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6488B1 - 전기 집진기 - Google Patents

전기 집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6488B1
KR101976488B1 KR1020170062412A KR20170062412A KR101976488B1 KR 101976488 B1 KR101976488 B1 KR 101976488B1 KR 1020170062412 A KR1020170062412 A KR 1020170062412A KR 20170062412 A KR20170062412 A KR 20170062412A KR 101976488 B1 KR101976488 B1 KR 1019764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collecting
collecting plate
dust
uni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24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27074A (ko
Inventor
문성호
Original Assignee
한라산업개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산업개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산업개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624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6488B1/ko
Publication of KR201801270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70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64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64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Landscapes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집진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집진기는, 정전기력을 이용하여 미세분진을 포집하는 전기 집진기에 있어서, 전후방향으로 대향되어 이격 배치되는 제1 집진 유닛과 제2 집진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집진 유닛은,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집진판과 제2 집진판; 상기 제1 집진판과 상기 제2 집진판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집진판과 상기 제2 집진판을 연결하는 제1 연결 부재; 및 상기 제1 집진판과 상기 제2 집진판을 각각 추타하는 제1 추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집진 유닛은,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제3 집진판과 제4 집진판; 상기 제3 집진판과 상기 제4 집진판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3 집진판과 상기 제4 집진판을 연결하는 제2 연결 부재; 및 상기 제3 집진판과 상기 제4 집진판을 각각 추타하는 제2 추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집진판과 상기 제3 집진판은 서로 대향되어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제2 집진판과 상기 제4 집진판은 서로 대향되어 이격 배치된다.

Description

전기 집진기{ELECTROSTATIC PRECIPITATOR}
본 발명은 전기 집진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의 집진판으로 이루어져 추타력 감소의 문제를 해결하고 유효 집진 면적을 증가시켜, 집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기 집진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산업화와 함께 환경오염이 심화되면서 환경문제에 대한 사회적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가 다각도로 진행되고 있다. 환경오염의 문제는 그 해결 차원에서 볼때, 크게 대기오염과 수질오염 그리고 토양오염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 중 대기오염의 문제는 일찍이 서방 선진국들에 의해 심각하게 인식되어져 왔고, 한국도 그 정도가 날로 심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대기오염 물질을 효과적으로 제어하기 위하여 오늘날 많은 장치들이 사용되고 있으며, 또한 연구, 개발되고 있다. 원심력을 이용하는 사이클론(Cyclone), 화학적 반응을 이용하여 유해 가스를 제거하는 스크루버(Scrubber), 입자를 대전시켜 정전기력으로 집진하는 전기 집진기(Electrostatic Precipitator, ESP) 등이 그 대표적인 장치들이다.
이 중 전기 집진기는 높은 집진효율과 적은 압력손실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어 석탄 연소보일러 및 화력발전소 등에서 매연입자와 애쉬(ash) 등을 제거하는데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보다 많은 유량을 처리할 수 있는 고효율의 전기집진기를 개발하기 위하여 핵심 부분이라 할 수 있는 집진부(collcting plate)와 방전부(discharge electrode)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전기 집진기는 양 측에 두 개의 집진판 사이에 방전부가 위치한다. 전기 집진기는 화력발전소에서 발생하는 대용량의 연소가스를 처리하기 위해 넓은 집진면적이 필요하며, 넓은 집진면적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집진판을 길이방향 또는 상하방향으로 확장해야 한다.
그러나 집진판의 길이방향으로의 확장은 부지확장이 필수적이고, 이는 일반적으로 제한적이어서 어려움이 많으므로, 상하방향으로의 확장이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상하 방향으로의 무조건적인 높이 확장은 집진판의 직진도 및 현장 조립시 휨 등에 의한 변형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집진판 일측에서 추타가 실시되는 경우, 추타되는 부위에서 멀어질수록 추타력의 전달이 감소하게 되므로 집진 유효 면적이 줄어들고, 집진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집진판의 상하 방향으로의 자유로운 확장이 가능하여, 한정된 부지에 더 큰 용량을 가지는 전기 집진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집진 유효 면적을 늘려 집진판에 쌓이는 더스트(dust)가 효율적으로 탈루될 수 있는 전기 집진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집진판의 전 면적에 추타력을 전달하여 집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기 집진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복수의 집진판 간에 추타력이 효율적으로 전달되어 집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기 집진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복수의 집진판 간격을 소정거리 이상으로 이격되도록 유지함으로써, 집진판 간에 스파크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집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기 집진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전기 집진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정전기력을 이용하여 미세분진을 포집하는 전기 집진기에 있어서, 전후방향으로 대향되어 이격 배치되는 제1 집진 유닛과 제2 집진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집진 유닛은,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집진판과 제2 집진판; 상기 제1 집진판과 상기 제2 집진판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집진판과 상기 제2 집진판을 연결하는 제1 연결 부재; 및 상기 제1 집진판과 상기 제2 집진판을 각각 추타하는 제1 추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집진 유닛은,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제3 집진판과 제4 집진판; 상기 제3 집진판과 상기 제4 집진판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3 집진판과 상기 제4 집진판을 연결하는 제2 연결 부재; 및 상기 제3 집진판과 상기 제4 집진판을 각각 추타하는 제2 추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집진판과 상기 제3 집진판은 서로 대향되어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제2 집진판과 상기 제4 집진판은 서로 대향되어 이격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연결 부재는, 상기 제1 집진판의 하부에 결합하는 제1 하부 프레임; 상기 제2 집진판의 상부에 결합하는 제2 상부 프레임; 및 상기 제1 하부 프레임와 상기 제2 상부 프레임을 연결하는 제1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하부 프레임와 상기 제2 상부 프레임은 상하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집진판과 상기 제3 집진판의 이격 거리를 소정 범위 내로 유지하는 스페이서 유닛;을 더 포함하되, 상기 스페이서 유닛은, 그 길이 방향이 상기 제1 집진판으로부터 상기 제3 집진판을 향하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돌출되어 그 일측과 타측이 각각 상기 제1 집진판과 상기 제3 집진판을 지지하는 간극 유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집진판과 상기 제3 집진판은 상기 간극 유지부를 사이에 두어, 서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을 유지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부에는 상기 간극 유지부의 일측이 삽입되는 슬라이딩홈이 형성되고, 상기 간극 유지부는 상기 슬라이딩홈 내에서 상기 베이스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제공되되, 상기 간극 유지부는 상기 슬라이딩홈 내의 소정 위치에서 고정 가능하도록 단계적으로 이동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간극 유지부는 일측에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1 프레임의 일측이 상기 간극 유지부의 개구에 끼움 가능하여, 상기 제1 집진판과 상기 제3 집진판의 이격 거리를 소정 간격 범위로 유지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연결부의 일측은 고리 형상으로 제공되어, 상기 제1 프레임의 전면 및 후면을 관통하고, 상기 제1 연결부의 타측은 상기 제2 프레임의 전면 및 후면을 관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집진판의 상하 방향으로의 확장이 가능하여, 한정된 부지에 설치되는 전기 집진기의 용량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집진 유효 면적을 늘려 집진판에 쌓이는 더스트(dust)가 효율적으로 탈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집진판의 전 면적에 추타력을 전달하여 집진 효율을 향상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복수의 집진판 간에 추타력이 효율적으로 전달되어 집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복수의 집진판 간격을 소정거리 이상으로 이격되도록 유지함으로써, 집진판 간에 스파크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집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집진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집진기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B-B' 에 대하여 절단하여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는 집진판, 프레임, 실드부의 결합을 보여주는 조립도이다.
도 5는 도 2의 C-C'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서 집진 유닛이 스페이서 유닛과 결합된 A영역을 확대해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제1 실시예에 의한 스페이서 유닛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은 제2 실시예에 의한 스페이서 유닛과 그 내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제3 실시예에 의한 스페이서 유닛과, 집진판이 스페이서 유닛에 끼워진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 과장된 것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집진기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집진기(10)는 제1 집진 유닛(100), 제2 집진 유닛(200), 스페이서 유닛(300), 그리고 방전 유닛(미도시)을 포함한다.
제1 집진 유닛(100)과 제2 집진 유닛(200)은 전후방향, 즉 앞뒤로 배치된다. 제1 집진 유닛(100)의 후방에 제2 집진 유닛(200)이 배치된다. 제1 집진 유닛(100)과 제2 집진 유닛(200)은 서로 대향되어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제1 집진 유닛(100)과 제2 집진 유닛(200)의 이격된 사이 공간에는 방전 유닛(미도시)이 위치하며, 더스트(dust)가 포함된 가스가 통과한다. 제1 집진 유닛(100)과 제2 집진 유닛(200)은 가스에 포함된 더스트(dust)를 집진하는 역할을 한다.
제1 집진 유닛(100)과 제2 집진 유닛(200)은 서로 대응되는 동일한 구성으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집진 유닛(100)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제2 집진 유닛(200)에서는 중복되는 부분은 생략하여 간략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제2 집진 유닛(200)의 후방에 제3 집진 유닛이 배치될 수 있고, 제3 집진 유닛의 후방에 제4 집진 유닛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배치되는 방식 및 각 집진 유닛의 구성은 반복되는 형태로 동일하게 제공될 수 있다.
제1 집진 유닛(100)은 제1 집진판(110), 제2 집진판(120), 제1 연결 부재(130), 제1 추타 부재(140)를 포함한다. 제1 집진판(110)과 제2 집진판(120)은 상하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일 예로, 상측에는 제1 집진판(110)이 배치된다. 제1 집진판(110)의 하측에는 제2 집진판(120)이 배치된다. 각 집진판에는 가스에 포함된 더스트(dust)가 집진된다. 집진된 더스트(dust)는 후술하는 제1 추타 부재(140)에 의해 각 집진판으로부터 탈루되어 배출된다.
제1 집진판(110)은 복수개 제공될 수 있다. 이 때, 각각의 제1 집진판(110)은 서로 측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제2 집진판(120)은 복수개 제공될 수 있다. 이 때, 각각의 제2 집진판(120)은 서로 측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각 집진판(110, 120)은 그 전면 및 후면에 굴곡이 형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집진 효율을 위해서 각 집진판들의 전방 및 후방의 표면은, 돌출부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반복되며 형성되는 패턴을 이룰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는 집진판과 프레임들 간의 결합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제1 연결 부재(130)는 각각의 집진판들을 연결한다. 제1 연결 부재(130)는 제1 프레임(132)와 제2 프레임(134), 제1 실드부(136), 그리고 제1 연결부(138)를 포함한다.
제1 프레임(132)은 제1 상부 프레임(132a)과 제2 상부 프레임(134a)을 포함한다. 제1 상부 프레임(132a)은 제1 집진판(110)의 상부에 결합한다. 제1 상부 프레임(132a)은 제1 집진판(110)의 상부를 감싸도록 결합할 수 있다. 제1 하부 프레임(132b)은 제1 집진판(110)의 하부에 결합한다. 제1 하부 프레임(132b)은 각각 제1 집진판(110)의 하부를 감싸도록 결합할 수 있다. 결합은 볼트 체결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하는 것은 아니다. 제1 상부 프레임(132a)임 및 제1 하부 프레임(132b)은 각각 한 쌍으로 제공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 상부 프레임(132 a)은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하며, 그 사이에 제1 집진판(110)이 위치한다. 한 쌍의 제1 하부 프레임(32b) 또한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하며 그 사이에 제1 집진판(110)이 위치한다.
제2 프레임(134)은 제2 상부 프레임(134a)과 제2 하부 프레임(134b)을 포함한다. 제2 상부 프레임(134a)은 제2 집진판(120)의 상부에 결합한다. 제2 하부 프레임(134b)은 제2 집진판(120)의 하부에 결합한다. 제2 상부 프레임(134a)은 제2 집진판(120)의 상부를 감싸도록 결합할 수 있다. 제2 하부 프레임(134b)은 제2 집진판(120)의 하부를 감싸도록 결합할 수 있다. 결합은 볼트 체결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하는 것은 아니다. 제2 상부 프레임(134a)과 제2 하부 프레임(134b)도 상술한 제1 상부 프레임(132a) 및 제1 하부 프레임(132b)과 같이 각각 서로 마주보도록 한 쌍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제1 하부 프레임(132b)와 제2 상부 프레임(134a)은 상하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될 수 있다.
제1 실드부(136)는 제1 추타 부재(140)에 의한 진동을 집진판에 효율적으로 전달한다. 제1 실드부(136)는 복수개 제공된다. 각각의 제1 실드부(136)는 제1 집진판(110)의 상측 및 하측, 그리고 제2 집진판(120)의 상측 및 하측에서 제1 집진판(110)과 제2 집진판(120)을 감싸도록 제공된다. 각각의 제1 실드부(136)는 제1 집진판(110)과 제1 프레임(132) 사이, 그리고 제2 집진판(120)과 제2 프레임(134) 사이에 위치한다.
제1 추타 부재(140)가 충격 전달 부재(150)를 타격하면, 집진판(110, 120)들이 진동한다. 이 때, 제1 실드부(136)가 집진판(110, 120)들을 상측 및 하측에서 고정하고 있기 때문에 집진판(110, 120)의 진동이 효율적으로 일어날 수 있다. 따라서, 집진판(110, 120)에 집진된 더스트가 더욱 효율적으로 탈루될 수 있다.
또한, 제1 실드부(136)는 제1 집진판(11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1 추타 부재(140)가 충격 전달 부재(150)를 타격하면 전기 집진기(10)가 진동한다. 이 과정에서, 전기 집진기(10) 내의 구성들의 결합이 약해지거나, 또는 제1 집진판이 파손 등 손상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제1 실드부(136)가 제1 집진판(110)을 감싸게 되어, 제1 집진판(110)의 파손이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집진판(110)과 제3 집진판(210)과의 스파크 발생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제1 실드부(136)는 제1 집진 유닛(100)의 집진판(110, 120)과 그의 후방에 위치한 후술하는 제2 집진 유닛(200)의 집진판(210, 220)과의 이격 거리를 더욱 확보하는 기능도 하므로, 집진판들 간에 스파크 발생을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도 4는 집진판, 프레임, 실드부의 결합을 보여주는 조립도이고, 도 5는 도 2의 C-C'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 및 5를 참조하면, 제1 실드부(136)는 제1 집진판(110)의 표면을 감싸도록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실드부(136)는 제1 집진판(110)의 전면과 후면을 제1 집진판(110)의 형상을 따라 그대로 덮으면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집진판(110)의 표면에 형성된 굴곡에 대응되는 굴곡을 가지면서, 제1 집진판(110)의 전면 및 후면을 커버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제1 프레임(132), 제1 실드부(136), 제1 집진판(110)이 볼트 체결로 결합할 수 있다. 즉, 볼트는 제1 프레임(132)의 전면, 제1 실드부(136)의 전면, 제1 집진판(110), 제1 실드부(136)의 후면, 제1 프레임(132)의 후면을 순차적으로 관통한다.
제1 연결부(138)는 제1 집진판(110)과 제2 집진판(120)을 연결한다. 구체적으로는, 제1 하부 프레임(132b)와 제2 상부 프레임(134a)을 연결한다.
일 예로, 도 2의 B-B'에 대한 단면도인 도 3을 참조하면, 제1 연결부(138)의 일측은 고리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고리 형상은 제1 하부 프레임(132b)의 전면 및 후면을 관통한다.
제1 연결부(138)의 타측은 제2 상부 프레임(134a)의 전면 및 후면과 결합할 수 있다. 이때 결합은 볼트 체결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반드시 체결 방식이 이에 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집진기(10)는, 제1 연결부(138)가 고리 형상으로 구비됨으로써, 제1 집진판(110)과 제2 집진판(120)은 각각 별개로 진동하거나 흔들릴 수 있다. 즉, 만약에 제1 추타 부재(140)가 충격 전달 부재(150)를 타격할 때, 제1 집진판(110)과 제2 집진판(120)이 서로 고정 결합이 되어 있다면, 제1 집진판(110)과 제2 집진판(120)이 함께 일체로서 진동하게 되어, 충분한 폭으로 진동하기 어렵다. 이 경우, 집진판에 집진된 더스트의 탈루가 제대로 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제1 집진판(110)과 제2 집진판(120)이 각자 개별적으로 진동하게 되어, 전달되는 충격에 의해 충분한 폭으로 진동이 가능하고, 더스트의 탈루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추타 부재(140)는 제1 집진 유닛(100)을 타격하여, 제1 집진 유닛(100)에 집진된 더스트(dust)를 탈루한다. 제1 추타 부재(140)는 해머(hammer)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추타 부재(140)는 제1 프레임(132)의 일측에 구비된 충격 전달 부재(150)를 타격할 수 있다. 충격 전달 부재(150)에 의해 제1 집진판(110)에 충격이 전달되고, 제1 집진판(110)으로부터 더스트가 탈루된다.
제1 추타 부재(140)는 복수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추타 부재(140)는 상하방향으로 복수개 배치될 수 있다. 즉, 상하방향으로 배치된 각각의 집진판 별로 타격이 가능하도록 제공된다. 제1 추타 부재(140) 중 어느 하나는 제1 집진판(110)의 하부에 결합된 제1 하부 프레임(132b)의 일측을 타격한다. 그리고 제1 추타 부재(140) 중 다른 하나는 제2 집진판(120)의 하부에 결합된 제2 상부 프레임(134a)의 일측을 타격한다. 각각의 집진판을 별도의 추타 부재로 타격함으로써, 추타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제2 집진 유닛(200)은 제1 집진 유닛(100)의 후방에 위치한다. 제2 집진 유닛(200)은 상술한 제1 집진 유닛(100)과 동일한 구성으로 제공된다. 제2 집진 유닛(200)에서의 집진판은 제3 집진판(210)과 제4 집진판(220)을 포함한다. 제3 집진판(210)과 제4 집진판(220)은 상하방향으로 배치된다. 제3 집진판(210)의 하부에 제4 집진판(220)이 배치된다. 제3 집진판(210)은 제1 집진 유닛(100)의 제1 집진판(110)과 서로 대향되도록 이격 배치된다. 제4 집진판(220)은 제1 집진 유닛(100)의 제2 집진판(120)과 서로 대향되도록 이격 배치된다.
제2 집진 유닛(200)에서 제3 집진판(210)과 제4 집진판(220)은 제2 연결 부재(미도시)에 의해 연결된다. 또한, 제3 집진판(210)과 제4 집진판(220)은 제2 추타 부재(미도시)에 의해 추타되어, 더스트가 탈루된다. 제2 연결 부재 및 제2 추타 부재는 상술한 제1 연결 부재(130) 및 제1 추타 부재(140)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 내지 도 10은 스페이서 유닛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스페이서 유닛(300)은 제1 집진 유닛(100)과 제2 집진 유닛(200) 간의 사이의 이격 거리를 소정 범위로 유지한다. 구체적으로, 제1 집진 유닛(100)의 집진판들과 제2 집진 유닛(200)의 집진판들의 거리가 일정 간격 이상이 되도록 한다. 즉, 제1 집진판(110)과 그에 대향되는 제3 집진판(210)의 거리가 일정 간격 이상이 되도록 한다. 그리고, 제2 집진판(120)과 그에 대향되는 제4 집진판(220)의 거리가 일정 간격 이상이 되도록 한다.
도 6, 7은 스페이서 유닛(300)의 제1 실시예, 도 8은 스페이서 유닛(300)의 제2 실시예, 도 9 내지 10은 스페이서 유닛(300)의 제3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6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제1 실시예에 의한 스페이서 유닛(300)은 베이스부(310)와 간극 유지부(320)를 포함한다.
베이스부(310)는 제1 집진 유닛(100)과 제2 집진 유닛(200) 사이를 연결하며 위치한다. 베이스부(310)는 제1 집진 유닛(100)과 제2 집진 유닛(200)의 사이를 가로지르도록 위치할 수 있다. 베이스부(310)는 제1 집진판(110)으로부터 제3 집진판(210)을 향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도 6 및 7에서는 베이스부(310)가 파이프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하는 것은 아니다.
간극 유지부(320)는 베이스부(310)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어, 베이스부(310)에 고정된다. 일 예로, 간극 유지부(320)는 베이스부(310)의 상부에 용접되거나, 베이스부(310)상에 형성된 홈(미도시)에 삽입고정될 수 있다. 간극 유지부(320)는 복수개 제공될 수 있다. 간극 유지부(320)는 앞뒤로 배치된 집진판들의 사이 간격을 일정거리 이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각각의 간극 유지부(320)는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프레임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6을 참조하면, 간극 유지부(320)는 한 쌍의 제2 하부 프레임(134b)의 사이, 그리고 한 쌍의 제4 하부 프레임(234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충격 전달 부재(150)에 충격이 전달되면, 제2 하부 프레임(134b) 및 제4 하부 프레임(234b)이 베이스부 상에서 움직이게 된다. 특히, 전기 집진기(10)를 이루는 다수의 볼트 체결 구조들은 충격이 가해질수록 필연적으로 체결력이 약화될 수 있다는 점에서 더욱 그러하다.
이때, 간극 유지부(320)는 제2 하부 프레임(134b) 및 제4 하부 프레임(@34b)이 일정 범위 이상 벗어나지 못하도록 하여 제2 하부 프레임(134b)과 제4 하부 프레임(234b)의 간격을 소정 거리 이상으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각각의 간극 유지부(320)는 그 양측이 제2 하부 프레임(134b) 또는 제4 하부 프레임(234b)과 각각 측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유격을 형성하며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유격은 제2 집진판(120)이 충분히 진동할 수 있는 소정의 여유 공간을 제공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1 실드부(136)가 집진판(120)의 일부 영역만을 감싸며 고정하고, 타영역들은 감싸지 않으므로, 타영역들이 진동할 때 충분한 여유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또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제1 집진판(110)과 제3 집진판(210) 사이에 간극 유지부(320)가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집진판(110)과 제3 집진판(210)은 적어도 간극 유지부(320)의 길이 이상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도 8은, 제2 실시예에 의한 스페이서 유닛(1300)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을 참고하면, 제2 실시예에 의한 스페이서 유닛(1300)은 베이스부(1310), 간극 유지부(1320)를 포함한다. 스페이서 유닛(1300)은 간극 유지부(1320)가 소정범위 내에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제공된다. 따라서, 제1 집진 유닛(100)과 제2 집진 유닛(200) 사이의 거리 조절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제1 집진판(110)과 제3 집진판(210) 사이의 거리, 또는 제2 집진판(120)과 제4 집진판(220) 사이의 거리를 조절 가능하다.
베이스부(1310)는 상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부(1310)에는 간극 유지부(1320)가 삽입되는 슬라이딩홈(1312)이 형성된다. 베이스부(1310)의 길이방향을 따른 슬라이딩홈(1312)의 길이는 간극 유지부(1320)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된다. 따라서, 간극 유지부(1320)는 슬라이딩홈(1312) 내에서 이동이 가능하여, 위치조절이 가능하다.
한편, 간극 유지부(1320)가 이동한 후, 슬라이딩홈(1312) 내의 특정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다. 일 예로, 간극 유지부(320)의 밑면 가장자리에는 삽입돌기(1322)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홈(1312)의 밑면 가장자리에는 삽입홈(1313)이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삽입돌기(1322)가 삽입홈(1313)에 삽입되었을 때는 간극 유지부(1320)는 그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인위적으로 각 집진판 간의 거리 조정을 위해 간극 유지부(1320)를 슬라이딩 시킬 때는 삽입돌기(1322)가 삽입홈(1313)에서 빠져나온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필요에 따라 추가적으로 볼트 체결을 할 수 있는 홀을 형성하고 볼트 체결로 고정력을 강화하고, 체결 및 해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간극 유지부(1320)가 슬라이딩하면서, 삽입돌기(1322)가 삽입홈에 삽입되거나 빠져나올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간극 유지부(1320)는 단계적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다. 방전 유닛(미도시)에 인가하는 전압의 크기, 그리고 제1 집진 유닛(100)과 제2 집진 유닛(200) 사이에 통과시키는 가스의 양, 각 집진판들의 사양 등 제반 사항을 고려하여, 각 집진판의 사이 간격을 조절하면서 스파크를 방지하면서 집진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1은 제3 실시예에 의한 스페이서 유닛(2300)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고하면, 제3 실시예에 의한 스페이서 유닛(2300)은 베이스부(2310)와 간극 유지부(2320)를 포함하며, 간극 유지부(2320)는 일측에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9와 10과 같이 'ㄷ'자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간극 유지부(2320)는 복수개 제공될 수 있다. 전방에 위치한 간극 유지부(2320)의 'ㄷ'의 개구에는 제1 집진 유닛(100)의 제2 하부 프레임(134b)이 끼워질 수 있다. 후방에 위치한 간극 유지부(2320)의 'ㄷ'의 개구에는 제2 집진 유닛(200)의 프레임이 끼워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집진 유닛(100)과 제2 집진 유닛(200) 간에는 간극 유지부(2320)의 두께만큼에 해당하는 일정 거리 이상의 이격이 확보된다.
베이스부(2310)상에는 고정홀(2312)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간극 유지부(2320)의 바닥면에는 장공(2322)이 형성될 수 있다. 간극 유지부(2320)를 베이스부(23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를 조정하면서, 고정홀(2312)과 장공(2322)이 연통되는 위치에서 볼트를 체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간극 유지부(2320)의 위치를 조정하면서 집진판(120, 220) 간의 이격 거리를 조정할 수 있다.
도 9 내지 11에는 'ㄷ'의 개구가 상측으로 형성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하는 것은 아니다. 즉, 집진 유닛의 하부 프레임이 간극 유지부(320)에 끼워질 수 있는 형태이면 서로 인접한 집진판 간에 이격 거리가 확보될 수 있으므로, 개구의 형성 방향은 어느 것이든 무방하다.
방전 유닛(미도시)은 각 집진 유닛 사이에 구비된다. 일 예로, 제1 집진 유닛(100)과 제2 집진 유닛(200) 사이에 구비된다. 방전 유닛(미도시)은 상하 방향으로 복수개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어느 하나의 방전 유닛(미도시)은 제1 집진판(110)과 제3 집진판(210) 사이에 구비되고, 다른 하나의 방전 유닛(미도시)은 제2 집진판(120)과 제4 집진판(22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각 집진판 사이 공간, 즉 제1 집진 유닛(100)의 집진판과 제2 집진 유닛(200)의 집진판 사이 공간을 통과하는 가스에 포함된 더스트(dust)를 대전시키고, 대전된 더스트는 집진판들에 집진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제1 연결부(138)의 일측이 고리 형상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하는 것은 아니다. 제1 연결부(138)는 제1 하부 프레임(132b)와 제2 상부 프레임(134a)을 서로 연결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것이든 무방하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제1 집진 유닛(100)과 제2 집진 유닛(200)만으로 설명하였으나, 제2 집진 유닛(200)의 후방에는 제3 집진 유닛이 구비되고, 제3 집진 유닛의 후방에는 제4 집진 유닛 등 복수의 집진 유닛이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배치되는 방식 및 각 집진 유닛의 구성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 또한, 도 6 내지 도 11에 도시된 스페이서 유닛에 의하여, 집진 유닛들은 전후방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복수개 설치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각 집진 유닛이 제1 집진판과 제2 집진판, 즉 상하방향으로 2단을 가지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하는 것은 아니고, 추가적으로 집진판을 더 포함하여 상하방향으로 3단 이상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 때, 각 집진판들 간의 연결 구조는 상술한 제1 연결 부재의 구조와 동일하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전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전기 집진기 100: 제1 집진 유닛
110: 제1 집진판 120: 제2 집진판
130: 제1 연결 부재 140: 제1 추타 부재
200: 제2 집진 유닛 300: 스페이서 유닛
310: 베이스부 320: 간극 유지부

Claims (6)

  1. 정전기력을 이용하여 미세분진을 포집하는 전기 집진기에 있어서,
    전후방향으로 대향되어 이격 배치되는 제1 집진 유닛과 제2 집진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집진 유닛은,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집진판과 제2 집진판;
    상기 제1 집진판과 상기 제2 집진판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집진판과 상기 제2 집진판을 연결하는 제1 연결 부재; 및
    상기 제1 집진판과 상기 제2 집진판을 각각 추타하는 제1 추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집진 유닛은,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제3 집진판과 제4 집진판;
    상기 제3 집진판과 상기 제4 집진판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3 집진판과 상기 제4 집진판을 연결하는 제2 연결 부재; 및
    상기 제3 집진판과 상기 제4 집진판을 각각 추타하는 제2 추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집진판과 상기 제3 집진판은 서로 대향되어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제2 집진판과 상기 제4 집진판은 서로 대향되어 이격 배치되며
    상기 제1 연결 부재는,
    상기 제1 집진판의 하부에 결합하는 제1 하부 프레임;
    상기 제2 집진판의 상부에 결합하는 제2 상부 프레임; 및
    상기 제1 하부 프레임와 상기 제2 상부 프레임을 연결하는 제1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하부 프레임와 상기 제2 상부 프레임은 상하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며,
    상기 제1집진판의 하부의 일측과 상기 제2집진판의 상부의 일측에서 상기 제1, 제2 집진판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갭이 형성되어 상기 갭에 제1, 제2 집진판이 끼워지며 상기 제1 집진판과 함께 제1 하부 프레임에, 상기 제2 집진판과 함께 제2 상부 프레임에 배치되는 제1 실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집진판과 상기 제3 집진판의 이격 거리를 소정 범위 내로 유지하는 스페이서 유닛을 더 포함하되
    상기 스페이서 유닛은
    길이 방향이 상기 제1집진판으로부터 상기 제3집진판을 향하되 슬라이딩홈이 형성된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돌출되어 일측과 타측이 상기 제1집진판과 상기 제3집진판을 지지하는 간극 유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슬라이딩홈은 상기 간극 유지부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홈의 밑면 가장자리에 돌출된 부분과 홈이 연속되어 배치된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간극 유지부의 하부에는 삽입돌기가 형성된 전기 집진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집진판과 상기 제3 집진판의 이격 거리를 소정 범위 내로 유지하는 스페이서 유닛;을 더 포함하되,
    상기 스페이서 유닛은,
    그 길이 방향이 상기 제1 집진판으로부터 상기 제3 집진판을 향하는 베이스부; 및
    상기 제1 집진판을 지지하는 간극 유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간극 유지부는 일측에 개구가 형성되어, 제1 프레임의 일측이 상기 간극 유지부의 개구에 끼움으로써, 상기 제1 집진판과 상기 제3 집진판의 이격 거리를 소정 간격 범위로 유지하는 전기 집진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집진기는
    상기 제1 연결부의 일측은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하부 프레임의 전면 및 후면을 관통하고, 양단이 상기 제2 상부 프레임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고정되어 설치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집진기.
KR1020170062412A 2017-05-19 2017-05-19 전기 집진기 KR1019764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2412A KR101976488B1 (ko) 2017-05-19 2017-05-19 전기 집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2412A KR101976488B1 (ko) 2017-05-19 2017-05-19 전기 집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7074A KR20180127074A (ko) 2018-11-28
KR101976488B1 true KR101976488B1 (ko) 2019-08-28

Family

ID=64561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2412A KR101976488B1 (ko) 2017-05-19 2017-05-19 전기 집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64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3716A (ko) * 2021-06-03 2022-12-12 민성전자 주식회사 전기 집진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8344B1 (ko) * 2019-02-27 2019-09-04 함수환 전기집진기용 집진판의 휨 방지를 위한 지지장치
KR102041353B1 (ko) * 2019-02-27 2019-11-06 함수환 전기집진기의 집진판용 간격유지구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4938B2 (ja) 1997-03-07 2000-01-31 株式会社オーデン 電気集塵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1232238A (ja) 2000-02-25 2001-08-28 Mitsubishi Heavy Ind Ltd 湿式電気集塵装置
JP2009226297A (ja) * 2008-03-21 2009-10-08 Hitachi Plant Technologies Ltd 乾式電気集塵機用集塵極板。
KR101059985B1 (ko) 2010-01-18 2011-08-26 주식회사 우리디씨아이 집진장치용 스파크 프로텍터
KR101140446B1 (ko) 2011-10-05 2012-04-30 김도균 전기집진기의 추타장치
KR101446744B1 (ko) 2012-11-28 2014-10-01 주식회사 엔아이티코리아 상부 추타방식의 전기집진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10001502Y1 (ko) * 1977-06-09 1981-10-16 시이나 가쓰오 전기집진기의 집진전극 연결장치
JPH05261313A (ja) * 1992-03-18 1993-10-12 Daikin Ind Ltd 電気集塵エレメント
KR19990009963A (ko) * 1997-07-14 1999-02-05 최봉락 전기 집진기의 플라즈마 방전용 와이어 전극
KR100643352B1 (ko) * 2004-12-27 2006-11-10 주식회사 포스코 전기 집진기의 분진제거장치
KR20170004199A (ko) * 2015-07-01 2017-01-11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단락방지용 스페이서를 구비한 전기집진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4938B2 (ja) 1997-03-07 2000-01-31 株式会社オーデン 電気集塵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1232238A (ja) 2000-02-25 2001-08-28 Mitsubishi Heavy Ind Ltd 湿式電気集塵装置
JP2009226297A (ja) * 2008-03-21 2009-10-08 Hitachi Plant Technologies Ltd 乾式電気集塵機用集塵極板。
KR101059985B1 (ko) 2010-01-18 2011-08-26 주식회사 우리디씨아이 집진장치용 스파크 프로텍터
KR101140446B1 (ko) 2011-10-05 2012-04-30 김도균 전기집진기의 추타장치
KR101446744B1 (ko) 2012-11-28 2014-10-01 주식회사 엔아이티코리아 상부 추타방식의 전기집진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3716A (ko) * 2021-06-03 2022-12-12 민성전자 주식회사 전기 집진장치
KR102524342B1 (ko) * 2021-06-03 2023-04-24 민성전자 주식회사 전기 집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7074A (ko) 2018-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6488B1 (ko) 전기 집진기
TWI552801B (zh) 用於靠近靜電集塵器之高壓部分的結構之電屏蔽裝置
EP3034943B1 (en) Duct wall surface structure
KR101199552B1 (ko) 허니컴대전부를 갖는 유도전압 전기집진장치
KR102232239B1 (ko) 내진성이 향상된 케이블 트레이 연결장치
JP6333697B2 (ja) 電気集じん装置
RU2132017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тделителя твердых частиц ударного типа (варианты)
EP1965133B1 (en) Assembly for ash removal from a particle separator
US4276056A (en) Method of removing particulate matter from precipitator plate
KR101164912B1 (ko) 전기집진기용 집진판
KR101620965B1 (ko) 일체형 집진장치
KR20090004552U (ko) 전기 집진기의 집진판 고정구조
JPS59142399A (ja) ハンマの打撃によるボイラチユ−ブのダスト除去装置
CN216710703U (zh) 落煤桶组件及输煤系统
JP5553895B2 (ja) 静電フィルタ
CN205308575U (zh) 一种电除尘器
CN214132218U (zh) 一种带蒸汽加热管的电除尘灰斗
CN211070461U (zh) 一种用于收尘极板排限位的装置
CN211706294U (zh) 一种组合式火花捕集器
RU221867U1 (ru) Электрофильтр
RU189976U1 (ru) Осадительный электрод электрофильтра
RU1464352C (ru) Электрофильтр
Chekalov et al.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Electric Precipitators for Thermal Power Plants by Improving Collecting Electrodes
JPS6141251B2 (ko)
KR0134484Y1 (ko) 공기정화장치용 전기집진기의 집진극판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