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9957A - 무선 헤드폰을 이용한 모니터 제어 회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헤드폰을 이용한 모니터 제어 회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9957A
KR19980029957A KR1019960049290A KR19960049290A KR19980029957A KR 19980029957 A KR19980029957 A KR 19980029957A KR 1019960049290 A KR1019960049290 A KR 1019960049290A KR 19960049290 A KR19960049290 A KR 19960049290A KR 19980029957 A KR19980029957 A KR 199800299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signal
signal
output
sound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9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29510B1 (ko
Inventor
정성곤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600492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9510B1/ko
Priority to US08/959,067 priority patent/US6041225A/en
Publication of KR199800299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99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95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95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4Circuit arrangements, e.g. for selective connection of amplifier inputs/outputs to loudspeakers, for loudspeaker detection, or for adaptation of settings to personal preferences or hearing impair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41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30/00Signal processing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30/01Aspects of volume control, not necessarily automatic, in sound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33Headphones for stereophonic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헤드폰을 이용한 모니터 제어 회로 및 방법으로,모니터 전원과 무선 헤드폰과 스피커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무선 헤드폰부와, 상기 무선 헤드폰부(20)로부터 출력되는 모니터 전원과 무선 헤드폰과 스피커 제어 신호를 인가 받고 인가된 모니터 전원과 무선 헤드폰과 스피커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무선 송수신부와, 상기 무선 송수신부로부터 출력되는 모니터 전원과 무선 헤드폰과 스피커 제어 신호를 인가 받고 모니터 전원과 무선 헤드폰과 스피커 제어 데이터에 따른 OSD 이득 신호와 모니터 전원과 무선 헤드폰과 스피커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콤과, 사운드 프리 앰프로부터 출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인가 받고 마이콤으로부터 인가되는 무선 헤드폰과 스피커 제어 신호를 인가 받아 스위칭 동작을 하는 스위치부를 구비하여, 무선 헤드폰을 이용하여 모니터의 전원 제어 및 사운드를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무선 헤드폰을 이용한 모니터 제어 회로 및 방법
본 발명은 무선 헤드폰을 이용한 모니터 제어 회로 및 방법으로, 특히 무선 헤드폰에 장착된 키조작부를 이용하여 모니터의 온/오프 및 사운드를 제어하기 위한 무선 헤드폰을 이용한 모니터 제어 회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컴퓨터는 단순한 기능에서 오디오, 비디오, TV, 게임기, 통신 기기 등의 기술이 컴퓨터로 통합되는 경향이 있다. 이와 같이 오디오, 비디오, TV, 게임기, 통신 기기 등의 다양한 기능을 구비하고 구비된 기능을 무리 없이 수행할 수 있도록 하드웨어를 구비한 컴퓨터를 멀티미디어 컴퓨터라 한다. 이러한 멀티미디어 컴퓨터가 최근 보급이 확대되면서 컴퓨터가 가전제품을 대체하고 있다. 이로 인해 멀티 미디어 컴퓨터에 장착된 CD ROM(Compact Disk ROM)이 기존의 VTR을 대체하고 있다. 또한, 디지털 위성 방송이 광범위하게 보급되면 컴퓨터가 기존의 라디오와 위성 TV 기능을 수행하게 될 것이다.
이와 같이 다기능화 되어 가고 있는 멀티 미디어 컴퓨터에서는 기존의 영상 신호뿐만 아니라 사운드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사운드 카드가 장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사운드 카드가 내장된 멀티 미디어 컴퓨터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를 표시하는 모니터는 멀티미디어 기능에 좀더 부합되도록 많은 기능을 내장하게 된다. 일 예로, 최근에 많이 보급되고 있는 모니터에는 스피커가 내장된 모니터가 많이 보급되고 있다. 이와 같이 스피커가 내장된 모니터를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일반적으로 스피커를 내장한 모니터의 내부 회로를 도시한 블럭도로, 영상 및 사운드 데이터를 갖는 프로그램을 처리하여 비디오 제어 신호 신호와 사운드 제어 신호 신호를 출력하는 중앙 연산 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이하 CUP라 칭함)(110)와, 상기 CUP(110)에서 출력되는 제어 신호를 인가 받아 영상 신호(R,G,B)를 출력하는 비디오 카드(120)와, 상기 CPU(110)로부터 출력되는 사운드 제어 신호를 인가 받아 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가진 프로그램의 사운드 데이터를 처리하여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는 사운드 카드(130)와, 상기 비디오 카드(120)로부터 출력되는 수평 동기 신호(H-SYNC) 및 수직 동기 신호(V-SYNC)를 인가 받고 인가된 수평 동기 신호(H-SYNC) 및 수직 동기 신호(V-SYNC)에 따른 모니터 화면 제어 신호 및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On Screen Display; 이하 OSD라 칭함) 데이터에 따른 OSD 이득 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콤(210)과, 상기 마이콤(210)으로부터 출력되는 OSD 이득 신호를 인가 받아 OSD 처리하는 OSD부(220)와, 상기 OSD부(220)로부터 출력되는 OSD 신호 및 상기 비디오 카드(12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R,G,B)를 인가 받아 일정 레벨로 증폭하는 비디오 프리 앰프(230)와, 상기 비디오 프리 앰프(230)로부터 선택적으로 출력되는 영상 신호(R,G,B) 및 OSD 신호를 최종 증폭하는 비디오 출력 앰프(240)와, 상기 비디오 출력 앰프(24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R,G,B) 및 OSD 신호를 표시하는 음극선관(Cathode Ray Tube; 이하 CRT라 칭함)(250)과, 상기 사운드 카드(130)로부터 출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인가 받아 일정 레벨로 증폭하는 사운드 프리 앰프(260)와, 상기 사운드 프리 앰프(260)로부터 출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인가 받아 최종 증폭하는 사운드 출력 앰프(27)와, 상기 사운드 출력 앰프(270)로부터 출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인가 받아 출력하는 스피커(280)로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최근에는 컴퓨터를 이용하여 게임 또는 동화상 프로그램과 같이 영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를 가진 프로그램이 많이 제작되고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을 실행하게 되면 컴퓨터 본체(100) 내에 있는 CPU(110)에서는 실행 명령을 입력받아 입력된 실행 명령에 의해 비디오 카드(120) 및 사운드 카드(130)를 통해서 영상 신호(R,G,B) 및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이중에서 CPU(11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를 입력받은 비디오 카드(120)는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여 영상 신호(R,G,B)를 출력하게 된다. 비디오 카드(12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R,G,B)를 인가 받은 모니터(200) 내에 있는 비디오 프리 앰프(210)는 영상 신호(R,G,B)를 일정 레벨까지 증폭하여 출력한다. 이때 비디오 카드(120)는 영상 신호(R,G,B)를 동기화 시키기 위한 수평 동기 신호(H-SYNC) 및 수직 동기 신호(V-SYNC)를 출력하게 된다. 출력되는 수평 동기 신호(H-SYNC) 및 수직 동기 신호(V-SYNC)는 모니터(200) 내에 있는 마이콤((210)에서 인가 받는다.
수평 동기 신호(H-SYNC) 및 수직 동기 신호(V-SYNC)를 인가 받은 마이콤(210)은 미리 저장된 데이터에 따라 모니터 화면의 제어 신호를 발생하여 출력하게 된다. 이때, 제어 신호에 따른 OSD 데이터를 발생하고 이에 따른 OSD 이득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이러한 마이콤(210)에서 출력되는 OSD 이득 신호를 비디오 프리 앰프(230)로 인가하게 된다. OSD 이득 신호를 인가 받은 비디오 프리 앰프(230)는 비디오 카드(130)로부터 인가되는 영상 신호(R,G,B)를 입력받는다.
OSD 이득 신호 및 영상 신호(R,G,B) 신호를 입력받는 비디오 프리 앰프(230)는 영상 신호(R,G,B)를 일정 레벨로 증폭하여 출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비디오 프리 앰프(230)에서 출력되는 OSD 이득 신호 및 영상 신호(R,G,B)는 비디오 출력 앰프(240)를 통해서 최종 증폭하여 출력하게 된다. 이때, 비디오 프리 앰프(23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R,G,B) 및 OSD 신호는 OSD 선택 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출력된다.
가령 예를 들어, OSD 선택 신호가 비디오 프리 앰프(230)로 인가되면 비디오 프리 앰프(230)에서는 OSD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비디오 프리 앰프(230)로부터 출력되는 OSD 신호는 비디오 출력 앰프(240)를 통해서 최종 증폭되어 CRT(250)에 표시된다. OSD 신호가 CRT(250)에 표시됨으로 해서 사용자는 OSD 화면을 보고 모니터의 화면 상태를 제어하게 된다. 반대로, OSD 선택 신호가 인가되지 않으면, 비디오 프리 앰프(230)에서는 영상 신호(R,G,B)를 출력하게 된다. 비디오 프리 앰프(23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R,G,B)를 인가 받은 비디오 출력 앰프(240)는 최종 증폭하여 CRT(250)에 표시하게 된다.
한편, CPU(110)로부터 출력되는 사운드 데이터를 인가 받은 사운드 카드(130)는 사운드 데이터를 사운드 신호로 처리하여 출력하게 된다. 이러한 사운드 카드(130)로부터 출력되는 사운드 신호는 사운드 프리 앰프(260)를 통해서 일정 레벨로 증폭하게 된다. 사운드 프리 앰프(260)를 통해서 일정 레벨로 증폭되어 출력되는 사운드 신호는 사운드 출력 앰프(270)를 통해서 최종 증폭하여 출력하게 된다. 사운드 출력 앰프(270)를 통해서 출력되는 사운드 신호는 스피커(280)를 통해서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모니터에 내장된 스피커(280)를 통해서 출력되는 사운드 신호의 볼륨을 조절하는 조절 버튼의 장착 구조를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 는 일반적인 스피커를 내장한 모니터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으로, 도면 A는 상기 모니터의 정면도로, 도면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피커를 내장한 모니터의 전면부에는, 스피커(1-1, 1-2)와, 전원 버튼(2)과, 모니터의 각종 기능들을 제어하기 위한 버튼들(Buttons)을 제공하고 있다.
가령 예를들면, 콘트라스트(Contrast), 밝기(Brightness), 모니터 화면 사이즈 제어 기능의 수평/수직 크기, 수평/수직 위치 등의 제어를 위한 전면 제어 패널(Front Control Pannel)(3) 및 다수 개의 사운드 제어 버튼들(Sound Control Buttons)(4)이 있다. 이와 같은 일반적인 스피커 내장형 모니터에서는, 사운드 제어를 위해 사운드 소거 버튼(Sound Mute Button)(5)과, 마이크로폰(4)을 온/오프하기 위한 마이크 제어 스위치(Mike Control Switch)(6)와, 사운드 볼륨(Sound Volume)을 높이거나 낮추기 위한 볼륨 제어 버튼들(Volume Control Buttons)(7)이 제공되어 있다.
또한, 스피커를 내장한 모니터의 일 측면에는 대개 도면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폰 잭(Headphone Jack)(8)과 사운드 신호 입력 잭(Jack)(8)외부 마이크 입력 잭(External Mike Input Jack)(9) 등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도면 C는 상기 모니터의 배면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전원 입력 포트(10)와, 외부 오디오 신호를 받아들이기 위한 사운드 입력 포트(Sound Input Port)(12), 마이크로폰으로부터의 오디오 신호를 모니터의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마이크 출력 포트(13) 및 영상 신호(R,G,B) 및 수평 동기 신호(H-SYNC) 및 수직 동기 신호(V-SYNC)들의 입력을 위한 신호 입력 포트(Signal Input Port)(14) 등이 제공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일반적으로 스피커가 내장된 모니터에서는 스피커 및 유선 헤드폰을 이용하여 출력되는 음악 등의 사운드 신호를 출력 받아 사용하지만, 음량 조절 등의 제어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다시 모니터에 부착되어 있는 버튼(Button)을 이용해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모니터에 출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모니터의 버튼을 이용하지 않고 원거리에서 자유롭게 조절하기 위해 무선 헤드폰을 이용하여, 모니터의 전원 및 사운드를 제어하기 위한 회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 은 일반적인 스피커를 내장한 모니터의 내부 회로를 도시한 블럭도,
도 2 는 일반적인 스피커를 내장한 모니터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으로,
도면 A는 상기 모니터의 정면도,
도면 B는 상기 모니터의 측면도,
도면 C는 모니터의 배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헤드폰을 이용한 모니터 제어 회로를 나타낸 블럭도,
도 4 는 도 3의 스위치부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면 A는 스위치부의 블럭도이고,
도면 B는 스위치부의 상세 회로도,
도 5 는 도 3의 무선 헤드폰부의 상세 회로도,
도 6 은 도 5의 무선 헤드폰부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도 3의 무선 송수신부의 상세 회로도,
도 8은 도 7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낸 상세 회로도로,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의 외관 및 OSD 화면을 보여주는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헤드폰을 이용한 모니터 제어 방법 중 온 상태를
나타낸 흐름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헤드폰을 이용한 모니터 제어 방법 중 오프 상태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헤드폰을 이용한 모니터 제어 회로를 나타낸 블럭도로, 영상 및 사운드 데이터를 갖는 프로그램을 처리하여 비디오 제어 신호 신호와 사운드 제어 신호 신호를 출력하는 CUP(11)와, 상기 CUP(11)에서 출력되는 제어 신호를 인가 받아 영상 신호(R,G,B)를 출력하는 비디오 카드(12)와, 상기 CPU(11)로부터 출력되는 사운드 제어 신호를 인가 받아 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가진 프로그램의 사운드 데이터를 처리하여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는 사운드 카드(13)와, 모니터 전원과 무선 헤드폰과 스피커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무선 헤드폰부(20)와, 상기 무선 헤드폰부(20)로부터 출력되는 모니터 전원과 무선 헤드폰과 스피커 제어 신호를 인가 받고 인가된 모니터 전원과 무선 헤드폰과 스피커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무선 송수신부(31)와, 상기 무선 송수신부(31)로부터 출력되는 모니터 전원과 무선 헤드폰과 스피커 제어 신호를 인가 받고 상기 비디오 카드(12)로부터 출력되는 수평 동기 신호(H-SYNC) 및 수직 동기 신호(V-SYNC)를 인가 받고 인가된 수평 동기 신호(H-SYNC) 및 수직 동기 신호(V-SYNC)에 따른 모니터 화면 제어 신호와 모니터 전원과 무선 헤드폰과 스피커 제어 데이터에 따른 OSD 이득 신호와 모니터 전원과 무선 헤드폰과 스피커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콤(32)과, 상기 마이콤(32)으로부터 출력되는 OSD 이득 신호를 인가 받아 OSD 처리하는 OSD부(33)와, 상기 OSD부(33)로부터 출력되는 OSD 신호 및 상기 비디오 카드(12)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R,G,B)를 인가 받아 일정 레벨로 증폭하는 비디오 프리 앰프(34-1)와, 상기 비디오 프리 앰프(34-1)로부터 선택적으로 출력되는 영상 신호(R,G,B) 및 OSD 신호를 최종 증폭하는 비디오 출력 앰프(34-2)와, 상기 비디오 출력 앰프(34-2)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R,G,B) 및 OSD 신호를 표시하는 CRT(35)와, 상기 사운드 카드(13)로부터 출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인가 받아 일정 레벨로 증폭하는 사운드 프리 앰프(36)와, 상기 사운드 프리 앰프(36)로부터 출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인가 받고 마이콤(32)으로부터 인가되는 무선 헤드폰과 스피커 제어 신호를 인가 받아 스위칭 동작을 하는 스위치부(37)와, 상기 스위치부(37)에서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인가되는 사운드 신호를 인가 받아 최종 증폭하는 사운드 메인 앰프(38)와, 상기 사운드 메인 앰프(38)로부터 출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인가 받아 사운드를 출력하는 스피커(39)로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컴퓨터를 이용하여 게임 또는 동화상 프로그램과 같이 영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를 가진 프로그램이 많이 제작되고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을 실행하게 되면 컴퓨터 본체(10) 내에 있는 CPU(11)에서는 실행 명령을 입력받아 입력된 실행 명령에 의해 비디오 카드(120) 및 사운드 카드(130)를 통해서 영상 신호(R,G,B) 및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이 중에서 먼저, CPU(11)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를 입력받은 비디오 카드(12)는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여 영상 신호(R,G,B)를 출력하게 된다. 비디오 카드(12)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R,G,B)를 인가 받은 모니터(30) 내에 있는 비디오 프리 앰프(34-1)는 영상 신호(R,G,B)를 일정 레벨까지 증폭하여 출력한다. 이때 비디오 카드(12)는 영상 신호(R,G,B)를 동기화 시키기 위한 수평 동기 신호(H-SYNC) 및 수직 동기 신호(V-SYNC)를 출력하게 된다. 출력되는 수평 동기 신호(H-SYNC) 및 수직 동기 신호(V-SYNC)는 모니터(30) 내에 있는 마이콤((32)에서 인가 받는다.
수평 동기 신호(H-SYNC) 및 수직 동기 신호(V-SYNC)를 인가 받은 마이콤(32)은 미리 저장된 데이터에 따라 모니터 화면의 제어 신호를 발생하여 출력하게 된다. 또한, 모니터 전원과 스피커 및 무선 헤드폰 제어 신호에 따른 OSD 데이터를 발생하고 이에 따른 OSD 이득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무선 헤드폰부(20)를 이용하여 모니터 전원과 무선 헤드폰 및 스피커 제어 신호를 선택하게 되면 선택된 제어 신호가 출력된다. 이와 같이 무선 헤드폰부(20)로부터 출력되는 선택 신호를 무선 송수신부(31)에서 인가 받는다. 모니터 전원과 스피커 및 무선 헤드폰 제어 신호를 인가 받은 무선 송수신부(31)는 인가된 모니터 전원과 스피커 및 무선 헤드폰 제어 신호를 마이콤(32)으로 인가하게 된다.
모니터 전원과 스피커 및 무선 헤드폰 제어 신호를 인가 받은 마이콤(32)은 미리 저장된 모니터 전원과 스피커 및 무선 헤드폰 제어 신호에 따른 OSD 데이터를 저장하게 된다. 모니터 전원과 스피커 및 무선 헤드폰 제어 신호에 따른 OSD 데이터를 저장한 마이콤(32)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OSD 화면에 표시하기 위해 모니터 전원과 스피커 및 무선 헤드폰 제어 신호에 따른 OSD 이득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출력된 OSD 이득 신호는 비디오 프리 앰프(34-1)로 인가하게 된다. 마이콤(32)으로부터 출력되는 모니터 전원과 스피커 및 무선 헤드폰 제어 신호에 따른 OSD 이득 신호를 입력받은 비디오 프리 앰프(34-1)는 비디오 카드(12)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R,G,B)를 인가 받게 된다. 모니터 전원과 스피커 및 무선 헤드폰 제어 신호에 따른 OSD 이득 신호 및 영상 신호(R,G,B)를 입력받는 비디오 프리 앰프(34-1)는 OSD 이득 신호 및 영상 신호(R,G,B)를 일정 레벨로 증폭하여 출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비디오 프리 앰프(34-1)에서 출력되는 OSD 이득 신호 및 영상 신호(R,G,B)는 비디오 출력 앰프(43-2)를 통해서 최종 증폭하여 출력하게 된다. 이때, 비디오 프리 앰프(34-1)로부터 출력되는 OSD 신호 및 영상 신호(R,G,B)는 OSD 선택 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출력된다. 예를 들어, OSD 선택 신호가 비디오 프리 앰프(34-1)로 인가되면 비디오 프리 앰프(34-1)에서는 OSD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비디오 프리 앰프(34-1)로부터 출력되는 OSD 신호는 비디오 출력 앰프(34-2)를 통해서 최종 증폭되어 CRT(35)에 인가하여 모니터 화면에 표시된다.
OSD 신호가 CRT(35)에 표시됨으로 해서 사용자는 모니터 전원과 스피커 및 무선 헤드폰 제어 신호에 따른 OSD 화면을 보고 모니터 전원과 스피커(39) 및 무선 헤드폰부(20) 내에 있는 무선 헤드폰(도시 않음)을 제어하게 된다. 반대로, OSD 선택 신호가 인가되지 않으면, 비디오 프리 앰프(34-1)에서는 영상 신호(R,G,B)를 출력하게 된다. 비디오 프리 앰프(34-1)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R,G,B)를 인가 받은 비디오 출력 앰프(34-2)는 최종 증폭하여 CRT(35)에 인가하여 모니터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
이와 같이 CRT(35)를 통해 표시되는 OSD 화면을 보고 사용자는 모니터 전원과 스피커(39) 또는 무선 헤드폰을 제어하기 위해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모니터 화면에 표시되는 OSD 화면을 보고 무선 헤드폰부(20)를 통해서 무선 헤드폰을 온하게 되면 무선 헤드폰부(20)에서는 무선 헤드폰 온 제어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무선 헤드폰부(20)에서 출력되는 무선 헤드폰 온 제어 신호는 무선 송수신부(31)를 통해서 마이콤(32)으로 인가하게 된다. 무선 헤드폰 온 제어 신호를 인가 받은 마이콤(32)은 인가된 무선 헤드폰 제어 신호를 스위치부(37)로 인가하게 된다.
이때, CPU(11)로부터 출력되는 사운드 데이터를 인가 받은 사운드 카드(13)는 사운드 데이터를 사운드 신호로 처리하여 출력하게 된다. 이러한 사운드 카드(13)로부터 출력되는 사운드 신호는 사운드 프리 앰프(36)를 통해서 일정 레벨로 증폭하게 된다. 사운드 프리 앰프(36)를 통해서 일정 레벨로 증폭되어 출력되는 사운드 신호는 스위치부(37)로 인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스위치부(37)는 마이콤(32)으로부터 인가되는 무선 헤드폰 온 제어 신호와 사운드 프리 앰프(36)로부터 인가되는 사운드 신호를 인가 받게 된다.
무선 헤드폰 온 제어 신호를 인가 받은 스위치부(37)는 스위칭을 통해 사운드 신호를 무선 송수신부(31)로 출력하게 된다. 스위치부(37)로부터 출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인가 받은 무선 송수신부(31)는 사운드 신호를 변조하여 무선 헤드폰부(20)로 인가하게 된다. 사운드 신호를 인가 받은 무선 헤드폰부(20)는 인가된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여 사용자가 사운드를 들을 수 있게 한다. 또한, 무선 헤드폰부(20)로부터 출력되는 무선 헤드폰 음량 조절 제어 신호도 무선 송수신부(20)를 통해 마이콤(32)에서 인가 받아 다시 무선 송수신부(20)를 통해 사운드 신호의 음량을 조절하고 조절된 사운드 신호를 무선 송수신부(20)에서 변조하여 출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출력된 사운드 조절 신호는 무선 헤드폰부(20) 내에 있는 무선 헤드폰으로 인가되어 음량 조절된 사운드가 출력되게 된다.
한편, 만일 사용자가 OSD 화면을 보고 무선 헤드폰부(20)에서 스피커(39)를 온 하게 되면 무선 헤드폰부(20)에서는 스피커 온 제어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무선 헤드폰부(20)에서 출력되는 스피커 온 제어 신호는 무선 헤드폰 선택 신호와 마찬가지로 무선 송수신부(31)와 마이콤(32)을 통해서 스위치부(37)로 인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스피커 온 제어 신호를 인가 받은 스위치부(37)는 사운드 프리 앰프(36)로부터 인가되는 사운드 신호를 스위칭 동작을 통해 사운드 메인 앰프(38)로 출력하게 된다. 스위치부(37)로부터 인가되는 사운드 신호를 인가 받은 사운드 메인 앰프(38)는 최종 증폭하여 스피커(39)를 통해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또한, 무선 헤드폰부(20)로부터 출력되는 스피커 음량 조절 제어 신호도 역시 무선 송수신부(31)를 통해서 마이콤(32)으로 인가하게 된다. 스피커 음량 조절 제어 신호를 인가 받은 마이콤(32)은 스피커 음량 조절 제어 신호에 따라 스위치부(37)를 통해 사운드 이득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사운드 이득 신호를 인가 받은 스위치부(37)는 사운드 메인 앰프(38)로 사운드 이득 시호를 인가하게 된다. 사운드 이득 신호를 인가 받은 사운드 메인 앰프(38)는 사운드 이득 신호에 따라 사운드 신호를 증폭하여 스피커(39)로 인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무선 헤드폰의 음량을 조절하는 것과 같이 무선 헤드폰부(20)를 통해서 음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무선 헤드폰부(20)로부터 출력되는 모니터 전원 제어 신호는 무선 송수신부(31)를 통해서 마이콤(32)으로 인가된다. 이때, 인가되는 모니터 전원 제어 신호가 모니터 전원 온 신호이면 마이콤(32)은 전원 회로에 전원 온 신호를 출력하여 모니터의 전원을 온 하게 된다. 이때, 모니터 오프 상태에서 모니터에 전원을 온 하기 위해서는 웨이크 업(Wake Up) 전압을 이용하게 된다. 또한, 무선 헤드폰부(20)로부터 출력되는 모니터 전원 제어 신호가 모니터 전원 오프 신호이면 마이콤(32)은 모니터 전원 회로로 전원 오프 신호를 인가하여 모니터 내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게 된다.
따라서, 무선 헤드폰부(20)를 이용하여 원거리에서 모니터의 전원과, 무선 헤드폰 및 스피커를 제어할 수가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각 블럭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헤드폰을 이용한 모니터 제어 회로에서 스위치부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 는 도 3의 스위치부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면 A는 스위치부의 블럭도로, 사운드 프리 앰프(36; 도 3에 도시됨)로부터 출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인가 받아 출력하는 입력단(37-1)과, 마이콤(32; 제 3 도에 도시됨)의 카운트 단자부(32-1)로 인가되는 인에이블(Enable) 신호를 인가 받고 스위칭 동작을 하여 입력단(37-1)으로부터 인가되는 사운드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스위치 IC(37-2)와, 상기 스위치 IC(37-2)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선택적으로 출력되는 사운드 출력 신호 중 스피커로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 1 출력단(37-3)과, 상기 스위치 IC(37-2)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선택적으로 출력되는 사운드 출력 신호 중 무선 헤드폰으로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 2 출력단(37-4)으로 되어 있다.
사운드 프리 앰프(36; 도 3에 도시됨)로부터 출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인가 받아 출력하는 입력단(37-1)과, 마이콤(32; 도 3에 도시됨)의 카운트 단자부(32-1)로 인가되는 인에이블(Enable) 신호를 인가 받고 스위칭 동작을 하여 입력단(37-1)으로부터 인가되는 사운드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스위치 IC(37-2)와, 상기 스위치 IC(37-2)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선택적으로 출력되는 사운드 출력 신호 중 스피커로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 1 출력단(37-3)과, 상기 스위치 IC(37-2)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선택적으로 출력되는 사운드 출력 신호 중 무선 헤드폰으로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 2 출력단(37-4)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스위치부(37)를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 B를 이용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 E는 스위치부의 상세 회로도를 나타내고 있으며, 입력단(37-1)으로부터 인가되는 사운드 신호는 저항(R31)을 통해서 직류전압(5V)을 인가 받아 구동되는 스위치 IC(37-2) 내에 있는 연산 증폭기(OP1, OP2)로 각각 인가된다. 연산 증폭기(OP1)는 마이콤(32)의 단자부(32-1) 내에 있는 단자 T2를 통해 인에이블(Enable) 신호를 인가 받으면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연산 증폭기(OP1)를 통해서 출력되는 사운드 신호는 제 1 출력단(37-3)으로 인가하게 된다. 사운드 신호를 인가 받은 제 1 출력단(37-3)은 사운드 메인 앰프(38; 도 3에 도시됨)로 사운드 신호를 인가하여 최종 증폭하여 스피커(39)로 인가하게 된다. 사운드 신호를 인가 받은 스피커(39)는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또한, 만일 마이콤 카운트 단자부(32-1) 내에 있는 단자 T3를 통해서 인에이블(Enable) 신호가 출력되면 연산 증폭기(OP2)는 사운드 신호를 제 2 출력단(37-4)으로 사운드 신호를 인가하게 된다. 사운드 신호를 인가 받은 제 2 출력단(37-4)은 무선 송수신부(31)로 사운드 신호를 인가하게 된다. 사운드 신호를 인가 받은 무선 송수신부(31)는 무선 헤드폰부(20)로 사운드 신호를 인가함으로써, 무선 헤드폰을 통해 사운드 신호가 출력된다.
이와 같이 스위치부(37)로부터 인가되는 사운드 신호를 무선 헤드폰으로 인가하는 무선 송수신부와 무선 헤드폰을 구성하고 있는 무선 헤드폰부(20; 도 3에 도시됨)를 첨부된 도면을 이용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 는 도 3의 무선 헤드폰부의 상세 회로도로, 사운드 제어하기 위해 사용자가 사용하는 키조작부(20-1)와, 상기 키조작부(20-1)로부터 출력되는 키조작 신호를 인가 받아 원격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원격 제어 마이콤(20-2)과, 상기 마이콤(20-2)에서 발생된 원격 제어 신호를 인가 받아 출력하는 송광부(20-3)와, 무선 송수신부(31)로부터 인가되는 사운드 제어 신호를 인가 받는 수광부(20-4)와, 상기 수광부(20-4)로부터 출력되는 사운드 제어 신호를 복조하는 복조부(20-5)와, 상기 복조부(20-5)로부터 출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20-6)와, 상기 출력부(20-6)로부터 출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는 무선 헤드폰(20-7)과, 상기 각 회로부에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20-8)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 중에 송광부(20-3)는 마이콤(32)으로부터 출력되는 원격 제어 신호, 예를 들어 모니터 전원 제어 신호와 스피커 제어 신호 및 무선 헤드폰 제어 신호를 인가 받아 스위칭 동작을 하는 트랜지스터(Q1)와, 상기 트랜지스터(Q1)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발광하는 발광 다이오드(LED1) 및 저항(R1, R2)으로 되어 있다.
이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원부(20-8)는 건전지 등의 축전지를 이용하여 무선 헤드폰부(20)를 구동하기 위한 전압을 공급하고 있다. 이와 같이 무선 헤드폰부(20)는 전원부(20-8)로부터 인가되는 구동 전압을 인가 받아 구동하게 된다. 이러한 무선 헤드폰부(20)를 이용하여 사운드 신호를 제어하는 제어 스위치로 키조작부(20-1)를 사용하게 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무선 헤드폰을 선택하기 위해 키조작부(20-1)를 사용하여 무선 헤드 폰(20-7)를 선택하면, 키조작부(20-1)는 무선 헤드폰 선택에 따른 키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무선 헤드폰 선택 신호에 따른 키신호를 인가 받은 마이콤(20-2)은 무선 헤드폰 선택 신호를 발생하여 출력하게 된다. 이때, 마이콤(20-2)은 키신호를 변조하여 키신호에 따른 무선 헤드폰 선택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마이콤(20-2)으로부터 출력되는 무선 헤드폰 선택 신호는 송광부(20-3) 내에 있는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 단으로 인가 받는다. 무선 헤드폰 선택 신호를 인가 받은 트랜지스터(Q1)는 스위칭 동작을 하게 된다. 트랜지스터(Q1)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발광 다이오드(LED1)는 온/오프 하게 된다.
한편, 무선 송수신부(31)로부터 인가되는 사운드 이득 신호를 수광부(20-4)에서 인가 받는다. 사운드 이득 신호를 인가 받은 수광부(20-4)는 인가된 사운드 이득 신호에 따라 스위칭 동작을 하게 된다. 수광부(20-4)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발생하는 사운드 이득 신호는 복조부(20-5)로 인가하게 된다. 사운드 이득 신호를 인가 받은 복조부(20-6)는 사운드 이득 신호를 복조하여 출력부(20-6)로 인가하게 된다. 사운드 이득 신호를 인가 받은 출력부(20-6)는 최종 증폭하여 무선 헤드폰(20-7)을 통해서 출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무선 헤드폰부(20)를 통해서 사운드 신호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인 키조작부를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 은 도 5의 무선 헤드폰부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헤드폰의 음량을 조절하기 위한 음량 조절 스위치는 왼쪽 채널의 음량을 조절하기 위한 스위치(Left Channel(1)와, 오른쪽 채널의 음량을 조절하기 위한 스위치(Right Channel)(2)를 구비한다. 또한, 모니터(30; 도 3에 도시됨) 내에서 발생되는 사운드 신호를 제어하기 위한 키조작부(20-1)를 도시한다. 이와 같은 키조작부(20-1)는 모니터 전원을 오프 하기 위한 전원 제어 버튼(Power Control Button)(4)과, 무선 헤드폰(20-7) 및 스피커(39; 도 3에 도시됨)를 선택하기 위한 모드 선택 버튼(Mode Select Button)(5)를 도시하고 있다. 모드 선택 버튼(Mode Select Button)(5)를 통해 무선 헤드폰(20-7)이나 스피커(39)가 선택되고 선택된 무선 헤드폰(20-7) 및 스피커(39)의 음량을 조절하기 위한 음량 조절 스위치(6)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무선 헤드폰부(20)로부터 출력되는 사운드 제어 신호를 인가 받아 사운드 신호를 제어하는 무선 송수신부(31)를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 은 도 3의 무선 송수신부의 상세 회로도로, 무선 헤드폰부(20)로부터 출력되는 원격 제어 신호를 인가 받아 출력하는 수신 모쥴(Module)(31-1)과, 상기 수신 모듈(Module)(31-1)로부터 출력되는 원격 제어 신호를 인가 받아 모니터 전원 제어와 스피커 및 무선 헤드폰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마이콤(32)과, 상기 마이콤(32)으로부터 출력되는 무선 헤드폰 제어 신호를 인가받은 스위치부(37; 도 3에 도시됨)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인가되는 사운드 신호를 인가 받는 입력부(31-2)와, 상기 입력부(31-2)로부터 출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입력받아 변조하는 변조부(31-3)와, 상기 변조부(31-3)로부터 출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인가 받아 출력하는 출력부(31-4)와, 상기 출력부(31-4)로부터 출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빛 신호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송광부(31-5)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 중에 송광부(31-5)는 출력부(31-4)에서 출력되는 사운드 신호에 따라 스위칭 동작을 하는 트랜지스터(Q2)와, 상기 트랜지스터(Q2)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발광하는 발광 다이오드(LED2)와, 다수의 저항(R2 ∼ R5)과 커패시터(C1 ∼ C2) 및 다이오드(D1)로 되어 있다.
이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무선 헤드폰부(20) 내에 있는 모드 선택 버튼(Mode Select Button)(5; 제 5 도에 도시됨)에서 사용자가 무선 헤드폰(20-7; 도 5에 도시됨)을 이용하기 위해서 무선 헤드폰 선택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모드 선택 버튼(Mode Select Button)(5)을 통해서 무선 헤드폰(20-7)을 선택하게 되면 무선 헤드폰 선택에 따른 키신호가 출력된다. 이와 같이 출력되는 무선 헤드폰 선택 신호에 따른 키신호는 무선 송신부(31) 내에 있는 수신 모쥴(Module)(31-1)에서 감지하게 된다. 무선 헤드폰 선택 신호에 따른 키신호를 감지한 수신 모쥴(Module)(31-1)은 감지된 키신호를 마이콤(32)으로 인가하게 된다.
무선 헤드폰 선택에 따른 키신호를 인가 받은 마이콤(32)은 무선 헤드폰 선택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출력되는 무선 헤드폰 선택 신호를 스위치부(37)에서 인가 받아 사운드 프리 앰프(36)로부터 출력되는 사운드 이득 신호를 입력부(31-2)로 인가하게 스위칭 동작을 하게 된다. 스위치부(37)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인가되는 사운드 이득 신호는 입력부(31-2)를 통해서 입력받는다. 입력부(31-2)를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이득 신호는 변조부(31-3)를 통해서 변조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변조부(31-3)를 통해 변조되는 사운드 이득 신호는 출력부(31-4)를 통해 출력되어 송광부(31-5)는 사운드 이득 신호를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단으로 인가 받는다. 사운드 이득 신호를 인가 받은 트랜지스터(Q2)는 사운드 이득 신호에 따라 스위칭 동작을 하게 된다. 트랜지스터가 스위칭 동작을 하면 발광 다이오드(LED2)는 온/오프 된다.
발광 다이오드(LED2)가 온/오프 되면서 사운드 신호를 무선 헤드폰부(20)로 인가하게 된다. 이때, 발광 다이오드(LED2)는 저항(R4, R5)에 의해 분배되는 직류전압(12V)을 인가 받고 커패시터(C2)를 통해서는 평활하게 된다. 또한, 다이오드(D1)는 역기전력을 방지하게 위해 사용된다. 그리고, 단자(T1)를 통해서는 저항(R2) 및 커패시터(C1)로 구성되는 적분기 및 저항(R3)을 통해서 평활 된다.
이와 같은 동작을 하는 무선 송수신부(31-5)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 은 도 7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낸 상세 회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운드 이득 신호를 인가 받는 입력부(31-1)와, 상기 입력부(31-1)로부터 인되는 사운드 신호를 변조하는 변조부(31-3)는 사운드 신호를 인가 받아 변조하는 변조 IC(31-3-1)와 다수의 저항(R6 ∼ R12) 및 커패시터(C3 ∼ C7)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변조부(31-3)에서 출력되는 변조된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31-4)는 출력 IC(31-4-1)와, 다수의 저항(R14 ∼ R21) 및 다수의 커패시터(C8 ∼ C13), 가변 커패시터(VC), 코일(L)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출력부(31-4)로부터 인가되는 사운드 신호를 빛 신호로 변환하는 송광부(31-5)는 사운드 신호에 따라 스위칭 동작을 하는 트랜지스터(Q2)와, 다수의 저항(R2 ∼ R5), 커패시터(C1, C2), 발광 다이오드(LED2), 다이오드(D1) 등으로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무선 송수신부(31)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스위치부(37)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인가되는 사운드 신호를 입력부(31-2)를 통해 변조부(31-3)로 인가된다. 이와 같이 사운드 신호를 인가 받는 변조부(31-3)는 사운드 신호를 변조 IC(31-3-1)로 인가 받는다. 변조 IC(31-3-1)는 저항(R6, R7)을 통해서는 레프트(Left; 이하 L로칭함)-채널(Channel) 사운드 신호를 핀번호 8로 입력받고, 저항(R8, R9)을 통해서는 라이트(Right; 이하 R로 칭함)-채널(Channel) 사운드 신호를 핀번호 9로 입력받는다. 이와 같이 입력된 L-채널(Channel) 사운드 신호 및 R-채널(Channel) 사운드 신호는 변조 IC(31-3-1)를 통해서 변조되어 출력한다. 이때 커패시터(C3)는 변조 IC(31-1-3)으로 인가되는 직류전압(12V)을 평활하고, 저항(R11) 및 커패시터(C4)는 평활용으로 사용된다.
이와 같은 L-채널(Channel) 사운드 신호는 변조 IC(31-3-1)의 핀번호 7, 9를 통해서 출력된다. 변조 IC(31-3-1)의 핀번호 7, 9를 통해서 출력되는 L-채널(Channel) 사운드 신호는 저항(R10) 및 커패시터(C5)를 통해서 평활되고, 저항(R14)을 통해서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단으로 인가된다. 또한, 커패시터(C7)는 역기전력 방지용이고, 저항(R12, R13) 및 커패시터(C6)는 평활용으로 사용된다. L-채널(Channel) 사운드 신호를 인가 받은 트랜지스터(Q3)는 저항(R15)을 통해 인가되는 직류전압(12V)에 의해 구동되어 온이 되어 증폭을 하게 된다.
L-채널(Channel) 사운드 신호를 증폭하는 트랜지스터(Q3)는 에미터단으로 출력하게 된다. 트랜지스터(Q3)의 에미터단으로 증폭되어 출력되는 L-채널(Channel) 사운드 신호는 저항(R17)과 코일(L) 및 커패시터(C9, C10)를 통해서 보상하게 된다. 그리고, 가변용량 커패시터(C12)를 사용하여 미세 조정하게 된다. 또한, 저항(R8) 및 커패시터(C16)는 출력되는 L-채널(Channel) 사운드 신호가 증폭되는 과정에서 혼입되는 잡음을 제거한다.
이와 같이 저항(R17)과 코일(L) 및 커패시터(C9, C10)를 통해서 보상된 L-채널(Channel) 사운드 신호는 저항(R18, R19, R20) 및 커패시터(C11)를 통해서 사운드 출력 IC(31-4-1)의 핀번호 9, 11, 13을 통해서 인가 받는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변조 IC(31-3-1)의 핀번호 1, 3으로부터 출력되는 R-채널(Channel) 사운드 신호는 사운드 출력 IC(31-4-1)의 핀번호 3, 5, 7을 통해서 인가 받는다. 이와 같이 L-채널(Channel) 사운드 신호 및 R-채널(Channel) 사운드 신호를 인가 받은 사운드 출력 IC(31-4-1)는 일정 레벨로 증폭하여 출력하게 된다. 출력되는 L-채널(Channel) 사운드 신호는 사운드 출력 IC(31-4-1)의 핀번호 12를 통해 수광부(31-5)의 트랜지스터(Q2)로 인가된다. 이때, 커패시터(C13)를 통해서는 음의 역기전력을 방지하고 저항(R2) 및 커패시터(C1)를 통해서는 평활하게 된다. 저항(R2) 및 커패시터(C1)를 통해서는 평활된 L-채널(Channel) 사운드 신호는 저항(R3)을 통해서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단으로 인가된다. 이와 같이 L-채널(Channel) 사운드 신호를 인가 받은 트랜지스터(Q2)는 스위칭 동작을 하여 발광 다이오드(LED2)를 온/오프 시킨다. 발광 다이오드(LED2)가 온/오프 됨으로 해서 사운드 신호가 빛 신호로 변환되어 무선 헤드폰부(20)로 인가하게 된다. 이때, 저항(R4, R5)은 직류전압(12V)을 분배하고, 커패시터(C2) 및 다이오드(D1)는 잡음 제거용으로 사용된다.
한편, 이와 같이 L-채널(Channel) 사운드 신호와 마찬가지로 사운드 출력 IC(31-4-1)의 핀번호 4로부터 출력되는 R-채널(Channel) 사운드 신호도 빛으로 변환되어 무선 헤드폰부(20)로 인가된다.
이와 같이 무선 송수신부(31)로부터 출력되는L-채널(Channel) 사운드 신호 및 R-채널(Channel) 사운드 신호는 무선 헤드폰으로 인가되어 사운드 신호로 출력하여 사용자가 사운드를 무선 헤드폰(20-7; 도 6에 도시됨)을 이용하여 들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무선 헤드폰부(20) 및 무선 송수신부(31)에서 무선으로 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는 발광부 및 수광부와 OSD 화면을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의 외관 및 OSD 화면을 보여주는 모니터의 정면도로, 도시되 바와 같이 모니터 전면부에는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41-1, 41-2)와, 모니터의 각종 제어 기능들을 제어하기 위한 버튼들(Buttons)을 제공하고 있다. 가령 예컨대, 콘트라스트(Contrast), 밝기(Brightness), 모니터 화면 사이즈 제어 기능의 수평/수직 크기, 수평/수직 위치 등의 제어를 위한 전면 제어 패널(Front Control Panel)(43) 및 모니터의 전원 버튼(Button)(42)이 있다. 이와 같은 모니터에서는, 사운드 제어를 위해 발광 및 수광부 판넬(Panel)(44)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발광 및 수광부 판넬(Panel)(44)에는 무선 헤드폰부(20; 제 6도에 도시됨)로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발광부(45)와 무선 헤드폰부(20)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수광부(46)로 되어 있다. 또한, 모니터 전원 버튼(Button)의 온/오프 동작을 표시하기 위한 발광 다이오드(LED) 표시기(47)가 제공되어 있다.
또한, 모니터 화면에는 OSD 화면을 제공하고 있는 데, 무선 헤드폰 기능의 온/오프 화면(49)과, 스피커 기능의 온/오프 화면(50), 전원 온/오프 화면(51) 등이 제공된다. 이와 같은 OSD 화면의 이 제공되는 무선 헤드폰 기능의 온/오프 화면(49)과, 스피커 기능의 온/오프 화면(50), 전원 온/오프 화면(51)이 각각 한 프레임을 구성하여 모니터 화면에 표시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무선 헤드폰을 이용한 모니터 제어 회로의 동작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헤드폰을 이용한 모니터 제어 방법 중 온 상태를 나타낸 흐름도로, 무선 헤드폰을 이용하기 위한 준비 단계인 개시 스텝(S61)과, 상기 개시 스텝(S61) 후에 모니터를 자동으로 실행하기 위한 디폴트(Default) 세팅(Setting)된 제어 순서에 의해 동작되는 디폴팅(Default) 세팅(Setting) 출력 스텝(S62)과, 상기 디폴팅(Default) 세팅(Setting) 출력 스텝(S62)에서 무선 헤드폰부(20; 도 5에 도시됨)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신호를 감지하고 판단하기 위한 원격 제어 신호 감지 스텝(S63)과, 상기 원격 제어 신호 감지 스텝(S63)에서 원격 제어 신호가 감지되지 않으면 원격 제어 신호를 감지하기 위해 리턴(Return)하는 스텝(S64)과, 상기 원격 제어 신호 감지 스텝(S63)에서 원격 제어 신호가 감지되면 감지된 제어 신호가 전원 제어 신호인지를 판단하는 전원 제어 신호 감지 스텝(S65)과, 상기 원격 제어 신호 감지 스텝(S63)에서 원격 제어 신호가 감지되면 감지된 제어 신호가 스피커 제어 신호인지를 판단하는 스피커 제어 신호 감지 스텝(S66)과, 상기 원격 제어 신호 감지 스텝(S63)에서 원격 제어 신호가 감지되면 감지된 제어 신호가 무선 헤드폰 제어 신호인지를 판단하는 무선 헤드폰 제어 신호 감지 스텝(S67)과, 상기 전원 제어 신호 감지 스텝(S65)과 스피커 제어 신호 감지 스텝(S66)과 무선 헤드폰 제어 신호 감지 스텝(S67)에서 각 제어 신호가 감지되지 않으면 사용자가 원격 제어 명령을 선택하는 동안 OSD 화면을 표시하는 OSD 화면 표시 스텝(S71)과, 상기 전원 제어 신호인지를 판단하는 전원 제어 신호 감지 스텝(S65)에서 전원 제어 신호이면 전원을 오프 신호를 출력하는 전원 오프 스텝(S72)과, 상기 전원 제어 신호인지를 판단하는 스피커 제어 신호 감지 스텝(S72)에서 스피커 제어 신호이면 스피커의 음량의 조절를 실행하는 스피커 음조절 스텝(S73)과, 상기 무선 헤드폰 제어 신호인지를 판단하는 무선 헤드폰 제어 신호 감지 스텝(S73)에서 무선 헤드폰 제어 신호이면 무선 헤드폰의 음량의 조절를 실행하는 무선 헤드폰 음량 조절 스텝(S74)과, 상기 스피커 음조절 스텝(S73) 및 무선 헤드폰 음량 조절 스텝(S74)에서 음량이 조절되면 조절 된 음량 제어 신호를 저장하는 음량 조절 저장 스텝(S75)과, 상기 음량 조절 저장 스텝(S75)에서 음량 조절 신호가 저장되면 원격 제어를 종료하는 종료 스텝(S74)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스텝(Step)들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개시 스텝(S61)을 통해서 무선 헤드폰을 이용하기 위한 준비를 하게 된다. 이러한 개시 스텝(S61)에서는 모니터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다. 모니터가 정상 동작 즉, 디폴트(Default) 실행하기 위한 세팅(Setting) 출력 스텝(S62)에서는 디폴트(Default) 세팅(Setting)된 데이터에 따라 모니터가 동작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디폴트(Default) 세팅(Setting) 출력 스텝(S62)에서 모니터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중에 사용자가 음악 등의 오디오를 감상하면 모니터 앞에서 작업을 할 필요가 없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 모니터를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해 무선 헤드폰부(20; 제 5 도에 도시됨)를 이용하여 모니터를 제어하게 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모니터를 원격으로 제어하면 원격 제어 신호 감지 스텝(S63)에서 이를 감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원격 제어 신호 감지 스텝(S63)에서 원격 제어 신호가 감지되지 않으면 원격 제어 신호 감지 스텝(S63)으로 리턴(Return) 하는 스텝(S64)을 통해서 원격 제어 신호를 감지하고 판단하는 원격 제어 신호 감지 스텝(Step)이 재실행한다. 또한, 원격 제어 신호 감지 스텝(S63)에서 원격 제어 신호가 감지되면 감지된 신호가 전원 제어 신호인지 스피커 제어 신호인지 또는, 무선 헤드폰 제어 신호인지를 판단하는 스텝(S65, S66, S67)들이 실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어 신호인지를 판단하는 스텝(Step)들에서 전원 제어 신호를 판단하는 전원 제어 신호 감지 스텝(S65)에서는 무선 헤드폰부(20)에서 모니터 전원을 오프하기 위해 출력하는 전원 오프 신호를 감지하게 된다. 이러한 전원 제어 신호를 감지하는 스텝(S65)에서 전원 오프 신호가 감지되면 전원 오프를 실행하는 전원 오프 스텝(S72)에서 모니터의 전원을 오프하게 된다. 또한, 스피커 제어 신호를 감지하고 판단하는 스피커 제어 신호 감지 스텝(S66)에서 스피커 제어 신호가 감지되면 스피커 음량을 조절하는 스피커 음조절 스텝(S73)이 실행된다. 스피커 음조절 스텝(S73)이 실행되면 사용자는 무선 헤드폰부(20)의 음량 조절 스위치(6; 제 5 도에 도시됨)를 통해서 음량을 조절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음량 조절 스위치(6)를 통해서 음량을 조절하게 되면 음량 조절 신호가 무선 송수신부(31)로 인가되고 인가된 음량 조절 신호가 마이콤(32)으로 인가된다. 음량 조절 신호를 인가 받는 마이콤(32)은 음량 조절 신호에 따라 사운드 이득 신호를 조절하게 된다. 이와 같이 마이콤(32)을 통해서 사운드 이득 신호가 조절되면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음량이 조절되게 된다.
그리고, 무선 헤드폰 제어 신호를 감지하고 판단하는 무선 헤드폰 제어 신호 감지 스텝(S67)에서 무선 헤드폰 제어 신호가 감지되면 무선 헤드폰의 음량을 조절하는 무선 헤드폰 음조절 스텝(S74)이 실행된다. 무선 헤드폰 음조절 스텝(S74)이 실행되면 사용자는 무선 헤드폰부(20)의 음량 조절 스위치(6)를 통해서 음량을 조절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음량 조절 스위치(6)를 통해서 음량을 조절하게 되면 음량 조절 신호가 무선 송수신부(31)로 인가되고 인가된 음량 조절 신호가 마이콤(32)으로 인가된다. 음량 조절 신호를 인가 받는 마이콤(32)은 음량 조절 신호에 따라 사운드 이득 신호를 조절하게 된다. 이와 같이 마이콤(32)을 통해서 조절된 사운드 이득 신호를 무선 송수신부(31)로 인가하여 무선 헤드폰부(20)로 인가하게 되면 무선헤드폰부의 무선 헤드폰을 통해 출력되는 음량이 조절된다.
이러한 전원 제어 신호, 스피커 제어 신호, 무선 헤드폰 제어 신호인지를 판단하는 스텝(S65, S66, S67)들에서 전원 제어 신호, 스피커 제어 신호, 무선 헤드폰 제어 신호가 감지되지 않으면,OSD 화면 표시 스텝(S69)으로 인가하기 위한 스텝들(S68, S69, S70)을 통해서 OSD 화면 표시 스텝(S69)이 실행된다. 이와 같이 OSD 화면 표시 스텝(S69)이 실행되면 사용자가 다시 전원 제어 신호, 스피커 제어 신호, 무선 헤드폰 제어 신호를 선택하게 도움을 준다.
이와 같이 OSD 화면 표시 스텝(S69)을 통해서 사용자가 다시 전원 제어 신호, 스피커 제어 신호, 무선 헤드폰 제어 신호를 선택하게 되면 전원 제어 신호, 스피커 제어 신호, 무선 헤드폰 제어 신호를 감지하는 스텝들(S65, S66, S67)이 실행된다.
이중에서 전원 제어 신호 감지 스텝(S65)은 전원 제어 신호가 감지되면 전원을 오프하고 종료 스텝(S76)을 통해서 종료된다.
또한, 스피커 제어 신호 감지 스텝(S66) 및 무선 헤드폰 제어 신호 감지 스텝(S67)을 통해서는 각각 스피커 제어 신호 및 무선 헤드폰 제어 신호가 감지되면 음량을 조절하는 스텝(S73, 74)이 실행되어 음을 조절하게 된다. 음량을 조절하는 스텝(S73, 74)이 완료되면 음조절에 따른 제어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 스텝S75)을 통해서 저장한다. 저장 스텝(S75)이 완료되면 종료 스텝(S76)을 통해서 전원 제어 및 스피커 제어, 무선 헤드폰 제어를 종료하게 된다.
이때, 만일 모니터가 오프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모니터가 정상적으로 동작할 때의 제어 방법에 모니터를 온시키기 위한 스텝들이 추가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모니터가 오프 상태에 있는 경우에 따른 동작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1 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헤드폰을 이용한 모니터 제어 방법 중 오프 상태를 나타낸 흐름도로, 모니터를 온시키기 위한 개시 스텝(S81)과, 상기 개시 스텝(S81) 후에 모니터의 전원을 온하기 위한 원격 전원 온 제어 신호가 감지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원격 전원 온 제어 신호 감지 스텝(S82)과, 상기 원격 전원 온 제어 신호 감지 스텝(S82)에서 원격 전원 온 제어 신호가 감지되지 않으면 원격 전원 제어 신호를 감지하기 위해 원격 전원 온 제어 신호 감지 스텝(S82)을 재실행하기 위해 리턴(Return)하는 스텝(S83)과, 상기 원격 전원 온 제어 신호 감지 스텝(S82)에서 원격 전원 온 제어 신호가 감지되면 감지된 원격 전원 온 제어 신호에 따라 모니터의 전원을 온하는 모니터 전원 온 스텝(S84)과, 상기 온하는 모니터 전원 온 스텝(S84)이 실행되면 모니터의 전원 온 상태에서 원격을 모니터 전원과 스피커와 무선 헤드폰(20-7)을 제어하기 위한 모니터의 전원 온 상태의 스텝들을 실행하는 스텝(S85)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스텝(Step)들을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모니터의 전원을 온하기 위해 개시 스텝(S81)을 통해서 무선 헤드폰부(20)를 이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무선 헤드폰부(20)를 이용하여 모니터의 전원을 온하기 위해 전원 제어 버튼(Power Control Button)(4; 제 5 도에 도시됨)를 통해서 전원 온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전원 제어 버튼(Power Control Button)(4)를 통해서 출력되는 전원 온 신호를 원격 전원 온 제어 신호를 감지하고 판단하는 원격 전원 온 제어 신호 감지 스텝(S82)에서 전원 온 신호를 감지하게 된다. 이때, 만일 전원 제어 신호가 감지되지 않으면 스텝(S83)을 통해서 원격 전원 온 제어 신호 감지 스텝(S82)으로 리턴(Return)하여 전원 온 제어 신호를 감지하게 된다.
이와 반대로, 원격 전원 온 제어 신호 감지 스텝(S82)에서 모니터의 전원 온 신호가 감지되면 모니터 전원을 온하는 모니터 전원 온 스텝(S84)을 통해서 모니터의 전원을 온하게 된다. 이와 같이 모니터의 전원을 온하는 과정은 무선 헤드폰부(20)에서 출력되는 전원 온 제어 신호를 무선 송수신부(31)를 통해서 인가 받는다. 전원 온 제어 신호를 인가 받은 무선 송수신부(31)는 전원 온 제어 신호를 마이콤(32)에 인가한다. 전원 온 제어 신호를 인가 받은 마이콤(32)은 전원 회로(도시 않음)로 전원 온 신호를 인가하여 모니터가 온되게 한다.
이때, 모니터가 전원 오프 상태에서 무선 헤드폰부(20)로부터 인가되는 전원 온 제어 신호를 인가 받기 위해 무선 송수신부(31) 및 마이콤(32)은 주전원이 오프되는 경우에 보조 전원인 웨이크 업(Wake Up) 전압(도시 않음)을 이용하게 된다. 이러한 웨이크 업(Wake Up) 전압을 이용함으로써, 모니터가 오프 상태에서도 무선 헤드폰부(20)로부터 인가되는 전원 온 제어 신호를 인가 받아 모니터를 온 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무선 헤드폰을 이용하여 모니터의 전원 제어 및 사운드를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모니터 전원과 무선 헤드폰과 스피커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무선 헤드폰부 로부터 출력되는 모니터 전원과 무선 헤드폰과 스피커 제어 신호를 인가 받고 인가된 모니터 전원과 무선 헤드폰과 스피커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무선 송수신부와, 상기 무선 송수신부로부터 출력되는 모니터 전원과 무선 헤드폰과 스피커 제어 신호를 인가 받고 비디오 카드로부터 출력되는 수평 동기 신호(H-SYNC) 및 수직 동기 신호(V-SYNC)를 인가 받고 인가된 수평 동기 신호(H-SYNC) 및 수직 동기 신호(V-SYNC)에 따른 모니터 화면 제어 신호와 모니터 전원과 무선 헤드폰과 스피커 제어 데이터에 따른 OSD 이득 신호와 모니터 전원과 무선 헤드폰과 스피커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콤과, 상기 마이콤으로부터 출력되는 OSD 이득 신호를 인가 받아 OSD 처리하는 OSD부와, 상기 OSD부로부터 출력되는 OSD 신호 및 비디오 카드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R,G,B)를 인가 받아 일정 레벨로 증폭하는 비디오 프리 앰프와, 상기 비디오 프리 앰프로부터 선택적으로 출력되는 영상 신호(R,G,B) 및 OSD 신호를 최종 증폭하는 비디오 출력 앰프와, 상기 비디오 출력 앰프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R,G,B) 및 OSD 신호를 표시하는 CRT와, 사운드 카드로부터 출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인가 받아 일정 레벨로 증폭하는 사운드 프리 앰프와, 상기 사운드 프리 앰프로부터 출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인가 받고 마이콤으로부터 인가되는 무선 헤드폰과 스피커 제어 신호를 인가 받아 스위칭 동작을 하는 스위치부와, 상기 스위치부에서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인가되는 사운드 신호를 인가 받아 최종 증폭하는 사운드 메인 앰프와, 상기 사운드 메인 앰프로부터 출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인가 받아 사운드를 출력 하는 스피커를 포함하는 무선 헤드폰을 이용한 모니터 제어 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는 사운드 프리 앰프로부터 출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인가 받아 출력하는 입력단과, 마이콤의 카운트 단자부로 인가되는 인에이블(Enable) 신호를 인가 받고 스위칭 동작을 하여 입력단으로부터 인가되는 사운드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스위치 IC와, 상기 스위치 IC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선택적으로 출력되는 사운드 출력 신호 중 스피커로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 1 출력단과, 상기 스위치 IC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선택적으로 출력되는 사운드 출력 신호 중 무선 헤드폰으로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 2 출력단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헤드폰을 이용한 모니터 제어 회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헤드폰부는 사운드 제어하기 위해 사용자가 사용하는 키조작부와,상기 키조작부로부터 출력되는 키조작 신호를 인가 받아 원격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원격 제어 마이콤과, 상기 원격 제어 마이콤에서 발생된 원격 제어 신호를 인가 받아 출력하는 송광부와, 무선 송수신부로부터 인가되는 사운드 제어 신호를 인가 받는 수광부와, 상기 수광부로부터 출력되는 사운드 제어 신호를 복조하는 복조부와, 상기 복조부로부터 출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와, 상기 출력부로부터 출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는 무선 헤드폰과, 상기 각 회로부에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헤드폰을 이용한 모니터 제어 회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송수신부는 무선 헤드폰부로부터 출력되는 원격 제어 신호를 인가 받아 출력하는 수신 모쥴(Module)과, 상기 수신 모듈(Module)로부터 출력되는 원격 제어 신호를 인가 받아 모니터 전원 제어와 스피커 및 무선 헤드폰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마이콤으로부터 출력되는 무선 헤드폰 제어 신호를 인가받은 스위치부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인가되는 사운드 신호를 인가 받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로부터 출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입력받아 변조하는 변조부와, 상기 변조부로부터 출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인가 받아 출력하는 출력부와, 상기 출력부로부터 출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빛 신호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송광부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헤드폰을 이용한 모니터 제어 회로.
  5. 모니터를 자동으로 실행하기 위한 디폴트(Default) 세팅(Setting)된 제어 순서에 의해 동작되는 디폴팅(Default) 세팅(Setting) 출력 스텝과, 상기 디폴팅(Default) 세팅(Setting) 출력 스텝에서 무선 헤드폰부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신호를 감지하고 판단하기 위한 원격 제어 신호 감지 스텝과, 상기 원격 제어 신호 감지 스텝에서 원격 제어 신호가 감지되면 감지된 제어 신호가 전원 제어 신호인지를 판단하는 전원 제어 신호 감지 스텝과, 상기 원격 제어 신호 감지 스텝에서 원격 제어 신호가 감지되면 감지된 제어 신호가 스피커 제어 신호인지를 판단하는 스피커 제어 신호 감지 스텝과, 상기 원격 제어 신호 감지 스텝에서 원격 제어 신호가 감지되면 감지된 제어 신호가 무선 헤드폰 제어 신호인지를 판단하는 무선 헤드폰 제어 신호 감지 스텝과, 상기 전원 제어 신호 감지 스텝과 스피커 제어 신호 감지 스텝과 무선 헤드폰 제어 신호 감지 스텝에서 각 제어 신호가 감지되지 않으면 사용자가 원격 제어 신호를 선택하는 동안 OSD 화면을 표시하는 OSD 화면 표시 스텝과, 상기 전원 제어 신호인지를 판단하는 전원 제어 신호 감지 스텝에서 전원 제어 신호이면 전원을 오프 신호를 출력하는 전원 오프 스텝과, 상기 전원 제어 신호인지를 판단하는 스피커 제어 신호 감지 스텝에서 스피커 제어 신호이면 스피커의 음량의 조절를 실행하는 스피커 음조절 스텝과, 상기 무선 헤드폰 제어 신호인지를 판단하는 무선 헤드폰 제어 신호 감지 스텝에서 무선 헤드폰 제어 신호이면 무선 헤드폰의 음량의 조절를 실행하는 무선 헤드폰 음량 조절 스텝과, 상기 스피커 음조절 스텝과 무선 헤드폰 음량 조절 스텝에서 음량이 조절되면 조절 된 음량 제어 신호를 저장하는 음량 조절 저장 스텝을 포함하는 무선 헤드폰을 이용한 모니터 제어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제어 신호 감지 스텝에서 원격 제어 신호가 감지되지 않으면 원격 제어 신호를 감지하기 위해 리턴(Return)하는 스텝을 더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헤드폰을 이용한 모니터 제어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음량 조절 저장 스텝에서 음량 조절 신호가 저장되면 원격 제어를 종료하는 종료 스텝를 더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헤드폰을 이용한 모니터 제어 방법.
  8. 모니터의 전원을 온하기 위한 원격 전원 온 제어 신호가 감지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원격 전원 온 제어 신호 감지 스텝과, 상기 원격 전원 온 제어 신호 감지 스텝에서 원격 전원 온 제어 신호가 감지되지 않으면 원격 전원 제어 신호를 감지하기 위해 원격 전원 온 제어 신호 감지 스텝을 재실행하기 위해 리턴(Return)하는 스텝과, 상기 원격 전원 온 제어 신호 감지 스텝에서 원격 전원 온 제어 신호가 감지되면 감지된 원격 전원 온 제어 신호에 따라 모니터의 전원을 온하는 모니터 전원 온 스텝을 포함하는 무선 헤드폰을 이용한 모니터 제어 방법.
KR1019960049290A 1996-10-28 1996-10-28 무선 헤드폰을 이용한 모니터 제어 회로 및 방법 KR1002295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9290A KR100229510B1 (ko) 1996-10-28 1996-10-28 무선 헤드폰을 이용한 모니터 제어 회로 및 방법
US08/959,067 US6041225A (en) 1996-10-28 1997-10-28 Monitor control circuit using wireless headphones and method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9290A KR100229510B1 (ko) 1996-10-28 1996-10-28 무선 헤드폰을 이용한 모니터 제어 회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9957A true KR19980029957A (ko) 1998-07-25
KR100229510B1 KR100229510B1 (ko) 1999-11-15

Family

ID=19479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9290A KR100229510B1 (ko) 1996-10-28 1996-10-28 무선 헤드폰을 이용한 모니터 제어 회로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041225A (ko)
KR (1) KR1002295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16070B2 (en) * 2000-03-01 2003-02-04 Watkins Manufacturing Corporation Spa audio system operable with a remote control
US20030100264A1 (en) * 2001-11-28 2003-05-29 Schroeder Daryl Dean Wireless computer monitor
US7346332B2 (en) * 2002-01-25 2008-03-18 Ksc Industries Incorporated Wired, wireless, infrared, and powerline audio entertainment systems
US8103009B2 (en) * 2002-01-25 2012-01-24 Ksc Industries, Inc. Wired, wireless, infrared, and powerline audio entertainment systems
US7853341B2 (en) * 2002-01-25 2010-12-14 Ksc Industries, Inc. Wired, wireless, infrared, and powerline audio entertainment systems
US7693289B2 (en) * 2002-10-03 2010-04-06 Audio-Technica U.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te control of an audio source such as a wireless microphone system
TW200416521A (en) * 2003-02-17 2004-09-01 Elitegroup Computer Sys Co Ltd TV image converter switching on and off computer through multimedia remote control
KR100544460B1 (ko) 2003-11-21 2006-01-24 삼성전자주식회사 리모콘장치의 음량조절키에 의한 외부 오디오재생장치의음량조절 기능을 갖는 av장치 및 음량조절방법
US7483538B2 (en) 2004-03-02 2009-01-27 Ksc Industries, Inc. Wireless and wired speaker hub for a home theater system
CN1324431C (zh) * 2004-10-25 2007-07-04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实现低功耗家电应用的计算机及方法
US20080070516A1 (en) * 2006-09-15 2008-03-20 Plantronics, Inc. Audio data streaming with auto switching between wireless headset and speakers
TWM357822U (en) * 2008-12-26 2009-05-21 Tatung Co Wireless music transmission device capable of performing volume adjustment and song selection by wireless headset
JP4788790B2 (ja) * 2009-02-27 2011-10-05 ソニー株式会社 コンテンツ再生装置、コンテンツ再生方法、プログラム、及びコンテンツ再生システム
US20110087964A1 (en) * 2009-10-08 2011-04-14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for indicating a volume of an audio sink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8593573B2 (en) * 2009-12-14 2013-11-26 VIZIO Inc.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docking of headphones
US8681278B2 (en) * 2010-06-28 2014-03-25 Vizio, Inc.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volume control
GB201104924D0 (en) 2011-03-24 2011-05-04 Crawley Alan M Improvements in headphones
DE102013110305A1 (de) * 2013-09-18 2015-03-19 Ron Küsters Steuerungsvorrichtung, Multimedia-Anordnung und Tonwiedergabeverfahren
WO2015164287A1 (en) * 2014-04-21 2015-10-29 Uqmartyne Management Llc Wireless earphone
TWI633795B (zh) * 2017-01-23 2018-08-21 芯籟半導體股份有限公司 一種訊號處理系統及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091B2 (ja) * 1986-10-24 1995-02-01 ソニー株式会社 電子機器
KR910007197B1 (ko) * 1988-08-23 1991-09-19 삼성전자 주식회사 리모트 콘트롤회로
US5553312A (en) * 1994-06-20 1996-09-03 Acs Wireless, Inc. Data transfer and communication network
US5671158A (en) * 1995-09-18 1997-09-23 Envirotest Systems Corp. Apparatus and method for effecting wireless discourse between computer and technician in testing motor vehicle emission control systems
US5771441A (en) * 1996-04-10 1998-06-23 Altstatt; John E. Small, battery operated RF transmitter for portable audio devices for use with headphones with RF receiv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29510B1 (ko) 1999-11-15
US6041225A (en) 2000-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29510B1 (ko) 무선 헤드폰을 이용한 모니터 제어 회로 및 방법
KR100544460B1 (ko) 리모콘장치의 음량조절키에 의한 외부 오디오재생장치의음량조절 기능을 갖는 av장치 및 음량조절방법
US20020102949A1 (en) Remote control having an audio port
US5929941A (en) Television receiver
JP2007306286A (ja) 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動作制御方法
KR20020085659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H05236373A (ja) 映像機器の機能表示装置
KR19980020002A (ko) 모니터의 통신장치 및 방법
KR20000047550A (ko) 표시 장치
US20060264250A1 (en) Remote control system with a wireless earphone function and corresponding method
US6130659A (en) Signal management apparatus for use in display monitor of a multimedia computer system and method using on screen display
KR100856114B1 (ko) 리모컨을 이용한 텔레비전 음향과 데이터 송수신방법
KR100333531B1 (ko) 모니터 화면 최적상태 표시장치
CN210725304U (zh) 音频控制电路及蓝牙音箱
KR100306417B1 (ko) 마이컴을이용한사운드컨트롤회로및사운드컨트롤방법
KR100514552B1 (ko) 모니터절환 컨트롤유닛을 갖는 텔레비젼
JPH09181992A (ja) 映像ミュート付きテレビジョン受信機
JP3086331U (ja) テレビジョン受信装置
JPH034655A (ja) ドアホン
KR200164170Y1 (ko) 라디오 겸용 마우스
CN110958539A (zh) 音频控制电路及蓝牙音箱
KR20000028262A (ko) 프로젝션 텔레비전에서 멜로디 출력 방법
KR100263369B1 (ko) 전화기를이용한시청채널안내기능을갖춘텔레비전
JPH04133579A (ja) モニタテレビジョン
JPH08223011A (ja) 入出力端子を備えた電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