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7402U - 전기 집진기용 추타 해머 - Google Patents

전기 집진기용 추타 해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7402U
KR19980027402U KR2019960040336U KR19960040336U KR19980027402U KR 19980027402 U KR19980027402 U KR 19980027402U KR 2019960040336 U KR2019960040336 U KR 2019960040336U KR 19960040336 U KR19960040336 U KR 19960040336U KR 19980027402 U KR19980027402 U KR 1998002740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mmer
dust collector
grip
electric dust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03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43133Y1 (ko
Inventor
김현돈
Original Assignee
김정국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국,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정국
Priority to KR20199600403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3133Y1/ko
Publication of KR1998002740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740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31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313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74Cleaning the electrodes
    • B03C3/76Cleaning the electrodes by using a mechanical vibrator, e.g. rapping gear ; by using impa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전기 집진기의 내부에 설치되어 집진판 및 방전극의 표면에 부착되는 분진을 주기적인 추타 작용에 의해 분리시켜서 전기 집진기가 연속적이고 효율적으로 집진 및 방전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전기 집진기용 추타 해머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구성은 원형의 머리부(12) 상부로 폭이 좁은 증설부(14)가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이 증설부(14)의 최상부에 머리부(12)보다 적은 직경을 갖는 연결부(16)가 일체로 형성되는 해머(10)와, 개방부가 결속 볼트(32) 및 결속 너트(34)에 의해 나사 조임 되며, 전기 집진기의 내부에 수직으로 설치된 축과 조립되는 그립(30)과, 상기 해머(10)의 연결부(16)가 삽입되어 수평으로 관통되는 연결핀(18)에 의해 고정되며, 상부가 수직상으로 관통되는 고정핀(26)에 의해 그립(30)의 하부에 고정 결합되는 홀더(20)로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전기 집진기용 추타 해머
본 고안은 전기 집진기용 추타 해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기 집진기의 내부에 설치되어 집진판 및 방전극의 표면에 부착되는 분진을 주기적인 추타 작용에 의해 분리시켜서 전기 집진기가 연속적이고 효율적으로 집진 및 방전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전기 집진기용 추타 해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 집진기용 추타 해머는 전기 집진기의 내부에 설치되는데, 전기 집진기의 내부에서 연소 가스의 흐름 방향에 직각으로 설치되어 있는 축에 일정한 간격을 구비하여 조립되어 이 축이 회전하는 동안에 조립되어진 추타 해머들이 순차적으로 낙하하면서 방전 프레임을 타격 하여서 집진판 및 방전극에 부착된 분진을 추타 진동에 의해 분리시켜 전기 집진기가 연속적이고 효율적인 집진 및 방전을 수행하도록 하고 있다.
종래의 전기 집진기용 추타 해머(100)는 도 3 에서와 같이 원형의 머리부(110) 양단부를 협지하여 고정하는 한 쌍의 레버(160,162)를 수평 방향으로 관통하여 나사 조임 되는 결속 볼트(320) 및 결속 너트(340)에 의해 상1W하부가 관통되는 원형의 홀을 구비하는 그립(300)의 하단부 홀더(200)에 고정핀(180)으로 고정 결합하며, 이 그립(300)의 상부 홀을 전기 집진기의 추타축에 조립하여서 되는 구조로 되어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추타 해머(100)는 단순히 해머(100)의 머리부(110)와 축에 조립되는 그립(300)을 고정핀(180)으로 연결하여 고정 결합하는 것으로, 전기 집진기 내부의 연소 가스에 의해 머리부(110)를 협지하여 고정하고 있는 레버(160,162)가 열 변형되어 해머(100)가 축으로부터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전기 집진기의 내부에서 축에 조립된 상태로 순차 하강하면서 집진판 및 방전극이 조립되어진 방전 프레임을 타격하는 종래의 추타 해머(100)는 고온의 연소 가스에 의해 전진 집진기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머리부(110)를 협지고정하는 한 쌍의 레버(160,162)가 변형되고, 이로 인해 머리부(110)와 레버(160,162) 뭉치가 그립(300)을 간섭하게 되어 작동 불능의 상태가 되거나 또는 그립(300)의 변형으로 인해 해머(100)가 축으로부터 이탈되어 집진판 및 방전극이 조립되어진 방전 프레임에 타격을 가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이러한 경우 집진판 및 방전극의 표면에 부착되어진 분진을 분리시키지 못하게 되어 전기 집진기의 집진 효율을 저하시키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전기 집진기의 내부에 설치되어 집진판 및 방전극의 표면에 부착되는 분진을 주기적인 추타 작용에 의해 분리시켜서 전기 집진기가 연속적이고 효율적으로 집진 및 방전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전기 집진기용 추타 해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원형의 머리부 상부로 폭이 좁은 증설부가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이 증설부의 최상부에 머리부보다 적은 직경을 갖는 연결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해머와, 개방부가 결속 볼트 및 결속 너트에 의해 나사 조임 되며, 전기 집진기의 내부에 수평으로 설치된 축과 조립되는 그립과, 상기 해머의 연결부가 삽입되어 수평으로 관통되는 연결핀에 의해 고정되며, 상부가 수직상으로 관통되는 고정핀에 의해 그립의 하부에 고정 결합되는 홀더로 구성되는 전기 집진기용 추타 해머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도 1 은 본 고안의 일측면도,
도 2 는 본 고안의 결합 구성을 보인 일부 단면도,
도 3 은 종래 고안의 결합 구성을 보인 일부 단면도 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해머 (12) : 머리부
(14) : 증설부 (16) : 연결부
(18) : 연결핀 (20) : 홀더
(22) : 와셔 (24) : 스프링핀
(26) : 고정핀 (30) : 그립
(32) : 결속 볼트 (34) : 결속 너트
다음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도 1 및 도 2 에는 본 고안에 따른 전기 집진기용 추타 해머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 전기 집진기용 추타 해머는 전기 집진기의 내부에서 연소 가스의 흐름 방향에 직각으로 설치되는 축과 결합되는 그립(30)과, 방전 프레임을 타격하여 집진판 및 방전극의 표면에 부착된 분진을 분리시키는 해머(10)와, 상기 그립(30)과 해머(10)를 결합하는 홀더(20)로 구성된다.
상기 해머(10)는 원형의 머리부(12)와, 연결부(16), 그리고, 증설부(14)가 일체로 동일한 두께를 구비하며 구성된다.
상기 머리부(12)는 방전 프레임을 직접 타격하는 부분이고, 연결부(16)는 이 머리부(12) 보다는 적은 직경을 구비하며 형성되며, 증설부(14)는 머리부(12)와 연결부(16)를 연결해 주는 것으로 좁은 폭을 구비하며 형성된다.
상기 해머(10)는 대체적으로 양단부에 원형의 머리부(12)와 연결부(16)가 증설부(14)에 의해 이격되어진 형상을 구비한다.
상기 해머(10)의 연결부(16)에는 동심원을 구비하는 관통홀이 직교하게 형성된다.
상기 홀더(20)는 상부는 수평부를 구비하고, 이 수평부의 양단부는 직각으로 하향되게 절곡되는 ㄷ자 형상을 구비하며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16)에 형성된 관통홀과 대응하는 관통홀이 수직부에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그립(30)은 일측이 수평 방향을 유지하는 개방부가 형성되고, 이 개방부는 결속 볼트(32)와 결속 너트(34)에 의해 막히게 되거나 또는 개방되게 된다.
상기 그립(30)의 하부에는 홀더(20)의 수평부가 면접됨과 동시에 수직으로 관통되어 설치되는 고정핀(26)과 용접 작업에 의해 고정 결합된다.
상기 그립(30)은 수평의 개방부가 결속 볼트(32) 및 결속 너트(34)에 의해 막히게 되거나 또는 개방되고, 홀더(20)는 이 그립(30)의 하부에 고정핀(26)으로 결합되며, 해머(10)는 연결부(16)가 홀더(20)의 수직부 사이에 삽입되어 수평상으로 관통 설치되는 연결핀(18)에 의해 고정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핀(18)의 둘레면에는 스프링핀(24)이 일체로 삽입되어 결합되며, 또한 홀더(20)의 수직부와 연결부(16)의 외측면 사이에는 와셔(22)가 삽입되어 결합된다.
다시 설명하면 전기 집진기의 내부에서 연소 가스의 흐름 방향에 직각으로 설치되어 있는 축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조립되어서 순차적으로 낙하하여 집진판 및 방전극이 조립되어진 방전 프레임을 타격함으로써, 집진판 및 방전극의 표면에 부착된 분진을 분리시키는 추타 해머에 있어서, 원형의 머리부(12) 상부로 폭이 좁은 증설부(14)가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이 증설부(14)의 최상부에 머리부(12)보다 적은 직경을 갖는 연결부(16)가 일체로 형성되는 해머(10)와, 개방부가 결속 볼트(32) 및 결속 너트(34)에 의해 나사 조임 되며, 전기 집진기의 내부에 수평으로 설치된 축과 조립되는 그립(30)과, 상기 해머(10)의 연결부(16)가 삽입되어 수평으로 관통되는 연결핀(18)에 의해 고정되며, 상부가 수직상으로 관통되는 고정핀(26)에 의해 그립(30)의 하부에 고정 결합되는 홀더(20)로 구성되는 것이다.
그러면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효과에 관해 설명하겠다.
전기 집진기 내부에서 해머(10)가 집진판 및 방전극이 조립된 방전 프레임을 타격하여 집진판 및 방전극의 표면에 부착된 분진을 분리시킬 시 고온의 연소 가스에 의한 열변형과 연속 반복적인 추타작용으로 인한 충격에도 그립(30)에 수직으로 결합된 결속 볼트(32) 및 결속 너트(34)에 의해 축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고, 또한 홀더(20)에 연결핀(18)으로 고정 결합된 해머(10) 역시 연결핀(18)의 둘레에 일체로 삽입 결합된 스프링 핀(24)에 의해 견고하게 결합되어 해머(10)가 홀더(20)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다.
그리고, 해머(10)는 홀더(20)와 결합되는 연결부(16) 및 타격부인 머리부(12)가 폭이 좁은 증설부(14)에 의해 단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열변형이 미연에 방지되는 것이다.
따라서, 고온의 연소 가스에 의해 해머(10)가 열변형 되는 것이 방지됨과 동시에 각 결속부가 견고하게 결합되는 축에서 이탈되는 것이 미연에 방지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전기 집진기의 분진을 효과적으로 연속 수행할 수 있음과 동시에 집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어 안정적인 성능을 유지할 수 있으며, 또한, 유지 보수비를 절감할 수 있어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전기 집진기의 내부에서 연소 가스의 흐름 방향에 직각으로 설치되어 있는 축 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조립되어서 순차적으로 낙하하여 집진판 및 방전 극이 조립되어진 방전 프레임을 타격함으로써, 집진판 및 방전극의 표면에 부 착된 분진을 분리시키는 추타 해머에 있어서;
    a) 원형의 머리부(12) 상부로 폭이 좁은 증설부(14)가 일체로 연장되어 형 성되고, 이 증설부(14)의 최상부에 머리부(12)보다 적은 직경을 갖는 연결부 (16)가 일체로 형성되는 해머(10)와;
    b) 개방부가 결속 볼트(32) 및 결속 너트(34)에 의해 나사 조임 되며, 전 기 집진기의 내부에 수평으로 설치된 축과 조립되는 그립(30)과;
    c) 상기 해머(10)의 연결부(16)가 삽입되어 수평으로 관통되는 연결핀(18) 에 의해 고정되며, 상부가 수직상으로 관통되는 고정핀(26)과 용접 작업 의해 그립(30)의 하부에 고정 결합되는 홀더(2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 기 집진기용 추타 해머.
KR2019960040336U 1996-11-15 1996-11-15 전기 집진기용 추타 해머 KR2001431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0336U KR200143133Y1 (ko) 1996-11-15 1996-11-15 전기 집진기용 추타 해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0336U KR200143133Y1 (ko) 1996-11-15 1996-11-15 전기 집진기용 추타 해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7402U true KR19980027402U (ko) 1998-08-05
KR200143133Y1 KR200143133Y1 (ko) 1999-06-01

Family

ID=19474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0336U KR200143133Y1 (ko) 1996-11-15 1996-11-15 전기 집진기용 추타 해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3133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2139A (ko) * 2002-08-01 2004-02-11 주식회사 포스코 전기 집진기의 집진판 타격용 햄머
KR100900799B1 (ko) * 2008-05-14 2009-06-04 (주)하이텍산업개발 화력발전소의 집진기용 추타장치
CN114392841A (zh) * 2022-01-27 2022-04-26 淮阴工学院 一种多孔型重锤固定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2139A (ko) * 2002-08-01 2004-02-11 주식회사 포스코 전기 집진기의 집진판 타격용 햄머
KR100900799B1 (ko) * 2008-05-14 2009-06-04 (주)하이텍산업개발 화력발전소의 집진기용 추타장치
CN114392841A (zh) * 2022-01-27 2022-04-26 淮阴工学院 一种多孔型重锤固定装置
CN114392841B (zh) * 2022-01-27 2024-04-05 淮阴工学院 一种多孔型重锤固定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43133Y1 (ko) 1999-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91560B2 (en) Impact rapping device
US6074296A (en) Case for power supply
KR200143133Y1 (ko) 전기 집진기용 추타 해머
JP2983432B2 (ja) 内燃機関の排気マフラー構造
US5366540A (en) Rapping mechanism for rapping the electrodes of an electrostatic precipitator
KR101976488B1 (ko) 전기 집진기
US20070157652A1 (en) Ice-making unit for flow-down type ice maker
KR0125811Y1 (ko) 전기집진기용 추타햄머 고정장치
US6167861B1 (en) Mounting configuration for the exhaust pipe cover of an engine
CN115608706A (zh) 一种电力设备用清理工具
CN215817779U (zh) 油梁机用半直驱低速大扭矩开关磁阻电机
JPS6287263A (ja) 電気集じん機
CN209948629U (zh) 一种基于架空线路覆冰去除装置
CN216381591U (zh) 一种应用于发动机上的限位型隔热罩
JP2003129614A (ja) 重ね葺き用屋根材固定装置及び重ね葺き用屋根材固定方法
CN212928049U (zh) 一种冷却塔蓄能发电装置
CN214366448U (zh) 内置式加热器及发动机
CN211774076U (zh) 一种破碎锤防飞溅装置
CN214313912U (zh) 一种可自清洁的散热型低压柜
KR910009095Y1 (ko) 열풍발생기의 모터 방진장치
JP4766257B2 (ja) 放電線の倒れ止め方法、及び倒れ止めフレーム
CN217949378U (zh) 一种防冷桥单元、防冷桥支座和建筑结构
CN215636319U (zh) 一种可远程遥控的摄像装置
CN218375786U (zh) 一种新型装配式施工围挡
CN210279499U (zh) 一种电捕除尘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