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1068A - 차량용 산소센서 히터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산소센서 히터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1068A
KR19980021068A KR1019960039808A KR19960039808A KR19980021068A KR 19980021068 A KR19980021068 A KR 19980021068A KR 1019960039808 A KR1019960039808 A KR 1019960039808A KR 19960039808 A KR19960039808 A KR 19960039808A KR 19980021068 A KR19980021068 A KR 199800210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xygen sensor
speed
heater
determination
coolant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9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13736B1 (ko
Inventor
김석윤
정철화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10199600398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3736B1/ko
Publication of KR199800210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10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37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37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14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 F02D41/1438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using means for determining characteristics of the combustion gases; Sensors therefor
    • F02D41/1493Details
    • F02D41/1494Control of sensor he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2Safety or indicating devices for abnormal conditions
    • F02D41/222Safety or indicating devices for abnormal conditions relating to the failure of sensors or parameter detection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Fluid Adsorption Or Rea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산소센서 히터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엔진의 냉각수 온도, 회전수, 차속을 판정 기준치와 비교하여 상기 조건을 만족할 시 산소(O2) 센서의 히터 가열을 중지케 함으로써 산소센서 및 산소센서의 히터 파손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이그니션키를 온시켜 산소센서 히터를 동작시키는 단계와, 냉각수온도와 판정 냉각수온도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냉각수 온도가 판정 냉각수온도보다 적을 경우 차속과 판정차속을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차속이 판정차속보다 클 경우 엔진회전수와 판정회전수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엔진회전수가 판정 회전수보다 높을 경우 상기 전체 단계의 확인시간과 판정 경과시간을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전체단계의 확인시간이 판정 경과시간보다 길 경우에는 산소센서의 히터를 오프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산소센서 히터 제어방법
본 발명은 차량용 산소센서 히터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엔진의 냉각수 온도, 회전수, 차속을 판정 기준치와 비교하여 상기 조건을 만족할 시 산소(O2) 센서의 히터 가열을 중지케 함으로써 산소센서 및 산소센서의 히터 파손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차량용 산소센서는 배기가스중 산소를 검출하는 센서로서, 공연비가 이론 공연비보다 농후한 상태를 조사하도록 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배기가스 중의 산소와 대기중의 산소 농도차에 따라 산소 이론 공연비를 중심으로 출력전압이 급격히 변화되는 것을 이용하여 피드백 조정(feed back control)의 기준 신호를 공급해 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도 1은 종래 산소센서의 히터 설치상태를 보인것으로, 엔진 콘트롤 유니트(ECU)내의 트랜지스터(TR)의 베이스단에 산소센서의 히터 콘트롤 신호를 인가하여 트랜지스터(TR)가 도통될시 산소센서 히터(H)가 가열되도록 구성하고 있으며, 이그니션 온시 항상 산소센서 히터(H)가 동작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와같이 작동되는 산소센서 히터(H)의 기능은 엔진이 냉각되어 있을때 산소센서를 조기에 활성화시켜 피드백을 앞당기도록 하는데 있다.
그러나, 엔진이 과열된 상태일때, 산소센서 히터(H)가 과열될 경우 그 과열로 인해 산소센서 및 산소센서 히터(H)가 파손될 염려가 있고, 따라서 삼원촉매의 배기가스 정화 능력이 크게 저하될 뿐 아니라 산소센서를 교환해야 하는 경제적 손실이 지적된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산소센서의 히터가 가지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 특정조건 성립시 산소센서의 히터의 히팅을 중지토록 함으로써 산소센서와 산소센서의 히터 파손을 방지하고 배기가스의 상승 원인을 제거토록 하는 차량용 산소센서 히터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그니션키를 온시켜 산소센서 히터를 동작시키는 단계와, 냉각수온도와 판정 냉각수온도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냉각수온도가 판정 냉각수온도보다 적을 경우 차속과 판정차속을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차속이 판정차속보다 클 경우 엔진회전수와 판정회전수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엔진회전수가 판정 회전수보다 높을 경우 상기 전체 단계의 확인시간과 판정 경과시간을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전체단계의 확인시간이 판정 경과시간보다 길 경우에는 산소센서의 히터를 오프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산소센서 히터를 설명하기 위한 설치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챠트.
※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ECU : 엔진콘트롤 유니트 TR : 트랜지스터
H : 산소센서의 히터
이와 같은 본 발명을 도 2의 플로우챠트에 의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그니션키를 온시키는 단계(S1)에서는 산소센서의 히터가 자동적으로 온되어 가열된다.
이때, 엔진의 냉각수 온도를 판정(기준치) 냉각수 온도(예: 10℃)와 비교하는 단계(S2)를 거치게 한다.
상기 단계(S2)에서 엔진의 냉각수 온도가 판정 냉각수 온도와 비교하여 10℃보다 적을 경우에는 차속과 판정차속(예: 100KPH)을 비교하게 하고 (단계 S3), 상기 단계(S3)에서 차속이 판정차속보다 높을 경우에는 엔진 회전수와 판정회전수(예: 5000rpm)와 비교하는 단계(S4)를 거치게 한다.
상기 단계(S4)에서, 엔진 회전수가 판정회전수보다 높을 경우에는 상기 단계(S1∼S4) 전체 확인시간과 판정경과 시간(예: 2sec)을 비교하여 (단계 S5), 상기 전체 확인시간이 판정경과 시간보다 길 경우에는 산소센서 히터를 오프시키도록 한다(단계 S6).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엔진 냉각수온은 낮으나 고속으로 주행하여 엔진 회전수가 높을 경우 산소센서의 히터를 가열할 필요가 없으므로 이때에는 산소센서의 히터 작동을 중지시키므로써 산소센서 및 산소센서의 히터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차속과 엔진 회전수가 기준 차속과 회전수 보다 높고 냉각수온은 낮은 조건하에서는 산소센서를 활성화하기 위한 피드백을 실행할 필요성이 없으므로 상기 조건이 성립될시 산소센서의 히터의 동작을 중지케 함으로써 산소센서 및 산소센서의 히터 파손을 미연에 방지하여 산소센서 등 부품의 교환에 따른 경제적 손실을 배제하고, 산소센서 등의 고장으로 인한 배기가스의 상승요인을 제거할 수 있게 되는 특징이 있다.

Claims (1)

  1. 이그니션키를 온시켜 산소센서 히터를 동작시키는 단계(S1)와, 냉각수 온도와 판정 냉각수 온도를 비교하는 단계(S2)와, 상기 단계(S2)에서 냉각수 온도가 판정 냉각수 온도보다 적을 경우 차속과 판정차속을 비교하는 단계(S3)와, 상기 단계(S3)에서 차속이 판정차속 보다 클 경우 엔진회전수와 판정회전수를 비교하는 단계(S4)와, 상기 단계(S4)에서 엔진 회전수가 판정회전수보다 높을 경우 상기 전체 단계의 확인시간과 판정 경과시간을 비교하는 단계(S5)와, 상기 단계(S5)에서 전체단계의 확인시간이 판정 경과시간 보다 길 경우에는 산소센서의 히터를 오프시키는 단계(S6)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산소센서 히터 제어방법.
KR1019960039808A 1996-09-13 1996-09-13 차량용 산소센서 히터 제어방법 KR1002137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9808A KR100213736B1 (ko) 1996-09-13 1996-09-13 차량용 산소센서 히터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9808A KR100213736B1 (ko) 1996-09-13 1996-09-13 차량용 산소센서 히터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1068A true KR19980021068A (ko) 1998-06-25
KR100213736B1 KR100213736B1 (ko) 1999-08-02

Family

ID=19473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9808A KR100213736B1 (ko) 1996-09-13 1996-09-13 차량용 산소센서 히터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373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2693B1 (ko) * 2001-10-08 2003-12-3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산소센서 히터 제어방법
KR100427328B1 (ko) * 2001-12-20 2004-04-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산소센서 히팅 제어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2693B1 (ko) * 2001-10-08 2003-12-3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산소센서 히터 제어방법
KR100427328B1 (ko) * 2001-12-20 2004-04-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산소센서 히팅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13736B1 (ko) 1999-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16697A (ko) 촉매 제어장치
KR100213736B1 (ko) 차량용 산소센서 히터 제어방법
JPS5882149A (ja) 酸素濃度センサ内蔵ヒ−タの制御装置
JPH04232451A (ja) 排ガスセンサの加熱制御装置
KR19980037396U (ko) 산소센서의 내구성 증대 구조
JPH0473098B2 (ko)
KR100354083B1 (ko) 자동차의 공연비 피드백 제어용 산소 센서 가열 방법
JPS63255569A (ja) デイ−ゼルエンジンの始動装置
KR970006475Y1 (ko) 보일러의 순환펌프 구동 제어회로
KR100206591B1 (ko) 삼원촉매기의 냉각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980008532U (ko) 산소센서의 히터 전원 제어장치
KR100188646B1 (ko) 차량용 촉매 컨버터의 활성화 증대장치
JPH0413418Y2 (ko)
JPS611866A (ja) デイ−ゼル・エンジンの始動補助装置
KR19980040198U (ko) 자동차의 스타터모터 및 ehc히터 제어시스템
KR100262325B1 (ko) 수동변속기 차량의 전기 예열식 촉매 변환기의 조기 활성화 방법
KR950003617A (ko) 차량의 엔진시동방법
KR19990015802U (ko) 가솔린 엔진의 엔진오일 및 냉각수 히팅 장치
KR19980076344A (ko) 엔진의 냉각수 유동 제어장치
JPH0598953A (ja) 電気ヒータ付触媒の制御装置
KR100262324B1 (ko) 자동변속기 차량의 전기 예열식 촉매변환기의 조기 활성화방법
JPS611865A (ja) デイ−ゼル・エンジンの始動補助装置
KR20020058750A (ko) 배출가스 저감을 위한 워터 펌프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20050006756A (ko) 유니버설 배기가스 산소센서 작동 제어 방법
KR20010011466A (ko) 디젤 엔진의 시동보조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