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5075A - 유지부재 및 후크를 가지는 클램핑 칼라 - Google Patents

유지부재 및 후크를 가지는 클램핑 칼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5075A
KR20220115075A KR1020220016781A KR20220016781A KR20220115075A KR 20220115075 A KR20220115075 A KR 20220115075A KR 1020220016781 A KR1020220016781 A KR 1020220016781A KR 20220016781 A KR20220016781 A KR 20220016781A KR 20220115075 A KR20220115075 A KR 202201150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belt
retaining member
collar
clam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67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니꼴라 리골레
압델페타 진비
Original Assignee
까이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까이요 filed Critical 까이요
Publication of KR202201150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50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16L23/036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the tensioning members, e.g. specially adapted bolts or C-cla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4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in the radial pla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8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ba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02Hose-clips
    • F16L33/023Hose-clips fixed by bending one end of the stra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02Hose-clips
    • F16L33/035Hose-clips fixed by means of teeth or hoo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Hooks, Suction Cups, And Attachment By Adhesive Means (AREA)
  • Package Frames And Binding Bands (AREA)
  • Belt Conveyors (AREA)
  • Flanged Joints, Insulating Joints, And Other Joints (AREA)
  • Joints That Cut Off Fluids, And Hose Joints (AREA)

Abstract

유지부재 및 후크를 가지는 클램핑 칼라
클램핑 칼라(1)는 클램핑 칼라의 걸어맞춰진 클램핑 상태를 규정하기 위해 유지부재(12) 및 이 유지부재 상에 걸리도록 구성되는 후크(14)를 가지고 있는 벨트(10)를 포함한다. 후크는 전방벽부(14A) 및 이 전방벽부를 벨트에 연결하는 런닝 부분(14B)을 갖는다. 유지부재(12)는, 이 유지부재에 대한 후크의 걸어맞춤 동안에, 제2 지지부재(24)와 맞닿아 유지부재에 대한 후크의 최대 전진 위치를 규정할 수 있는 제1 지지부재(22)를 가지고 있다. 벨트(10)는 제2 지지부재(24)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 벽 부재(11A)를 갖는다. 제2 지지부재는, 유지부재를 향한 후크의 이동방향(F14)에 있어서 전방으로, 최대한 후크(14)에 대한 벨트(10)의 연결 영역에 위치된다.

Description

유지부재 및 후크를 가지는 클램핑 칼라 {CLAMPING COLLAR HAVING A RETAINING MEMBER AND A HOOK}
본 개시는 클램핑 칼라, 특히 클램핑 칼라의 걸어맞춰진 클램핑 상태를 규정하기 위해 유지부재 및 이 유지부재 상에 걸리도록 구성되는 후크를 가지고 있는 벨트를 포함하는 유형의 클램핑 칼라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유형의 클램핑 칼라들은, 예를 들어 특허문헌 EP 2 480 355, EP 0 627 591 또는 US 5 353 478로부터 잘 알려져 있다.
이것들은 특히, 예를 들어 하나의 대상물을 다른 대상물에 연결하기 위해 대상물을 클램핑하기 위해 사용된다. 예를 들어, 또 다른 대상물은 금속과 같은 재료로 만들어진 튜브일 수 있고, 거기에 연결되는 대상물은 튜브 상에 씌워지는 도관이다.
다른 예에 따르면, 클램핑된 대상물은 2개의 축선방향으로 연결된 튜브들의 단부에 의해 형성된다. 예를 들어, 튜브들은 금속으로 만들어질 수 있고, 그 단부에서, 튜브들의 외주에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는 베어링 표면을 가지며, 이들 베어링 표면은 튜브들이 인접할 때 함께 볼록부를 형성한다. 칼라의 벨트는 이러한 볼록부를 수용하는 오목부를 가질 수 있다. 클램핑을 위하여, 튜브들은 인접해 있고 칼라는 베어링 표면 주위에 위치되어 베어링 표면들이 오목부 내에 수용될 수 있다. 베어링 표면들 및 오목부는 벨트가 클램핑될 때 베어링 표면들을 서로 더 가까워지도록 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칼라의 오목부는 벨트의 축선을 향해 뒤로 접혀지고, 축선에 가까운 자유단부를 향할수록 서로 멀어짐으로써, 이 축선에 수직인 평면에 대해 약간 기울어져 있는 다리(legs)(벨트의 플랭크(flanks)들을 형성함)들을 갖춘 V자 또는 U자형 단면을 가질 수 있으며, 튜브들의 베어링 표면들은 동일한 방식으로 기울어져 있을 수 있어, 칼라의 클램핑으로 인한 벨트 직경에 있어서의 감소는 베어링 표면들을 함께 더 가까워지게 한다.
이들 칼라는 일반적으로 많은 응용 분야에서 만족스럽다. 그러나 일부 까다로운 응용 분야의 경우, 특히 클램핑된 대상물이 단단한 경우, 칼라의 폐쇄는 일시적으로 과도한 클램핑을 야기시킬 수 있으며, 이는 칼라의 성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칼라가 강성 플라스틱이나 금속과 같은 단단한 재료로 만들어진 도관을 엔드피스에 클램핑하기 위해 사용될 때, 또는 튜브가 2개의 금속 튜브들을 특히 금속 베어링 표면들을 통해 클램핑함으로써 축선방향으로 연결하기 위해 사용될 때와 같은 경우일 수 있다.
클램핑된 대상물에 대한 칼라의 클램핑이 순간적으로 지나치게 강하면, 칼라의 일부 부분, 특히 후크가 소성 변형, 즉 비-가역적인 변형을 겪거나, 클램핑된 대상물이 소성 변형 또는 미세 균열과 같은 손상을 겪을 수 있다.
때때로 클램핑 시 감지할 수 없는 이러한 현상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클램핑 성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램핑 칼라가 엔드피스에 유체 도관을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거나 2개의 유체용 튜브들을 연결하기 위해 사용될 때, 조립체의 기밀성이 더 이상 보장되지 않을 수 있다.
문헌 FR2705410은 유지부재 뒤에서의 후크의 걸어맞춤 동안에 후크의 내부면과 인접할 수 있는 받침부(abutment)를 유지부재가 구비하게 함으로써 이러한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제안하려 시도한다. 따라서, 칼라의 클램핑시, 후크가 이동되어, 유지부재의 후방에서, 유지부재의 유지표면을 통과하여 이러한 표면 상에 걸릴 수 있을 때까지 후크의 전방벽부가 유지부재 위에서 전진하도록 한다. 후크가 이러한 걸림을 허용할 만큼 충분히 전진하면, 받침부가 협력하여 후크가 더 전진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해결책은 효과적일 수 있지만, 받침부와 후크의 내부면과의 사이에서의 안정적인 받침부 접촉 및 양호한 품질을 보장하기 어려울 수 있다. 수반되는 클램핑 힘이 크면, 이러한 접촉은 불안정할 수 있고 후크의 내부면은 실제로 받침부를 유지하지 않고 받침부에 대한 슬라이딩 램프로서 기능할 수 있다. 또한, 받침부 접촉은, 후크의 전방벽부가 제1 지지부재를 통과한 후 유지부재 뒤에서의 걸어맞춰진 후크의 유지를 위하여 필요한, 후크의 내측으로의 약간의 반경방향 기울어짐에 반대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해결책은 유지부재에 대한 후크의 걸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개시는, 특히 유지부재에 대한 후크의 걸어맞춤 동안에 오버-클램핑의 위험을 방지하거나 적어도 제한하는 것을 보장하여 전술한 해결책의 단점을 실질적으로 면제함으로써, 전술한 단점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극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본 개시는 유지부재 및 이 유지부재에 걸려 칼라의 걸어맞춤된 클램핑 상태를 규정하도록 구성되는 후크를 가지고 있는 벨트를 포함하는 클램핑 칼라로서, 후크는 전방벽부 및 이 전방벽부를 벨트에 연결하는 런닝 부분을 가지고 있는 클램핑 칼라에 관한 것이다. 유지부재는, 이 유지부재에 대한 후크의 걸어맞춤시, 유지부재에 대한 후크의 최대 전진 위치를 규정하기 위해 제2 지지부재와 인접하게 되는 제1 지지부재를 가지고 있다. 벨트는 제2 지지부재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 벽 요소를 가지며, 이러한 제2 지지부재는, 유지부재 쪽으로의 후크의 이동 방향에 있어서 전방으로, 최대한 후크에 대한 벨트의 연결 영역에 위치된다.
따라서, 걸어맞춤 동안에 후크를 과도하게 전진시키는 것이 방지되며, 이는 이러한 걸어맞춤 동안에 과도한 클램핑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그러므로 칼라를 클램핑하기 위해 사용되는 걸어맞춤 동안에 순간적으로 과도한 힘으로 인해 후크가 소성 변형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후크의 무결성이 보존된다. 동시에, 칼라는 특정 직경을 갖는 대상물에 클램핑되도록 설계되고, 이러한 대상물을 지나치게 클램핑하는 것은 제1 및 제2 지지부재의 맞닿음이 미리 규정된 칼라의 사양 직경에 상응한다는 사실에 의해 방지된다.
제1 및 제2 지지부재 사이의 인접 접촉은 제2 지지부재의 위치로 인해 후크의 외측, 특히 후방에서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러한 접촉은 후크와 관련이 없으며 유지부재에 대한 걸어맞춤을 위하여 필요한 기울어짐을 방해할 가능성이 없다. 후크에 가해지는 힘으로 인해 성능이 저하되거나 손실되지 않을 수 있어, 미끄러질 위험이 제거되거나 최소한 상당히 감소된다.
선택적으로, 제1 및 제2 지지부재 각각은, 벨트의 축선에 수직인, 벨트의 직경방향 평면의 양쪽에 위치되는 제1 및 제2 지지 접촉표면을 갖는다.
선택적으로, 벨트는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플랭크를 포함하고, 지지 벽 요소는 플랭크에 형성된다.
선택적으로, 벨트는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2개의 플랭크들에 의해 경계가 정해진 오목부를 가지며, 지지 벽 요소는 이들 2개의 플랭크들 각각에 형성된 지지 벽 요소들의 2개의 부분들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상기 플랭크는 에지 부분을 제공하도록 후크를 가지고 있는 벨트의 단부에서 중단되고, 제2 지지부재는 에지 부분에 형성된다.
선택적으로, 플랭크는 굽힘 또는 컷아웃에 의해 중단된다.
선택적으로, 유지부재는, 걸림 상태에서, 후크의 런닝 부분 아래에서 연장되고 제1 지지부재를 가지는 연장부를 갖는다.
선택적으로, 연장부는 보강 릴리프를 갖는다.
선택적으로, 유지부재는 외측 반경방향 돌출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1 및 제2 지지부재는 유지부재에 대한 후크의 걸어맞춤 순간에, 보다 구체적으로는, 후크의 전방벽부가 지지부재들 사이에서 미끄러질 위험 없이 그리고 걸어맞춤을 위하여 필요한 후크의 기울어짐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유지부재에 걸어맞춰지기 위해 유지부재의 후방을 통과할 때, 유지부재에 대한 후크의 최대 전진 위치를 규정하는 기능을 수행하면서 매우 간단한 방식으로 만들어질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칼라는 특히 금속으로, 선택적으로 하나의 조각으로 만들어지고, 제1 및 제2 지지부재는 칼라의 금속 재료의 단순한 굽힘, 절단, 및/또는 프레싱에 의해 만들어질 수 있다.
본 개시의 목적의 또 다른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비-제한적인 예로서 제공된 실시형태의 다음 설명으로부터 나타날 것이다.
도 1은, 대상물에 폐쇄되어 클램핑될 준비가 되어 있는, 본 개시에 따른 클램핑 칼라를 측면 입면도로 도시한다.
도 2는 대상물에 클램핑된 칼라를 나타낸다.
도 2a는 측면 입면도로 도시된 도 2의 부분 II의 상세도이다.
도 2b는 도 2의 화살표 IIB를 따라 아래로부터 취해진 사시도로 도시된 부분 II의 상세도이다.
도 2c는 도 2의 화살표 IIB를 따라 아래로부터 본 부분 II의 상세 평면도이다.
도 3은 위로부터 취해진 도 2의 칼라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일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 2와 유사한 도면이다.
도 4b는 도 4의 화살표 IVB를 따라 아래로부터 취해진 부분 IV의 상세 사시도이다.
도 4c는 도 4의 화살표 IVB를 따라 아래로부터 본 부분 IV의 상세 평면도이다.
도 5는 위로부터 취해진 도 4의 칼라의 사시도이다.
도 1, 2, 2a 내지 2c 및 3이 먼저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2개의 단부(각각 10A 및 10B)들을 갖는 벨트(10)를 포함하는 클램핑 칼라(1)를 도시한다. 단부(10A)는 유지부재(12)를 가지고 있는 한편, 단부(10B)는 도 2에 도시된 칼라의 걸어맞춰진 클램핑 상태를 규정하기 위해 유지부재(12)에 걸리도록 구성된 후크(14)를 가지고 있다. 본 경우에, 유지부재(12)는 벨트(10)의 외주부에 대해 외측 반경방향 돌출부에 있다. 본 경우에, 이것은 외측으로 형성된 이중 접힘부이다.
일반적으로, 칼라의 클램핑된 상태에서, 벨트(10)는 축선(A)의 원을 규정하고, 이 축선은 클램핑 칼라의 축선 또는 그 벨트의 축선인 것으로 규정된다.
본 개시의 개념 내에서, 외측 또는 위쪽 방향은 이 축선(A)에서 멀어지는 방향인 것으로 규정된다. 반대로 내측 또는 아래쪽 방향은 이 축선(A)에 더 가까워지는 방향이다. 또한, 유지부재에 걸기 위해서, 후크(14)는 화살표(F14) 방향으로 이동된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따라서, 후크를 기준으로 하면, 전방 방향은 이 화살표(F14)에 의해 규정된 방향인 것으로 간주된다. 일반적으로, 후크(14)를 또는 벨트의 단부(10B)를 기준으로 하면, 전방 방향은 벨트를 통과하지 않으면서 유지부재(12) 및 단부(10A)를 향하는 방향이다. 마찬가지로, 걸어맞춤시, 유지부재(12)는 F12 방향으로 후크를 향해 이동된다. 따라서, 유지부재(12) 및 벨트의 단부(10A)를 기준으로 하면, 전방 방향은 벨트(10)를 통과하지 않으면서 후크(14) 및 단부(10B)를 향하는 방향으로 규정된다.
후크(14)는 전방벽부(14A) 및 벨트(10)에 전방벽부(14A)를 연결하는 런닝 부분(14B)을 갖는다. 칼라의 클램핑 상태에 있어서, 전방벽부(14A)는 유지부재(12) 뒤쪽에 유지되는 한편, 유지부재(12)의 전방 부분은 후크(14)의 런닝 부분(14B) 아래에 위치된다.
본 경우에 후크(14)는, 참조가 이루어질 수 있는, 본 출원인의 이름으로 출원된 프랑스 특허출원 FR 19 10485호에 설명된 유형의 것이다. 특히, 후크의 런닝 부분(14B)은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파지 표면(16) 및 이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후퇴됨으로써 파지 표면의 양쪽에서 축선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측부 경계부(16A, 16B)(도 3 참조)를 갖는다. 여기서, 축선방향은 축선(A)에 의해 규정된 방향을 따르는 것으로 이해된다. 이 파지 표면(16)은 후크의 런닝 부분(14B)의 보스(16')의 후방에 형성된다. 후크의 전방벽부(14A)는 적어도 하나, 본 경우에는 2개의 보강 리브(15)를 갖는다.
따라서, 도시된 예에서, 후크의 런닝 부분(14B)은, 후크의 단부(10B)에 대한 연결부에서 벨트의 접선 방향(T)에 대해 각도(α)만큼 기울어진, 실질적으로 직선인 일반 방향(general direction)(D)을 규정한다(도 1 참조). 이 각도(α)는 예를 들어 대략 10 내지 40도, 특히 대략 20 내지 30도이다. 후크의 런닝 부분은, 특히 돌출부 없이, 구부러지지 않으면서 벨트의 단부(10B)에 연결된다는 것에 유의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또 다른 유형의 후크, 특히 그 런닝 부분이 외측으로 반경방향 물결 형상부에 의해 규정되고/되거나 벨트의 단부(10B)에 대한 연결부 영역이 예를 들어 미국특허 5 353 478에서와 같이 외측으로 반경방향 접힘부에 의해 규정되는 후크에 관한 것일 수 있다.
도 1은 파선으로 표시된 대상물(2)에 대한 클램핑 동안의 칼라(1)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이 대상물(2)은 축선방향으로 연결되는 튜브들의 2개의 단부의 조립체이다. 칼라(1)는 클램핑 도구, 특히 플라이어를 사용하여 클램핑되며, 플라이어의 2개의 조(jaw) 중 하나의 조(M1)는 유지부재(12) 뒤에 맞물리고, 본 경우에 있어서 다른 하나의 조(M2)는 파지 표면(16) 뒤에서 후크(14)에 맞물리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유지부재(12)는, 도 2, 2a 및 2b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유지부재(12)에 대한 후크의 최대 전진 위치를 규정하기 위해, 후크(14)가 유지부재(12)에 걸려 있는 동안에 제2 지지부재(24)에 지지되는 제1 지지부재(22)를 가지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2는, 후크(14)의 전방벽부가 유지부재(12) 뒤로 지나갈 때의, 걸리는 바로 그 순간의 칼라를 보여주고 있음을 지적하고 있다. 지지부재(22 및 24)들이 맞닿는 동안에, 이 유지부재(12)의 후방벽부와 후크의 전방벽부(14A)의 내부면 사이에는, 유지부재(12)의 후방에 간극 j로 표시된 매우 작은 공간이 존재할 수 있다. 지지부재(22 및 24)들의 맞닿음은 유지부재(12)에 대한 후크(14)의 최대 전진 위치를 규정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본 경우에, 제1 지지부재는, 유지부재(12)에 대해 전방으로 연장되고 걸어맞춰진 상태에서 후크의 런닝 부분(14B) 아래에서 연장되는 유지부재(12)의 연장부(12A) 상에 형성된다는 것을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다. 특히 도 2b에서 이 연장부(12A)는, 내측에 오목부를 형성하고 외측에 돌기를 형성하는 가공경화부(13)와 같은 하나 또는 여러 개의 보강 요소에 의해, 유지부재(12)의 반경방향 돌출 부분에 연결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가공경화부는 연장부(12A)의 내부면 또는 외부면에 돌출된 보강 릴리프를 형성한다.
유지부재(12)는 본 경우에 벨트의 단부(10A)에 연결된 후방 접힘 부분(12'), 연장부(12A)를 가지고 있는 전방 접힘 부분(12")을 갖춘 이중 반경방향 접힘부에 의해 형성된다(도 2b 참조). 강화 릴리프(13)는 전방 접힘 부분(12")과 연장부(12A) 사이의 접합부에 형성된다. 연장부는, 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벨트(10)의 둘레 방향의 연장부로 연장됨으로써, 유지부재(12)의 상단에 대해 반경방향 내측으로 오프셋된다. 따라서, 연장부(12A)는, 유지부재(12)를 넘어 이 유지부재의 전방으로, 벨트의 원주방향을 따라 실질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특히 도 2a에서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칼라의 클램핑된 상태에서, 연장부(12A)의 내부면은 벨트의 내부면의 연장부에서 실질적으로 원주방향으로 연장된다. 또한, 연장부는 실질적으로 평면이고 벨트의 단부(10A)에 대한 유지부재(12)의 접합 영역에 대해 벨트의 원주방향에 실질적으로 접선방향으로 연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2 지지부재(24)는 벨트(10)에, 특히 후크(14)에 대한 벨트의 단부(10B)의 연결 영역에 위치된 부분이다. 따라서, 도 2a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 제2 지지부재(24)는 후크의 런닝 부분(14B)으로의 천이 영역에서 벨트의 단부(10B)에 위치된다.
본 경우에, 도시된 칼라는 벨트가 오목부를 가지는 유형의 것이다. 실제로, 이 벨트(10)는 내측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플랭크(flank)(11A)를 갖는다. 본 경우에, 벨트는 중심 원통형 영역(11B)의 양쪽에서 연장되는 2개의 플랭크(각각 11A 및 11C)들을 갖는다(도 3 참조). 따라서, 벨트는 일반적으로, U자에서의 베이스 또는 V자에서의 선단부를 형성하고 그 내주부가 벨트의 최대 내경을 규정하는 크라운 부분(11B)과, 2개의 플랭크(11A 및 11C)를 각각 규정하는 2개의 날개부를 갖춘, U자 또는 V자 형상의 반경방향 단면을 갖는다. 이 크라운 부분(11B)은 2개의 플랭크(11A 및 11C) 사이의 중앙 영역을 형성한다. 실제로, 칼라에 의해 클램핑된 대상물(2)은, 플랭크(11A 및 11C)들 사이에서 경계가 정해진 벨트의 내부 오목부 내에 수용되는, 예를 들어 2개의 축선방향으로 연결된 튜브들의 베어링 표면들에 의해 형성된 방사상 볼록부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유지부재(12)의 연장부(12A)가 벨트의 주변 연장부로 연장되는 것으로 표시될 때, 실제로 벨트의 단면의 크라운 부분(11B)의 연장부로 연장되는 것으로 간주된다.
벨트의 제1 단부(10A)에서, 플랭크(11A 및 11C)들은 반경방향으로 곧게 펴져서 실질적으로 중심 영역(11B)에 의해 규정된 원통형 표면으로 되어가고, 굽힘에 의해 유지부재(12)를 형성한다. 마찬가지로, 벨트의 제2 단부(10B)에서 플랭크(11A 및 11C)들이 곧게 펴져서, 후크의 런닝 부분(14B)은 플랭크를 갖지 않고, 그 재료의 연속성이 이 런닝 부분(14B)에 의해 규정된 원주의 일반 방향(general direction)으로 위치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벨트의 단부(10B)에서, 플랭크(11A 및 11C)들은 중단되고 후크(14)의 전방을 향하는 에지 부분을 갖는다.
제2 지지부재(24)는 플랭크(11A 및 11C)들의 이들 에지 부분에 형성된다. 이들 플랭크는 벨트의 단부(10B)에서 제2 지지부재(24)를 형성하는 지지 벽 요소를 형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지지부재(24)는 이들 플랭크와 후크 사이의 천이 영역을 형성하는 이들 플랭크의 에지 부분에 만들어진다. 따라서 본 경우에, 제2 지지부재(24)는, 벨트의 단부(10B)에 대한 후크의 연결 영역에 있어서, 이 연결 영역의 축선방향 중앙 부분의 양쪽에서 연장되는, 2개의 플랭크(11A 및 11C)들의 에지 부분으로 형성된다.
제2 지지부재는 2개의 플랭크(11A 및 11C) 각각의 에지 부분에 각각 위치된 2개의 부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b 및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지지부재(22 및 24) 각각은, 그 축선에 수직인, 벨트의 직경방향 중앙 평면(P)의 양쪽에 위치되는 제1 및 제2 지지 접촉표면(Z1, Z2)을 갖는다. 또한 칼라는 이 평면(P)에 대해 대칭이다.
따라서 지지 접촉은 평면(P)의 양쪽에 분배된다. 이것은 이 평면에 대한 기울어짐에 대항하므로, 클램핑 도구가 후크에 대해 그리고 유지부재에 대해 불완전하게 위치된 경우에도 올바르게 작동한다.
제2 지지부재는, 재료의 가공경화도가 높은 영역인 플랭크에 형성되어, 클램핑력에 대해 특히 저항력이 있다.
이것은, 플랭크의 재료를 중앙 영역(11B)의 평면으로 다시 가져오기 위해 구부러지는, 플랭크들의 에지 부분에 제2 지지부재가 형성될 때 더욱 사실이며, 이들 부분은 특히 고도로 가공경화된다. 또한, 이들 에지 부분은 완벽하게 경계가 정해지므로 정확한 지지 접촉을 허용한다.
본 경우에, 칼라는 플랭크(11A 및 11C)들이 국부적으로 제거된 영역(17)들 사이에 위치된 벨트의 영역(18)에 의해 형성되는 예비용량부(capacity reserves)를 갖는다. 예비용량부를 형성하는 영역(18)은 예를 들어 보어(18A) 등을 가짐으로써 증가된 변형가능성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칼라는 참조가 이루어질 수 있는 프랑스 특허출원 19 10486호에 설명된 바와 같이 만들어질 수 있다.
이제 제2 지지부재의 형태에 있어서만 전술한 칼라와 상이한 일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 4, 4a 내지 4c, 및 5가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이들 도면에서는, 제2 지지부재에 지정된 것 외에는, 도 1, 2, 2a 내지 2c, 및 3에서와 동일한 참조번호가 사용된다.
도 1, 2, 2a 내지 2c, 및 3에서, 플랭크들은 굽힘에 의해 벨트의 단부(10B)에서 중단되며 이는 중앙 영역(11B)의 평면으로 플랭크들을 곧게 편다.
도 4, 4a 내지 4c, 및 5의 변형예에서, 플랭크(11A 및 11C)들은 컷아웃에 의해 중단된다. 따라서, 제2 지지부재(124)가 형성되는 에지 부분들은 실질적으로 반경방향으로 배향되는 플랭크들의 절단 에지이다. 도 4b 및 4c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칼라는 벨트의 축선(A)에 수직인 직경방향 중앙 평면(P)에 대해 대칭이고, 제1 및 제2 지지부재(22 및 124) 사이의 지지 접촉은 평면(P)의 양쪽에서 이루어진다.
벨트의 단부(10B)에서의 플랭크(11A 및 11C)의 컷아웃은 벨트가 중앙 영역(11B)을 통해서만 후크에 부착되게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벨트에 부착되는 후크의 후방 단부(114C)로부터, 전방 부분(14A)에서 칼라가 형성되는 스트립의 전체 폭으로부터 후크가 이득을 얻도록, 후크는 증가하는 폭(축선방향으로 측정됨)을 가질 수 있다. 이것은 특히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또한, 벨트의 단부(10A)에서는, 이전의 실시형태에서와 같이 유지부재를 형성하기 위해 플랭크들을 동일 평면으로 가져온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물론 이 영역을 절단함으로써 플랭크들을 차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2 지지부재는, 일반적으로 반경방향으로 배향되어 변형되기 어려운 깨끗한 지지 표면을 제공하는 컷아웃의 에지에 형성되기 때문에, 클램핑력에 특히 내성이 있다. 또한, 제2 지지부재의 위치결정은 특히 정확하다.

Claims (10)

  1. 유지부재(12) 및 상기 유지부재(12)에 걸려 칼라의 걸어맞춤된 클램핑 상태를 규정하도록 구성되는 후크(14)를 가지고 있는 벨트(10)를 포함하는 클램핑 칼라(1)로서,
    상기 후크(14)는 전방벽부(14A) 및 상기 전방벽부를 상기 벨트(10)에 연결하는 런닝 부분(14B)을 가지고 있고, 상기 유지부재(12)는, 상기 유지부재에 대한 상기 후크의 걸어맞춤시, 상기 유지부재(12)에 대한 상기 후크(14)의 최대 전진 위치를 규정하기 위해 제2 지지부재(24, 34, 44)와 인접하게 되는 제1 지지부재(22)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벨트(10)는 상기 제2 지지부재(24)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 벽 요소(11A, 11C)를 가지며, 상기 제2 지지부재는, 상기 유지부재 쪽으로의 상기 후크의 이동 방향(F14)에 있어서 전방으로, 최대한 상기 후크(14)에 대한 상기 벨트(10)의 연결 영역에 위치되는, 클램핑 칼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지지부재(22, 24) 각각은, 벨트의 축선에 수직인, 상기 벨트의 직경방향 평면(P)의 양쪽에 위치되는 제1 및 제2 지지 접촉표면(Z1, Z2)을 가지는, 클램핑 칼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벨트(10)는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플랭크(11A 및 11C)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벽 요소는 상기 플랭크에 형성되는, 클램핑 칼라.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벨트(10)는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2개의 플랭크(11A, 11C)들에 의해 경계가 정해진 오목부를 가지며, 상기 지지 벽 요소는 이들 2개의 플랭크들 각각에 형성된 지지 벽 요소들의 2개의 부분들을 포함하는, 클램핑 칼라.
  5. 청구항 3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플랭크(11A, 11C)는 에지 부분을 제공하도록 상기 후크(14)를 가지고 있는 상기 벨트(10)의 단부(10B)에서 중단되고, 상기 제2 지지부재(24)는 상기 에지 부분에 형성되는, 클램핑 칼라.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플랭크(11A, 11C)는 굽힘 또는 컷아웃에 의해 중단되는, 클램핑 칼라.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재(12)는, 걸림 상태에서, 상기 후크(14)의 상기 런닝 부분(14B) 아래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1 지지부재(22)를 가지는 연장부(12A)를 갖는, 클램핑 칼라.
  8.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재(12)는, 걸림 상태에서, 상기 후크(14)의 상기 런닝 부분(14B) 아래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1 지지부재(22)를 가지는 연장부(12A)를 갖는, 클램핑 칼라.
  9. 청구항 7 또는 8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12A)는 보강 릴리프(13)를 갖는, 클램핑 칼라.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재(12)는 외측 반경방향 돌출부를 포함하는, 클램핑 칼라.
KR1020220016781A 2021-02-09 2022-02-09 유지부재 및 후크를 가지는 클램핑 칼라 KR2022011507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2101217A FR3119650B1 (fr) 2021-02-09 2021-02-09 Collier de serrage ayant un organe de retenue et un crochet
FR2101217 2021-02-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5075A true KR20220115075A (ko) 2022-08-17

Family

ID=74860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6781A KR20220115075A (ko) 2021-02-09 2022-02-09 유지부재 및 후크를 가지는 클램핑 칼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252192A1 (ko)
EP (1) EP4040027A1 (ko)
JP (1) JP2022122279A (ko)
KR (1) KR20220115075A (ko)
CN (1) CN114941643A (ko)
FR (1) FR311965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101127B1 (fr) * 2019-09-23 2021-10-01 Caillau Collier de serrage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76514A (en) * 1955-12-13 1959-03-10 United Carr Fastener Corp Hose clamp
US4299012A (en) * 1979-05-08 1981-11-10 Hans Oetiker Hose clamp
FR2596468B1 (fr) * 1986-03-27 1988-07-15 Caillau Ets Collier de serrage
US4821379A (en) * 1988-03-31 1989-04-18 Wittek Industries, Inc. Self-aligning spring clamp
IT1217723B (it) * 1988-05-26 1990-03-30 Arcelli & Bernacchi Fascetta metallica per giunzione di tubi
US4987652A (en) * 1990-02-09 1991-01-29 Spaulding George E Spring clamp
FR2662488B1 (fr) * 1990-05-23 1992-09-18 Caillau Ets Collier de serrage a reserve de capacite.
DE4237330C1 (de) 1992-11-05 1993-10-28 Rasmussen Gmbh Schelle
FR2705411B1 (fr) 1993-05-19 1995-08-18 Caillau Ets Structure de collier de serrage.
FR2705410B1 (fr) 1993-05-19 1995-08-11 Caillau Ets Collier de serrage.
FR2708708B1 (fr) * 1993-07-30 1995-10-27 Caillau Ets Collier de serrage.
DE19650675C2 (de) * 1996-12-06 2002-10-31 Rasmussen Gmbh Profilschelle
US5842450A (en) * 1998-04-13 1998-12-01 Ford Motor Company Fuel regulator retaining clip
BRPI0604028B1 (pt) * 2006-09-04 2019-12-24 Embraco Ind De Compressores E Solucoes Em Refrigeracao Ltda abraçadeira para conexões tubulares em pequenos sistemas de refrigeração
FR2950403B1 (fr) 2009-09-24 2011-10-21 Caillau Ets Collier de serrage et son procede de fabrication.
DE102013212629A1 (de) * 2012-06-29 2014-01-02 Behr Gmbh & Co. Kg Verbindungsel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941643A (zh) 2022-08-26
JP2022122279A (ja) 2022-08-22
FR3119650A1 (fr) 2022-08-12
EP4040027A1 (fr) 2022-08-10
FR3119650B1 (fr) 2023-04-14
US20220252192A1 (en) 2022-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91273B2 (ja) ホースクランプ
KR20090008133A (ko) 클램핑 칼라 및 위치 결정편을 갖는 클램핑 장치
US7320485B2 (en) V insert edge contour
KR20220115075A (ko) 유지부재 및 후크를 가지는 클램핑 칼라
JP3137047B2 (ja) スプリングバンドクランプ
EP0545378B1 (en) Self-tightening clamp
RU2506487C2 (ru) Хомут для шланга
US10005600B2 (en) Hose clamp
CZ310794A3 (en) Clamp
JPH05240385A (ja) クランプ構造体
JP2019190663A (ja) チューブを接続するための折り畳みタブを有するクランピングシステム
US9239124B2 (en) Hose clamp
CA2387368C (en) Hose clamp with stepless internal clamping surfac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20040025305A1 (en) Clamping collar
US20040134041A1 (en) Open hose clamp with plastically deformable ear
US11674625B2 (en) Clamping collar
US20060117534A1 (en) Open hose clamp with plastically deformable ear
JP2947191B2 (ja) スプリングバンドクランプ
WO2012095990A1 (ja) ホースクランプ
JP4433340B2 (ja) 抜け止め部材
JP5715162B2 (ja) ホースクランプ
CN112539306B (zh) 夹紧套环
KR20210035064A (ko) 클램핑 칼라
US11946578B2 (en) Toothed washer
JP7210837B2 (ja) ホースクランプ