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1740U - 축전지의 전해액면 레벨 감시장치 - Google Patents

축전지의 전해액면 레벨 감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1740U
KR19980021740U KR2019960035052U KR19960035052U KR19980021740U KR 19980021740 U KR19980021740 U KR 19980021740U KR 2019960035052 U KR2019960035052 U KR 2019960035052U KR 19960035052 U KR19960035052 U KR 19960035052U KR 19980021740 U KR19980021740 U KR 1998002174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at
electrolyte
battery
guide member
storage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50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병희
Original Assignee
김종진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진,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종진
Priority to KR20199600350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21740U/ko
Publication of KR1998002174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1740U/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4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for measuring electrolyte level, electrolyte density or electrolyte conductivit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2010/4278Systems for data transfer from batteries, e.g. transfer of battery parameters to a controller, data transferred between battery controller and main controll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10Batteries in stationary systems, e.g. emergency power source in pla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발전기 가동용이나 수변전설비의 조작전원용으로 사용되어지는 축전지의 전해액 레벨이 적정한 수준의 이하로 떨어지게 되는 것을 원거리에서도 자동적으로 검출하여 전해액 보충 등이 적정시기에 이루어짐으로서 설비의 안정적인 운영이 가능하도록 한 축전지의 전해액면 레벨 감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축전지(110)의 전해액을 받도록 된 전해액 통과구멍(54)이 하부에 형성되고, 내부에 상하로 형성된 플로우트 이동경로(52)는 전해액의 비중보다 작게 된 플로우트(60)가 상하 이동가능하도록 수용되어, 플로우트(60)가 전해액면의 변동에 의하여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플로우트 안내부재(50)와, 상기 플로우트 안내부재(50)의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플로우트(60)가 근접위치에 있을 때 그를 감지하여 제어부에 신호를 전송하도록 된 그접센서(31)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축전지의 전해액면 레벨 감시장치
본 고안은 발전기 가동용이나 수변전설비의 조작전원용으로 사용되어지는 축전지의 전해액 레벨을 적정한 수준에 유지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축전지의 전해액 레벨이 적정한 수준의 이하로 떨어지게 되는 것을 원거리에서도 자동적으로 검출하여 전해액 보충 등이 적정시기에 이루어짐으로서설비의 안정적인 운영이 가능하도록 한 축전지의 전해액면 레벨 감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축전지(10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케이스(100) 내에 극판(120)을 갖춘고, 이러한 극판(120)은 전해액(130)에 잠겨 전기분해에 의한 전기의 발생 및 축전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러한 축전지(100)의 케이스(110) 내에 채워져 있는 전해액(130)은 그 고유의 작동을 보장하기 위한 최소의 수위(H)를 유지하여야 하며, 통상 상기 수위(H)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연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서, 이 수위(H)가 축전지(100)의 정상작동을 보장하기 위한 최소의 수위(H)보다 더 떨어지지 않도록 그 레벨을 항상 감시하고 전해액 보충 등의 작업을 통하여 축전지(100)의 작동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만약, 감소된 양만큼의 전해액을 보충하여 주지 못하게 되는 경우에는, 축전지(100)의 충전 및 방전의 기능이 저하되어 수명이 단축될 뿐만 아니라, 수변전설비의 경우에는 차단기 조작 불능의 현상을 초래하여 전력계통에 중대한 사고를 유발하며, 발전기의 경우에는 피니언 모터의 가동 불능의 현상을 초래하여 정전시 발전기의 기동불능으로 주요설비에 비상전원을 공급하지 못하게 되는 중대 사고로 이어지게 되는 심각한 현상을 유발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축전지 전해액의 적정 레벨 유지 및 이를 위한 관리는 축전지의 안정적인 작용을 보장하기 위한 중요한 요소인 것이다.
그러나, 축전지는 통상 설비의 후미진 장소에 설치되어 그 점검이 용이하지 않을뿐더러, 축전지 자체 또는 주변환경에 따라 그 전해액 레벨의 자연감소량이 다르게 되어 정기적인 점검을 어렵게 하고, 이러한 여러 가지 요소들에 의하여 실질적인 축전지 전해액의 레벨 감시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따라서 그 축전지에 의하여 관리는 다른설비들의 안정적인 가동상태 유지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발전기 가동용이나 수변전설비의 조작전원용으로 사용되어지는 축전지의 전해액 레벨이 적정한 수준의 이하로 떨어지게 되는 것을 원거리에서 자동적으로 검출하여 전해액 보충 등이 적정시기에 이루어짐으로서 설비의 안정적인 운영이 가능하도록한 축전지의 전해액면 레벨 감시장치를 제공함에 의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축전지를 도시한 개략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전해액면 레벨 감시장치를 갖춘 축전지를 도시한 개략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축전지의 전해액면 레벨 감시장치의 주요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축전지의 전해액면 레벨 감시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12,14-브라켓21,22-보울트
31-근접센서50,50'-플로우트 안내부재
60-플로우트61a,62a-내부부재
61b,62b-외부부재72,72-호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고안은, 축전지의 전해액을 받도록 된 전해액 통과구멍이 하부에 형성되고, 내부에 상하로 형성된 플로우트 이동경로는 전해액의 비중보다 작게 된 플로우트가 상하 이동가능하도록 수용되어, 플로우트가 전해액면의 변동에 의하여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플로우트 안내부재와, 상기 플로우트 안내부재의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플로우트가 근접위치에 있을 때 그를 감지하여 제어부에 신호를 전송하도록 된 근접센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지의 전해액면 레벨 감시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전해액면 레벨 감시장치가 축전지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도시한 개략 구성도로서, 축전지(100) 케이스(110)의 일측 외측이 브라켓(11)(12)에 의하여 감싸지고, 이들은 케이스(110)의 상부면 일측에 있는 막대형 브라켓(11)과, 상기 막대형 브라켓(11)의 양측 단부가 상측 단부에 보울트(21)를 매개로 하여 고정되며 케이스(110)의 양측과 하부면을 감싸도록 된 대략의 U자형 브라켓(12)이며, 상기 U자형 브라켓(12)의 일측 수직부에는 케이스(110)의 외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연장벽(13)을 형성한다.
상기 연장벽(13)에는 보울트(22)를 매개로 하여 또다른 브라켓(14)이 고정되고, 상기 연장벽(13)의 일단부는 케이스(110)의 전면 외측 중앙부까지 연장되어 그 상부에 근접센서(31)를 장착하며, 상기 근접센서(31)는 축전지 전해액의 레벨에 의하여 상하 이동하도록 된 후술할 플로우트(Float)를 감지하여 그 신호를 별도의 미도시한 제어부에 전송하도록 된다.
이러한 근접센서(31)에 의한 축전지 전해액의 레벨 감지를 위한 구성이 도 3에 보다 상세하게 도시되는바, 그 단면이 대략의 ∩자형으로 형성되고 케이스(110)와 브라켓(11)에 각각 형성된 관통구멍(110a)(11a)을 통하여 상하방향으로 끼워지며 중앙부에 원주방향으로 돌출된 돌턱(41)이 상기 케이스(110)의 상부면과 브라켓(11)의 하부면 사이에 끼워져 고정된 지지부재(40)를 가진다.
상기 지지부재(40)의 하부측 개방부를 통하여 내측으로 상단부가 끼워지는 플로우트 안내부재(50)는,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플로우트 이동경로(52)를 형성하며, 하단부에 축전지 전해액이 통과할 수 있는 전해액 통과구멍(54)을 형성하고, 전해액에 잠기지 않고 지지부재(40)에 끼워지지 않는 상부 일측에는 플로우트의 상하 이동이 방해되지 않도록 내부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된 공기구멍(56)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플로우트 안내부재(50)의 재질은 플라스틱등과 같은 비자성체로 하여야 한다.
상기 플로우트 안내부재(50)의 내측에 상하로 일정길이 형성된 플로우트 이동경로(52)에는 밀폐된 중공의 플로우트(60)가 수용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고, 이 플로우트(60)는 중공부가 공기로 채워지거나 바람직하게는 진공상태이면 좋고, 자성체인 금속 등의 재질로 형성된 구형의 내부부재(61a)와 상기 내부부재(61a)의 외측에 피복되는 형상으로 된 비자성체인 플라스틱 등의 재질로 형성된 외부부재(61b)로 이루어진 구형 플로우트(61), 또는 자성체인 금속 등의 재질로 형성된 상하단부가 볼록한 대략의 원통형의 내부부재(62a)와 상기 내부부재(62a)의 외측에 피복되는 형상으로 된 비자성체인 플라스틱 등의 재질로 형성된 외부부재(62b)로 이루어진 대략의 원통형의 플로우트(61), 또는 그 이외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미도시한 플로우트로 되어도 좋다.
상기 도 3에 도시한 플로우트 안내부재(50) 등의 대략의 구성이 케이스(110)의 내측에 설치되어도 좋고, 외측에 설치되어도 좋으며, 외측에 설치한 경우의 대략의 구성을 도 4에 도시한다.
즉, 축전지(100)의 상하부에 그 내부의 전해액에 연결되도록 된 튜브(71)(72)를 각각 인출하고, 이러한 튜브(71)(72)의 타측 단부는 플로우트 연결부재(50')의 상, 하부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플로우트 연결부재(50')의 내부에 플로우트(6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장착되고, 상기 플로우트 연결부재(50')의 외부측 적정위치에는 플로우트(60)를 감지할 수 있는 근접센서(31)를 설치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상기한 구성의 본 고안은 축전지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되어 전해액 레벨을 원거리에서 검출하여 적정시기에 전해액 충전 등의 작업을 행할 수 있게 한다.
도 2 및 도 3의 구성에 의거하여 설명하면(여기에서는 설명의 피하지만 도 4에 도시한 구성의 작용효과도 또한 같다), 플로우트 안내부재(50)의 내부로 전해액이 하부 전해액 통과구멍(54)을 통하여 유입되면 플로우트(60)가 전해액면의 위치까지 상승하여 유지하게 되며, 이때 플로우트(60)의 상승에 의하여 그 플로우트(60) 상부측의공기가 공기구멍(56)을 통하여 외부로 방출됨으로서 플로우트(60)의 상승동작에 방해되지 않고,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플로우트(60)가 전해액면 레벨에 유지하여 그 전해액면 레벨의 변화에 따라 상하 이동하게 되며, 그 상하 이동이 근접센서(31)에 의하여 검출되는 것이다.
상기 근접센서(31)는 사용자의 필요에 의하여 하나 또는 그 이상으로 설치할 수 있으며, 하나인 경우에는 전해액면 레벨이 축전지의 정상작동에 필요한 하한위치에 있는 경우를 검출하여 사용자에게 전해액의 보충을 경구하게 할 수 있고, 하나 이상인 경우에는 전해핵면 상한위치, 중간위치 등을 검출하여 사용자에게 정보로서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근접센서(31)의 형태는 작동원인 플로우트(60)와 접촉되지 않은 상태로 그 플로우트(60)를 감지할 수 있는 것으로서 플로우트(60)가 근접센서(31)에 접근하면 자력선의 변화를 일으키고 그 변화에 의하여 플로우트(60)를 감지할 수 있는 무접촉식 근접센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러한 무접촉식의 장점은 반영구적인 플로우트 부재(50)와 플로우트(60)의 구성에 의하여 기계적 또는 전기적으로 안정화되어 그 고장발생의 확률이 적고, 검출이상시에는 근접스위치(31)만의 교환에 의하여 그 수리가 가능할 수 있기 때문에 보수유지에 효과적이라는 것이다.
물론, 상기 근접센서(31)의 종류에 대하여 상기한 무접촉식 대신에 전극봉 형태의 액면 검출스위치를 사용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으나, 이러한 경우에는 극판간의 단락위험 요인이 될 수 있으며, 축전지 내의 협소한 공간을 고려할 때에 그 적용이 매우 곤란한 것이다.
즉, 플로우트(60)의 감지를 위한 센서의 종류로는 무접촉식 근접센서가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장치를 실질적으로 적용하는 데에 있어서, 첫 번째 플로우트(60)가 전해액에 의하여 원할하게 상하 이동하도록 하기 위하여 전해액의 비중이 황산 및 알칼리 축전지의 경우에 공히 1.28 내외로서 중공부에 공기 또는 진공을 주입한 알루미늄 재질로서 그 두께를 적정하게 조정한 플로우트(60)로 제작함으로서 상하 이동이 원할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두번째로 근접스위치(31)의 동작원리가 자체에서 생성된 자력선이 근접되는 금속재질에 의하여 변화됨으로서 작동하게 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근접센서의 작동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게 하기 위하여는 전력발생장치인 출전지에서 발생하는 전압에 의한 자력선이 근접스위치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이들 외란에 대해 영향을 받지 않는 내구성이 확보되어 있는 것이어야 하며, 또한 축전지의 셀당 전압은 황상 축전지가 2V이며 알칼리 축전지가 1.2V로서 이러한 정도의 전압에 의하여 발생되는 자력선은 현재까지 알려져 있는 근접스위치의 작동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 것이므로, 전해액에 의하여 상하 이동하는 플로우트(60)를 근접센서(31)에 의하여 감지하는 데에는 큰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축전지의 전해액면 레벨 감시장치에 의하면, 축전지 내부에 채워져 있으면서 자연적으로 레벨이 감소하는 전해액면을 원거리에서도 용이하게 감시할 수 있어 축전지의 안정적인 운영이 가능하며, 이는 축전지의 기능을 최적의 상태로 유지하여 그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고, 수변전 설비나 발전기 관리시 그들의 최상의 가동조건을 유지하여 대형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며, 이로인한 그들 설비의 안정적인 운용이 가능하게 하는 실용상의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Claims (4)

  1. 축전지(110)의 전해액을 받도록 된 전해액 통과구멍(54)이 하부에 형성되고, 내부에 상하로 형성된 플로우트 이동경로(52)는 전해액의 비중보다 작게 된 플로우트(60)가 상하 이동가능하도록 수용되어, 플로우트(60)가 전해액면의 변동에 의하여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플로우트 안내부재(50)와,
    상기 플로우트 안내부재(50)의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플로우트(60)가 근접위치에 있을 때 그를 감지하여 제어부에 신호를 전송하도록 된 근접센서(31)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지의 전해액면 레벨 감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우트(60)는 외부와 폐쇄된 중공의 내부를 가지며, 근접센서(31)를 작동시키기 위한 금속성의 재질로 된 내부부재와, 상기 내부부재를 감싸도록 된 플라스틱 재질로 된 외부부재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지의 전해액면 레벨 감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우트 안내부재(50)는 상단부를 폐쇄하도록 된 지지부재(40)를 매개로 하여 축전지의 내부 전해액에 잠기도록 설치되고, 상부측에는 내부와 외부를 서로 통하도록 된 공기구멍(56)이 형성되어 플로우트(60)의 상하이동을 원할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지의 전해액면 레벨 감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우트 안내부재(50')는 축전지의 외부에 설치되고, 이 플로우트 안내부재(50')의 전해액 통과구멍에 연결된 호스(72)의 타단부는 축전지의 하부측에 연결됨으로서 축전지 내부의 전해액이 플로우트 안내부재(50')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지의 전해액면 레벨 감시장치.
KR2019960035052U 1996-10-23 1996-10-23 축전지의 전해액면 레벨 감시장치 KR1998002174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5052U KR19980021740U (ko) 1996-10-23 1996-10-23 축전지의 전해액면 레벨 감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5052U KR19980021740U (ko) 1996-10-23 1996-10-23 축전지의 전해액면 레벨 감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1740U true KR19980021740U (ko) 1998-07-15

Family

ID=53979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5052U KR19980021740U (ko) 1996-10-23 1996-10-23 축전지의 전해액면 레벨 감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21740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82779A (zh) * 2017-11-12 2018-10-19 孔祥贵 一种具有冷却循环自动补液功能的温控蓄电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82779A (zh) * 2017-11-12 2018-10-19 孔祥贵 一种具有冷却循环自动补液功能的温控蓄电池
CN108682779B (zh) * 2017-11-12 2023-12-19 孔祥贵 一种具有冷却循环自动补液功能的温控蓄电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2143B1 (ko) 지중 배전선로의 고장 감시장치
CN103105211B (zh) 浮顶罐的监视
KR101773931B1 (ko) 광복합 지중 송전선로의 감시장치
CN201837430U (zh) 液位检测系统
KR0139244B1 (ko) 축전지 전해액 높이 감지 방법과 축전지 증류수 자동주입방법과 그 장치
KR19980021740U (ko) 축전지의 전해액면 레벨 감시장치
US3795818A (en) Emergency power supply
CN102829563A (zh) 太阳能热水器的自动上、断水系统
CN110043803A (zh) 一种管道异常探测装置及系统
JP2012127878A (ja) 液面変位検知システムおよび液面変位検知方法
CN103196521B (zh) 抽水蓄能电站上水库大坝的浮子开关式自由泄流测报装置
CN112003366B (zh) 一种消防联动电源的快速维修系统
JPH1116608A (ja) 油漬均圧型電池及びその充放電装置
CN202853161U (zh) 太阳能热水器的自动上、断水系统
CN211977903U (zh) 电动汽车充电桩倾斜检测装置
CN220569484U (zh) 绝缘防护机构、输送设备及液流电池储能系统
CN211121364U (zh) 一种基于rfid技术的电缆沟无线环境监测装置
CN220418584U (zh) 一种脱硫浆液箱液位报警装置
CN215324720U (zh) 多功能储罐监测设备
CN215034382U (zh) 焊机漏水回收利用装置
CN219789914U (zh) 一种桥梁检查车用自动充电装置
CN213755077U (zh) 一种电子加速器束下水槽循环水自控装置
EP3540904B1 (en) Electric charge accumulator
CN211232433U (zh) 一种用于鹤管干式切断阀的安全检测装置
CN219285353U (zh) 一种跌落式熔断器用监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