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9702U - 자동차의 현가장치에 이용되는 부시의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현가장치에 이용되는 부시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9702U
KR19980019702U KR2019960032875U KR19960032875U KR19980019702U KR 19980019702 U KR19980019702 U KR 19980019702U KR 2019960032875 U KR2019960032875 U KR 2019960032875U KR 19960032875 U KR19960032875 U KR 19960032875U KR 19980019702 U KR19980019702 U KR 1998001970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tube
rubber
bush
press
susp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28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범재
Original Assignee
김재복
기아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복, 기아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재복
Priority to KR20199600328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19702U/ko
Publication of KR1998001970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9702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2Attaching arms to sprung part of vehi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36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 F16F1/38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with a sleeve of elastic material between a rigid outer sleeve and a rigid inner sleeve or pin, i.e. bushing-type
    • F16F1/387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with a sleeve of elastic material between a rigid outer sleeve and a rigid inner sleeve or pin, i.e. bushing-type comprising means for modifying the rigidity in particular directions
    • F16F1/3873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with a sleeve of elastic material between a rigid outer sleeve and a rigid inner sleeve or pin, i.e. bushing-type comprising means for modifying the rigidity in particular directions having holes or op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36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 F16F1/38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with a sleeve of elastic material between a rigid outer sleeve and a rigid inner sleeve or pin, i.e. bushing-type
    • F16F1/387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with a sleeve of elastic material between a rigid outer sleeve and a rigid inner sleeve or pin, i.e. bushing-type comprising means for modifying the rigidity in particular directions
    • F16F1/3876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with a sleeve of elastic material between a rigid outer sleeve and a rigid inner sleeve or pin, i.e. bushing-type comprising means for modifying the rigidity in particular directions by means of inserts of more rigi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Elastic mounts, e.g. bushings
    • B60G2204/4104Bushings having modified rigidity in particular dir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4Centering or positioning means
    • B60G2204/4402Spacers or shi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Spr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현가장치에 이용되는 각종 부시에 관한 것으로서, 부시(100)의 인너튜브(110)에 고무(120)를 몰딩하고 아웃터튜브(130)에 압입유를 도포한 후 압입하고 아웃터튜브(130)의 바깥둘레를 서로 엇갈리게 60° 간격으로 점코킹을 하여 아웃터튜브(130)가 내측으로 소정깊이를 갖는 홈(132)을 형성하고 양측면으로는 와셔(140)를 조립하여 형성함으로서 고무(120)에 아웃터튜브(130)를 압입시 접착제 도포가 필요하지 않고 고무(120)와 아웃터튜브(130)간의 축방향 및 비틀림에 의한 이탈을 방지하여 이음을 방지하며 아웃터튜브(130)가 고무(120)로부터 축방향으로 이탈되려고 하는 힘을 잡아주어 고무(120)와 와셔(140)간의 접착이 필요하지 않다.

Description

자동차의 현가장치에 이용되는 부시의 구조
본 고안은 자동차의 현가장치에 이용되는 각종 부시(Bush)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인너튜브(Inner-Tube)에 고무를 몰딩(Molding)하고 아웃터튜브(Outer-Tube)에 압입유를 도포한 후 압입하고 아웃터튜브의 바깥둘레를 원주방향 120° 간격으로 2줄 코킹(Caulking)을 하거나 아웃터튜브의 바깥둘레를 길이방향으로 서로 엇갈리게 60° 간격으로 코킹을 하며 또는 아웃터튜브의 바깥둘레를 서로 엇갈리게 60° 간격으로 점코킹을 함으로서 고무에 아웃터튜브를 압입시 접착제 도포가 필요하지 않고 현가작용시 발생하는 고무와 아웃터튜브간의 비틀림에 의한 이음을 방지하며 아웃터튜브가 고무로부터 축방향으로 이탈하려고 하는 힘을 잡아주고 고무와 와셔간의 접착이 필요없도록 하는 자동차의 현가장치에 이용되는 부시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부시도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너튜브(11)에 고무(12)를 몰딩하고 아웃터튜브(13)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아웃터튜브(13)를 압입하고 양측면으로 와셔(14)를 조립하고 코팅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부시(10)는 차량의 로어암(20)에 조립설치되고 부시(10)의 인너튜브(11)는 차체 또는 크로스멤버(30)에 볼트(40)로 고정설치되며 아웃터튜브(13)는 로어암(20)의 로어암파이프(21) 내부로 삽입하여 로어암(20)과 일체로 형성함으로서 차량이 상, 하 또는 좌, 우로 흔들릴때 고무(12)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키도록 롤링(Rolling)작용을 제어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부시는 아웃터튜브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고무에 압입함으로서 접착제의 성능에 따라 품질의 유동이 심하고 악취가 심하여 작업자가 기피하며 제조공정이 늘어나는 문제점이 있으며 특히, 접착제가 굳어 버린후 반복적인 현가작용으로 고무와 아웃터튜브 사이에 접착이 떨어져 이음이 발생하는 문제점들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상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인너튜브에 고무를 몰딩하고 아웃터튜브에 압입유를 도포한 후 압입시키고 아웃터튜브의 바깥둘레를 원주방향 120° 간격으로 2줄 코킹을 하거나 길이방향으로 서로 엇갈리게 60° 간격으로 코킹을 하며 또는 서로 엇갈리게 60° 간격으로 점코킹을 함으로서 고무에 아웃터튜브를 압입시 접착제 도포가 필요하지 않고 현가작용시 발생하는 고무와 아웃터튜브간의 비틀림에 의한 이탈을 방지하여 이탈시 일어나는 이음을 방지하며 아웃터튜브가 고무로부터 축방향으로 이탈되려는 힘을 잡아주어 고무와 와셔간의 접착을 필요로 하지 않도록 하는 자동차의 현가장치에 이용되는 부시의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부시가 로어암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요부절개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 부시의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서 (가)는 부시의 전면도이고, (나)는 (가)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인 부시가 로어암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요부절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보인 부시의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서 (가)는 정면도이고, (나)는 (가)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부시의 구조로서 (가)는 정면도이고, (나)는 (가)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인 부시의 구조를 보인 것으로서 (가)는 부시의 정면도이고, (나)는 (가)의 D-D선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부시110 : 인너튜브
120 : 고무130 : 아웃터튜브
132 : 홈134 : 삽입부
140 : 와셔200 : 로어암
210 : 로어암파이프300 : 크로스멤버
400 : 볼트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인 부시가 로어암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요부절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인 부시의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서 (가)는 정면도이고, (나)는 (가)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부시의 구조로서 (가)는 정면도이고, (나)는 (가)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 (가)는 부시의 정면도이고, (나)는 (가)의 D-D선 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도 3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시(100)의 인너튜브(110)에 고무(120)를 몰딩하고 아웃터튜브(130)에 압입유를 도포한 후 압입하고 아웃터튜브(130)의 바깥둘레를 서로 엇갈리게 60° 간격으로 점코킹을 하여 아웃터튜브(130)가 내측으로 소정깊이를 갖는 홈(132)를 형성하고 부시(100)의 양측면으로는 와셔(140)를 조립하여 형성한다.
코킹은 보일러, 물탱크, 가스저장용기등과 같은 압력용기에 사용하는 리벳 체결에 있어서, 기밀을 유지하기 위해 코킹공구, 즉 날끝이 뭉툭한 정(코킹정)을 사용하여 리벳머리, 판의이음부, 가장자리 등을 쪼아서 틈새를 업새는 작업이다.
이와 같이 형성하는 본 고안은 차량의 로어암(200)에 조립설치되고 부시(100)의 인너튜브(110)는 차체 또는 크로스멤버(300)에 볼트(400)로 고정설치되며 아웃터튜브(130)는 로어암(200)의 로어암파이프(210) 내부로 삽입하여 로어암(200)과 일체로 형성함으로서 차량이 상, 하 또는 좌, 우로 흔들릴때 고무(120)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키도록 롤링작용을 제어한다.
다른 실시예로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시(100)의 인너튜브(110)에 고무(120)를 몰딩하고 아웃터튜브(130)에 압입유를 도포한 후 압입하고 아웃터튜브(130)의 바깥둘레를 길이방향으로 서로 엇갈리게 60° 간격으로 코킹을 하여 아웃터 튜브(130)가 내측으로 소정깊이와 길이를 갖는 삽입부(134)를 형성하고 부시(100)의 양측면으로는 와셔(140)를 조립하여 형성한다.
또한 아웃터튜브(130)의 바깥둘레를 원주방향의 120° 간격으로 2줄 코킹을 하여 아웃터튜브(130)가 내측으로 소정깊이와 길이를 갖는 삽입부(134)를 형성하고 부시(100)의 양측면으로 와셔(140)를 조립하여 형성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동작설명과 동일한 부호는 생략하였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부시의 아웃터튜브의 바깥둘레로 서로 엇갈리게 60° 간격으로 코킹을 하거나 길이방향으로 서로 엇갈리게 60° 간격으로 코킹을 하고 또는 원주방향 120° 간격으로 2줄 코킹을 하여 아웃터튜브의 내측으로 홈이나 삽입부를 형성하므로서 고무에 아웃터튜브를 압입시 접착제 도포가 필요하지 않고 고무와 아웃터튜브간의 축방향 및 비틀림에 의한 이탈을 방지하여 이음을 방지하며 아웃터튜브가 고무로부터 축방향으로 이탈되려고 하는 힘을 잡아주어 고무와 와셔간의 접착이 필요하지 않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차량의 로어암(200)에 조립설치되어 차체 또는 크로스멤버(300)에 볼트(400)로 고정설치되는 부시(100)는 인너튜브(110)에 고무(120)를 몰딩하고 아웃터튜브(130)에 압입유를 도포한 후 압입하고 아웃터튜브(130)의 바깥둘레를 서로 어살리게 60° 간격으로 점코킹을 하여 아웃터튜브(130)가 내측으로 소정깊이를 갖는 홈(132)을 형성하고 양측면으로는 와셔(140)를 조립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현가장치에 이용되는 부시의 구조.
KR2019960032875U 1996-10-07 1996-10-07 자동차의 현가장치에 이용되는 부시의 구조 KR1998001970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2875U KR19980019702U (ko) 1996-10-07 1996-10-07 자동차의 현가장치에 이용되는 부시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2875U KR19980019702U (ko) 1996-10-07 1996-10-07 자동차의 현가장치에 이용되는 부시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9702U true KR19980019702U (ko) 1998-07-15

Family

ID=53978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2875U KR19980019702U (ko) 1996-10-07 1996-10-07 자동차의 현가장치에 이용되는 부시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19702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11835A1 (en) * 2007-07-16 2009-01-22 The Pullman Company Bushing having high axial spring rat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CN117087369A (zh) * 2023-10-18 2023-11-21 万向钱潮股份公司 一种汽车用与悬架柔性连接的防止脱出的结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11835A1 (en) * 2007-07-16 2009-01-22 The Pullman Company Bushing having high axial spring rat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CN117087369A (zh) * 2023-10-18 2023-11-21 万向钱潮股份公司 一种汽车用与悬架柔性连接的防止脱出的结构
CN117087369B (zh) * 2023-10-18 2024-01-02 万向钱潮股份公司 一种汽车用与悬架柔性连接的防止脱出的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41759B2 (en) Elastomeric bush bearing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same
US6089574A (en) Boot with insertable bushing
EP2767420B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Fahrwerkslenkers und Fahrwerkslenker für ein Fahrzeug
US20040090033A1 (en) Method of forming compression gripped bushing system
US7066491B2 (en) Casing tube of a steering column of a motor vehicle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casing tube
DE10212402B4 (de) Kfz-Spritzwasserleitungs-Verbindungsanordnung
KR19980019702U (ko) 자동차의 현가장치에 이용되는 부시의 구조
DE69927483T2 (de) Rohrförmiges element mit einem starren und einem nachgiebigen querteil in einem stück für eine rohrleitung
EP1878937B1 (de) Elastisches Fahrwerkslager
KR102329111B1 (ko) 조립형 다이나믹 댐퍼
EP1676039A1 (de) Radiallagerung für eine antriebswelle von fahrzeugen
JP4024236B2 (ja) 液封入式防振装置
EP0926415B1 (de) Rohrverbindung
US20050035091A1 (en) Process for manufacturing a tie rod housing
KR102529385B1 (ko) 서브 프레임 마운팅구조
JP2006250340A (ja) 液封入式防振装置
KR19980019699U (ko) 자동차의 현가장치에 이용되는 부시의 구조
KR200163514Y1 (ko) 플라스틱 튜브 어셈블리
JPWO2006027827A1 (ja) 液封入式防振装置
DE102021118280B4 (de) Elastomer-Metall-Lager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KR101840792B1 (ko) 스태빌라이저 링크의 결합 구조
DE10118674B4 (de) Querlenker
EP1134407B1 (de) Befestigungs-Vorrichtung für eine Kraftstoff-Einspritzdüse in/an einer Brennkraftmaschine
EP1923593B1 (de) Radiallagerbuchse
JP2611903B2 (ja) ホースアセンブリ用継手金具と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