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0799B1 - 화력발전소의 집진기용 추타장치 - Google Patents

화력발전소의 집진기용 추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0799B1
KR100900799B1 KR1020080044463A KR20080044463A KR100900799B1 KR 100900799 B1 KR100900799 B1 KR 100900799B1 KR 1020080044463 A KR1020080044463 A KR 1020080044463A KR 20080044463 A KR20080044463 A KR 20080044463A KR 100900799 B1 KR100900799 B1 KR 1009007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shaft
dust collecting
hammer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44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근배
주병윤
Original Assignee
(주)하이텍산업개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하이텍산업개발 filed Critical (주)하이텍산업개발
Priority to KR10200800444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07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07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07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74Cleaning the electrodes
    • B03C3/76Cleaning the electrodes by using a mechanical vibrator, e.g. rapping gear ; by using impa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집진기의 집진판에 붙어 있는 분진을 기계적인 햄머로 탈락시켜주는 화력발전소의 집진기용 추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기계적인 햄머 타격방식으로 집진판에 붙어 있는 분진을 탈락시키는 추타장치에서 샤프트측에 연결되는 암의 헤드부를 분리형으로 설계하여 샤프트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손상이 발생하는 경우 샤프트를 분해하지 않고도 해당 햄머 및 암만 분리하여 새것으로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등 교체 작업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고, 결국 장치의 전체적인 유지보수 및 관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화력발전소의 집진기용 추타장치를 제공한다.
화력발전소, 집진기, 추타장치, 햄머

Description

화력발전소의 집진기용 추타장치{Rapping device for electrostatic precipitator in coal-fired power plant}
본 발명은 화력발전소의 집진기용 추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집진기의 집진판에 붙어 있는 분진을 기계적인 햄머로 탈락시켜주는 화력발전소의 집진기용 추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석탄 및 오일 연소 화력 발전소, 시멘트 및 제철 등의 산업체에서는 전기 집진기가 필수적으로 사용된다.
최근에는 분진 배출의 농도 및 미세 분진에 대한 규제가 강화되는 추세에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은 전기 집진기의 집진효율을 향상시킬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러한 전기 집진기는 연소가스 중에 부유하는 분진을 대전시키고 대전된 분진의 극성에 따라 이동시켜 분진 포집 작용을 하는 집진 챔버와, 상기 집진 챔버 내의 집진판에 포집된 분진을 떨어내는 추타장치(rapping device)와, 상기 추타장치에서 떨어낸 분진을 수집하고 이송하는 회처리 설비(ash handling system) 등을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추타장치는 집진판의 저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상에 각 집진판과 대응하여 설치되며 구동축의 회전에 따라 각 집진판을 타격하는 복수의 햄머 및 암과, 상기 샤프트를 회전시켜주는 모터 등을 포함한다.
상기 추타장치는 기계적인 햄머를 이용함에 따라 설비가 단순하다는 장점이 있어 많이 사용되어 왔으나, 분진 탈락율을 높이기 위한 목적으로 보다 넓은 영역까지 추타력을 전달하기 위해 추타력을 증가시킬 경우 과도한 추타력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햄머나 암에도 충격이 가해지게 되고, 이렇게 충격이 반복적으로 가해짐으로 인해 피로가 누적되면서 샤프트와 암의 키 연결부위, 햄머의 타격부분 등이 쉽게 손상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되고, 이때마다 손상이 발생한 해당 햄머 및 암을 새것으로 교체하는 작업을 수행해야 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각각의 햄머 및 암이 하나의 샤프트상에 일체식으로 끼워져 있기 때문에 햄머 및 암 교체시 각 햄머 및 암으로부터 샤프트를 탈거한 후, 해당 햄머 및 암을 교체해야 하는 비효율적인 면이 있다.
즉, 손상된 해당 햄머 및 암 1개를 교체하기 위해 샤프트와 각각의 햄머 및 암을 전체적으로 분해해야만 하는 등 작업시간도 많이 소요되고, 작업능률도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기계적인 햄머 타격방식으로 집진판에 붙어 있는 분진을 탈락시키는 추타장치에서 샤프트측에 연결되는 암의 헤드부를 분리형으로 설계하여 샤프트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손상이 발생하는 경우 샤프트를 분해하지 않고도 해당 햄머 및 암만 분리하여 새것으로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등 교체 작업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고, 결국 장치의 전체적인 유지보수 및 관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화력발전소의 집진기용 추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화력발전소의 집진기용 추타장치는 집진 챔버 내에 설치되어 있는 각 집진판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면서 각 집진판에 일대일 대응되는 다수의 햄머 및 암, 상기 샤프트의 구동을 위한 모터를 포함하는 한편, 상기 암은 샤프트를 사이에 두고 그 둘레에서 서로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한 암 본체와 암 캡으로 이루어져서, 햄머를 포함하는 각각의 암을 샤프트로부터 개별적으로 분리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암 본체와 암 캡은 나사체결구조로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한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암 본체와 암 캡의 경우, 요철부와 요홈부를 이용하거나, 또는 단차부를 이용하여 서로 끼워지는 구조로 단면접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화력발전소의 집진기용 추타장치는 하나의 샤프트에 연결되는 각각의 햄머 및 암을 개별적으로 분리할 수 있으므로, 운전 중 햄머나 암에 손상이 발생한 경우 다른 정상적인 햄머 및 암은 그대로 둔 상태에서 손상된 햄머 및 암만 분리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교체작업이 간편하고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는 등 전체적인 교체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화력발전소의 집진설비에서 추타장치의 유지보수 및 관리 등의 운용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기용 추타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기용 추타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추타장치는 샤프트(10)측에 연결되는 암(12)을 분리형으로 구성하여 햄머(11)를 포함하는 암(12)을 샤프트(10)로부터 쉽 게 분해할 수 있고, 또 쉽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한 특징을 갖는다.
이를 위하여, 상기 암(12)은 암 본체(14)와 암 캡(15)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암 본체(14)는 한쪽이 햄머(11)측과 연결되는 동시에 다른 한쪽은 샤프트(10)측의 둘레면 1/2 정도를 감싸면서 연결되고, 상기 암 캡(15)은 샤프트(10)측의 둘레면 나머지 1/2 정도를 감싸면서 연결된다.
즉, 암 본체(14)와 암 캡(15)은 각각이 가지고 있는 요입형의 반원부(19a),(19b)를 이용하여 샤프트(10)를 사이에 두고 그 둘레면을 1/2 정도씩 감싸면서 밀착된 후, 서로 간의 볼트 체결을 통해 일체식으로 조립될 수 있고, 또 볼트 체결을 풀면 각각 분해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볼트의 체결을 위하여 암 캡(15)에는 나사홀(23)이 형성되고, 암 본체에는 나사홈(24)이 형성되며, 암 캡(15)과 암 본체(14)가 서로가 가지고 있는 반원부(19a),(19b)를 하나의 정원 형태가 되도록 조합되면, 이때의 서로 맞닺는 면에서 상기 나사홀(23)과 나사홈(24)은 일치하게 된다.
또한, 상기 암 본체(14)의 반원부(19a)에는 키홈(20)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때의 키홈(20)에 샤프트(10)측의 키(21)가 체결되므로서 샤프트(10)의 회전시 암(12)도 함께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샤프트(10)와 암(12) 간의 결속력 강화를 위하여 암 캡(15)측에는 축선에 대해 90°방향으로 고정 볼트(22)가 체결되고, 이때의 고정 볼트(21)는 암 캡(15)을 관통하여 그 끝이 샤프트(10)의 외주면에 닿을 때까지 체결되므로서 샤프트(10)와 암(12)은 더욱 긴밀하게 결속될 수 있다.
상기 햄머(11)는 집진판(17)을 직접 타격하는 부분으로서, 암(12)의 한쪽, 즉 암 본체(15)의 끝에 힌지부(16)에 의해 연결된다.
이에 따라, 샤프트(10)의 구동시 암(12)의 회전에 의해 햄머(11)는 힌지부(16)를 이용하여 자유롭게 젖혀지는 운동을 병행하면서 집진판(17)를 타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햄머(11)와 암(12)의 연결부위, 즉 힌지부(16)는 부싱을 개재한 볼트체결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암 본체(14)와 암 캡(15)은 볼트체결구조로 결합시 서로 간에 맞닿는 단면이 끼워맞춤 구조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암 본체(14)의 단면에는 요철부(23)가 형성되고, 상기 암 캡(15)의 단면에는 요홈부(24)가 형성되어, 본체와 캡 간의 결합시 이것들이 서로 형합되면서 끼워지게 되므로서, 암 본체(14)와 암 캡(15)의 결속력을 한층 강화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도 5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암 본체(14)와 암 캡(15)의 각 단면에는 단차부(25)가 각각 형성되어, 본체와 캡 간의 결합시 이것들 역시 서로 형합되면서 끼워지게 되므로서, 암 본체(14)와 암 캡(15)의 결속력을 한층 강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된 추타장치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기용 추타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집진 챔버(18) 내의 집진판(17)의 하부를 따라 다수의 베어링에 의해 지지되면서 회전가능한 구조로 샤프트(10)가 설치되고, 이렇게 설치되는 샤프트(10)의 한쪽에는 모터(13)가 연결 설치되어 모터(13)의 작동시 샤프트(10)가 구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샤프트(10)에는 집진판(17)의 수와 위치에 맞게 다수 개의 암(12) 및 햄머(11)가 설치된다.
따라서, 모터(13)의 작동에 의해 샤프트(10)의 구동에 맞춰 각각의 암(12) 및 햄머(11)가 동시에 회전하면서 집진판(17)을 계속해서 반복 타격하게 되고, 이러한 타격에 의해 집진판(17)에 붙어 있는 분진은 집진판(17)으로부터 탈락되어 아래로 떨어져 수거 처리된다.
추타장치의 장기간 사용 후, 햄머 부분이나 암 부분이 손상 또는 파손이 있는 경우 새것으로 교체해야 하는데, 이때에는 손상된 암(12) 및 햄머(11) 1개만 쉽게 샤프트(10)측으로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다.
즉, 암(12)의 암 캡(15)과 암 본체(14)의 볼트 체결을 해제한 후, 이것들을 분리하면 암(12) 및 햄머(11)를 쉽게 떼어낼 수 있으므로, 종전과 같이 1개의 암(12) 및 햄머(11)에 손상이 있는 경우 샤프트(10) 전체를 분해하는 것에 비해 교체작업을 매우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의 범위에 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기용 추타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기용 추타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집진기용 추타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집진기용 추타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집진기용 추타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집진기용 추타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집진기용 추타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샤프트 11 : 햄머
12 : 암 13 : 모터
14 : 암 본체 15 : 암 캡
16 : 힌지부 17 : 집진판
18 : 집진 챔버 19a,19b : 반원부
20 : 키홈 21 : 키
22 : 고정 볼트 23 : 요철부
24 : 요홈부 25 : 단차부

Claims (4)

  1. 삭제
  2. 집진 챔버 내에 설치되어 있는 각 집진판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샤프트(10)와, 상기 샤프트(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면서 각 집진판에 일대일 대응되는 다수의 햄머(11) 및 암(12)과, 상기 샤프트(10)의 구동을 위한 모터(13)를 포함하는 화력발전소의 집진기용 추타장치에 있어서,
    상기 암(12)은 샤프트(10)를 사이에 두고 그 둘레에서 서로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한 암 본체(14)와 암 캡(15)으로 이루어져서, 햄머(11)를 포함하는 각각의 암(12)을 샤프트(10)로부터 개별적으로 분리할 수 있도록 되되,
    상기 암 본체(14)와 암 캡(15)은 나사체결구조로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한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력발전소의 집진기용 추타장치.
  3. 집진 챔버 내에 설치되어 있는 각 집진판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샤프트(10)와, 상기 샤프트(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면서 각 집진판에 일대일 대응되는 다수의 햄머(11) 및 암(12)과, 상기 샤프트(10)의 구동을 위한 모터(13)를 포함하는 화력발전소의 집진기용 추타장치에 있어서,
    상기 암(12)은 샤프트(10)를 사이에 두고 그 둘레에서 서로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한 암 본체(14)와 암 캡(15)으로 이루어져서, 햄머(11)를 포함하는 각각의 암(12)을 샤프트(10)로부터 개별적으로 분리할 수 있도록 되되,
    상기 암 본체(14)와 암 캡(15)은 요철부(23)와 요홈부(24)를 이용하여 서로 끼워지는 구조로 단면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력발전소의 집진기용 추타장치.
  4. 집진 챔버 내에 설치되어 있는 각 집진판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샤프트(10)와, 상기 샤프트(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면서 각 집진판에 일대일 대응되는 다수의 햄머(11) 및 암(12)과, 상기 샤프트(10)의 구동을 위한 모터(13)를 포함하는 화력발전소의 집진기용 추타장치에 있어서,
    상기 암(12)은 샤프트(10)를 사이에 두고 그 둘레에서 서로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한 암 본체(14)와 암 캡(15)으로 이루어져서, 햄머(11)를 포함하는 각각의 암(12)을 샤프트(10)로부터 개별적으로 분리할 수 있도록 되되,
    상기 암 본체(14)와 암 캡(15)은 단차부(25)를 이용하여 서로 끼워지는 구조로 단면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력발전소의 집진기용 추타장치.
KR1020080044463A 2008-05-14 2008-05-14 화력발전소의 집진기용 추타장치 KR1009007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4463A KR100900799B1 (ko) 2008-05-14 2008-05-14 화력발전소의 집진기용 추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4463A KR100900799B1 (ko) 2008-05-14 2008-05-14 화력발전소의 집진기용 추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0799B1 true KR100900799B1 (ko) 2009-06-04

Family

ID=40982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4463A KR100900799B1 (ko) 2008-05-14 2008-05-14 화력발전소의 집진기용 추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079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0446B1 (ko) * 2011-10-05 2012-04-30 김도균 전기집진기의 추타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6350U (ko) * 1995-10-13 1997-05-23 현대중공업주식회사 전기집진기용 추타햄머 고정장치
KR19980027402U (ko) * 1996-11-15 1998-08-05 김정국 전기 집진기용 추타 해머
JP2000176313A (ja) 1998-12-21 2000-06-27 Sumitomo Heavy Ind Ltd 電気集塵装置
KR20040012139A (ko) * 2002-08-01 2004-02-11 주식회사 포스코 전기 집진기의 집진판 타격용 햄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6350U (ko) * 1995-10-13 1997-05-23 현대중공업주식회사 전기집진기용 추타햄머 고정장치
KR19980027402U (ko) * 1996-11-15 1998-08-05 김정국 전기 집진기용 추타 해머
JP2000176313A (ja) 1998-12-21 2000-06-27 Sumitomo Heavy Ind Ltd 電気集塵装置
KR20040012139A (ko) * 2002-08-01 2004-02-11 주식회사 포스코 전기 집진기의 집진판 타격용 햄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0446B1 (ko) * 2011-10-05 2012-04-30 김도균 전기집진기의 추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6222653B2 (en) Drop hammer rapping device
CN104093490A (zh) 旋转破碎机元件的驱动
KR100900799B1 (ko) 화력발전소의 집진기용 추타장치
CN201470473U (zh) 电除尘器
CN201644228U (zh) 带自调节固定清灰刷的活动式阳极静电除尘器
CN208904531U (zh) 一种可更换作业末端的便携式带电作业机器人
KR101140446B1 (ko) 전기집진기의 추타장치
KR20040012139A (ko) 전기 집진기의 집진판 타격용 햄머
KR101446744B1 (ko) 상부 추타방식의 전기집진장치
CN206327813U (zh) 一种方便清理的卸料器
KR20100063685A (ko) 전기집진기용 집진판의 추타장치
CN215157603U (zh) 一种可自动振打疏通的燃料溶剂仓
KR200442045Y1 (ko) 전기 집진기용 추타 장치
CN202492136U (zh) 干粉料螺旋输送机
CN209477994U (zh) 一种小齿轮抛丸装置
CN201516377U (zh) 电除尘器阳极振打系统
CN208695147U (zh) 一种锤式破碎机的四面重复用分体式锤头
CN108050796B (zh) 一种矿用煤泥烘干机滚筒
CN205949073U (zh) 一种振打输入轴的连接装置
CN206981005U (zh) 电除尘器及其阴极振打传动装置
CN215655556U (zh) 一种易清理拆卸的干湿膨润土原矿破碎机
CN213172434U (zh) 一种双工位精炼炉集尘罩
CN212882968U (zh) 一种新型的电除尘器分离式振打装置
CN203833134U (zh) 一种螺旋输送机
CN216654774U (zh) 破碎机主机主轴辊及其破碎机主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7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