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8593A - 환기 팬을 설치하기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환기 팬을 설치하기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8593A
KR19980028593A KR1019960047711A KR19960047711A KR19980028593A KR 19980028593 A KR19980028593 A KR 19980028593A KR 1019960047711 A KR1019960047711 A KR 1019960047711A KR 19960047711 A KR19960047711 A KR 19960047711A KR 19980028593 A KR19980028593 A KR 199800285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housing
wall
opening
ventilation f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7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기요마사 우에하라
Original Assignee
기요마사 우에하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요마사 우에하라 filed Critical 기요마사 우에하라
Priority to KR10199600477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28593A/ko
Publication of KR199800285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8593A/ko

Links

Landscapes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먼지 및 가스 등이 실내에 유입되는 것을 매우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환기 팬 설치 장치가 마련된다. 환기 팬 설치 장치(1)는 환기 팬(3)을 그 안에 고정하기 위한 L형 하우징(5)을 포함하며, 이 하우징은 벽(W)의 내측에 위치한 내측 개구(7)와, 하방을 향하고 벽(W)의 외측에 위치한 외측 개구를 갖고 있다. 내측 개구(7)에는 수직으로 활주가능하고 하우징(5)에 출입가능한 배기용 필터(11)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내측 개구(7)는 개폐가능한 금속 덮개(13)로 덮여 있다. 외측 개구(9) 가까이에는 흡기용 필터(15)가 마련된다. 이 필터(15)는 수평으로 활주가능하다. 환기 팬(F)은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가능하다. 흡기용 필터(15)는 흡기부에 설치된다. 배기용 필터(11)는 배기부에 설치된다. 배기용 필터(11)는 카세트 필터(11c)를 포함하고, 흡기용 필터(15)는 카세트 필터(15c)를 포함한다. 카세트 필터(11c, 15c)는 사용 상태에 따라 교환가능하다.

Description

환기 팬을 설치하기 위한 장치
본 발명은 환기 팬을, 특히 건물의 벽 등을 통해 천공된 구멍 내에 설치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범죄 방지 및 재해 방지를 달성하는 데 매우 효과적인 환기 팬을 설치하기 위한 장치에 관하여 일본 특허 제2530284호로 허여된 일본 공개 특허 제6-323585호에서 이미 제안한 바 있다. 상기 장치는 건물의 벽을 통해 천공된 구멍 내에 환기 팬을 설치하기 위해 특히 적용되며, 건물 측면에 개폐가능한 덮개로 덮인 개구를 갖는 환기 팬 고정용 하우징을 포함하고 있다.
본 장치는 많은 다양한 환경에서 사용될 수 있으리라 예상된다. 본 장치를 갖춘 건물이 위치하여 있는 장소에 따라 건물 외부의 먼지, 산화 질소와 같은 공기 오염물 및 독성 가스가 상기 환기 팬을 통과하여, 예컨대 도로, 공장 지대 또는 위험 지역 등을 따라 위치된 건물의 실내 공간으로 유입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장치가 먼지 또는 가스 등이 상기 건물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은 건물의 벽 등을 통해 천공된 구멍 내에 환기 팬을 설치하기 위한 장치를 마련하는데, 이 장치는 그 안에 환기 팬을 고정하기 위한 L형 하우징과, 상기 벽 내에 위치된 하우징의 내측 개구와, 하방을 향하고 상기 벽의 외측에 위치된 상기 하우징의 외측 개구와, 상기 내측 및 외측 개구중 하나에 탈착가능한 필터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외부의 먼지 또는 가스 등은 상기 내측 또는 외측 개구를 상기 필터로 덮음으로써 건물 등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도1은 건물의 벽을 통해 천공된 구멍 내에 설치된 본 발명에 따른 환기 팬 설치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2는 도1의 전체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3은 흡기용 필터를 상세히 도시한 전개도.
도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단면도.
도5는 제2실시예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환기 팬
5: 하우징
7, 9: 개구
11, 15: 필터
13: 덮개
17: 네트
19: 힌지
23: 금속판
27: 고무 패킹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1은 건물의 벽(W)을 통해 천공된 구멍 내에 설치된 본 발명에 따른 환기 팬을 설치하기 위한 장치(1)의 단면도이다. 도2는 전체 장치(1)의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장치(1)는 환기 팬(3)을 그 안에 고정하기 위한 L형 금속 하우징(5)을 포함한다. 이 하우징(5)은 벽(W)의 내측에 있는 내측 개구(7, 도1의 좌측 참조), 하방을 향하고 벽(W)의 외측에 있는 외측 개구(9, 도1의 우측 참조)를 갖고 있다. 외측 개구(9)는 하우징(5)의 수직 부분의 단부에 위치한다. 도1에 도시된 것처럼 하우징(5)의 수직 부분(41)의 측면(39)은 벽(W)의 내측에 위치한다. 환기 팬(3)은 상용으로 입수할 수 있는 것이며, 팬(F)과 셔터(S) 및 스위치(도시 생략) 등을 포함한다.
내측 개구(7)는 배기용 필터(11)를 갖추고 있다. 이 필터(11)는 하우징(5)의 바닥부에 마련된 슬릿을 통해서 수직으로, 즉 도1의 상하방으로 활주가능하고 하우징(5)에 출입가능하다. 또한, 내측 개구(7)는 금속 덮개(13)로 덮여 있다. 이 덮개는 조작에 의해 자유롭게 개폐된다. 외측 개구(9)에 근접한 위치에서 하우징(5)에는 흡기용 필터(15)가 설치된다. 이 필터(15)는 하우징(5)의 일측면에 마련된 슬릿(31)을 통해서 수평으로, 즉 도1의 좌우 방향으로 활주가능하고, 하우징(5)에 출입가능하다. 외측 개구(9)는 금속 네트(17)로 덮여 있다. 환기 팬(3)은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가능하다. 필터(15)는 흡기용으로 하우징(5)에 부착되고, 필터(11)는 배기용으로 하우징(5)에 부착된다.
도1에 도시된 것처럼 하우징(5)의 바닥판(5a)은 빗물 등을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충분히 낮은 위치에서 건물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경사져 있다.
덮개(3)는 힌지(19)에 의해 하우징(5)에 부착되며, 핸들(35)을 조작함으로써 개폐가능하다. 핸들(35)은 실린더 형상을 취하며 스핀들(37)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유지된다. 스핀들(37)은 용접에 의해 또는 스크류 등을 사용하여 덮개(13)에 고정된다. 덮개(13)는 장방형이며, 프레임(13a, 13a)들 사이에 홈을 형성하도록 그 바닥측을 제외한 주연을 따라 돌출된 두개의 프레임(13a, 13a)을 갖추고 있다. 홈의 바닥부는 고무 패킹(13b)을 갖추고 있다. 덮개(13)의 바닥측 상에는 벤드(13c)가 형성되어 있다. 이 벤드(13c)는 덮개(13)의 외측을 향하여 약간 경사지도록 직각보다 큰 각으로 만곡되어 있다. 덮개(13) 상부에서 벤드(13c)의 외측에는 덮개(13)의 바닥 연부와 벤드(13c) 사이에 고무 패킹(13d)이 부착되어 있다. 덮개(13)의 폐쇄시에, 하우징(5)을 구성하는 상부판 및 측판들의 연부는 덮개(13)의 주연을 따라 형성된 홈에 끼워져서 고무 패킹(13b)에 근접 접촉한다. 이때에, 벤드(13c)는 힌지(19)를 포함하는 덮개(13)와 하우징(5)의 연결부를 시일하고, 고무 패킹(13d)을 통해서 하우징(5) 내측에 근접 접촉한다. 따라서, 덮개(13)는 빗물 또는 바람 등의 유입을 방지한다.
도2에 도시된 것처럼 덮개(13)는 그 상부측 상에 후크(13e)를 갖추고 있다. 하우징(5) 상에는 체결구(21)가 설치되어 있다. 덮개(13)는 체결구(21)를 사용하여 용이하게 로크할 수 있다.
도1에 도시된 것처럼 장치(1) 설치용 금속판(23)은 볼트(25)에 의해 하우징(5)에 고정된다. 또한, 금속판(23)은 통상의 볼트 또는 앵커 등을 사용하여 벽(W)에 고정된다. 하우징(5)과 벽(W) 사이에는 고무 패킹(27)이 개재되어 있다.
도3은 필터(15)의 상세를 도시한 분해도이다. 필터(15)는 카세트의 형태를 취하며, 핸들(15a), 개구를 갖는 프레임(15b), 개구에 설치되는 카세트 필터(필터 요소, 15c) 및 프레임(15b)의 개구 위로 신장되는 네트(15d)로 이루어진다. 프레임(15b)의 개구측 상에는 필터 요소를 고정 유지하기 위한 4개의 피크(15e)가 마련되어 있다. 카세트 필터(15c)를 프레임(15b)의 개구에 끼울 때 피크(15e)들은 카세트 필터(15c)를 개구에 밀착식으로 고정하기 위해 카세트 필터(15c)의 후방측을 고정한다. 카세트 필터의 구조는 필터 요소를 공지의 여러 가지 방법으로 프레임 상에 장착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실시예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카세트 필터(15c)는 필요에 따라 교환할 수 있다. 카세트 필터(15c)는 장치(1)가 세팅되는 환경에 따라 먼지, 공기 오염물, 유해 가스 등을 스크리닝하도록 선정된다.
도3에 도시된 것처럼, 프레임(15b)은 하우징(5)의 바닥측에 마련된 프레임 홀더(29) 내에 위치한다. 프레임 홀더(29)는 프레임(15b)이 위치하는 홈을 갖는다. 수평으로 누르고 프레임 홀더(29) 내에 필터(15)를 완전히 위치시킨 후, 핸들(15a)의 양단부에 마련된 스프링(15f)이 필터(15)를 고정시키도록 도시되지 않은 홀더 상에 현수된다. 프레임을 출입시키기 위한 슬릿(31)이 하우징(5)의 수직부(41)의 측면(39, 도1) 상에 마련되어 벽(W) 내측에 위치되기 때문에, 외측 개구(9)를 덮는 필터(15)는 건물 내측에 유지되면서 용이하게 출입되거나 또는 교환될 수 있다.
배기용 필터(11)는 후크(11f)가 도2에 도시된 배기용 필터(11)의 핸들의 양단부에 마련된 것을 제외하고는 흡기용 필터(15)와 기본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하우징(5)의 측면에는 조임을 위한 체결구(33)가 마련된다. 조임을 위한 체결구(33)는 필터(11)가 떨어지지 않게 이 필터(11)를 고정시키기 위해 후크(11f)를 조일 수 있다.
장치(1)는 상술된 구조를 갖는다. 배기시에 덮개(13)가 개방되며 배기용 필터(11)가 하우징(5) 내에 위치된다. 이 경우, 카세트 필터(15c)는 필터(15)로부터 발출되고 필터를 설치하기 위한 프레임(15b)만이 프레임 홀더(29)에 삽입되며, 이에 의해서 배기 공기의 유동이 개선되며 먼지가 프레임 홀더(29)의 홈에 수집되는 것이 방지된다. 환기 팬(F)이 이러한 상태에서 회전될 때, 건물의 실내의 공기는 카세트 필터(11c)를 통과하여 외측 개구(9)로부터 실외로 배기된다. 외부 공기가 하우징(5)을 통해 실내로 유입될 수 있으면, 먼지 또는 오염물 등이 필터(11c)에 의해 스크리닝된다. 물론, 실내 공기가 오염된 경우, 실내 공기의 먼지 또는 오염물 등은 필터(11c)에 의해 스크리닝되어 깨끗한 공기가 외부로 배기된다.
한편, 공기 흡입시, 흡기용 필터(15)는 하우징(5) 내에 위치되며, 카세트 필터(11c)가 필터(11)로부터 발출되어 필터를 설치하기 위한 프레임만이 하우징 내에 삽입된다. 이에 의해 먼지, 오염물 또는 유해 가스 등이 스크리닝된다.
모든 필터 요소(11c, 15c)는 필터 프레임이 삽입되어 유지되면서 필터(11, 15)로부터 각각 제거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덮개(13)는 안전 및 방재를 위해 효과적이다.
도4 및 도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장치(51)에는 외측 개구(9) 및 추가로 하우징(53)의 측면 상의 측면 개구(57)가 마련되어 환기능력을 증가시킨다. 또한, 필터(59)를 추가함으로써, 필터링 성능이 매우 증가된다.
하우징의 양측면 상에, 개구(57)를 덮는 필터(59)가 마련되어 필터 홀더(61) 내에서 활주가능하다. 측면 개구(57)는 용접에 의해서 또는 스크류 등을 사용하여 하우징(53) 상에 고정된 후드(63)에 의해 덮인다. 각 후드(63)는 하향 개구(63a)를 가지며 측면 개구(57)로부터 빗물 및 바람의 유입을 방지한다. 내부 공기는 개구(63a)로부터 하향 배기되며 외부 공기는 측면 개구(57)를 통해 개구(63a)로부터 내부로 공급된다.
필터(59)의 구조는 도3에 도시된 것과 기본적으로 동일하다. 즉, 필터(59)는 카세트 형태이며 필터 요소는 필터 프레임 내에 설치되고 필요에 따라 교환될 수 있다. 필터 요소는 측면 개구(57)를 덮도록 설치된다. 필터(59)는 예를 들어 도3에 도시된 스프링(5f) 등의 스프링을 사용하여 홀더(61) 내에 로크될 수 있다.
하우징(53)의 내측 개구에는 필터(11, 도1 및 도2의 필터(11)와 동일함)가 수직으로 삽입된다. 필터(11) 다음에, 팬(65) 및 필터(67)가 순서대로 배치된다. 필터(67)의 구조는 도1 및 도2의 필터(11)와 기본적으로 동일하다. 필요에 따라 추가의 팬 및 필터를 설치할 수도 있다. 덮개(13)는 장치(51)에 부착된다. 덮개는 핸들(35)을 사용함으로써 개폐할 수 있다.
공기를 배출시킬 때, 덮개(13)는 개방되고, 필터(11, 67)는 하우징(5) 내에 놓이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 필터 요소가 필터(15, 59) 외부로 꺼내지고, 필터 요소를 장착하는 프레임만이 하우징(53) 내에 삽입됨으로써, 배출되는 공기의 유동이 개선되어 먼지가 프레임 홀더의 홈 내에 모이는 것을 방지한다. 환기 팬(3, 65)이 이러한 상태에서 회전될 때, 건물의 실내 공기는 필터(67, 11)를 통과하고, 외측 개구(9) 및 측면 개구(57, 57)로부터 실외로 배출된다. 측면 개구(57, 57)는 환기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게 해준다. 게다가, 2개의 팬(3, 65)이 설치되므로, 환기 능력이 크게 증가된다.
한편, 공기를 흡입할 때, 필터(15, 59)는 하우징 내에 위치하고, 필터 요소는 필터(11, 67)로부터 제거되며 필터 프레임만이 하우징(53) 내에 삽입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변경할 수 있고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본 발명의 장치는 공통적으로 환기될 것이 요구되는 모든 방, 즉 건물뿐만 아니라 선박, 항공기, 롤링 스톡(rolling stock) 등의 방을 포함하는 모든 방에 적용할 수 있다. 하우징(5, 53)은 상기 실시예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장방형 개구 대신에 원통형 개구를 가질 수도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의 장치에는 그 용도에 따라 필터(11, 15)들중 하나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필터 대신에, 하우징(5, 53)의 슬릿 내에 평판을 삽입하여, 이러한 평판이 하우징(5, 53)의 개구를 차단하는 데 사용되도록 한다. 이러한 경우에, 덮개(13)는 장치(1, 51)를 제조하는 비용을 절감하기 위하여 생략할 수 있다.
상기에 설명한 카세트 필터는 환기 장치뿐만 아니라 공기 조화기처럼 공기를 흡입하거나 배출하는 것을 필요로 하는 다른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환기 팬 또는 공기 조화기 등에서, 필터 및 필터의 프레임은 서로 부착되거나 함께 일체화된다. 따라서, 용도에 따라 필터를 교환하는 것이 이전에는 불가능하였다. 게다가, 용도에 따라 필터를 변경하는 것에 대하여 전혀 알지 못하였다. 상기 실시예에서 알 수 있는 것과 기본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는 카세트 필터는 그 용도에 따라 필터를 교환할 수 있도록 한다. 예컨대, 먼지, 오염물 또는 유독 가스 등을 차단하기 위해 채용되는 필터는 환기 팬, 공기 조화기 등이 설치되는 주변 환경에 따라 다른 필터로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다.
상기에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은 먼지와 가스 등의 방지 및 범죄 방지와 재난 예방에 있어서 매우 효과적인 방식으로 환기 팬을 설치하는 장치를 마련할 수 있다.

Claims (9)

  1. 건물의 벽을 관통하여 천공한 구멍에 환기 팬을 설치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환기 팬을 그 안에 고정시키기 위한 L형 하우징과, 벽의 내측에 위치한 하우징의 내측 개구와, 하방을 향하고 벽의 외측에 위치한 하우징의 외측 개구와, 상기 내측 개구와 외측 개구중 어느 하나에 착탈가능한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가 프레임과 이 프레임 내에 교환가능하게 설치되는 필터 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개구에 설치되는 필터가 출입할 수 있도록 된 슬릿이 벽 내측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개구에 설치되는 필터가 출입할 수 있도록 된 슬릿이 벽 내측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건물의 벽을 관통하여 천공한 구멍에 환기 팬을 설치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환기 팬을 그 안에 고정시키기 위한 L형 하우징과, 벽의 내측에 위치한 하우징의 내측 개구와, 벽의 외측에 위치한 하우징의 측면 개구와, 상기 내측 개구와 측면 개구중 어느 하나에 착탈가능한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가 프레임과 이 프레임 내에 교환가능하게 설치되는 필터 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개구에 설치되는 필터가 출입할 수 있도록 된 슬릿이 벽 내측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개구에 설치되는 필터가 출입할 수 있도록 된 슬릿이 벽 내측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환기 장치 또는 공기 조화기에 사용하기 위한 필터에 있어서,
    프레임과, 이 프레임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필터 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KR1019960047711A 1996-10-23 1996-10-23 환기 팬을 설치하기 위한 장치 KR199800285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7711A KR19980028593A (ko) 1996-10-23 1996-10-23 환기 팬을 설치하기 위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7711A KR19980028593A (ko) 1996-10-23 1996-10-23 환기 팬을 설치하기 위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8593A true KR19980028593A (ko) 1998-07-15

Family

ID=66289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7711A KR19980028593A (ko) 1996-10-23 1996-10-23 환기 팬을 설치하기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2859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49698A (en) Apparatus for installing a ventilation fan
US6017375A (en) Air purifier unit
US6953491B2 (en) Exhaust fan for removing airborne materials
US6579168B1 (en) Back-up DC vent system for equipment enclosure
JP4703294B2 (ja) 筐体装置
JP4293860B2 (ja) 換気用の通風装置
JP4591160B2 (ja) 換気扇取付装置
JP2904259B2 (ja) 換気扇取付装置
KR19980028593A (ko) 환기 팬을 설치하기 위한 장치
KR20200018068A (ko) 하수처리시설의 배전함
JPH10110985A (ja) 換気扇取付装置
KR20100090221A (ko) 온도 조절 장치
JP3025085U (ja) 窓用空気清浄換気器
US7354473B2 (en) NBC-building protection system and method
JP2506237Y2 (ja) 電子機器収納用の筐体
JP3872149B2 (ja) 屋外設置型配電塔の通気孔構造
JPH112445A (ja) 室内空気の換気システム
KR200155721Y1 (ko) 에어콘 배관용 캡
JPH11118236A (ja) 建造物用換気装置
KR100779246B1 (ko) 공기순환창
CN212746531U (zh) 一种屋顶排烟装置
JPH0755192A (ja) 空気調和機の室外ユニット
JP2005068907A (ja) 外気導入用窓
JP4031126B2 (ja)
JPH05177152A (ja) 空気清浄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