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4450A - 스프링 밴드 클램프 - Google Patents

스프링 밴드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4450A
KR19980024450A KR1019970046327A KR19970046327A KR19980024450A KR 19980024450 A KR19980024450 A KR 19980024450A KR 1019970046327 A KR1019970046327 A KR 1019970046327A KR 19970046327 A KR19970046327 A KR 19970046327A KR 19980024450 A KR19980024450 A KR 199800244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band
clamp
tension
band clamp
support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6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69190B1 (ko
Inventor
기욍이외지 위르겐
바이히트 베른트
루퍼트 베르너
스포어스 랄프
Original Assignee
요르겐 에스. 라스무센:프랑크 브라운
라스무센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DE19642454A external-priority patent/DE19642454C2/de
Priority claimed from EP19960118438 external-priority patent/EP0828105B1/de
Application filed by 요르겐 에스. 라스무센:프랑크 브라운, 라스무센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요르겐 에스. 라스무센:프랑크 브라운
Publication of KR199800244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44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91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91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02Hose-cl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02Hose-clips
    • F16L33/03Self-locking elastic cli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14Bale and package ties, hose clamps
    • Y10T24/1412Bale and package ties, hose clamps with tighten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14Bale and package ties, hose clamps
    • Y10T24/1457Metal ban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14Bale and package ties, hose clamps
    • Y10T24/1457Metal bands
    • Y10T24/1459Separate connections
    • Y10T24/1461One piece
    • Y10T24/1463Sheet metal
    • Y10T24/1469End-to-end integral with band connect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14Bale and package ties, hose clamps
    • Y10T24/1457Metal bands
    • Y10T24/1478Circumferentially swagged band clam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스프링 밴드 클램프는 그의 외주면 너머로 돌출하고 클램프를 개방하도록 작용하는 텐션죠(13, 14)를 구비하는 두 개의 단부(11, 12)를 포함한다. 스프링 밴드(10)는 외주면상의 닫는 스프링 분력을 발휘할 수 있으며, 상기 스프링 분력은 스프링 밴드 클램프의 개방상태에서 클램핑 상태에서 보다 더 크다. 상기 클램프가 개방상태에 있을 때, 스프링 분력을 받으며 단부(11)에서 벗어나 밀려지는 텅(17)은 지지면(19)에 대하여 지지부(18)와 접촉결합된다. 상기 지지면은 타단부(12)의 텐션죠(14)의 자유단에서 클램프의 반경(R)에 대해 각도(A)로 연장되어 있다. 지지부(18)와 지지면(19)은 단부(11, 12)들의 반경방향 이동에 의해 결합해제될 수 있다. 스프링 밴드 클램프의 제작을 단순화하기 위하여 그리고 외부충격에 의해 전개방된 클램프의 갑작스런 폐쇄를 방지하도록 지지부(18)가 텅(17)의 전면의 반경방향 내측 엣지에 의해 형성되는 한편, 반경(R)에 대한 각도(A)가 지지면(19)의 반경방향 내측의 엣지(21)에 접하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스프링 밴드 클램프
본 발명은 제 1 및 제 2 단부를 구비한 환형의 스프링 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단부 각각에는 스프링 밴드 클램프의 외주면 너머로 돌출하여 클램프를 개방하도록 작용하는 텐션죠가 제공되고, 상기 제 1 단부는 제 2 단부 외주면의 슬로트를 통해 연장되고, 스프링 밴드는 스프링 밴드 클램프의 클램핑 상태에서 보다 개방상태에서 더 큰 외주방향의 잠금스프링 분력을 작용하도록 되고, 상기 잠금스프링 분력은 스프링 밴드 클램프이 개방상태에 있을 때 제 1 단부에 대해 지지하여 제 1 단부의 텐션죠으로부터 이격되고 스프링 밴드에서 U자형 절단부를 이루게 프레스된 돌출 텅의 지지부가 제 2 단부의 텐션죠 자유단부의 지지면에 기대어져 유지되게 하고, 상기 지지면은 스프링 밴드 클램프의 반경(R)에 대해 각도(A)로 연장되며, 상기 지지부와 지지면은 제 1 및 제 2 단부들의 반경방향 이동에 의해 결합해제될 수 있도록 된 스프링 밴드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유형의 스프링 밴드 클램프는 자동차분야에서 라디에터 호스 또는 연료 호스용의 호스를 리브가 형성된 파이프 또는 장착구에 클램프하는 호스클램프 또는 클립으로서 사용되며 예로서 독일 특허 44 41 439 A1에 도시되어 있다. 호스의 연결을 단순화하기 위하여 호스 또는 클램프 제조업자는 클램프를 호스에 개방된 상태로 미리 장착한다. 클램프를 전개방시키기 위하여 한쌍의 텐션집게를 당겨지거나 펴지는 죠(jaw)들에 사용하여, 결합부가 결합면 뒤에서 맞물리는 위치까지 상기 죠들을 서로 떨어지게 펼침으로써 스프링 밴드 클램프가 수축되는 것을 방지한다. 호스에 부착하기 위하여 전개방된 클램프를 파이프에 끼워넣는다. 그리고 텐션죠들은 결합부와 결합면이 서로 분리될때까지 반경방향으로 당겨진다. 스프링 밴드 클램프는 그 자체의 탄성 덕분에 호스 둘레에 단단히 결합되어 호스를 파이프에 견고하게 클램핑한다. 스프링 밴드의 제 2 단부의 자유단에서 반경방향 외측의 텐션 클램핑죠의 전면은 그 텐션죠의 내외측면 또는 평면에 직각으로 연장된다. 그러나, 텅의 개방단의 전면은 경사져 있으며, 그러한 경사면 형성은 매우 어렵다. 또한, 제 2 단부의 텐션죠는 접선 방향에 대하여 예각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텐션죠와 텅(tongue)은 반경방향으로 비교적 크게 오히려 장애가 되는 범위로 돌출된다. 더욱이, 스프링 밴드 클램프의 운송 또는 취급중에, 예를 들어 제 2 단부의 텐션죠에 어떤 충격에 의해 또는 이러한 텐션죠에 클램핑을 하게 되면 개방상태로부터 풀릴 위험이 있으며, 이때 그 탄성력으로 갑작스럽게 수축되게 하여 마치 발사체와 같이 발사되게 함으로써 사람을 다치게 하거나 재산상의 손해 또는 클램프 자체를 망실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개방된 상태로부터 돌발적으로 잠겨지는 위험을 최소화하는 한편 제조를 단순화한 상기한 유형의 스프링 밴드 클램프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전개방된 상태로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 밴드 클램프의 제 1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호스에 클램프된 닫힌 상태로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 밴드 클램프의 제 1실시예의 사시도.
도 3은 전개방된 상태로 도시된 본 발명의 스프링 밴드 클램프의 제 1 실시예의 단면도.
도 4는 도 3의 확대도.
도 5는 전개방 상태로 도시된 본 발명의 스프링 밴드 클램프의 제 2실시예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부분 단면도.
도 7은 전개방된 상태로 도시된 본 발명의 스프링 밴드 클램프의 제 3실시예의 사시도.
도 8은 도 7의 부분 단면도.
도 9는 전개방 상태된 도시된 본 발명의 스프링 밴드 클램프의 제4실시예의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부분 단면도.
도 11은 전개방된 상태로 도시된 본 발명의 스프링 밴드 클램프의 제 5실시예의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부분 단면도.
도 13은 전개방된 상태로 도시된 본 발명의 스프링 밴드 클램프의 제 6실시예의 사시도.
도 14는 도 13의 부분 단면도.
도 15는 전개방된 상태로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 밴드 클램프의 제 7실시예의 사시도.
도 16은 호스에 클램프된 닫힌 상태로 도시된, 도 15의 클램프의 사시도.
도 17은 도 16의 클램프의 단면도.
도 18은 인장공구가 결합된 도 16의 클램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9는 인장공구가 결합된 도 17의 클램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라, 텅의 전면은 그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되고, 텅 전면의 반경방향 내측 엣지는 지지부를 형성하는 한편, 지지면이 반경방향 내측 엣지에 접하는 클램프 반경에 대해 각도를 이루도록 함으로써 성취된다.
이와 같은 해결수단의 장점은 스프링 밴드 클램프가 전개방된 상태에서 그 단부들중 하나의 외측면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의도되지 않은 힘이 작용함으로써 지지부와 지지면이 갑작스럽게 풀리게 되지 않고, 그 대신에 클램프의 클램핑하는 힘이 지지부를 개방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외측면을 향하여 반경방향으로 이동하게 한다. 이것은 클램프의 전개방 상태에서 텐션죠들 사이에 견고한 접촉결합이 이루어지게 한다. 또한, 제 1 단부에 U자형의 절단부를 형성하면 텅은 그 전면을 가공할 필요없이 외측방향으로 경사지게 반경방향으로 굽혀지게 함으로써 텅을 매우 간편하게 형성된다.
지지면은 제 2 단부의 텐션죠의 자유단부, 즉 노출단에 요홈의 바닥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요홈은 클램프의 전개방된 상태에서 텅을 가이드하며 축방향으로 보지하도록 작용한다.
더욱이, 제 2 단부의 텐션죠는 제 1 단부의 외측면에 대하여 반경방향으로 접촉하게 된다. 한편으로는 스프링 밴드 클램프의 전개방된 상태에서 사이 텐션죠와 텅은 외측면을 향하여 반경방향으로 크게 돌출하지 않게 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지지부와의 접촉으로부터 지지면을 분리하게 하는 반경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에 의해 상기 텐션죠는 내측면을 향해 반경방향으로 갑작스럽게 밀려지지 않게 되고 클램프가 자동적으로 닫힌 위치로 결합되게 한다.
개선된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면은 상기 자유단부의 외주면방향으로 연장된 U자형 절단부들 사이에서 제 2 단부의 텐션죠의 자유단부로부터 외측을 향해 반경방향으로 굽혀진 탭의 전면으로 형성된 한편, 지지면이 탭의 개방단부 방향으로 직각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탭의 형상으로, 어떤 가공의 필요없이 단지 펀칭작업에 의해 지지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텐션죠들이 반경방향으로 너무 돌출하지 않도록 스프링 밴드에 대하여 거의 접선방향으로 텐션죠들을 연장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단부의 텐션죠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둥글게 함으로써 통상의 스크류드라이버와 같은 간단한 공구로 제 2 단부의 텐션죠를 스프링 밴드의 제 1 단부에 대하여 외측면을 향해 반경방향으로 밀어 클램프를 그 전개방 상태로부터 풀리도록 함으로써 그 자체의 탄성력으로 클램프를 취부할 호스 둘레에 단단히 밀착되게 한다. 이것은 예를들어 제 2 단부의 둥글게 된 텐션죠와 제 1 단부 사이의 공간에 스크류드라이버를 삽입하고 반경방향으로 외측면을 향해 돌림으로써 용이하게 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 2 단부의 텐션죠는 파형과 같은 형상으로 굽어진 한편, 지지면은 파형부분의 단부의 외측면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돌출부들이 만들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지지면은 더 이상 부가적인 가공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오직 밴딩공정만으로 반경방향으로 지지면의 요구되는 경사를 얻을 수 있다. 스프링 밴드가 예를 들어 0.8㎜ 또는 그 보다 얇은 지라도 전개방된 상태에서의 결합은 견고하다. 상기 파형 부분의 형상은 텐션죠의 기능에 영향을 주며, 그것은 클램프를 개방시키도록 지지부 뿐만 아니라 인장공구를 밀어넣는 외측면은 반경방향에 대해 비교적 작은 각도로 연장되어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파형부분은 제 1 단부의 텐션죠를 지나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한편, 외주면상의 슬로트는 파형부분의 꼭대기 부근까지 연장되고 상기 파형부분 단부의 내측면은 제 1 단부의 텐션죠용의 과도한 연장을 방지하는 러그(lug)를 형성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기 러그는 지지면에 바로 다음에서 잘 보호된다. 스프링 밴드 클램프를 닫도록 스크류드라이버와 같은 공구를 삽입하는 외주면상의 슬로트의 단부와 제 1 단부의 텐션죠 사이에 충분한 공간이 있다.
더욱이,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한 파형부분의 자유단에는 텅의 외측면에 반경방향으로 위치한 부분에 홀이 제공되며, 클램프가 개방상태에 있을 때 인장공구와 결합되도록 작용한다. 상기 인장공구는 독일 특허 39 00 190 A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스프링 밴드 클램프에 사용되는 통상적인 형태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스프링 밴드 클램프는 스프링강으로 만들어지고, 특히 자동차의 라디에터 호스 또는 연료 호스용의 호스(5)를 파이프 또는 장착구에 클램핑하는 호클(또는 클립)으로서 기능을 한다.
스프링 밴드 클램프는 제 1 단부(11)와 제 2 단부(12)를 갖는 환형의 스프링 밴드로 이루어진다. 제 1 단부(11)는 그 단부에 원주방향으로 외측을 향해 반경방향으로 굽어진 텐션 죠(tensioning jaw :13)를 구비하고, 마찬가지로 제 2 단부(12)는 원주방향으로 외측을 향해 반경방향으로 굽어진 텐션죠(14)를 구비한다. 상기 텐션죠(13)와, 텐션죠(14)는 스프링 밴드에 대하여 접선방향으로 다소 연장되고 도 2에 도시된 압박해제 위치로부터 스프링 밴드 클램프를 열도록 동작하며, 이때 클램프의 직경은 도 1,3 및 도 4에 도시된 전개방위치에서 보다 클램프 직경이 작다.
제 1 단부(11)에는, 화살표 15로 표시된 닫는 방향으로, U자형의 절단부(16)로부터 텐션죠(13)뒤로 젖혀진 텅(17)이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텅은 제 1 단부(11)의 닫는 방향(15)으로 스프링 밴드 클램프의 접선방향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그리고 예각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있다. 텅(17)의 자유단은 그 전면이 텅(17)에 직각으로 되어 있고, 전면의 반경방향 내측 엣지는 (도 4에 도시된) 지지부(18)를 형성한다. 상기 지지부는 스프링 밴드(10)의 원주방향(15)으로 잠금 스프링 분력의 작용하에 텐션죠(14)의 자유단에 형성된 요홈 저면에 의해 형성된 지지면(19)에 접촉하여 맞물린다. 이와 동일한 잠금 스프링 분력이 제 2 단부(12)에 의해 화살표 20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반대쪽의 원주방향으로 가해진다.
지지면(19)는 그의 반경방향 내측 엣지(21)에 직각인 클램프 반경(R)과 예각(A)을 형성한다(도 4). 도 1,3,4에 도시된 개방상태에서, 제 2 단부(12)의 텐션죠(14)는 제 1 단부(11)에 대하여 반경방향으로 접촉한다.
제 1 단부(11)은 제 2 단부(12)보다 약간 좁으며,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제 2 단부(12)에 원주방향의 슬로트(22)를 통해 연장된다.
텐션죠(14)의 폭부분(23)에는 반경방향 외측 경사면으로 시작하여 접평면으로 되는 돌출부(24)가 제공된다.
스프링 밴드 클램프이 (도시되지 않았지만) 충분히 압박이 해제된 상태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분적으로 압박이 해제된 상태에 있을 때, 텅(17)도 원주상의 슬로트(22)에 위치한다. 호스(5)를 아직 감지 않은 (도시되지 않은) 충분히 느슨한 상태에서 벗어나 스프링 밴드(10)의 힘에 대하여 스프링 밴드 클램프을 도 1,3,4에 도시된 전개방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텐션죠(13)와, 텐션죠(14)들은 그의 자유단에 맞물린 인장공구에 의해 화살표 15와 20으로 표시된 것에 반대의 원주상 방향으로 함께 가압되며, 그 가압은 제 2 단부(12)의 원주상의 슬로트(22)의 한께인 폭부분(23)이 텅(17) 위로 슬라이드할 때까지 계속된다. 인장공구가 제거되면, 클램프는 지지부(18)와 지지면(19)이 접촉되는 지점까지 다시 수축된다. 그때 클램프는 상기의 전개방된 상태에서 호스(5)상에 밀어 넣어진다. 파이프는 호스(5)를 클램프하기 위하여 상기한 전개방 상태에서 호스(5)를 둘러싸고 있는 클램프는 도 2의 닫힌 상태로 된다. 이것은 단지 통상의 스크류드라이버로 텐션죠(13)와 돌출부(24) 사이에 삽입하여 회전시킴으로써 달성된다. 이것은 폭부분(23)이 텅(17)위로 반경방향으로 이특방향으로 밀어넣어지게 함으로써 지지부(18)와 지지면(19)이 맞물리게되어 스프링 밴드 클램프가 호스둘레에 견고하게 조여지게 된다.
텅(17)이 반경(R)에 대한 예각(A)으로 경사진 지지면(19)에 대하여 전방의 엣지와 접촉하게 되고 클램프의 전개방된 상태에서 제 1 단부(11)에 대하여 반경방향 내측으로 텐션죠(14)와 접촉하게 되면, 상기 전개방 상태에서 클램프를 장착하는 동안에 예기치 않은 외력이 돌출부(24)에 반경방향으로 작용하더라도 지지부(18)와 지지면(19)이 돌발적으로 분리될 수 없게 되며 이것은 클램프를 조여지게 하는 장점을 제공한다. 어떤 조건하에서 해제된 큰 탄성력이, 콜릿(collet)을 발사체와 같이 튕겨나가게 하여 사람에게 해를 주거나 주변 물체에 손상을 가하는 대신에 경사진 지지면(19)이 지지부(18)로 하여금 클램프의 클램핑력하에서 개방방향에 반대방향으로 외측을 향해 반경방향으로 이동하게 한다.
이것은 클램프의 전개방 상태에서 텐션죠(13), 텐션죠(14)들 사이가 보다 더 견고하게 조여지게 한다. 텅(17)은 또한, U자형의 절단부(16)를 그 단부에 형성한 다음 그 전면에 어떤 가공도 필요없이 외측면을 향해 경사지게 단지 반경방향으로 굽히기만 하면 되므로 생산이 매우 간편하다.
더욱이, 텐션죠(14)의 전면에 형성된 요홈은 클램프의 전개방 상태에서 텅을 축방향으로 위치유지 및 가이드한다.
상기 텐션죠(13)와, 텐션죠(14)들이 도 1,3,4에 도시된 전개방 상태에서 보다 화살표 15, 20을 따라 외주방향으로 함께 조여지면, 텐션죠(13)와 돌출부(24)의 경사부(25,26)들이 전개방 상태에서 서로 근접하게 되어 서로 접촉함에 따라 클램프가 허용가능한 한계를 넘어 개방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5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는 지지면(19)이 폭부분(23)과 상기 자유단부의 외주면방향으로 연장된 U자형 절단부(16) 사이에서 벗어나 텐션죠(14)의 자유단부로부터 외측을 향해 반경방향으로 굽혀진 탭(27)의 전면에 형성된 한편 지지면(19)이 탭(27)의 개방단부 방향으로 직각으로 연장되어 있는 점에서 도 1내지 도 4에 도시된 제 1 실시예와 다르다. 이것은 지지면(19)의 어떤 가공도 필요없고, 단지 각도(A)가 적어도 제 1실시예에서와 같이 크게 선택될 수 있다.
도 7과 도 8에 도시된 제 3실예에는 텐션죠(14)가 도면과 같이 외측을 향해 반경방향으로 만곡된 한편, 돌출부(24)가 생략된 점에서만 도 5와 도 6의 제 2실시예와 다르다. 도 7과 도 8에 도시된 전개방된 상태로부터 도 2에 도시된 닫힘(잠금) 상태로 스프링 밴드 클램프를 변경시키기 이하여 오직 통상의 스크류드라이버을 사용할 필요가 있으며 그 스크류드라이버를 제 1 단부(11)와 텐션죠(14)의 폭부분(23) 사이의 공간에 밀어 넣고 돌리면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폭부분(23)은 반경방향으로 텅(17) 위로 밀려짐에 따라 지지부(18)와 지지면(19)가 서로 분리되어 클램프가 호스 둘레에 견고하게 밀착되게 된다. 따라서, 제 1실시예에 제공된 돌출부(24)는 본 실시예에서는 더 이상 필요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른 장점은, 전개방된 상태와 닫힌 상태 모두에서 클램프의 원주가 더 작아지고, 돌출부(24)가 클램프의 운반 또는 작업중에 우연히 다른 물체에 의해 잡아채여져 전개방된 클램프가 돌발적으로 닫힐 위험을 제거할 수 있다는 것이다.
도 9와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는, 텐션죠(14)의 자유단부에 형성된 요홈이 보다 길어져서 요홈 양측의 단부들이 도 9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경방향 외측으로 굽이지게 된 점이 도 7과 도 8에 도시된 것과 다르다. 따라서, 텐션죠(14)는 요홈 양측의 단부들의 노출면들에서 집게 형태의 클램핑공구의 파지부용으로 보다 넓은 면을 제공한다.
도 11과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는, 텐션죠(15)의 아치형 만곡부가 원형이 아니고 대체적으로 사다리꼴 형상인 점에서 도 9와 도 10에 도시된 것과 다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것은 해체공구가 삽입될 수 있는, 스프링 밴드의 제 1 단부(11)와 텐션죠(14) 사이에 보다 넓은 공간을 제공한다.
도 13과 도 14에 도시된 실시예는, 제 2 단부(12)의 텐션죠(14)의 자유단부가 외측면을 향해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파형으로 만곡된 한편, 지지면(19)이 상기 파형 만곡부(28)의 자유단의 외측면으로 이루어진 점이 전기한 실시예와 다르다. 기계가공할 필요없이 단순한 밴딩공정으로 지지면(19)을 형성하며, 지지부(18)를 형성하는 텅(17)의 엣지 자체가 상기 지지면에 지지된다. 반경(R)에 대한 지지면(19)의 각도(A)는 전기한 실시예들과 동일하게 될 수 있다. 파형 만곡부(28)는 제 1 단부(11)의 텐션죠(13)의 뒤로 반경방향으로 돌출하며, 외주면상의 슬로트(20)가 파형 만곡부(28)의 정상에 근접한 지점까지 연장됨에 따라, 슬로트의 단부(29)는 텐션죠(13)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2개의 텐션죠(13, 14)들이 적당한 공구로 서로를 향해 가압되면 파형 만곡부(28)의, 단부의 내측면(30)은 본 실시예에서 반경방향 내측에 위치한 엣지에서 텐션죠(13)의 경사면(25)과 접촉하는 스토퍼를 형성하여 클램프가 과도하게 펴지는 것을 방지한다. 스프링 밴드 클램프을 전개방 상태로부터 클램핑상태로 바꾸기 위해, 스크류드라이버와 같은 적당한 공구를 텐션죠(13)와 슬로트의 단부(29) 사이의 슬로트부분(31)에 삽입하여 돌림으로써 지지부(18)가 엣지(21) 밑에까지 반경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외주면방향의 잠금스프링력이 작용하게 된다.
파형 만곡부(28) 덕분에 텐션죠(14)는 외측방향의 날카로운 엣지를 갖지 않아도 된다. 또한, 파형 만곡부(28)는 텅(17)과 텐션죠(13) 보다 더 커서 전개방 상태에서 어떤 물제가 텅과 텐션죠와 접촉하는 것으로부터 보호한다. 파형 만곡부(28)의 가장 바람직한 형태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둥근형태이다. 그런, 그 종단면이 또한 예를 들어 사다리꼴과 같이 각이지게 될 수도 있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파형 만곡부(28) 단부의 외측면이 반경(R)에 대해 각도(A)로 연장된 지지면(19)로서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도 15 내지 도 19에 도시된 실시예가 도 13과 도 14의 실시예와 기본적으로 다른 것은, 텐션죠(13)가 외측면을 향해 다소 반경방향으로 연장되고 텐션죠(14)가 외측면을 향해 어느정도 더 반경방향으로 돌출한 파형 만곡부(28)를 형성하는 한편, 클램프의 전개방 상태에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한 파형 만곡부(28)의 자유단부의 반경방향 외측면에 홀(32)이 형성되어 텅(17)이 인장공구(33)의 삽입을 허용하도록 한다. 이것은 도 18과 도 19에 도시되고 독일특허 제 39 00 190 A1에 개시된 통상의 인장공구(33)일 수 있으며, 상기 공구는 텐션죠(13, 14)에 맞물린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해결수단의 장점은 스프링 밴드 클램프가 전개방된 상태에서 그 단부들중 하나의 외측면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의도되지 않은 힘이 작용함으로써 지지부와 지지면이 갑작스럽게 폴리게 되지 않고, 그 대신에 클램프의 클램핑하는 힘이 지지부를 개방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외측면을 향하여 반경방향으로 이동하게 한다. 이것은 클램프의 전개방 상태에서 텐션죠들 사이에 견고한 접촉결합이 이루어지게 한다. 또한, 제 1 단부에 U자형의 절단부를 형성하면 텅은 그 전면을 가공할 필요없이 외측방향으로 경사지게 반경방향으로 굽혀지게 함으로써 텅을 매우 간편하게 형성된다.

Claims (9)

  1. 제 1 및 제 2 단부(11, 12)를 구비한 환형의 스프링 밴드(10)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단부(11, 12) 각각에는 스프링 밴드 클램프의 외주면 너머로 돌출하여 클램프를 개방하도록 작용하는 텐션죠(13, 14)가 제공되고, 상기 제 1 단부(11)는 제 2 단부(12) 외주면의 슬로트(22)를 통해 연장되고, 스프링 밴드(10)는 스프링 밴드 클램프의 클램핑 상태에서 보다 개방상태에서 더 큰 외주방향의 잠금스프링 분력을 작용하도록 되고, 상기 잠금스프링 분력은 스프링 밴드 클램프가 개방상태에 있을 때 제 1 단부(11)에 대해 지지하여 제 1 단부의 텐션죠(13)으로부터 이격되고 스프링 밴드(10)에서 U자형 절단부(16)를 이루게 프레스된 돌출 텅(17)의 지지부(18)가 제 2 단부(12)의 텐션죠(14) 자유단부의 지지면(19)에 기대어져 유지되게 하고, 상기 지지면(19)은 스프링 밴드 클램프의 반경(R)에 대해 각도(A)로 연장되며, 상기 지지부(18)와 지지면(19)은 제 1 및 제 2 단부(11, 12)들의 반경방향 이동에 의해 결합해제될 수 있도록 된 스프링 밴드 클램프에 있어서, 상기 텅(17)의 전면은 그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되고, 텅(17) 전면의 반경방향 내측 엣지(21)에 의해 지지부(18)가 형성되며, 지지면(19)의 반경방향 내측 엣지(21)는 클램프 반경(R)에 대해 각도(A)를 이루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밴드 클램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면(19)은 제 2 단부(12)의 텐션죠(14)의 자유단에 형성된 요홈의 저면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밴드 클램프.
  3.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부(12)의 텐션죠(14)는 제 1 단부(11)에 대하여 내측면에서 반경방향으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밴드 클램프.
  4. 제1항 내지 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면(19)은 외주면상의 경계를 형성하는 폭부분(23)과 텐션죠(14)의 자유단부 사이에서 제 2 단부(12)의 텐션죠(14)의 자유단부에서 외주면방향으로 연장된 U자형 절단부들 사이에서 외측을 향해 반경방향으로 굽혀진 탭(27)의 전면에 형성된 한편, 지지면(19)이 탭(27)의 자유단부의 평면에 직각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밴드 클램프.
  5. 제1항 내지 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죠(13, 14)는 스프링 밴드(10)에 대해 기본적으로 접선방향으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밴드 클램프.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부(12)의 텐션죠(14)는 외측면을 향해 반경방향으로 만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밴드 클램프.
  7. 제1항 내지 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부(12)의 텐션죠(14)는 파형의 형상으로 굽혀져 있으며, 지지면(19)은 상기 파형의 돌출부(28) 단부의 외측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밴드 클램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파형 돌출부(28)는 제 1 단부(11)의 텐션죠(13)를 지나 반경방향으로 돌출되고, 외주면상의 슬로트(22)는 파형 돌출부(28)의 정점에 근접한 위치까지 연장되며, 상기 파형 돌출부(28)의 단부의 내측면(30)은 제 1 단부(11)의 텐션죠(13)용 스토퍼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밴드 클램프.
  9. 제7항 또는 8항에 있어서, 클램프가 개방상태에 있을 때, 상기 파형 돌출부(28)에는 텅(17)의 반경방향 외측에 위치한 부분에 인장공구가 결합될 수 있는 홀(32)이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밴드 클램프.
KR1019970046327A 1996-09-09 1997-09-09 탄성밴드클램프 KR1002691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636495.7 1996-09-09
DE19636495 1996-09-09
FR19636495.7 1996-09-09
DE19642454A DE19642454C2 (de) 1995-11-21 1996-10-15 Federbandschelle
DE19642454.2 1996-10-15
EP96118438.9 1996-11-18
EP19960118438 EP0828105B1 (de) 1996-09-09 1996-11-18 Federbandschelle
EP97103536.5 1997-03-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4450A true KR19980024450A (ko) 1998-07-06
KR100269190B1 KR100269190B1 (ko) 2000-10-16

Family

ID=66044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6327A KR100269190B1 (ko) 1996-09-09 1997-09-09 탄성밴드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9190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0713Y2 (ja) * 1991-06-05 1994-12-21 株式会社カネサン製作所 ホースクラン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69190B1 (ko) 2000-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37047B2 (ja) スプリングバンドクランプ
US6088886A (en) Hose clamp having a spring ring disposed within the clamp
US5542155A (en) Spread diameter locking mechanism for a spring biased hose clip
CA1128734A (en) Clamp structure, especially axle sleeve clamp
JP3237643B2 (ja) クリップ
US4858279A (en) Hose clamp
JP3137110B2 (ja) 成形されたクリップ
EP0545378B1 (en) Self-tightening clamp
JPS5980514A (ja) ねじのない帯止め
US6192555B1 (en) Hose clip of the self-holding type
JP3073133B2 (ja) バンドクランプ装置
KR100391196B1 (ko) 홀더가 없는 호스 클램프
WO2011033932A1 (ja) ホースクランプ
WO2010092702A1 (ja) ホースクランプ
JP3513237B2 (ja) 自動引き締めクランプ構造体
US5979020A (en) Hose clip and releasing bar tool therefor
KR100223101B1 (ko) 스프링 밴드 클램프
JP3843137B2 (ja) ホースクリップとそれのための固定用部材
JP2019533789A (ja) クランプクリップ
KR19980024450A (ko) 스프링 밴드 클램프
US5940939A (en) One-piece flat band clamp
JPH11230448A (ja) クリップ
US20060117534A1 (en) Open hose clamp with plastically deformable ear
MXPA04011157A (es) Abrazadera abierta de manguera con oreja plasticamente deformable y metodo para elaborar la misma.
KR20220115075A (ko) 유지부재 및 후크를 가지는 클램핑 칼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2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