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0446B1 - 전기집진기의 추타장치 - Google Patents

전기집진기의 추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0446B1
KR101140446B1 KR1020110101219A KR20110101219A KR101140446B1 KR 101140446 B1 KR101140446 B1 KR 101140446B1 KR 1020110101219 A KR1020110101219 A KR 1020110101219A KR 20110101219 A KR20110101219 A KR 20110101219A KR 101140446 B1 KR101140446 B1 KR 1011404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arm
rotary
dust collecting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12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도균
Original Assignee
김도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도균 filed Critical 김도균
Priority to KR10201101012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04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04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04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74Cleaning the electrodes
    • B03C3/76Cleaning the electrodes by using a mechanical vibrator, e.g. rapping gear ; by using impa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샤프트는 물론 추타부 전체를 분해하지 않고도 어느 하나의 추타부나 로터리햄머만을 별도로 용이하게 교체 및 조립할 수 있어 교체작업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고, 그에 따라 유지보수 및 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전기집진기의 추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복수의 집진판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샤프트와, 상기 집진판과 각각 대응되도록 상기 샤프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고정 결합되고, 상기 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상기 집진판을 각각 타격하는 복수의 추타부와, 상기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는, 상기 추타부가 각각 고정 결합되는 외주면에 내측으로 함몰되는 평면 프로파일홈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추타부 각각은, 일단이 별도로 분리되어 탈착 가능한 고정캡과 상기 샤프트의 평면 프로파일홈을 사이에 두고 형합되도록 결합볼트를 통해 고정 결합되는 고정암과, 일단이 상기 고정암의 타단과 힌지 결합되는 회전암과, 상기 회전암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집진판을 타격하는 로터리햄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전기집진기의 추타장치{RAPPING DEVICE FOR ELECTROSTATIC PRECIPITATOR}
본 발명은 화력발전소와 같이 연소가스 중에 부유하는 분진을 전기적으로 집진하는 전기집진기의 집진효율을 지속시키기 위하여 집진판에 포집된 분진을 떨어내는 전기집진기의 추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석탄 및 오일 연소 화력발전소, 시멘트 및 제철 등의 산업체에서는 먼지 및 분진 등이 배출되지 않도록 전기적 코로나 방전을 이용하여 정전 흡입력으로 모아 기체를 깨끗하게 하는 전기집진기를 필수적으로 사용한다. 이러한 전기집진기는 먼지 및 분진뿐만 아니라 SOx나 NOx 등 유해 성분까지 제거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전기집진기를 오랜 시간 사용하다 보면, 분진을 집진하는 집진판에 분진막이 형성되어 집진효율을 저하시키게 된다. 따라서, 집진판에 형성된 분진막을 제거하여 지속적인 집진력을 유지하도록 상기 집진판을 타격하여 분진막을 집진판으로부터 떨어내는 전기집진기의 추타장치가 설치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전기집진기의 집진 챔버 및 추타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전기집진기의 추타장치 중 추타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상기 전기집진기는 보통 연소가스 중에 부유하는 분진을 대전시키고 대전된 분진의 극성에 따라 이동시켜 분진 포집 작용을 하는 집진 챔버(1)와, 상기 집진 챔버(1) 내의 집진판(10)을 타격하여 포집된 분진을 떨어내는 추타장치(2)와, 상기 추타장치(2)에서 떨어낸 분진을 수집하고 이송하는 회처리 설비(미도시)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전기집진기의 추타장치(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집진판(10)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샤프트(20)와, 각각의 집진판(10)과 대응되도록 상기 샤프트(20)의 길이방향을 따라 고정 결합되고, 상기 샤프트(20)의 회전에 따라 각각의 집진판(10)을 타격하는 복수의 추타부(30)와, 상기 샤프트(20)를 회전시키는 모터(40)를 포함한다.
또한, 종래의 상기 추타부(30) 각각은 도 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샤프트(20)에 삽입되면서 키(31a) 결합 및 압박볼트(31b)를 통해 상기 샤프트(20)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암(31)과, 일단이 상기 고정암(31)의 타단과 힌지(32a) 결합되는 회전암(32)과, 상기 회전암(32)의 타단에 리벳(33a) 결합되어 상기 집진판(10)을 타격하는 로터리햄머(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전기집진기의 추타장치(2)는 계속적인 반복타격으로 인한 햄머 및 암에 충격이 가해지게 되고, 이렇게 반복되는 충격으로 인해 피로가 누적되면서 고정암(31)의 키(31a) 연결부위, 회전암(32)의 힌지(32a) 연결부위 및 로터리햄머(33)의 타격부위 등이 쉽게 손상된다. 따라서, 각 구성요소의 손상된 부위별로 새것으로 교체하는 작업을 수행해야 함은 당연할 것이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전기집진기의 추타장치(2)는, 첫째 고정암(31)의 일단이 샤프트(20)에 삽입되므로 어느 하나의 추타부(30)를 교환해야 할 경우라도 샤프트(20)는 물론이거니와 모든 추타부(30)를 함께 해체한 다음 재조립해야 하는 비효율적인 문제가 있다.
또한, 어느 하나의 추타부(30) 중 로터리햄머(33) 만을 교체하고자 할 경우에도 회전암(32)의 타단에 리벳(33a) 결합되어 있으므로, 최소한 추타부(30) 전체를 교체해야 하는 자재낭비와 함께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900799호(2009.06.04) 일본공개실용신안공보 소53-079472호(1978.07.01)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샤프트는 물론 추타부 전체를 분해하지 않고도 어느 하나의 추타부나 로터리햄머만을 별도로 용이하게 교체 및 조립할 수 있어 교체작업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고, 그에 따라 유지보수 및 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전기집진기의 추타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된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집진기의 추타장치는, 복수의 집진판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샤프트와, 상기 집진판과 각각 대응되도록 상기 샤프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고정 결합되고, 상기 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상기 집진판을 각각 타격하는 복수의 추타부와, 상기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는, 상기 추타부가 각각 고정 결합되는 외주면에 내측으로 함몰되는 평면 프로파일홈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추타부 각각은, 일단이 별도로 분리되어 탈착 가능한 고정캡과 상기 샤프트의 평면 프로파일홈을 사이에 두고 형합되도록 결합볼트를 통해 고정 결합되는 고정암과, 일단이 상기 고정암의 타단과 힌지 결합되는 회전암과, 상기 회전암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집진판을 타격하는 로터리햄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추타부 각각은, 상기 로터리햄머의 회전중심 및 상기 회전암의 타단을 관통하여 상기 로터리햄머 및 회전암을 결합시키고, 하단에 외주면을 따라 환형홈이 형성된 고정핀과, 상기 고정핀의 환형홈에 삽입 고정되는 스냅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한편, 상기 추타부 각각은, 상기 로터리햄머의 회전중심 및 상기 회전암의 타단을 관통하여 상기 로터리햄머 및 회전암을 결합시키고, 하단에 락킹홀이 관통 형성된 고정핀과, 일측면으로부터 타측면까지 상기 고정핀의 락킹홀에 대응되는 볼트홀이 관통 형성되어 상기 고정핀의 하단에 삽입되는 고정너트와, 상기 고정너트의 볼트홀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핀의 락킹홀에 나사결합되어 고정되는 락킹볼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락킹볼트는, 무두렌치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집진기의 추타장치는, 고정암의 일단이 고정캡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샤프트 전체를 분해하지 않고도 작업자가 원하는 하나의 추타부만을 별도로 교체 및 조립할 수 있음은 물론, 샤프트의 평면 프로파일홈에 고정암의 일단이 형합되도록 고정 결합되므로 종래 별도의 키 결합이나 압박볼트를 사용할 필요가 없어 조립의 편의성을 제고할 수 있다.
또한, 회전암과 로터리햄머 간의 결합에 있어서 종래 리벳결합이 아닌 고정핀과 스냅링의 결합이나, 고정핀과 고정너트 및 락킹볼트에 의한 결합을 통해 추타부 전체를 분해하지 않고도 작업자가 원하는 하나의 로터리햄머만을 별도로 용이하게 교체 및 조립할 수 있어 교체작업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고, 그에 따라 유지보수 및 관리를 더욱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전기집진기의 추타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전기집진기의 추타장치 중 추타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실시예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집진기의 추타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실시예 중 샤프트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집진기의 추타장치 중 추타부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7은 도 6의 실시예의 측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집진기의 추타장치 중 추타부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9는 도 8의 실시예의 측면도이며,
도 10은 도 8의 실시예를 A-A'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집진기의 추타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집진기의 추타장치는 도 4 내지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100), 추타부(200) 및 모터(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샤프트(100)는 평면 프로파일홈(110)이 형성되며, 상기 추타부(200)는 각각 고정암(210), 회전암(220) 및 로터리햄머(2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추타부(200) 각각은 고정핀(240) 및 스냅링(250)을 더 포함하거나, 고정핀(240)과 고정너트(260) 및 락킹볼트(2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집진기의 추타장치(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진판(10)에 형성된 분진막을 제거하여 지속적인 집진력을 유지하도록 상기 집진판(10)을 타격하여 분진막을 집진판(10)으로부터 떨어내기 위하여 설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추타장치(2)는 집진 챔버(1) 내에 구비된 복수의 집진판(10)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샤프트(100)와, 상기 집진판(10)과 각각 대응되도록 상기 샤프트(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고정 결합되고, 상기 샤프트(10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집진판(10)을 각각 타격하는 복수의 추타부(200)와, 상기 샤프트(100)를 회전시키는 모터(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추타부(200)가 샤프트(100)에 고정 결합될 때, 첫째 원기둥 형상의 샤프트(10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추타부(200)가 결합되면서도, 둘째 샤프트(100)의 회전에 따라 추타부(200)가 헛돌지 않고 샤프트(100)와 함께 회전하도록 견고하게 고정되어야 한다. 이때, 샤프트(100)와 결합되는 추타부(200)의 구성이 상기 샤프트(100)로부터 쉽게 분해 및 조립되면서도 견고하게 결합되고, 헛돌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즉, 상기 샤프트(100)는 도 5, 7 및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추타부(200)가 각각 고정 결합되는 외주면에 내측으로 함몰되는 평면 프로파일홈(110)이 각각 형성된다. 중실의 샤프트(100)는 원기둥 형상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제작된 후 각각의 추타부(200)가 고정 결합되는 외주면에는 평면 프로파일홈(110)을 각각 절삭 가공하여 형성한다. 이러한 샤프트(100)의 평면 프로파일홈(110)에 후술할 추타부(200)의 고정암(210) 일단이 탈착 가능한 고정캡(211)과 형합되게 결합된다.
보다 상세하게 추타부(200) 각각은, 도 6 내지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별도로 분리되어 탈착 가능한 고정캡(211)과 상기 샤프트(100)의 평면 프로파일홈(110)을 사이에 두고 형합되도록 결합볼트(212)를 통해 고정 결합되는 고정암(210)과, 일단이 상기 고정암(210)의 타단과 힌지 결합되는 회전암(220)과, 상기 회전암(220)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집진판(10)을 타격하는 로터리햄머(230)를 포함한다.
추타부(200)의 고정암(210)은 일단이 고정캡(211)과 결합볼트(212)를 통해 고정 결합되는데, 이때 고정암(210)의 일단과 상기 고정캡(211)의 사이에 샤프트(100)의 평면 프로파일홈(110)이 위치하면서 서로 형합되도록 고정 결합된다. 즉, 샤프트(100)의 평면 프로파일홈(110)은 고정암(210)의 일단과 고정캡(211)의 사이에 삽입된 상태가 된다.
만일, 평면 프로파일홈(110)이 없는 샤프트(100)의 외주면에 고정암(210)의 일단과 고정캡(211)이 결합된다면 결합볼트(212)를 아무리 단단하게 결합시키더라도 고정암(210) 및 고정캡(211)은 샤프트(100)의 회전시 헛돌게 된다. 물론, 종래와 같이 별도의 키결합이나 압박볼트 등을 이용하여 샤프트(100)에 고정암(210)의 일단과 고정캡(211)을 고정시킬 수 있겠지만, 압박볼트는 샤프트(100)의 표면이 쉽게 파손되고, 키결합역시 별도의 키홈 및 키를 가공 및 조립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평면 프로파일홈(110)이 형성된 샤프트(100)에 고정암(210) 및 고정캡(211)을 견고히 결합시킨다면 평면 프로파일홈(110)에 의해 고정암(210) 및 고정캡(211)이 헛돌지 않고 단단히 결합될 수 있고, 가공 및 조립의 편의성을 제고할 수 있다. 더욱이, 샤프트(100) 전체를 분해할 필요 없이 작업자가 교체를 원하는 추타부(200)만을 고정암(210)의 일단과 고정캡(211)을 샤프트(100)로부터 분리하여 쉽게 교체 및 재조립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추타부(200)의 구성 중 로터리햄머(230)는 집진판(10)을 직접 타격하므로 다른 구성에 비하여 로터리햄머(230)의 파손율이 가장 높다. 따라서, 추타부(200)의 로터리햄머(230)만을 별도로 교체할 필요가 있는데, 종래에는 로터리햄머(230)만을 교체할 경우에도 추타부(200) 전체를 함께 교체할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점에서 회전암(220)에 결합되는 로터리햄머(230)의 분해 및 조립의 용이성을 극대화시키면서도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할 필요가 있다.
즉 추타부(200) 각각은, 도 6 및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터리햄머(230)의 회전중심 및 상기 회전암(220)의 타단을 관통하여 상기 로터리햄머(230) 및 회전암(220)을 결합시키고, 하단에 외주면을 따라 환형홈(241)이 형성된 고정핀(240)과, 상기 고정핀(240)의 환형홈(241)에 삽입 고정되는 스냅링(2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터리햄머(230)는 회전암(220)의 타단에 결합되는데, 고정핀(240)을 통해 상기 로터리햄머(230) 및 회전암(220)을 관통하여 결합시킨 후 고정핀(240)이 이탈되지 않도록 양단이 연결되지 않고, 탄성 변형되는 환형의 스냅링(250)으로 고정핀(240)을 고정시킨다. 스냅링(250)은 축 또는 구멍에 파놓은 홈에 끼워 축 또는 축에 삽입한 부품의 이동을 막는 고리모양의 스프링으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고정핀(240)의 상단에는 핀헤드가 위치하고, 고정핀(240)의 하단에 형성된 환형홈(241)에는 스냅링(250)이 삽입되어 있으므로 고정핀(240)의 핀헤드와 스냅링(250) 사이에 배치되는 회전암(220) 및 로터리햄머(230)는 고정핀(240) 및 스냅링(250)에 의해 결합을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스냅링(250)의 분해 및 조립은 스냅링 플라이어라는 공구를 통해 용이하게 분해 및 조립할 수 있다.
또 한편 추타부(200) 각각은, 도 8 내지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터리햄머(230)의 회전중심 및 상기 회전암(220)의 타단을 관통하여 상기 로터리햄머(230) 및 회전암(220)을 결합시키고, 하단에 락킹홀(242)이 관통 형성된 고정핀(240)과, 일측면으로부터 타측면까지 상기 고정핀(240)의 락킹홀(242)에 대응되는 볼트홀(261)이 관통 형성되어 상기 고정핀(240)의 하단에 삽입되는 고정너트(260)와, 상기 고정너트(260)의 볼트홀(261)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핀(240)의 락킹홀(242)에 나사결합되어 고정되는 락킹볼트(2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고정핀(240)은 도 8 내지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터리햄머(230) 및 회전암(220)을 관통하여 상호 결합시키되, 상기 고정핀(240)의 하단에는 락킹홀(242)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상기 락킹홀(242)은 고정너트(260)의 볼트홀(261)과 연통되는데, 고정너트(260)는 고정핀(240)의 하단에 삽입된다. 따라서, 고정핀(240)의 핀헤드와 고정너트(260) 사이에 로터리햄머(230) 및 회전암(220)이 배치되어 결합을 유지한다. 이때, 고정너트(260)는 고정핀(240)의 하단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락킹볼트(270)에 의해 고정된다. 즉,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핀(240)의 락킹홀(242)과 고정너트(260)의 볼트홀(261)은 서로 연통되어 있고, 락킹볼트(270)가 상기 고정너트(260)의 볼트홀(261)을 관통하여 락킹홀(242)에 나사결합됨으로써 고정너트(260)가 고정핀(240)의 하단에 고정 결합되는 것이다. 이때, 락킹볼트(270)는 무두렌치볼트일 수 있고, 상기 볼트홀(261)의 내부로 삽입되되 렌치를 이용하여 쉽게 조립 및 분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집진기의 추타장치(2)는, 고정암(210)의 일단이 고정캡(211)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샤프트(100) 전체를 분해하지 않고도 작업자가 원하는 하나의 추타부(200)만을 별도로 교체 및 조립할 수 있음은 물론, 샤프트(100)의 평면 프로파일홈(110)에 고정암(210)의 일단이 형합되도록 고정 결합되므로 종래 별도의 키 결합이나 압박볼트를 사용할 필요가 없어 조립 및 분해의 편의성을 제고할 수 있다.
또한, 회전암(220)과 로터리햄머(230) 간의 결합에 있어서 종래 리벳결합이 아닌 고정핀(240)과 스냅링(250)의 결합이나, 고정핀(240)과 고정너트(260) 및 락킹볼트(270)에 의한 결합을 통해 추타부(200) 전체를 분해하지 않고도 작업자가 원하는 하나의 로터리햄머(230)만을 별도로 용이하게 교체 및 조립할 수 있어 교체작업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고, 그에 따라 유지보수 및 관리를 더욱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 : 집진 챔버
2 : 추타장치
10 : 집진판
100 : 샤프트 110 : 평면 프로파일홈
200 : 추타부
210 : 고정암
211 : 고정캡 212 : 결합볼트
220 : 회전암 221 : 힌지
230 : 로터리햄머
240 : 고정핀
241 : 환형홈 242 : 락킹홀
250 : 스냅링
260 : 고정너트 261 : 볼트홀
270 : 락킹볼트
300 : 모터

Claims (4)

  1. 복수의 집진판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샤프트와,
    상기 집진판과 각각 대응되도록 상기 샤프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고정 결합되고, 상기 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상기 집진판을 각각 타격하는 복수의 추타부와,
    상기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는,
    상기 추타부가 각각 고정 결합되는 외주면에 내측으로 함몰되는 평면 프로파일홈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추타부 각각은,
    일단이 별도로 분리되어 탈착 가능한 고정캡과 상기 샤프트의 평면 프로파일홈을 사이에 두고 형합되도록 결합볼트를 통해 고정 결합되는 고정암과,
    일단이 상기 고정암의 타단과 힌지 결합되는 회전암과,
    상기 회전암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집진판을 타격하는 로터리햄머와,
    상기 로터리햄머의 회전중심 및 상기 회전암의 타단을 관통하여 상기 로터리햄머 및 회전암을 결합시키고, 하단에 락킹홀이 관통 형성된 고정핀과,
    일측면으로부터 타측면까지 상기 고정핀의 락킹홀에 대응되는 볼트홀이 관통 형성되어 상기 고정핀의 하단에 삽입되는 고정너트와,
    상기 고정너트의 볼트홀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핀의 락킹홀에 나사결합되어 고정되는 락킹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기의 추타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볼트는,
    무두렌치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기의 추타장치.
KR1020110101219A 2011-10-05 2011-10-05 전기집진기의 추타장치 KR1011404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1219A KR101140446B1 (ko) 2011-10-05 2011-10-05 전기집진기의 추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1219A KR101140446B1 (ko) 2011-10-05 2011-10-05 전기집진기의 추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0446B1 true KR101140446B1 (ko) 2012-04-30

Family

ID=46144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1219A KR101140446B1 (ko) 2011-10-05 2011-10-05 전기집진기의 추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044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41808A (zh) * 2015-07-03 2015-09-30 艾尼科环保技术(安徽)有限公司 一种静电除尘器的旋转刷耐磨联接轴
KR20180127074A (ko) * 2017-05-19 2018-11-28 한라산업개발 주식회사 전기 집진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79472U (ko) * 1976-12-04 1978-07-01
KR100900799B1 (ko) * 2008-05-14 2009-06-04 (주)하이텍산업개발 화력발전소의 집진기용 추타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79472U (ko) * 1976-12-04 1978-07-01
KR100900799B1 (ko) * 2008-05-14 2009-06-04 (주)하이텍산업개발 화력발전소의 집진기용 추타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41808A (zh) * 2015-07-03 2015-09-30 艾尼科环保技术(安徽)有限公司 一种静电除尘器的旋转刷耐磨联接轴
KR20180127074A (ko) * 2017-05-19 2018-11-28 한라산업개발 주식회사 전기 집진기
KR101976488B1 (ko) 2017-05-19 2019-08-28 한라산업개발 주식회사 전기 집진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0446B1 (ko) 전기집진기의 추타장치
US10385724B2 (en) Tools and methods for cleaning grooves of a turbine rotor disc
CN103991061B (zh) 具有工作头快装结构的摆动机
KR102046915B1 (ko) 벨트 컨베이어용 클리너
CN101096095A (zh) 手持式电动工具
CN211801657U (zh) 一种新型高效电除尘器
CN210498865U (zh) 一种激光切割机的切割头清理装置
CN209222227U (zh) 锤头便拆卸式单齿辊破碎机
KR101446744B1 (ko) 상부 추타방식의 전기집진장치
KR200419229Y1 (ko) 집진기용 필터케이스 착탈장치
KR100900799B1 (ko) 화력발전소의 집진기용 추타장치
CN210766311U (zh) 一种可快拆刀头的路面开槽机
JP4796797B2 (ja) 横型ハンマークラッシャー
CN206327813U (zh) 一种方便清理的卸料器
CN210585388U (zh) 一种用于除尘器物理清灰振打速率提升装置
KR20180050877A (ko) 수차터빈 헤드커버 베이스 볼트 분해조립 장치
CN111746737A (zh) 一种煤渣清扫机器人用震动清除装置
CN209999093U (zh) 斗齿拆装工具及组件
CN206183309U (zh) 一种可收集废料的磨削头及磨皮器
CN102658055A (zh) 多棱柱搅拌棒
CN214080052U (zh) 耐磨复合板的焊接工装
KR20040012139A (ko) 전기 집진기의 집진판 타격용 햄머
CN212146225U (zh) 拔销器
CN217494141U (zh) 螺钉拆装工具
CN212760105U (zh) 风机精密部件吸尘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