2)을 매개로 회동하면서 길이가 줄어들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안전벨트의 당김장치에 따르면, 상기 안전벨트가 체결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하이앵커가 앵커축을 매개로하여 회동됨과 동시에 길이가 신장되어 사용자가 손쉽게 체결할 수 있는 위치에 머물러 있게 되고, 안전벨트가 체결된 상태에서는 전기적 신호에 의해 하이앵커가 원상복귀되면서 길이가 줄어들어 탑승자를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차체필러(1)의 소정위치에 앵커축(2)을 매개로하여 하이앵커(3)의 한쪽 선단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이 하이앵커(2)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된 연결부재(4)가 결합되어 있는 한편, 상기 앵커축(3)의 후면에 베벨기어(5)를 매개로하여 안전벨트 경고스위치(10)의 전기적 신호에 따라 작동되는 회동용 모우터(6)가 연결설치되어 있고, 이 회동용 모우터(6)와 병렬연결된 길이조절용 모우터(7)에 의해 회전되는 피니언(8)이 상기 연결부재(4)의 내부면에 형성된 랙 어셈블리(9)와 치차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진 자동차용 안전벨트 당김장치.
KR1019960049707A 1996-10-29 1996-10-29 자동차용 안전벨트 당김 장치 KR1002034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9707A KR100203486B1 (ko) 1996-10-29 1996-10-29 자동차용 안전벨트 당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9707A KR100203486B1 (ko) 1996-10-29 1996-10-29 자동차용 안전벨트 당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0326A true KR19980030326A (ko) 1998-07-25
KR100203486B1 KR100203486B1 (ko) 1999-06-15

Family

ID=19479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9707A KR100203486B1 (ko) 1996-10-29 1996-10-29 자동차용 안전벨트 당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34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71331A (zh) * 2019-05-17 2019-08-27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儿童安全座椅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71331A (zh) * 2019-05-17 2019-08-27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儿童安全座椅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03486B1 (ko) 1999-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61365A (en) Safety system for protection of automotive seat occupant
AU596962B2 (en) Automatic seat belt adjusting system
JP2006526536A (ja) 車両座席用のベルトロック装置
JP2006526536A5 (ko)
JPH04303034A (ja) シート装置
US6193275B1 (en) Occupant belt presenter
JP5567391B2 (ja) 可動バックル装置及びシートベルト装置
KR100305928B1 (ko) 자동차의 시트벨트 버클위치 조정장치 및 방법
KR19980030326A (ko) 자동차용 안전벨트 당김장치
KR200152756Y1 (ko) 자동차의 시트벨트 어퍼 앵커 이동장치
KR100590956B1 (ko) 자동차의 시트벨트착용 보조장치
US4185855A (en) Passive seat belt system
KR100435371B1 (ko) 자동차용 시트벨트 버클의 길이조절 장치
KR20020055976A (ko) 자동차용 시트백 자동 조절 장치
KR0141621B1 (ko) 시트벨트의 버클 제어장치
KR0142252B1 (ko) 리어시트 벨트 체결 보조 장치
KR0157839B1 (ko) 자동차용 시트벨트 텐션 조절장치
KR200180951Y1 (ko) 자동차용 패시브 시트 벨트
KR100310013B1 (ko) 자동차의 시트벨트 리트렉터 설치구조
KR200162236Y1 (ko) 자동차용 안전벨트 풀림 장치
KR0158362B1 (ko) 시트백 지지겸용 안전벨트
JPH0510127U (ja) シートベルト装置
KR20230043486A (ko) 시트 벨트용 프리 텐셔너
JP2504021Y2 (ja) シ―トベルト装置
KR970026559A (ko) 자동차의 시트벨트 당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223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