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0788A -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장치 - Google Patents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0788A
KR19980020788A KR1019960039387A KR19960039387A KR19980020788A KR 19980020788 A KR19980020788 A KR 19980020788A KR 1019960039387 A KR1019960039387 A KR 1019960039387A KR 19960039387 A KR19960039387 A KR 19960039387A KR 19980020788 A KR19980020788 A KR 199800207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er
developing
cross
door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93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순남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600393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20788A/ko
Publication of KR199800207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0788A/ko

Links

Landscapes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상실내에 공급되어지는 토너의 량을 항상 일정하게 조절할 수 있는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교반기와 공급롤러 사이에 크로스-도어(cross dor)를 설치하여 토너가 덩어리지는 현상 및 토너의 피로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는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독터-블레이드에 작용하는 압력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토너가 덩어리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공급롤러에 항상 일정량의 토너를 공급시키는 크로스-도어가 설치된 현상장치이다.

Description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 장치.
본 발명은 레이져 빔 프린터, 복사기, 일반용지 팩시밀리, 복합기 등의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현상실내에 공급되어지는 토너의 량을 항상 일정하게 조절할 수 있는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로서, 상기 현상장지(10)에는 일정한 주속으로 회전하는 감광드럼(14)과, 상기 감광드럼(14)의 상부면 일측에는 감광드럼(14) 표면에 전기적으로 전하층을 균일하게 대전시키는 대전롤러(12)가 설치된다.
상기 감광드럼(14)의 상부에는 전기적으로 대전된 상기 감광드럼(14) 표면에 정전잠상을 형성시키는 노광부(16)가 현상장치(10)의 외부에 설치된다. 상기 감광드럼(14)의 하단부에는 상기 감광드럼(14) 표면에 형성된 토너(32)를 기록용지(36)상에 전사시키는 전사롤러(34)가 설치된다.
상기 감광드럼(14)의 일측에는 상기 감광드럼(14) 표면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상기 토너(32)를 현상시키는 현상롤러(18)가 설치된다. 상기 현상롤러(18)의 상부면에는 상기 현상롤러(18) 표면에 형성된 토너(32)를 일정한 높이로 균일하게 규제하는 독터-블레이드(20)가 설치된다.
상기 현상롤러(18)의 일측에는 교반된 토너(32)를 현상롤러(18) 측으로 공급하고 상기 감광드럼(18)상에 정전잠상을 가시상으로 만들고 남은 잔류 토너(32)를 상기 현상롤러(18)에서 회수하는 공급롤러(22)가 설치된다. 상기 공급롤러(22)의 상부 일측에는 상기 토너(32)를 전기적으로 균일하게 교반시키는 교반기(30)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교반기(30)는 토너(32)가 충진되어 있는 토너적재실(40)에 설치되며, 상기 공급롤러(22)는 상기 현상롤러(18) 측으로 공급되어지는 토너(32)와 상기 현상롤러(18)에서 회수되어진 토너가 섞여 있는 현상실(38)에 설치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현상실(38)과 토너적재실(40)은 분리되어 있지 않고 서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장치의 인쇄 공정(동작상태)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토너적재실(40)에 토너(32)가 충진되어지면, 상기 토너(32)는 교반기(30)에 의해 교반되어져 마찰에 의한 정전기를 발생하게 되어 일정 전하를 가지게 된다. 그후, 상기 교반기(30)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토너(32)를 공급롤러(22) 측으로 이송시킨다.
그후, 상기 토너(32)는 공급롤러(22)의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해 현상롤러(18) 측으로 공급되어지며, 상기 현상롤러(18) 표면에 형성된 토너(32)는 독터-블레이드(20)에 의해 일정한 높이로 균일하게 규제되어 진다.
그후, 대전롤러(12)의 전기적 작용에 의해 감광드럼(14)의 표면은 전기적으로 균일하게 대전된다. 그후, 상기 감광드럼(14) 표면에서 대전된 부분은 노광부(16)를 통해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전기적 신호를 받아 초기 대전된 상태에서 빛을 받은 부분은 정전잠상이 형성되어진다. 그후, 상기 감광드럼(14)의 정전잠상은 상기 현상롤러(18)를 지나는 동안 토너(32)로 현상되어 가시상으로 변하게 된다.
그후, 카세트에 장착된 기록용지(36)가 픽업롤러에 의해 전사롤러(34) 측으로 급지되어진다. 그후, 상기 전사롤러(34)의 고압작용으로 인해 상기 감광드럼(14) 표면에 형성된 토너화상이 기록용지(36)상으로 전사되어진다.
그후, 화상이 형성된 기록용지(36)는 이송되어져 정착기의 히팅롤러와 압축롤러 사이를 통과하면서 열과 압력에 의해 상(image)이 정착되어진다. 그후, 인쇄된 기록용지(36)는 도시하지 않은 배지부에 의해 트레이 측으로 배출되므로서 사용자가 원하는 인쇄가 이루어진다.
위와 같이 구성된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장치는 토너적재실(40)과 현상실(38)이 분리되어 있지 않고 서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독터-블레이드(20)의 끝에 과중한 압력이 작용하여 상기 독터-블레이드(20)의 수명이 단축되어진다.
또한, 공급롤러(22)에 필요 이상으로 토너(32)가 공급되어지기 때문에 상기 토너(32)의 레진(플르스틱의 미세한 입자) 위에 코팅처리되어 있는 작은 외첨제층이 벗겨지게 된다. 이로인해, 상기 토너(32)의 질이 떨어져 고해상도의 화상을 형성할 수 없으며, 또한 상기 토너(32)가 덩어리지는 현상이 발생하므로서 상기 토너(32)의 유동성이 나빠지고 프래쉬(frash)한 토너(32)의 공급을 차단하기 때문에 전사에 막대한 영향을 미쳐서 전사 누락의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교반기와 공급롤러 사이에 크로스-도어(cross dor)를 설치하여 토너가 덩어리지는 현상 및 토너의 피로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는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현상실에 있는 토너와 토너적재실에 충진된 토나가 섞이지 않도록 확실하게 충진시킬 수 있는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현상실내에 공급되어지는 토너의 량을 항상 일정하게 조절할 수 있는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현상실내에 작용하는 토너 압력을 감소시켜 독터-블레이드의 단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프래쉬(frash)한 토너를 현상롤러 측으로 공급하므로서 고해상도의 화상을 형성할 수 있는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현상장치에는 독터-블레이드에 작용하는 압력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토너가 덩어리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공급롤러에 항상 일정량의 토너를 공급시키는 크로스-도어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토너를 균일하게 교반시키는 교반기와, 상기 교반된 토너를 현상롤러 측으로 공급하는 공급롤러와, 감광드럼 표면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토너를 현상시키는 현상롤러와, 상기 현상롤러 표면의 토너를 일정한 높이로 균일하게 규제하는 독터-블레이드를 구비하는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 장치에서, 상기 공급롤러가 설치된 현상실과 상기 토너가 충진된 토너적재실로 각각 분리시키는 분리벽과, 상기 토너의 량을 조절하여 상기 공급롤러에 항상 일정량의 토너를 공급시키는 크로스-도어와, 상기 크로스-도어가 정지되었을때 상기 토너의 유동을 차단시키는 필름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서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장치에서 항상 일정량의 토너를 공급롤러 측으로 이송시키는 크로스-도어(cross door)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현상장치12: 대전롤러
14: 감광드럼16:노광부
18: 현상롤러20: 독터-블레이드
22: 공급롤러24: 분리벽
26: 필름28: 크로스-도어
30: 교반기32: 토너
34: 전사롤러36: 기록용지
38:현상실40: 토너적재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동일한 부호가 사용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장치에서 항상 일정량의 토너를 공급롤러 측으로 이송시키는 크로스-도어(cross door)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현상장치(10)에는 일정한 주속으로 회전하는 감광드럼(14)과, 상기 감광드럼(14)의 상부면 일측에는 감광드럼(14) 표면에 전기적으로 전하층을 균일하게 대전시키는 대전롤러(12)가 설치된다.
상기 감광드럼(14)의 상부에는 전기적으로 대전된 상기 감광드럼(14) 표면에 정전잠상을 형성시키는 노광부(16)가 현상장치(10)의 외부에 설치된다. 상기 감광드럼(14)의 하단부에는 상기 감광드럼(14) 표면에 형성된 토너(32)를 기록용지(36)상에 전사시키는 전사롤러(34)가 설치된다.
상기 감광드럼(14)의 일측에는 상기 감광드럼(14) 표면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상기 토너(32)를 현상시키는 현상롤러(18)가 설치된다. 상기 현상롤러(18)의 상부면에는 상기 현상롤러(18) 표면에 형성된 토너(32)를 일정한 높이로 균일하게 규제하는 독터-블레이드(20)가 설치된다.
상기 현상롤러(18)의 일측 하부에는 교반된 토너(32)를 현상롤러(18) 측으로 공급하고 상기 감광드럼(18)상에 정전잠상을 가시상으로 만들고 남은 잔류 토너(32)를 상기 현상롤러(18)에서 회수하는 공급롤러(22)가 현상실(38)의 내부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현상실(38) 내부에는 상기 현상롤러(18) 측으로 공급되어지는 교반된 토너(32)와 상기 현상롤러(18)에서 회수되어진 토너(32)가 섞여져 적재되어 있다.
상기 현상실(38)과 상기 토너(32)가 충진된 토너적재실(40) 사이에는 상기 현상실(38)내의 토너(32)가 토너적재실(40)로 유입되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동시에 상기 토너적재실(40)에 충진된 토너(32)가 현상실(38)로 유입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분리벽(24)이 상.하단부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각각의 분리벽(24)의 일측면에는 크로스-도어(28)가 정지되었을때 상기 토너(32)의 유동을 차단시키는 필름(film)(26)이 고정 설치된다. 이때, 상기 필름(26)은 상기 크로스-도어(28)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때 파손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크로스-도어(28)의 회전 반경으로 상기 각각의 분리벽(24)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분리벽(24) 사이에는 상기 독터-블레이드(20)의 단부에 작용하는 과중한 토너(32)의 압력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상기 토너(32)가 덩어리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현상실(38)에 항상 일정량의 토너(32)를 공급시키는 크로스-도어(cross dor)(28)가 상기 공급롤러(22) 보다 상부(위쪽)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크로스-도어(28)의 중심부에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모터의 구동력으로 상기 크로스-도어(28)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샤프트(28b)가 설치되며, 상기 샤프트(28b)의 둘레면에는 상기 토너(22)를 공급롤러(22) 측으로 공급시키는 십자 모양의 날개(28a)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크로스-도어(28)의 상부 일측에는 상기 토너(32)를 전기적으로 균일하게 교반시키는 교반기(30)가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장치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토너적재실(40)에 토너(32)가 충진되어지면, 상기 토너(32)는 교반기(30)에 의해 교반되어져 마찰에 의한 정전기를 발생하게 되어 일정 전하를 가지게 된다. 그후, 상기 교반된 토너(32)는 크로스-도어(28)의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해 일정량이 현상실(38)내에 유입되어져 상기 공급롤러(22)에 공급되어진다. 동시에 상기 공급롤러(22)에 공급되지고 남은 토너(32)는 상기 크로서-도어(28)의 회전에 의해 다시 상기 토너적재실(40)에 충진되어진다.
그후, 상기 토너(32)는 공급롤러(22)의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해 현상롤러(18) 측으로 공급되어지며, 상기 현상롤러(18) 표면에 형성된 토너(32)는 독터-블레이드(20)에 의해 일정한 높이로 균일하게 규제되어 진다. 이때, 상기 현상실(38)내에 있는 토너(32)는 분리벽(24)에 의해 상기 토너적재실(40)로 유입되지 못한다.
그후, 대전롤러(12)의 전기적 작용에 의해 감광드럼(14)의 표면은 전기적으로 균일하게 대전된다. 그후, 상기 감광드럼(14) 표면에서 대전된 부분은 노광부(16)를 통해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전기적 신호를 받아 초기 대전된 상태에서 빛을 받은 부분은 정전잠상이 형성되어진다. 그후, 상기 감광드럼(14)의 정전잠상은 상기 현상롤러(18)를 지나는 동안 토너(32)로 현상되어 가시상으로 변하게 된다.
그후, 카세트에 장착된 기록용지(36)가 픽업롤러에 의해 전사롤러(34) 측으로 급지되어진다. 그후, 상기 전사롤러(34)의 고압작용으로 인해 상기 감광드럼(14) 표면에 형성된 토너화상이 기록용지(36)상으로 전사되어진다.
그후, 화상이 형성된 기록용지(36)는 이송되어져 정착기의 히팅롤러와 압축롤러 사이를 통과하면서 열과 압력에 의해 상(image)이 정착되어진다. 그후, 인쇄된 기록용지(36)는 도시하지 않은 배지부에 의해 트레이 측으로 배출되므로서 사용자가 원하는 인쇄가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 장치는 현상실과 토너적재실 사이에 분리벽과 크로스-도어(cross dor)를 설치하므로서 상기 토너적재실에 충진된 토너를 항상 일정하게 현상실 내부로 공급할 수 있으며, 이로인해 상기 토너가 현상실 내부에서 덩어리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상기 토너의 피로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상기 공급롤러가 항상 프래쉬(frash)한 토너를 현상롤러 측으로 공급하므로서 고해상도의 화상을 형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토너를 균일하게 교반시키는 교반기와, 상기 교반된 토너를 현상롤러 측으로 공급하는 공급롤러와, 감광드럼 표면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토너를 현상시키는 현상롤러와, 상기 현상롤러 표면의 토너를 일정한 높이로 균일하게 규제하는 독터-블레이드를 구비하는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 장치에서,
    현상장치에는 상기 독터-블레이드(20)에 작용하는 압력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상기 토너(32)가 덩어리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공급롤러(22)에 항상 일정량의 토너(32)를 공급시키는 크로스-도어(28)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도어(28)는 상기 토너(22)를 공급롤러(22) 측으로 공급시키는 십자 모양의 날개(28a)와, 상기 크로스-도어(28)가 회전하도록 구동력을 전달하는 샤프트(26b)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도어(28)는 상기 토너(32)를 공급롤러(22) 측으로 원활하게 공급시키기 위하여 상기 공급롤러(22) 보다 상부(위쪽)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 장치.
  4. 토너를 균일하게 교반시키는 교반기와, 상기 교반된 토너를 현상롤러 측으로 공급하는 공급롤러와, 감광드럼 표면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토너를 현상시키는 현상롤러와, 상기 현상롤러 표면의 토너를 일정한 높이로 균일하게 규제하는 독터-블레이드를 구비하는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 장치에서,
    상기 공급롤러(22)가 설치된 현상실(38)과 상기 토너(32)가 충진된 토너적재실(40)로 각각 분리시키는 분리벽(24)과, 상기 현상실(38)에 항상 일정량의 토너(32)를 공급시키는 크로스-도어(28)와, 상기 크로스-도어(28)가 정지되었을때 상기 토너(32)의 유동을 차단시키는 필름(26)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도어(28)는 상기 토너(22)를 공급롤러(22) 측으로 공급시키는 십자 모양의 날개(28a)와, 상기 크로스-도어(28)가 회전하도록 구동력을 전달하는 샤프트(26b)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도어(28)는 상기 토너(32)를 공급롤러(22) 측으로 원활하게 공급시키기 위하여 상기 공급롤러(22) 보다 상부(위쪽)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26)은 상기 크로스-도어(28)가 회전할때 파손되지 않도록 상기 크로스-도어(28)의 회전 반경으로 상기 분리벽(24)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 장치.
KR1019960039387A 1996-09-11 1996-09-11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장치 KR199800207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9387A KR19980020788A (ko) 1996-09-11 1996-09-11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9387A KR19980020788A (ko) 1996-09-11 1996-09-11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0788A true KR19980020788A (ko) 1998-06-25

Family

ID=66521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9387A KR19980020788A (ko) 1996-09-11 1996-09-11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2078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53385B1 (ko)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화상 형성 장치
KR0135733Y1 (ko)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장치
EP0829775A2 (en) Ghost preventing apparatus of developing roller
KR19980020788A (ko)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장치
KR100260425B1 (ko)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화상형성장치
KR200158207Y1 (ko) 현상기의 토너 보급 규제장치
KR100337844B1 (ko) 전자사진프로세서의토너교반장치
KR100191213B1 (ko)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장치
KR0174680B1 (ko) 현상기 내의 토너 공급장치
KR100193869B1 (ko) 현상기 내의 토너 공급장치
KR100193868B1 (ko)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장치
KR0174677B1 (ko) 일성분 현상방식을 이용한 현상기 내의 토너 공급장치
KR100454925B1 (ko) 현상기의 토너 교반장치
KR100285742B1 (ko) 현상기의토너역반송롤러
KR100444272B1 (ko) 전자사진프로세서의토너재충진장치
KR19980020116A (ko)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장치
JP2001066880A (ja) 電子写真装置
KR20000004289U (ko) 현상기의 토너 공급량 조절 장치
KR0174682B1 (ko) 현상기 내의 토너 공급장치
KR200153772Y1 (ko) 현상기의 토너량 규제장치
KR200246737Y1 (ko) 화상형성장치의토너량공급조절장치
KR100193866B1 (ko)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장치
KR19980058191U (ko) 현상기의 토너 공급 장치
KR19990010941U (ko)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장치
KR19980067300U (ko) 화상형성장치의 대전롤러 오염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