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2837U - 전기자동차의 전기적인 제동장치 - Google Patents

전기자동차의 전기적인 제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2837U
KR19980022837U KR2019960036200U KR19960036200U KR19980022837U KR 19980022837 U KR19980022837 U KR 19980022837U KR 2019960036200 U KR2019960036200 U KR 2019960036200U KR 19960036200 U KR19960036200 U KR 19960036200U KR 19980022837 U KR19980022837 U KR 1998002283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motor
hydraulic
pedal
electric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62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철호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600362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22837U/ko
Publication of KR1998002283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2837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7/00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 B60L7/24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with additional mechanical or electromagnetic braking
    • B60L7/26Controlling the braking effe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5/00Methods, circuit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ction-motor speed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5/20Methods, circuit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ction-motor speed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control of the vehicle or its driving motor to achieve a desired performance, e.g. speed, torque, programmed variation of speed
    • B60L15/2009Methods, circuit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ction-motor speed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control of the vehicle or its driving motor to achieve a desired performance, e.g. speed, torque, programmed variation of speed for bra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18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brak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50/00Driver interactions
    • B60L2250/26Driver interactions by pedal actu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12Brake pedal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Valves And Accessory Devices For Braking Systems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기자동차의 제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기자동차의 제동장치에 있어서, 브레이크페달(14)을 밟았을 때에 답력에 의해 발생되어 유압파이프(10)로 전달되는 유압력을 감지하는 유압센서(12)와, 상기 브레이크페달(14)의 작동여부를 감지하는 위치센서(16)와, 상기 유압센서(12) 및 위치센서(16)에서 감지된 신호로 브레이크페달(14)의 답력이 정상적으로 전달되는 가를 판단하는 브레이크오류체크부(18)와, 상기 브레이크오류체크부(18)에서 발생된 신호로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모터제어부(20)와, 상기 모터제어부(20)의 제어신호로 각 바퀴를 회전시키거나 정지시키는 모터(22)가 구성되어 기계적인 브레이크가 고장일 때에 전기적인 힘을 이용하여 바퀴를 제동시키는 것이다.

Description

전기자동차의 전기적인 제동장치
본 고안은 전기자동차의 제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계적인 브레이크가 고장일 때에 전기적인 힘을 이용하여 바퀴를 제동시키는 전기자동차의 전기적인 제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기자동차의 제동장치는 일반적인 자동차와 동일한 구조를 갖고 있으며, 브레이크페달을 밟으면, 브레이크페달의 답력이 마스터실린더에서 유압을 발생시켜 유압파이프를 통해 각 바퀴의 드럼, 디스크 및 라이닝 등으로 이루어진 작동부를 구동시켜 제동을 시킨다.
이와 같은 전기자동차의 제동장치에서 브레이크페달을 밟았을 때에 마스터실린더 및 유압파이프 등에서 누압이 생겼을 때에 정상적인 유압이 발생되지 않거나, 작동부의 고장으로 인하여 제동장치가 정상적으로 작동되지 않게 되면, 안전사고를 일으킬 수 있는 위험한 문제가 내재되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기계적인 제동장치가 고장을 일으켰을 때에 전기적인 제동장치를 이용하여 제동력을 구하는 전기자동차의 전기적인 제동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 목적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전기적인 제동장치에 관한 블록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유압파이프12: 유압센서
14: 브레이크페달16: 위치센서
18: 브레이크오류체크부20: 모터제어부
22: 모터24: 바퀴
본 고안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기자동차의 제동장치에 있어서, 브레이크페달을 밟았을 때에 답력에 의해 발생되어 유압파이프로 전달되는 유압력을 감지하는 유압센서와, 상기 브레이크페달의 작동여부를 감지하는 위치센서와, 상기 유압센서 및 위치센서에서 감지된 신호로 브레이크페달의 답력이 정상적으로 전달되는 가를 판단하는 브레이크오류체크부와, 상기 브레이크오류체크부에서 발생된 신호로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모터구동부와, 상기 모터제어부의 제어신호로 각 바퀴를 회전시키거나 정지시키는 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에 관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전기자동차의 전기적인 제동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유압센서(12)는 브레이크페달(14)의 답력에 의해 마스터실린더에서 발생된 유압이 유압파이프(10)로 전달될 때에 브레이크오일의 유압을 감지하는 센서로, 유압파이프(10)의 내측이나 외부일측에 장착된다.
위치센서(16)는 브레이크페달(14)의 일측에 구성되어 브레이크페달(14)의 답력을 감지하는 것으로, 운전자가 제동을 위하여 브레이크페달(14)을 밟았을 때에 브레이크페달(14)이 답력에 의해 작동되는 거리, 즉 브레이크페달(14)가 작동된 위치를 감지하는 것이다.
브레이크오류체크부(18)는 상기 위치센서(16)에서 운전자가 브레이크페달(14)을 밟았을 때에 발생되는 감지신호와, 브레이크페달(14)의 답력에 의해 유압이 발생되어 유압파이프(10)를 통해 전달될 때에 유압센서(12)가 감지한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브레이크페달(14)을 밟았을 때에 발생되어야 하는 유압이 정상적인지 아닌지를 내장된 기준치와 비교 및 판단하여 정상적인 유압이하라고 판단되었을 때에 오류신호를 출력시킨다.
모터제어부(20)는 상기 브레이크오류체크부(18)에서 발생된 오류신호로 모터(22)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시킨다. 즉, 전기자동차가 주행중일 때에는 주행에 관한 제어신호를 출력시켜 모터(22)를 정회전시키므로 바퀴(24)를 구동시키고, 브레이크오류체크부(18)에서 오류신호가 입력되었을 때에는 모터(22)로 공급되는 제어신호는 바퀴(24)가 제동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출력시킨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관한 전기자동차의 전기적인 제동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운전자가 전기자동차를 주행중에 제동을 위하여 브레이크페달(14)을 밟았을 때에 브레이크페달(14)의 답력이 정상적인 유압을 발생시켜 바퀴(24)일측에 구성된 작동부가 정상적으로 바퀴를 제동시킬 경우에, 브레이크오류체크부(18)는 위치센서(16)로부터 브레이크페달(14)이 작동되었음을 판단하고, 유압센서(12)로부터 정상적인 유압이 감지되었나를 판단한다. 즉, 제동을 위하여 브레이크페달(14)을 밟았을 때에 위치센서(16)에서 브레이크페달(14)의 작동에 관한 감지신호를 브레이크오류체크부(18)로 출력시키면, 브레이크오류체크부(18)에서는 위치센서(16)의 감지신호를 판단한 후에, 유압센서(12)가 유압파이프(10)에서 감지한 유압이 정상적인 가를 판단한다.
따라서, 브레이크오류체크부(18)는 설정된 유압에 관한 기준치와 유압센서(12)로부터 입력된 감지신호를 비교하여 위치센서(16)에서 입력된 감지신호에 해당하는 유압신호인가를 판단한다. 이때, 유압신호가 기준치에 미치지 못할 경우에는 마스터실린더나 유압파이프(10)에서 누압이 발생된 것으로 간주하여 오류신호를 출력시킨다. 여기서, 유압파이프(10)로 전달되는 유압이 운전자가 브레이크페달(14)을 밟았을 때에 발생되어야 하는 유압에 미달되면, 기계적인 제동장치도 정상적인 작동이 이루어지지 않아 전기자동차가 기준제동거리보다 길어질 것이다.
상기 브레이크오류체크부(18)에서 발생된 오류신호는 모터제어부(20)로 입력되어 모터제어부(20)에서 바퀴(24)를 구동시키는 모터(22)를 제어하게 된다. 즉, 모터제어부(20)는 주행에 관한 정상적인 제어신호로 모터(22)를 구동시키는 도중에 브레이크오류체크부(18)로부터 오류신호가 입력되면, 모터(22)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시킨다. 다시말해서, 모터제어부(20)는 모터(22)에 공급되는 구동전원을 차단시키고, 모터(22)의 구동이 정지될 때까지 역전압을 인가시켜 모터(22)를 제동시키므로 바퀴(24)의 회전을 제동시키는 것이다.
그러므로, 주행중에 브레이크페달(14)의 답력에 해당하는 유압이 유압파이프(10)에서 발생되지 않을 때에는 바퀴(24)를 구동시키는 모터(22)를 제동시켜 유압에 의한 기계적인 제동과 동시에 전기적인 제동을 가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전기자동차에 구성된 기계적인 제동장치와 더불어 전기적인 제동장치를 구성한 것으로, 브레이크페달에 의한 유압이 정상압력이하가 되었을 때에 이를 감지하여 바퀴를 구동시키는 모터를 제동시킴으로써, 기계적인 제동장치의 고장이 발생하였을 때에 정상적인 제동을 수행시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시킨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전기자동차의 제동장치에 있어서,
    브레이크페달(14)을 밟았을 때에 답력에 의해 발생되어 유압파이프(10)로 전달되는 유압력을 감지하는 유압센서(12)와,
    상기 브레이크페달(14)의 작동여부를 감지하는 위치센서(16)와,
    상기 유압센서(12) 및 위치센서(16)에서 감지된 신호로 브레이크페달(14)의 답력이 정상적으로 전달되는 가를 판단하는 브레이크오류체크부(18)와,
    상기 브레이크오류체크부(18)에서 발생된 신호로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모터제어부(20)와,
    상기 모터제어부(20)의 제어신호로 각 바퀴를 회전시키거나 정지시키는 모터(22)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전기적인 제동장치.
KR2019960036200U 1996-10-29 1996-10-29 전기자동차의 전기적인 제동장치 KR1998002283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6200U KR19980022837U (ko) 1996-10-29 1996-10-29 전기자동차의 전기적인 제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6200U KR19980022837U (ko) 1996-10-29 1996-10-29 전기자동차의 전기적인 제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2837U true KR19980022837U (ko) 1998-07-25

Family

ID=53980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6200U KR19980022837U (ko) 1996-10-29 1996-10-29 전기자동차의 전기적인 제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22837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8368B1 (ko) * 2002-03-15 2004-09-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기 차량용 제동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8368B1 (ko) * 2002-03-15 2004-09-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기 차량용 제동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8379B1 (ko) 전기식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을 구비한 차량용 제동 장치및 그 제어 방법
KR970703259A (ko) 자동차용 브레이크장치(Brake system for a vehicle)
US20060232124A1 (en) Device and method for braking a vehicle
KR20170090152A (ko) 이피비와 이에스씨를 이용한 차량의 비상 제동 장치 및 방법
KR19980022837U (ko) 전기자동차의 전기적인 제동장치
JPH04232153A (ja) ブレーキ操作量センサのフェール検出装置
US5992945A (en) Hydraulic brake force regulating system
JP4057161B2 (ja) ブレーキ制御装置
KR100273709B1 (ko) 차량의 유압식 주브레이크 고장 진단장치
KR100456779B1 (ko) 자동차용 브레이크 장치
KR0173764B1 (ko) 차량의 주차브레이크 자동작동장치
KR100381771B1 (ko) 자동차의 전기 브레이크 시스템
KR100257313B1 (ko) 차량의 비상 브레이크 장치
US20230023343A1 (en) Test arrangement for functional testing of a vehicle brake control system
KR100208594B1 (ko) 에이비에스에서 휠스피드 센서 고장시 보상방법
KR0171388B1 (ko) 주차브레이크를 이용한 자동비상 제동장치
JP2509904Y2 (ja) 車輪速度センサの故障検出装置
KR19980046971A (ko) 자동차용 제동장치
US2001003567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braking system of a vehicle
KR0129419B1 (ko) 비상 브레이크 장치
KR100241937B1 (ko) 파킹 브레이크와 푸트 브레이크가 동시에 작동되는 장치
KR19980048033A (ko) 브레이크오일 잔류량 표시장치
KR20070020884A (ko) 안티 락 브레이크 시스템
KR19990051213A (ko) 차량의 비상 제동방법 및 제동장치
KR19990034186A (ko) 차량의 제동계 위치감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