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9007A - 전자계전기(Electromagnetic relay) - Google Patents

전자계전기(Electromagnetic rela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9007A
KR19980019007A KR1019970040899A KR19970040899A KR19980019007A KR 19980019007 A KR19980019007 A KR 19980019007A KR 1019970040899 A KR1019970040899 A KR 1019970040899A KR 19970040899 A KR19970040899 A KR 19970040899A KR 19980019007 A KR19980019007 A KR 199800190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oke
hinge spring
spool
armature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08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79101B1 (ko
Inventor
가즈히로 이치카와
다츠미 이데
가츠토 고지마
아키히로 가이토
도시히로 아즈마
Original Assignee
가네코 히사시
닛폰 덴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네코 히사시, 닛폰 덴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가네코 히사시
Publication of KR199800190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90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91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91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6Magnetic circuit arrangements
    • H01H50/18Movable parts of magnetic circuits, e.g. arm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02Bases; Casings; Covers
    • H01H50/04Mounting complete relay or separate parts of relay on a base or inside a case
    • H01H50/041Details concerning assembly of relays
    • H01H50/042Different parts are assembled by insertion without extra mounting facilities like screws, in an isolated mounting part, e.g. stack mounting on a coil-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02Bases; Casings; Covers
    • H01H2050/028Means to improve the overall withstanding voltage, e.g. creepage dist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02Bases; Casings; Covers
    • H01H50/04Mounting complete relay or separate parts of relay on a base or inside a case
    • H01H50/041Details concerning assembly of relays
    • H01H50/043Details particular to miniaturised relays
    • H01H2050/044Special measures to minimise the height of the rela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44Magnetic coils or windings
    • H01H2050/446Details of the insulating support of the coil, e.g. spool, bobbin, form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44Magnetic coils or windings
    • H01H50/443Connections to co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54Contact arrangements
    • H01H50/548Contact arrangements for miniaturised relay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omagnets (AREA)

Abstract

전자 계전기는 스풀, 그 스풀 위에 권선된 코일, 그 스풀의 관통 구멍안에 삽입된 전기자, 맞춤조립에 의해 스풀에 고정된 요크, 경첩 스프링, 이동성 스프링, 경첩 스프링 고정부, 부착/고정부, 및 적어도 하나의 말단을 포함한다. 전기자는 코일이 여자(勵磁)되면 작동한다. 요크는 제1 및 제2 대향 직립부를 갖는다.
전기자의 한쪽 끝은 제1 직립부의 한쪽 면과 접촉하고 있고, 그의 다른 쪽 끝은 제2직립부의 다른쪽 면과 대향한다. 경첩 스프링은 요크에 대해 정해진 각도로 전기자를 조정하고, 제1직립부의 한쪽 단면에 대해 전기자의 한쪽 단부를 자력에 의해 연결될 수 있게 한다. 이동성 스프링은 이동성 접점을 갖고, 전기자에 연결될 경첩스프링의 한쪽 끝쪽 위로 연장된다. 경첩 스프링 고정부는 이동성 스프링과 그들을 지탱하기 위한 경첩 스프링의 다른 한쪽 끝쪽 위로 연장된다. 부착/조립부는 단일 조작에 의해 제1직립부 위에 경첩 스프링 고정부를 부착 및 고정시킨다. 말단부재는 가압 조립에 의해 스풀의 한쪽 단부에 고정되고, 이동성 접점에 인접한 정지 접점을 갖는다.

Description

전자 계전기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 계전기의 본체를 도시한 투시도
도2는 도1에 도시된 전자 계전기의 본체를 도시한 분해 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자 계전기의 본체를 도시한 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자 계전기의 본체의 주요 부품을 도시
한 분해 투시도
도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전자 계전기의 본체의 주요 부품을 도시한 분해 투시도
도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전자 계전기의 본체의 주요 부품을 도시한 분해 투시도
도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전자 계전기의 본체의 주요 부품을 도시한 분해 투시도
도8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전자 계전기의 본체의 주요 부품을 도시한 분해 투시도
도9는 종래의 전자 계전기의 본체를 도시한 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a : 스풀2 : 코일 단자 부재
3a : 내측 코일 타이-업 부분3c:코일
3b : 외측 코일 타이-업 부분
4a : 요크5a,5b : 말단
6 : 정지 접점7,8 : 이동성 접점
9 : 경첩 스프링l0 : 경첩 스프링 고정부
12a,18a : 전기자40a,40b : 요크의 직립부
70 : 내부 구멍88 : 원형 구멍
113 : 막대 형상 돌출 피스200 : 부착/고정부
[발명의 목적]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및 그 분야의 종래기술]
본 발명은 전자 계전기(electromagnetic relay)에 관한 것이며, 특히, 높은 파괴 전압(breakdown voltage)을 갖는, 비싸지 않고 작은 높이의 전자 계전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코일 보빈(coil bobbin)의 중공부(hol1ow portion)에 삽입된 전기자(電機子)를 구동시킴으로써 접점이 스위칭되는 전자 계전기가 공지되어 있다.
일본 실용신안 공개공보 평성5-94936호에는 첫 번째 선행기술로서 한가지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이 기술에 따르면, 실질적으로 평평한 플레이트 형 전기자를 보빈의 중공부에 삽입한다. 이동성(movable) 스프링과 전기자를 수지 카드와 서로 연결하여, 그 이동성 스프링과 전기자 또는 요크가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한다. 이동성 스프링과 요크는 베이스와 일체로 형성된 벽을 가지고 서로 절연된다. 그 결과, 접점과 코일 사이의 높은 파괴전압을 갖는 전자 계전기를 얻을 수 있다.
제2 선행기술은 도9를 참고해서 설명하려고 한다. 이 선행기술에 따르면, 스풀(1001)의 원통형 중공부에 코어(core; 1003)를 삽입하고, 중심으로서 코어(1003)에 대해 스풀(1001) 위에 코일(1002)을 감는다. L자 요크(1004)의 뒷면에 막은 경첩 스프링(1009)에 의해 지탱된 전기자의 한쪽 끝은 L자 요크(1004)의 직립부의 상단부와 접촉하고 있다. 코어(101l)의 다른 쪽 끝은 코어(1003)의 상단부와 대향한다.
전기자(l011)는 돌기(1010)를 통해서 경첩 스프링(1009)에 연결된다. 그 경첩부에 대향한 각 경첩 스프링(1009)의 다른쪽 끝은 이동성 스프링(1008)을 형성한다. 이동성 접점(1007)은 이동성 스프링(1008)의 말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정지접점(1006)은 이동성 접점(1007)을 통해서 한 쌍을 구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 경우의 개구부는 에폭시 기재 접착제로 밀봉되어 있다.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상기 설명된 종래의 전자 계전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갖는다. 첫 번째 문제는 높은 제조 비용이다. 이것은 부품의 수가 많기 때문이다. 두 번째 문제는 전자 계전기가 높은 파괴 전압을 갖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것은 여자(勵磁) 코일측(1차)과 접점측(2차)이 같은 주변의 공간을 통해서 서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다.
세 번째 문제는 전자 계전기가 소형으로 만들어질 수 없다는 것이다. 이것은 요크가 경첩 스프링 정지부를 코킹(caulking)하기 위한 공간을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낮은 제조비용과 높은 파괴 전압을 갖는 소형 전자 계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의 구성 및 작용]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라, 관통 구멍을 갖는 스풀과 상기 수풀 위에 권선된 원통형 여자 코일과 상기 여자 코일이 여자될 때 작동하도록 상기 스풀의 관통 구멍에 삽입된 전기자와 요크는 제1및 제2대향하는 직립부를 갖고, 전기자의 한쪽 끝은 요크의 제1직립부의 한쪽 단면과 접촉하고, 전기자의 다른 쪽 끝은 요크의 제2직립부의 다른쪽 단부와 대향하고, 맞춤조립에 의해 상기 스풀의 양쪽 단부에 고정된 실직적으로 U자 형상의 요크와 상기 요크에 대해 예정된 갖도록 전기자를 셋팅하고, 요크의 제1직리부의 한쪽 단면에 대해 전기자의 한쪽 끝을 자력에 의해 연결하기 위한 L자 형상의 경첩 스프링과 그의 말단에서 이동성 접점을 갖고, 상기 전기자에 연결될 경첩 스프링의 한쪽 끝에 연장된 이동성 스프링과 상기 경첩 스프링과 이동성 스프링을 지탱하도록 경첩 스프링의 다른쪽 끝으로 연장되는 경첩 스프링 고정부와 단일 조작에 의해 요크의 제1직립부의 외부측면 위에 상기 경첩 스프링 고정부를 고정시키기 위한 부착 기구 및 단자 부재는 상기 이동성 스프링의 이동성 접점에 인접한 정지 접점을 갖는, 가압 조립에 의해 상기 스풀의 한쪽 단부에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단자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계전기가 제공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
첨부된 도면을 참고해서 본 발명을 설명하려고 한다.
도1 및 도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자 계전기를 보여준다.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니켈-구리 합금으로 만들어진 둥근 막대 형상의 코일 단자 부재(2)는 스풀(1a)로부터 가압 고정시킴으로써 1자 형상의 측면을 갖는 스풀 위에 고정된다. 수풀(1a)은 열가소성 수지로 만들어진 것이고, 그의 양쪽 끝에는 플랜지를 가지고 있다. 보유 및 회전을 방지하는 압착부(22)는 미리 코일 말단 부재(2)위에 형성되어 있다. 권선의 한쪽 끝은 내측 코일 타이-업 부분(3a) 위에서 종결되고 예정된 회수로 수풀(1a) 위에 권선되어 코일(3c)을 형성된다. 권선의 다른쪽 끝은 외측 코일 타이-업 부분(3b) 위에서 종결되고, 코일(3c)의 권선의 양쪽 끝은 땜납을 사용하여 고정시켜서 코일 보빈을 완성한다.
실질적으로 U자 측명를 갖는 요크(4a)는 한쌍의 대향하는 직립부(40a 및 40b)를 갖는, 순수한 철로 만들어진 것이며, 고정시켜서 I자형 측면을 갖는 스풀(1a)의 양쪽 끝에 고정시킨다. 요크(4a)의 제1 및 제2직립부(40a 및 40b)는 스풀(1a)의 내부 구멍(70)과 대향한다. 코일(3c)과 요크(4a) 사이의 절연 거리는 제1 및 제2 직립부(40a 및 40b)의 길이를 조정함으로써 정해진다. 각각 실질적으로 L자형 측면을 갖는 말단(5a 및 5b)은 가압 조립에 의해서 스풀(1a)의 한쪽 끝 부분 위에 고정되어 있다. 은 산호물 복합 합금으로 만들어진 정지 접점(6)은 각각 코킹에 의해서 말단(5a 및 5b) 위에 형성되어 있다. 요크(4a)와 말단(5a 및 5b)을 서로 고정시키면, 그들은 수십 ㎛의 간섭 피트를 갖는 스풀(1a)의 가압 조립 부분을 가지고 조립된다. 가압 조립 행정은 스풀(1a)의 가압 조립과 각 부품과 접합에 의해 결정된다. 말단(5a 및 5b)의 정지 접점(6)은 이동성 접점(7)을 대향하는 위치에 자리잡고 있다.
이동성 스프링(8), 한쌍의 경첩 스프링(9), 및 경첩 스프링 고정부(10)는 스프링의 코일 재료로 일체로 만들어지고, 이동성 접점(7)은 이동성 스프링(8)의 말단부에 코킹되어 있다. 경첩 스프링(9)은 각각 L자형 측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직사각형 이동성 스프링(8)과 경첩 스프링 고정부(10)는 경첩 스프링(9)의 양쪽 끝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이동성 스프링(8)과 경첩 스프링 고정부(10)는 경첩 스프링(9)의 양쪽 끝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이동성 스프링(8)은 전기자(12a) 위에 배치되고, 이동성 스프링(8)의 원형 구멍(88)은 전기자(18a)의 상부면 위에 형성됨으로써, 이동성 스프링(8)은 전기자(12a)에 연결되어 있다. 이때, 이동성 스프링(8)은 전기자(12a)로부터 떠있지 않고 전기자 위에 압착되어야 한다.
이동성 스프링(8)에 연결된 전기자(12a)는 스풀(1a)의 내부 구멍(70) 안에 삽입되고, 멈춤쇠(12c)를 사용하여 전기자(12a)의 한쪽 끝과, 요크(4a)의 직립부(40a)의 외측면을 정렬함으로써 위치에 정해진다. 동시에, 스풀의 내부 구멍(70)으로부터 반대인 이동성 스프링(8)의 이동성 접점(7)은 말단(5a 및 5b)의 정지 접점(6)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 경첩 스프링 고정부(10)는 이동성 접점(7)에 제동 접점 압력을 가하는 경첩 스프링(9)의 굴곡 각도 때문에 요크(4a)의 직립부(40a)의 외측면과 접촉하지 않고 있다.
경첩 스프링 고정부(10)는 그의 말단부의 방향으로 그의 공통 말단(11)을 당기면서 요크(4a)의 직립부(40a)의 외측면과 접촉함으로써, 스풀(1a)의 단면 위에 형성된 한쌍의 대향하는 막대형상 돌출 피스(113)는 경첩 스프링 고정부(10)의 양면의 상부와 접촉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그 결과, 경첩 스프링 고정부(10)의 중심에 형성된 타원형 구멍(100)은 요크(4a)의 직립부(40a)의 외측면 위에 형성된 원형 돌출부(44)와 결속하고 있다. 한쌍의 막대형상 돌출 피스(113), 경첩 스프링 고정부(10)의 타원형 구멍(100), 및 요크(4a)의 직립부(40a)의 원형 돌출부(44)는 요크(4a)의 경첩 스프링 고정부(10)의 부착/고정부(200)를 구성한다.
이것을 상세하게 설명하려고 한다. 경첩 스프링 고정부(10)의 타원형 구멍(100)은 하향으로 공통 말단(11)을 바이어스하면서 요크(4a)의 직립부(40a)의 원형 돌출부(44)와 결속함으로써, 경첩 스프링(9)은 한쌍의 대향하는 막대형상 돌출피스(113) 사이로 연장되고, 경첩 스프링 고정부(10)는 막대 형상 돌출 피스(113) 아래로 연장된다. 타원형 구멍(100)은 원형 돌출부(44)와 결속하고 그것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면, 회전 모멘트와 수직으로 상향으로 당기는 수100gw의 힘은 경첩 스프링(9)에 의해 공통 말단(11)에 가해진다.
이 실시예에서, 경첩 스프링 고정부(10)의 두께에 상응하는 틈새는 막대형상 돌출피스(113)와 요크(4a)의 직립부(40a)의 외측면 사이에 고정된다. 고정된 공통말단(11)이 상기 회전 모멘트에 대해 수직으로 상향으로 이완되면, 경첩 스프링 고정부(10)의 양쪽 단부는 막대 형상 돌출부(113)와 요크(4a)의 직립부(40a)의 외측면 사이의 틈새로 자동적으로 삽입된다. 그 결과로서, 경첩 스프링 고정부(10)는 경첩 스프링(9)으로부터 회전 모멘트를 수납하더라도 결속하지 않도록 고정된다.
원형 돌출부(44)와 타원형 구멍(100)의 결속에 의해서, 경첩 스프링 고정부(10)는 전기자(12a)로부터 원하는 특성을 얻는데 필요한 요크(4a)로 가해진 압력과, 필요한 것보다 더 강하게 수직 상향으로 당기지 않을 것이다 . 그런 다음에, 투명 수지로 만들어지고 개구를 갖는 공지된 상자를 전자 계전기의 본체 위에 놓고, 그 개구를 밀봉한다.
위에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계전기의 본체에서는, 종래의 것과 비교할 때, 접점 스프링과 전기자를 연동(interlock)하는 카드를 제거할 수 있고, 본체를 매우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독특한 경첩 스프링 고정방법이기 때문에, 종래의 것과는 달리, 경첩 스프링 고정부와 요크를 코킹하는 단계가 필요없고, 경첩 스프링 고정부와 요크에 코킹하기 위한 여분의 공간이 필요없으므로, 크기를 축소시킬 수 있다.
상기 구조를 갖는 전자 계전기의 본체를 조립하는 방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려고 한다.
각각 0.56mm의 직경을 갖는 니켈-은 코일 말단은,(30% 유리 보강된)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 만들어진 스풀(1a) 안에 가압 조립된다. 회전방지용 압착부(22)는 스풀(1a)의 (0.6mm의 직경을 갖는) 가압-조립 구멍에 대해 0.65mm의 폭과1mm의 길이를 갖는다. 폴리우레탄 구리철사로 만들어진 코일(3c)은 내측 코일 타이-업부분(3a) 위에 매듭되고, 스풀(la)위에 권선되고, 다음에 외측 코일 타이-업부분(3b) 위에 매듭된다.
그 다음에, 두 개의 타이-업 부분(3a 및 3b)을 납땜한다. 두 개의 타이-업부분(3a 및 3b)은 길이가 1.5mm이다.
전자기 연철판(두께 : 1mm)을 구부려서 한쌍의 직립부(40a 및 40b)를 갖는 요크(4a)를 형성한다. 직립부(40b)의 상반부는 90도 구부려서 자기 전극(면(400)을형성한다. 이 실시예에서, 이렇게 90도 굴곡부(400a)의 외부 곡부면은 자기 전극면(400)의 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한 모서리를 갖도록 형성된다. 그 다음에, 접경면으로서 부분(40a 및 40b)의 두 상단면과 압착-고정면으로서 직립부(40a 및 40b)의 쌍의 내측면을 사용하여 요크(4a)에 대해 위치결정을 수행한다. 직경이 1mm이고, 높이가 0.8mm을 갖도록 엠보싱에 의해서 직립부(40a)의 원형 돌출부(44)가 형성된다.
0·4mm 두께의 높은 도전성 리드 프레임 부재로 만들어진 한쌍의 말단(5a 및5b) 쌍의 각각의 한측면 위에 정지 접점(6)이 형성되고, 말단(5a 및 5b)의 각각의 다른측은 1mm의 폭과 1 내지 2mm의 길이를 갖는 텅 피스(555a 또는 555b)를 형성하는 외팔보 방법으로 절단 및 상승시킨다. 각각 동일한 표면 상의 압착 고정 방향으로 전방부에 있는 텅 피스(555a 및 555b) 위에 돌출부(55a 및 55b)를 형성한다. 가압 조립에 의해서 스풀(1a)안의 말단(5a 및 5b)을 고정시킬 때, 돌출부(55a 및55b)는 가이드로서 작용한다. 말단(5a 및 5b)이 삽입되면, 그들은 텅 피스(555a 및 555b)의 상하단면과 함께 가압 조립에 의해 스풀(1a) 안에 고정된다. 가압 조립 행정은 수직부의 단면의 접경에 의해, 각 정지 접점(6)을 위치시킴으로써 결정한다.
전자기 연철판(두께 : 1mm)으로 만들어진 전기자(12a)는 실질적으로 그의 중심에 엠모싱에 의해서 형성된 돌출부(12b) (직경 : 1mm; 높이 : 0.5mm)를 가지며, 이동성 스프링(8) 안에 형성된 원형 구멍(88)에 연결된다. 전기자의 멈춤쇠 부분(12c)은 가압 천공에 의해 돌출 형상으로 형성된 전기자(12a)의 부분으로부터 각각판 두께의 절반을 천공함으로써 형성되고, 서로 함께 요크(4a)의 단면 및 전기자(12a)를 위치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이동성 스프링(8), 경첩 스프링(9), 및 경첩 스프링 고정부(10)는 0.14mm의두께를 갖는 고 도전체 스프링 부재로부터 통합적으로 가압 천공된다. 이동성 접점(7)은 코킹에 의해 이동성 스프링(8) 위에 형성되고, 그 다음에 경첩 스프링(9)과 공통 말단(11)은 예정된 각도로 구부러짐으로써, 전체 스프링 부분을 형성한다. 이동성 스프링(8)의 실질적으로 중심에 형성된 작은 원형 구멍(888)은 본체가 완성된 후 수행된 하중 특성 검사를 위해 사용된다.
도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자 계전기의 본체를 보여준다. 도3에서, 도1과 도2에서와 같은 부분은 같은 도면 부호로 나타내었으므로, 그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3을 참고하면, 접점부와 경첩 스프링부를 각각 수용하는 원통부(11la 및 111b)는 스풀(1b)의 양쪽 단부 위에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서, 본체를 조립한 후에, 원통부(11a 및 111b)의 개구부는 본체가 장착될 경우의 내벽과 교접한다. 이 경우의 개구부는 에폭시 기재 접착제를 사용하여 밀봉하고, 그에 의해서 코일과 접점 사이의 절연성을 개선한다.
도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자 계전기의 본체의 주요 부품을 보여주며, 경첩 스프링부를 고정시키는 또다른 방법을 나타낸다. 도4에서, 도1 및 도2와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참고번호로 나타내었으므로, 그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4를 참고하면, 핀(112)은 스풀(1c)의 한쪽 단면 위에 배치되어 있고, 경첩 스프링 고정부(10)의 양측에 형성된 구멍(101)과 결속되어 있다. 그 다음에, 핀(112)은 경첩 스프링 고정부(10)를 고정시키도록 가열 응력에 의해 변형시킨다. 예를 들면, 플라스틱으로 만든 핀(112)을 평탄한 단면을 갖는 금속 핀과 그의 축 방향으로 점차 압착시킴으로써, 경첩 스프링 고정부(10)를 고정시킨다.
도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전자 계전기의 본체의 주요부품을 보여주며, 경첩 스프링부를 고정시키는 또다른 방법을 나타낸다. 도5에서, 도1 및 도2와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참고번호로 나타내었으므로, 그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5를 참고하면, 경첩 스프링 고정부(10)의 양쪽 단부는 구부러지고, 사각형 창 부분(102)은 구부러진 부분 안에 형성되어 있다. 도2에 도시된 멈춤쇠(12c)와 마찬가지로, 반 천공에 의해 형성된 돌출부(401)는 요크(4b)의 직립부(40a)의 양쪽 위에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401)의 외측면은 곡면을 형성하기 때문에, 경첩 스프링부(10)의 창 부분(102)과 결속되면, 경첩 스프링 고정부(10)의 말단부는 돌출부(401)의 표면을 따라 미끄러진다. 따라서, 경첩 스프링 고정부(10)의 양쪽 단부의 굴곡 각도는 90°보다 작은 각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틈새부(99)는 돌출부(401)의 스풀(1d) 안에 형성되어 있다.
도6은 제1 실시예와 제2 실시예로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전자 계전기의 본체의 주요 부품을 보여준다. 도6에서, 도1과 도2와 같은 부분은 동일한 참고번호로 나타내었으므로, 그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6을 참고하면, 도1과 도2의 것과 유사한 대향한 막대 형상의 돌출 피스(113)의 쌍과, 도4의 것과 유사한 핀(112)은 스풀(1e)의 한쪽 단부 위에 형성되어 있다.
도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전자 계전기의 본체의 주요부품을 보여주며, 말단을 고정시키는 또다른 방법을 나타낸다. 도7에서, 도1 및 도2에서와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참고번호로 나타내었으므로 그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7을 참고하면, 말단(51a 및 51b)의 수직 걸림쇄 피스 위에 각각 형성된 홈부분(52a 및 52b)은 수십 μm의 억지끼워맞춤에 의해 스풀(1f)의 단면 위에 형성된 돌출부(30a 및 30b)와 꺼워맞춤된다.
도8은 코일 보빈을 개선시키기 위한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전자 계전기의 본체를 보여준다. 도8에서, 도1 및 도2에서와 같은 부분은 동일한 참고번호로 나타내었으므로, 그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8을 참고하면, 스풀(1g)의 상부에 노출된 코일 타이-업 부분(33a 및 33b)의 쌍은 서로 대향하도록 구부러져있고, 홈 부분(34) 안에 매립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서, 전자지 계전기 본체의 높이는 감소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는, 코일 타이-업 부분(33a 및 33b)은 케이스의 내벽과 용접 밀봉시킨 구조에 적합하다. 이 경우에, 코일과 접점사이의 절연 성능이 더 개선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위에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1효과는 낮은 제조비용이다.
이것은 부품의 수를 줄이기 때문이고, 조립 공정과 설치가 단순화되기 때문이다.
제2효과는 높은 파괴 전압이다. 이것은 접점부와 경첩부가 케이스의 내벽과 원통형 스풀 부분과 용접에 의해 밀봉되기 때문이고, 이 케이스의 개구부는 에폭시 기재 접착제와 밀봉된다.
제3효과는 소형화이다. 이것은 코킹에 의한 경첩 스프링 고정부와 요크를 고정시키기 위하 여분의 공간 때문이다.

Claims (14)

  1. 전자 계전기에 있어서, 관통 구멍(70)을 갖는 스풀(1a,1b,1c,1e,1f)과 상기 스풀 위에 권선된 원통형 여자 코일(3c)과 상기 여자 코일이 여자될 때 작동하도록 스풀의 관통 구멍에 삽입된 전기자(12a)와 요크는 제1 및 제2 대향하는 직립부(40a,40b)를 갖고, 전기자의 한쪽 끝은 요크의 제1 직립부의 한쪽 단면과 접촉하고, 전기자의 다른 쪽 끝은 요크의 제2 직립부의 다른쪽 단부와 대향하고, 맞춤조립에 의해 상기 스풀의 양쪽 단부에 고정된 실질적으로 U자 형상의 요크(4a)와 상기 요크에 대해 예정된 각도로 전기자를 셋팅하고, 요크의 제1 직립부의 한쪽 단면에 대해 전기자의 한쪽 끝을 자력에 의해 연결하기 위한 L자 형상의 경첩스프링(9)과 그의 말단에서 이동성 접점(7)을 갖고, 상기 전기자에 연결될 경첩 스프링의 한쪽 끝에 연장된 이동성 스프링(8)과 상기 경첩 스프링과 이동성 스프링을 지탱하도록 경첩 스프링의 다른쪽 끝으로 연장되는 경첩 스프링 고정부(10)와 단일 조작에 의해 요크의 제1 직립부의 외부측면 위에 상기 경첩 스프링 고정부를 부착 및 고정시키기 위한 부착 기구(200) 및 상기 이동성 스프링의 이동성 접점에 인접한 정지 접점을 가지며, 가압 조립에 의해 스풀의 한쪽 단부에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단자 부재(5a,5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계전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기구는, 요크의 제1직립부의 상기 외측면가 함께 예정된 틈새를 형성하도록 예정된 틈새에서 서로 대향하며 스풀의 하나의 단부 위에 형성된 한쌍의 막대 형상의 돌출피스(113)와, 상기 경첩 스프링의 세로 방햐응로 연장도도록 경첩 스프링 고정부의 중심에 형성된 신장된 구멍(100), 및 상기 경첩 스프링 고정부가 요크의 제1직립부의 외측면과 막대 형상의 돌출피스 사이의 틈새에 삽입될 때, 경첩 스프링 고정부의 신장된 구멍과 결속하도록 요크의 제1직립부의 외측면 위에 형성된 돌출부(44)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계전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첩 스프링은 막대 형상의 돌출 피스의 대향 틈새보다 짧은 폭을 갖도록 설정된 것이며, 상기 경첩 스프링 고정부는 막대 형상의 돌출 피스의 대향하는 틈새보다 더 큰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계전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크의 상기 제1 및 제2 직립부는 상기 스풀의 관통구멍과 대향하고, 상기 여자 코일 및 상기 요크 사이의 절연 거리는 요크의 제1및 제2 직립부의 길이를 조정함으로써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계전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말단 부재는 실질적으로 L자 형상의 제1 및 제2 피스(5a, 5b)를 가지며, 상기 제1피스는 정지 접점을 가지며, 상기 피스는 스풀 쪽으로 가압 고정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55a, 55b)와, 외팔보될 상기 제2피스로부터 절단함으로써 형성되고 상기 제2피스에 평행한 텅피스(tongue piece)(555a, 555b)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계전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성 스프링과 경첩 스프링 고정부는 경첩 스프링의 양쪽 끝에 연결되고 있고, 경첩 스프링과 일체화될 도체 금속으로 형성되고, 상기 경첩 스프링 고정부는 경첩 스프링의 대향하는 쪽으로 돌출된 말단 부재(11)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계전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성 스프링은 상기 전기자의 뒷면에 형성된 돌출부(12b)와 맞춰진 조립 구멍(88)을 갖고, 상기 이동성 스프링은 이동성 스프링의 조립 구멍 안에 전기자의 돌출부를 조립시킴으로써 전기자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계전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자는 요크의 제1직립부의 단면과 접촉하고 있는 그으 한쪽 단면에서 제1직립 피스의 외측면과 결속된 멈춤쇠 부분(12c)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계전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계전기의 본체는 에폭시 기재 접착제를 사용하여 밀봉된 개구 부분을 형성하는 하나의 면을 갖는 실질적으로 상자 모양 용기 안에 수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계전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풀은 상기 접점과 경첩 스프링을 각각 수용하도록 그의 양쪽 단부에 원통부(111a, 11b)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계전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기구는, 상기 스풀의 한쪽 단면의 양쪽으로부터 돌출된 한쌍의 구멍(101)을 갖고, 상기 경첩 스프링 고정부의 구멍은 스풀의 핀 위에 조립되어 있고, 상기 핀은 열 응력에 의해 변형되어, 상기 경첩 스프링 고정부는 스풀에 고정되어 요크의 제1직립 피스의 외부면과 접촉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계전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기구는 예정도니 형상을 갖도록 경첩 스프링 고정부의 양쪽 단부에 형성된 한쌍의 창부분(102)과 상기 요크의 제1직립부의 양쪽 단부로부터 돌출된 한쌍의 돌출부(401)를 가지며, 상기 경첩 스프링 고정부의 창 부분은 제1직립부의 돌출부와 결속하여, 경첩 스프링 고정부는 상기 요크로 고정되어, 경첩 스프링 고정부가 제1직립부와 접촉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계전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말단 부재는, 상기 정지 접점을 갖는 제1피스(51a, 51b)와 상기 제1피스와 함께 실질적으로 L자 형상을 형성하고, 상기 스풀 쪽으로 가압조립 방향과 반대방향과 동이한 평면 상에 노치된 홈 부분(52a, 52b)을 갖는 제2 피스를 가지며, 상기 스풀은 가압조립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그의 단면으로부터 돌출된 돌출부를 가지며, 상기 말단 부재가 상기 스풀 내에 가압 조립될 때, 상기 제2피스의 홈 부분은 상기 수풀의 돌축부위에 조립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계전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풀의 한쪽 단부의 외부 주변 표면에 형성된 홈(34)과 상기 홈의 기저부로 부터 수직으로 연장되고 상기 여자 코일 위에 권선된 권선의 양쪽 끝이 묶어진 한 쌍의 타이-업 부분(33a, 33b)를 포함하고, 따라서 상기 원선의 스풀 위에 권선된 후, 상기 타이-업 부분이 코일 보빈을 구성하도록 홈 한으로 구부러지고, 상기 상자 용기의 내부표면과 홈과 밀봉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가 계전기.
KR1019970040899A 1996-08-26 1997-08-26 전자계전기 KR1002791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223765 1996-08-26
JP8223765A JP2904143B2 (ja) 1996-08-26 1996-08-26 電磁継電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9007A true KR19980019007A (ko) 1998-06-05
KR100279101B1 KR100279101B1 (ko) 2001-01-15

Family

ID=16803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0899A KR100279101B1 (ko) 1996-08-26 1997-08-26 전자계전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894253A (ko)
EP (1) EP0827171B1 (ko)
JP (1) JP2904143B2 (ko)
KR (1) KR100279101B1 (ko)
CA (1) CA2213976C (ko)
DE (1) DE69734859T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0425A (ko) * 2014-10-29 2016-05-11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코어 이동형 외팔보 타입 릴레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90738B2 (ja) 1999-04-27 2004-11-17 Necトーキン株式会社 電磁継電器およびその調整方法と組立方法
US6679488B2 (en) * 2000-05-08 2004-01-20 Tyco Electronics Amp Gmbh Armature spring for a relay
JP2007273289A (ja) * 2006-03-31 2007-10-18 Omron Corp 電磁継電器
CN101364501B (zh) * 2007-08-07 2011-11-16 百容电子股份有限公司 继电器的制造方法
US7996985B2 (en) 2007-11-13 2011-08-16 Excel Cell Electronic Co., Ltd Method of making a relay
WO2010150712A1 (ja) * 2009-06-23 2010-12-29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電磁継電器
JP5741338B2 (ja) * 2011-09-15 2015-07-01 オムロン株式会社 端子部材のシール構造、及び、電磁継電器
DE102014225491A1 (de) * 2014-12-10 2016-06-16 Robert Bosch Gmbh Elektromagnetisches Relais, insbesondere Starterrelais für eine Startvorrichtung
CN105551890B (zh) * 2015-12-03 2017-10-31 厦门宏发电力电器有限公司 一种磁保持继电器的衔铁部分与底座的连接结构
US9754747B1 (en) * 2016-04-25 2017-09-05 Song Chuan Precision Co., Ltd. Relay device
WO2018095417A1 (zh) * 2016-11-24 2018-05-31 厦门宏发汽车电子有限公司 一种静簧与线圈架之间的插装结构
CN106558454B (zh) 2016-11-24 2018-07-17 厦门宏发汽车电子有限公司 一种继电器/断路器的金属零件与塑料零件之间的固定结构
US11004639B2 (en) * 2018-10-22 2021-05-11 Song Chu An Precision Co., Ltd. Armature of relay
DE102018126449A1 (de) * 2018-10-24 2020-04-30 Song Chuan Precision Co., Ltd. Armatur eines relai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617631A1 (de) * 1976-04-22 1977-11-03 Telefonbau & Normalzeit Gmbh Ankerlagerung fuer elektromagnetisches relais
US4689587A (en) * 1985-05-22 1987-08-25 Siemens Aktiengesellschaft Electromagnetic relay
AT389958B (de) * 1986-03-24 1990-02-26 Uninorm Anstalt Relais
EP0281950B1 (de) * 1987-03-13 1992-08-05 Siemens Aktiengesellschaft Elektromagnetisches Relais
US4851802A (en) * 1987-05-13 1989-07-25 Siemens Aktiengesellschaft Electromagnetic relay
ATE103104T1 (de) * 1990-01-30 1994-04-15 Siemens Ag Elektromagnetisches relais.
JPH0594936A (ja) * 1991-10-01 1993-04-16 Nec Corp 輪帯照明装置
DE29501303U1 (de) * 1995-01-27 1995-03-23 Siemens Ag Elektromagnetisches Relai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0425A (ko) * 2014-10-29 2016-05-11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코어 이동형 외팔보 타입 릴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894253A (en) 1999-04-13
JP2904143B2 (ja) 1999-06-14
CA2213976A1 (en) 1998-02-26
JPH1064399A (ja) 1998-03-06
EP0827171B1 (en) 2005-12-14
EP0827171A3 (en) 1999-03-31
DE69734859T2 (de) 2006-08-17
DE69734859D1 (de) 2006-01-19
KR100279101B1 (ko) 2001-01-15
EP0827171A2 (en) 1998-03-04
CA2213976C (en) 2000-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19007A (ko) 전자계전기(Electromagnetic relay)
JP4334158B2 (ja) 電磁継電器
US6768405B2 (en) Switching device
JP5142652B2 (ja) 有極電磁継電器及びコイル組立
KR100494849B1 (ko) 전자계전장치
US6975194B2 (en) Switching device
EP1592036B1 (en) Electromagnetic relay
US8222979B2 (en) Electromagnetic relay
EP0902452B1 (en) Electromagnetic relay, joining structure for hinge spring and yoke in the electromagnetic relay
JP2869285B2 (ja) 電磁コイル、この電磁コイルを用いる電磁接触器及びこの電磁コイルの製造方法
EP0579832A1 (en) Electromagnetic relay
JP2002237241A (ja) 電磁継電器
JPH0559532B2 (ko)
JP2002334643A (ja) 電気切換え要素
EP0232897A2 (en) Electromagnet device
US5874876A (en) Electromagnetic relay structure
JP4645663B2 (ja) リレー
US11456135B2 (en) Relay
US4851802A (en) Electromagnetic relay
CA2058376C (en) Miniature electromagnet assembly and relay with the miniature electromagnet assembly
JP3937483B2 (ja) 電磁継電器
JP4218717B2 (ja) 光スイッチ
JP2000182496A (ja) 電磁継電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2533200B2 (ja) 電磁継電器
JP3089767B2 (ja) 端子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7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2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9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