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8937A - 키레스드릴척 (keyless drill chuck) - Google Patents

키레스드릴척 (keyless drill chuc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8937A
KR19980018937A KR1019970040342A KR19970040342A KR19980018937A KR 19980018937 A KR19980018937 A KR 19980018937A KR 1019970040342 A KR1019970040342 A KR 1019970040342A KR 19970040342 A KR19970040342 A KR 19970040342A KR 19980018937 A KR19980018937 A KR 199800189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edge
click
shaped groove
chuck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03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54909B1 (ko
Inventor
겐고 호리우치
마사유키 사토
Original Assignee
겐고 호리우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겐고 호리우치 filed Critical 겐고 호리우치
Publication of KR199800189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89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49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49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1/00Chucks; Expansion mandrels; Adaptations thereof for remote control
    • B23B31/008Chucks; Expansion mandrels; Adaptations thereof for remote control with 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torq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1/00Chucks; Expansion mandrels; Adaptations thereof for remote control
    • B23B31/02Chucks
    • B23B31/10Chucks characterised by the retaining or gripping devices or their immediate operating means
    • B23B31/12Chucks with simultaneously-acting jaws, whether or not also individually adjustable
    • B23B31/1207Chucks with simultaneously-acting jaws, whether or not also individually adjustable moving obliquely to the axis of the chuck in a plane containing this axis
    • B23B31/1253Jaws movement actuated by an axially movable memb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79/00Chucks or sockets
    • Y10S279/902Keyless type socke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79/00Chucks or sockets
    • Y10T279/17Socket type
    • Y10T279/17564Loose jaws
    • Y10T279/17598Fixed cam and moving jaw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79/00Chucks or sockets
    • Y10T279/17Socket type
    • Y10T279/17615Obliquely guided reciprocating jaw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8/00Cutting by use of rotating axially moving tool
    • Y10T408/89Tool or Tool with support
    • Y10T408/907Tool or Tool with support including detailed shan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illing Tools (AREA)
  • Gripping On Spindles (AREA)

Abstract

중절삭등에 있어서는 클릭과 절삭날 사이에 미끄럼이 일어나기 쉬워,클릭마모가 일어나기 쉬웠다.
절삭날 후부를 척하기 위하여 샤프트에 대하여 전후로 이동하는 승강부재와,승강부재의 클릭개구부측 방향으로의 이동과 같은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내주직경을 좁혀서 절삭날을 척하는 클릭을 구비하고, 절삭날에서 클릭에 전해지는 절삭저항과, 샤프트에 전해지는 동력의 비틀림에 의한 승강부재의 이동에 의해, 척핸들을 사용하지 않고 자동적으로 절삭날 죔을 행하는 키레스드릴 척에는, 승강부재의 클릭 개구부측 단면에 V형홈을 설치하고, V형 홈에 절삭날후부를 착탈자재로 장착할 수 있다.

Description

키레스드릴척
본 발명은 키레스드릴척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일반적으로 키레스드릴척은 드릴, 탭 등의 절삭날을 손으로 죄어 척에 의해 유지한다. 이 절삭날을 유지하는 척의 파지력은, 척의 클릭과 절삭날 사이의 마찰력에 의존해 있다. 그 때문에, 클릭과 절삭날이 미끄러질 경우는 척을 더 죄거나 또는 절삭량을 적게하여 절삭날의 절삭저항을 줄이고 있다.
또, 일본국 실개소 50-99585호 공보(선행기술 1)에 「척아버의 선단면에 쐐기형 오목부를 설치하고, 이 오목부에 끼워지도록 형성된 드릴의 자루측 단부를 상기 오목부에 맞댄 모양으로 끼워맞춤 회전정지시켜서 척드릴의 악력(握力)부족을 보충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척의 공전방지기구」의 기재가 공지이다.
또한, 일본국 실공평 3-29056호 공보(선행기술 2)에는 「드릴 파지구조」에 관하여,「회전스핀들에 동심으로 착탈자재인 본체와, 이 본체 선단에 부착된 클릭간격조정부와, 이 클릭간격조정부 내측에 수용되고 또한 둘레방향으로 인접하여 배치된 복수의 클릭을 가지며, 클릭에 의해 드릴 축선이 본체 축선과 일치하게 드릴의 섕크외주면을 파지하고, 드릴의 섕크는 원형축 직각단면을 가지며, 이 섕크말단에는 그 섕크원형외주면의 절반인 제1원호상부분과, 섕크축선을 지나는 평면상의 제1회전전달면으로 구성되는 반원형축 직각단면을 갖는 볼록부를 설치하고, 본체선부(先部)에는 그 본체의 축선방향으로 개구한 오목부가 형성되고, 이 오목부에는 상기 볼록부가 끼워맞춤되고, 오목부에는 본체의 회전축선을 지나는 평면으로서, 볼록부의 제1회전축선을 지나는 평면으로, 볼록부의 제1회전전달면이 면접촉하는 제2회전 전달면과, 섕크의 원호상 부분에 대향하여 형성되는 제2 원호상 부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파지구조』의 기재가 있고, 척 안에 반원형 오목부를 설치한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키레스드릴척에 있어서, 드릴, 탭 등의 절삭날섕크를 끼워 지지하는 클릭이, 절삭날과의 사이에서 슬라이딩하면 클릭 마모, 상처, 심흔들림, 가공불량이나 기계, 지그, 절삭날 파손을 일으키고, 절삭날 섕크에 상처난 드릴등의 절삭날은 심흔들림을 일으키기 쉬워 고정밀도 가공에는 사용못하게 된다.
절삭날이 클릭사이에서 슬라이딩하는데 기인한 클릭 마모가 조금이라도 있으면 키레스드릴척 사용은 가능하더라도 초기 정밀도가 상실되어 정밀도가 필요한 가공에 사용할 수 없게 되거나 클릭 파악력이 약해지기 때문에 무인기계에는 고장의 원인이 된다.
그래서, 키레스드릴척의 척을 더 죄는 방법이나 절삭량을 적게하며 드릴등의 절삭날의 절삭저항을 줄이는 등의 방법이 취해지나, 더 죌 경우에도 파악력에는 한계가 있고, 죔이 과도하면 척 파손의 원인이 되며, 절삭량을 적게하는 경우에는 시간이 걸리고, 가공비 상승뿐아니라 중절삭용 날에 대응할 수 없다.
키레스드릴척의 경우, 클릭 파악력은 절삭저항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처음에 손으로 죈 힘이 약하거나, 클릭이 마모하면 절삭날이 미끄러지고, 필요한 파악력을 얻을수 없다.
그래서, 선행기술 1과 같이 척아버 선단면에 쐐기형 오목부를 설치하거나, 선행기술 2와 같이 척안에 반원형 오목부를 설치하고, 절삭날의 미끄럼을 방지하는 방법이 생각된다.
그러나, 선행기술 1은 척아버 선단면에, 쐐기형 오목부를 설치하고 있으므로,절삭날 섕크를 클릭으로 척하고자 하면, 절삭날을 죄고자할 때의 클릭전방이동에 의해 절삭날이 절삭날 선단방향으로 가압되나, 척아버는 클릭전방이동에 연동하지 않으므로 절삭날 후부가 척아버 선단면에서 떨어지기 쉽다는 과제가 있었다. 그 때문에 유지하는 절삭날 굵기가 가늘어짐에 따라 척의 클릭은 더욱 전방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절삭날 후부가 서서히 척아버에 닿지 않게 되는 과제가 있었다. 또한, 절삭날에 충격이 가해질 경우에 그 힘이 직접 오목부에 가해지는데다 외주를 지지하는 것이 아무것도 없기 때문에 오목부가 균열이나 결함이 발생하기 쉬운 과제가 있었다.
또한, 선행기술 1은 통상의 드릴척에 사용되는 것으로 내부에 관통한 심공(芯孔)을 갖지 않은 키레스드릴척에는 사용하지 못한다. 또, 가공의 면에서도 HRC50 이상의 경도를 필요로하는 오목부를 직접 척아버에 가공하는 방법은 생산성이 나쁘다는 과제가 있다.
선행기술 2는, 반원형 오목부에 절삭날 후부를 끼워맞추기 때문에 척 중심(重心)이 중심(中心)에 엇갈려 있어, 고속회전에서는 균형이 나쁘다. 또,반원형 오목부에 맞물리는 절삭날후부는 직각으로 깎게 되나, 그라인더에는 모서리부에 아드가 붙어 있어 안쪽까지 90도로 깎기는 어렵고, 충분한 맞물림을 얻기 위해서는 반경이상 그란더의 아드보다 충분히 깊이 깎을 필요가 있고, 맞물림 부분은 조금박에 낮지 않아 가는 드릴이나 부러지기 쉬운 탭은 사용할수 없다. 게다가 절반으로 깎인 탭섕크에는 탭핸들이 사용될 수 없다.
절삭날 후부를 반원형 오목부에 맞물릴 경우, 절삭날을 지지하는 부분은 한쪽의 1점뿐이고, 게다가 배면은 지지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밸런스가 나쁘고, 비틀리기 쉽기 때문에, 탭 등의 절삭날은 부러져버린다. 반원형 오목부에 절삭날 후부를 세트할 경우, 척 클릭을 크게 벌린 상태에서 센터드릴이나 반원형 오목부의 반경이하의, 긁기가 가는 드릴을 클릭사이에 꽂으면 절삭날 후부전체가 오목부안에 들어가 버리기 때문에 척의 심과 절삭날의 심이 엇갈린채로 유지되어버려, 심 진동이나 절삭날의 탈락사고를 일으킬 과제가 있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절삭날 후부를 척하고, 절삭날에서 클릭에 전해지는 절삭저항과, 샤프트에 전해지는 동력의 비틀림에 의한 승강부재의 이동에 의해 척핸들을 사용하지 않고 자동적으로 절삭날의 체결을 행하는 키레스드릴척에 있어서, 승강부재의 클릭개구부측 단면에 V형홈을 설치하고, V형홈에 절삭날 후부를 착탈자재로 장착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레스드릴척을 제안한다.
절삭날 후부를 척하기 위하여 샤프트에 대하여 전후로 이동하는 승강부재와, 승강부재의 클릭개구부측 방향으로의 이동과 같은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내주직경을 좁혀서 절삭날을 척하는 클릭을 가지고, 절삭날에서 클릭에 전해지는 절삭저항과, 샤프트에 전해지는 동력의 비틀림에 의한 승강부재의 이동에 의해, 척핸들을 사용하지 않고 자동적으로 절삭날 체결을 행하는 키레스드릴척에 있어서, 승강부재 내측에 V형 홈부재를 삽입고정하여, 승강부재의 클릭개구부측 단면에 V형홈을 설치하고, V형홈에 절삭날 후부를 착탈자재로 장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키레스드릴 척을 제안한다.
절삭날 후부를 척하기 위하여 샤프트에 대하여 전후로 이동하는 승강부재와, 승강부재의 클릭개구부측 방향으로의 이동과 같은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내주직경을 좁혀서 절삭날을 척하는 클릭을 가지며, 절삭날에서 클릭에 전해지는 절삭저항과, 샤프트에 전해지는 동력의 비틀림에 의한 승강부재의 이동에 의해, 척핸들을 사용하지 않고 자동적으로 절삭날 체결을 행하는 키레스드릴척에 있어서, 승강부재 내측에 V형홈부재를 삽입하여 승강부재와 V형홈부재 사이에 회전정지부재를 개재시켜서 승강부재의 클릭개구부측 단면에 V형홈을 설치하고, V형홈에 절삭날 후부를 착탈자재로 장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레스드릴척을 제안한다.
절삭날 후부를 척하기 위하여 샤프트에 대하여 전후로 이동하는 승강부재와, 승강부재의 클릭개구부측 방향에의 이동과 같은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내주직경을 좁혀서 절삭날을 척하는 클릭을 가지며, 절삭날에서 클릭에 전해지는 절삭저항과, 샤프트에 전해지는 동력의 비틀림에 의한 승강부재의 이동에 의해, 척핸들을 사용하지 않고 자동적으로 절삭날 체결을 행하는 키레스드릴척에 있어서, 승강부재와 V형 홈부재를 일체성형하여 승강부재의 클릭개구부측 단면에 V형홈을 형성하고, V형홈에 절삭날 후부를 착탈자재로 장착할 수 있다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키레스드릭척을 제안한다.
절삭날 후부를 척하기 위하여 샤프트에 대하여 전후로 이동하는 승강부재와, 승강부재의 클릭개구부측 방향으로의 이동과 같은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내주직경을 좁혀서 절삭날을 척하는 클릭을 가지며, 절삭날에서 클릭에 전해지는 절삭저항과, 샤프트에 전해지는 동력의 비틀림에 의한 승강부재의 이동에 의해, 척핸들을 사용하지 않고 자동적으로 절삭날 체결을 행하는 키레스드릴척에 있어서, 승강부재의 샤프트 맞닿음 전면부를 샤프트단면 내경보다 충분히 크게하여 승강부재 내측에의 끼어들어감을 방지하고,승강부재의 클릭개구부측 단면에 V형홈을 형성하고, V형홈에 절삭날 후부를 착탈자재로 장착할 수 있다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키레스드릭척을 제안한다.
도 1은 본발명 실시형태의 키레스드릴척의 일부 노치단면 정면도로, 승강부재와 V형홈 부재가 클릭후부측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키레스드릴척의 일부 노치단면 정면도로 승강부재와 V형홈 부재가 클릭개구부측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키레스드릴척의 분해사시 설명도,
도 4는 승강부재의 일부노치단면과 V형홈부재 표시도,
도 5는 키레스드릴척이 비교적 굵은 절삭날을 장착할 경우의 정면설명도,
도 6은 키레스드릴척이 비교적 가는 절삭날을 장착할 경우의 정면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로서, 회전정지부재를 갖는 승강부재와 V형홈 부재의 일부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로서, 편심삽입부를 갖는 V형홈부재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로서, 승강부재와 V형홈부재를 일체성형한 구조의 승강부재 종단면도,
도 10은 절삭날후부의 사시도,
도 11은 다른 형성의 절삭날 후부의 사시도,
도 12는 절삭날 후부를 V형홈에 장착하여 회전시킬 경우의 힘이 걸리는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3은 부속부품인 각도모범부재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샤프트 11 : 그리프링
12 : 암나사 13 : 끼워맞춤부(척아버와의)
14 : 클릭개구부측단면 2 : 승강부재
21 : V형홈부재 21a: 볼트상태
21b: V형홈부 21c: 편심삽입부
21d: 회전정지부재(회전정지핀) 21e:샤프트측 삽입부
21f: V형홈부 22: 샤프트맞닿음면
23: 클릭부착부 24: 수나사
25: T형홈 26 : 암나사
3 : 클릭 4 : 회전슬리부
41: 수나사 42: 드러스트 궤도륜
5 : 클릭가이드 51 : 클릭가이드홈
6 : 드러스트볼 7 : 테이퍼링
71: 스패너홈 72: 암나사
8 : 척아버 9 : 절삭날(드릴,탭등)
91: 절삭날후부 92: 절삭날섕크
93: 절삭날 선단부 100: 각도모범부재
(발명의 실시형태)
본발명 실시형태의 키레스드릴척의 일부 노치단면정면도를 나타내고, 승강부재와 V형홈 부재가 클릭후부측에 위치한 상태의 도 1, 동일하게 키레스드릴척의 일부 노치 단면정면도를 나타내고, 승강부재와 V 형 홈부재가 클릭개구부측에 위치한 상태의 도 2, 동일하게 분해사시설명도인 도 3, 동일하게 승강부재의 일부노치단면과 V형홈부재를 나타내는 도 4, 키레스드릴척에 비교적 굵은 절삭날을 장착할 경우의 정면설명도인 도 6,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회전정지부재를 갖는 V형홈부재와 승강부재의 일부단면도인 도 7, 본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편심 삽입부를 갖는 V형홈부재 단면도인 도 8,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승강부재와 V형홈부재를 일체성형한 승강부재의 단면설명도인 도 9, 절삭날 후부 사시도인 도10, 동일하게 다른 형상의 절삭날후부 사시도인 도11, 절삭날 후부를 V형홈에 장착하여 회전시킬 경우의 힘이 걸리는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인 도12, 부속부품인 각도 모범부재 정면을 나타내는 도 13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인 키레스드릴척에 대하여 설명한다.
키레스드릴척 조립은 이하와 같다. 샤프트(1)후부에서 드러스트볼(6)과 드러스트 궤도륜(42)을 통하여 회전슬리브(4)를 부착한다. 다음에 역방향에서 승강부재(2)를 샤프트(1)의 암나사(12)에 나사결합시키고, 다시 클릭가이드홈(51)을 갖는 클릭가이드(5)를 샤프트(1)외측과 회전슬리브(4)사이에 삽입한다. 다음에 클릭(3)을 클릭가이드홈(51)안을 전후이동자재로 승강부재(2)의 T형홈(52)에 부착한다. 마지막에 회전슬리브(4)에 설치한 수나사(41)에 테이퍼링(7)에 설치한 암나사(72)를 나사결합시켜서 키레스드릴척은 조립된다. 키레스드릴척은 공작기계 주축이나 척아버(8)에 샤프트의 결합부(13)를 결합시켜서 부착된다. 다시 절삭날(9)을 부착할 경우는 그리프링(11)과 테이퍼링(7)을 붙잡고 서로 회전시키며, 클릭(3)의 내주간격을 열고 절삭날(9)을 그 사이에 삽입하고, 재차 테이퍼링(7)을 역회전시켜 체결하고 절삭날(9)을 고정한다.
클릭가이드(5)에는 주면상에 3등분할된 위치에 3개의 클릭가이드홈(51)이 형성되어 있다. 각 클릭가이드홈(51)에는 클릭(3)이 전후이동자재로 배치되고, 클릭(3)은 그 후부에서 승강부재(2)의 클릭부착부(23)의 T형홈(25)에 걸리도록 승강부재(2)에 부착된다. 테이퍼링(7)의 회전에 의해 승강부재(2)도 샤프트(1)에 대하여 회전하고 전후이동하기 때문에, 승강부재(2)에 부착된 클릭(3)도 전후로 이동한다. 도 1 및 도 2에 표시한 바와같이 클릭(3)은 승강부재(2)의 전후방향 이동(화살표 A-A')에 연동하여 전후방향으로 클릭상호의 내주직경크기를 바꾸면서 이동자재이다. 즉,클릭(3)은 도 5의 표시와 같이 화살표(B)방향인 클릭전방으로 이동하면 3개의 클릭상호 내주직경은 좁혀져서 가는 절삭날(9)을 지지할 수 있고, 도 6과 같이 화살표(C)방향인 클릭후방으로 이동하면 반대로 3개의 클릭상호 내주직경은 넓어져서 굵은 절삭날(9)을 지지할 수 있다. 승강부재(2), V형홈부재(21)와 함께 이동하는 클릭(3)의 이동에 의해 여러 가지 굵기의 절삭날(9)을 클릭(3)은 협지할 수 있다.
승강부재(2)는 원통상체이고 원통상체 외주면에 수나사(24)를 형성하고, 절삭날 후부 장착측인 클릭개구부측에 클릭부착부(25)를 형성한다. 도 1내지 도 6에 표시하는 실시형태에서는 승강부재(2)는 원통상체 내주면의 샤프트(1)측에 암나사(26)를 형성하고, 원통상체 내주면의 클릭(3)측은 암나사(26) 내경보다 큰 내경인 원통내 평면으로 구성된다. 승강부재(2)의 클릭부착부(23)에는 부착부 단면원주를 3등분한 위치에 3개의 T형홈(25)을 형성한다. T형홈(25)은 클릭(3)후부를 부착하여 연결한다. 승강부재(2)의 수나사(24)직경이 굵어지면 샤프트(1)의 암나사(12)에 체결되어 이완되기 어렵게 되므로 수나사(24)피치를 거칠게하거나 돔면을 매끄럽게하면 좋다.
승강부재(2)의 암나사(26)에는 V형홈부재(21)를 삽입고정하여 승강부재(2)의 클릭개구부측에 V형홈을 형성한다. V형홈부재(21)는 승강부재(2)의 암나사(26)에 나사결합가능한 볼트상부(21a)와, 볼트상부(21a)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가지며, 평면상 외주면인 V형홈부(21b)로 구성된다. V형홈부(21b)는 2개의 평면상 사면이 각도 60도를 이루는 오목부저면인 V형홈을 갖는다. V형홈부재(21)의 볼트상부(21a)와 승강부재(2)의 암나사(26)는 나사결합된 후, 용접하여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V형홈부재(21)의 V형홈부(21b) 외경은 키레스드릴척이 사용가능한 최대 절삭날(9) 직경보다 굵게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승강부재(2)의 수나사(24)외경은 클릭부착부(23)외경과 대략 같은 치수, 또는 소직경으로 형성된다.
V형홈부(21b)의 2개의 평면상 사면이 이루는 저부 V형 각도는 40도 내지 70도이고, 바람직한 각도는 60도 또는 45도이다.
도 7, 도 8 및 도 9에는 본발명의 승강부재(2) 및 V형홈부재(21)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도 7의 승강부재(2)는 샤프트(1)측 원통상체 내주면을 평면상 내주면으로 형성하고, 클릭(3)측 원통상체 내주면 내경보다 작게 형성한다.
이에 대응하여 끼워맞춤하는 V형홈부재(21)도 V형홈부(21b) 외주면을 평면상으로 형성하고, 샤프트측 삽입부(21e) 외주면은 평면상으로 외경을 작게하여 형성한다.
이 실시형태의 승강부재(2)와 V형홈부재(21)는 승강부재(2)에 V형홈부재(21)를 끼워맞춘 후, 승강부재(2)와 V형홈부재(21)가 서로 접해있는 임의의 1개소에 구멍을 뚫고, 그 구멍에 회전정지부재인 회전정지핀(21d)을 삽입한다. 이들 승강부재(2), V형홈부재(21), 회전정지부재(21)는 용접등으로 서로 고정하는 쪽이 좋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승강부재(2)와 V형홈부재(21)는 서로 평면상으로 접해 있으나, 회전정지부재(21d)의 삽입에 의해 회전을 방지하고 있다.
도 8은 본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V형홈부재(21)를 나타내고, V형홈부(21b)의 원주 원중심에 대하여 편심삽입부(21c)의 원주원중심을 편심시켜 형성한다. 이 V형홈부재(21)에 대응하는 승강부재(2)는 원통외주면의 원중심과 내주면의 원중심을 편심시켜서 형성되고, 이들을 끼워맞추면 회전하지 않는다. 승강부재(2)와 V형홈부재(21)는 용접등으로 고정한다.
또, 도시하지 않으나 승강부재(2) 내면형상을 다각통형상으로 하고, 여기에 삽입하는 V형홈부재(21) 외면 형상을 대응하는 다각주형상으로하여 끼워맞춘후 고정하여도 좋다.
도 9는 승강부재(2)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승강부재(2)와 V형홈부재를 일체성형한 구조이고, 21F는 V형홈부이다.
도 9에 표시하는 승강부재(2)는 승강부재(2)의 클릭부착부(23) 외주면을 원추상으로 형성하여, 승강부재(2)의 샤프트 맞닿음면(22) 면적을 넓게하여 샤프트(1)의 클릭측 단면(14) 면적보다 크게하여 승강부재(2)가 샤프트(1)통내측에 끼워지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이 샤프트 맞닿음면(22) 면적이 넓다는 특징은 승강부재(2)와 V형홈부재(21)가 일체성형되지 않는 실시형태라도 사용가능하다.
절삭날(9)의 절삭날후부(91a)는 도 10과 같이 60도의 산형, 또는 60도 보다 다소 예각으로 깎아 형성하나, 그때 도 13 표시와같은 각도모범부재(100)를 별도 부품의 부속품으로서 준비하여 60도 각도 오목부(101)와 끼워맞추어 60도각의 산형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절삭날(9)이 탭의 경우, 도 11의 표시와 같이 절삭날후부(91b)는 4각주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4각의 모서리부가 V형홈의 사면에 닿기 때문에 도 10의 산형형상의 절삭날 후부(91a)와 같은 작용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와 같이 구성된 키레스드릴척은 척아버(8)를 통하여 도시하지 않는 볼반(盤)등의 공작기계에 부착된다. 키레스드릴척의 승강부재(2)의 클릭개구부측 단면의 V형홈부재(21b)와, 이 V형홈부재(21b)에 대응하는 역 V형 볼록 부형상의 산형으로 깎은 절삭날 후부(91)를 맞물림시키고, 그리고나서 그리프링(11)과 테이퍼링(7)을 서로 반대로 회전시켜서 3개의 클릭으로 되는 클릭(3)내주직경을 좁혀서 절삭날(9)의 절삭날섕크(92)를 끼워 체결한다. 절삭날(9)이 탭의 경우는 척의 역전에 의한 이완을 방지하기 위하여 테이퍼(7)에 설치한 스패너홈(71)에 걸고, 도시하지 않는 스패너를 사용하여 작업자의 힘으로 절삭전에 죄어둔다.
공작기계 회전력은 척아버(8)를 통하여 샤프트(1)에 전달되고, 승강부재(2)를 비틀면서 V형홈부(21b)와 클릭(3)에서 절삭날(9)에 전해진다. 이때, 절삭날(9) 선단측에 위치하는 절삭부분(93)에는 회전을 정지시키려하는 절삭저항에 동시에 가해진다. 이 절삭저항에 의해 절삭날(9)의 파악력을 얻고 있는 키레스드릴척의 경우, 샤프트(1)와 절삭날(9)의 비틀림을, V형홈부(21b)와 절삭날후부(91)가 맞물림으로써 절삭날(9)과 승강부재(2)의 회전 미끄럼을 방지함과 동시에, 비틀림의 힘 모두를 승강부재(2)에 전할 수 있기 때문에, 클릭(3)이 확실하게 죄어지고 강한 파악력이 얻어진다. 이때, 클릭(3)은 종래의 척과 동일하게 절삭날(9)을 절삭날(9) 축심으로 유지하기위한 정밀도 유지력과, 절삭날의 미끄럼을 막기위한 파악력의 양쪽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이들에 첨가하여 클릭(3)의 마찰력으로 유지할 수 없는 절삭저항이 가해질 경우에도 V형홈부(21b)와 절삭날후부(91)가 맞물려있기 때문에 절삭날(9)이 미끄러져 회전하는 일은 없다.
절삭가공중에, 절삭날후부(91)에 걸리는 힘은, 도 12의 절삭날 후부(91) 원중심점을 점대칭으로 한 2개소의 사선부분(f,f)에 걸리기 때문에, 좌우 밸런스가 좋아 구부러지는 일은 없다.
굵기가 다른 절삭날섕크를 협지하는 클릭이동과 함께 이동하는 승강부재의 V형홈에 절삭날 후부를 맞물리게 함으로써 척을 손으로 죄는 힘에 관계없이 절삭저항을 키레스드릴척에 전달할 수 있다. 또, 클릭과 절삭날 사이에서 절삭날이 미끄러지는 일이 없고, 클릭이 절삭날을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절삭날 섕크에 상처가 나지 않으므로 절삭날 정밀도를 손상하지 않는다. 또, 종래 드릴척에서는 어렵다고 여겨오던 태핑을 행할수 있다.
또한, 클릭과 절삭날이 미끄러지지 않아 클릭마모가 적기 때문에, 초기 정밀도를 장시간 지속할 수 있고, 정밀가공에 장시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의 드릴척과 비교하여 내구성이 비약적으로 신장한다.
종래 클릭만으로 유지할 수 없는 강한 절삭저항이 가해질 경우에도 절삭날이 미끄러지는 일이 없고, 중절삭을 행할수 있다. 그러므로 가공시간을 단축하고 코스트가 삭감된다.
절삭날 직경이 가는 사이즈에서 굵은 사이즈까지 갖가지 굵기의 절삭날에 대응할 수 있고, 항상 절삭날 후부를 승강부재의 V형홈에 장착할 수 있다.
승강부재의 나사 피치를 거칠게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보다 클릭을 개폐할 경우의 회전수가 적어지고 회전동작이 적게되므로 절삭날 교환이 간단하고 빨라진다.
척아버와 척에 직접 절삭날 미끄럼방지를 고정하는 방법보다 키레스드릴척 승강부재에 미끄럼방지를 설치하는 구조쪽이 절삭날에 충격이 가해질 경우에 승강부재의 외경과 드러스트볼이 충격을 흡수하고, 게다가 승강부재를 두 부품으로 V형홈을 단단하게, 외측을 유연한 재료로 함으로써 균열이나 결함의 고장이 일어나기 어려워진다.
절삭날 유지범위가 넓고, 가격이 높고 단일 치수밖에 유지할수 없는 콜렉트척을 사용할 필요가 줄어 경제적이다.
고정밀도로 되어 있는 키레스드릴척에 있어서, 절삭날이 미끄러지지 않는 강력한 유지력과 심진동이 적은 고정밀도의 협지력을 동시에 구비한다.

Claims (5)

  1. 절삭날 후부를 척하고 절삭날에서 클릭에 전달되는 절삭저항과, 샤프트에 전달되는 동력의 비틀림에 의한 승강부재의 이동에 의해, 척핸들을 사용하지 않고 자동적으로 절삭날 체결을 행하는 키레스드릴척에 있어서, 승강부재의 클릭개구부측 단면에 V형홈을 설치하고, V형홈에 절삭날 후부를 착탈자재로 장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키레스드릴척.
  2. 절삭날 후부를 척하기 위하여 샤프트에 대하여 전후로 이동하는 승강부재와, 승강부재의 클릭개구부측 방향으로의 이동과 같은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내주직경을 좁혀서 절삭날을 척하는 클릭을 가지며, 절삭날에서 클릭에 전달되는 절삭저항과, 샤프트에 전달되는 동력의 비틀림에 의한 승강부재의 이동에 의해 척핸들을 사용하지 않고 자동적으로 절삭날 체결을 행하는 키레스드릴척에 있어서, 승강부재 내측에 V형홈부재를 삽입고정하여 승강부재의 클릭개구부측 단면에 V형홈을 설치하고, V형홈에 절삭날 후부를 착탈자재로 장착할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키레스드릴척.
  3. 절삭날 후부를 척하기 위하여 샤프트에 대하여 전후로 이동하는 승강부재와, 승강부재의 클릭개구부측 방향으로의 이동과 같은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내주직경을 좁혀서 절삭날을 척하는 클릭을 가지며, 절삭날에서 클릭에 전달되는 절삭저항과, 샤프트에 전달되는 동력의 비틀림에 의한 승강부재의 이동에 의해 척핸들을 사용하지 않고 자동적으로 절삭날 체결을 행하는 키레스드릴척에 있어서, 승강부재 내측에 V형홈부재를 삽입하여 승강부재와 V형홈부재 사이에 회전정지부재를 개재시켜서 승강부재의 클릭개구부측 단면에 V형홈을 설치하고, V형홈에 절삭날 후부를 착탈자재로 장착할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키레스드릴척.
  4. 절삭날 후부를 척하기 위하여 샤프트에 대하여 전후로 이동하는 승강부재와, 승강부재의 클릭개구부측 방향으로의 이동과 같은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내주직경을 좁혀서 절삭날을 척하는 클릭을 가지며, 절삭날에서 클릭에 전달되는 절삭저항과, 샤프트에 전달되는 동력의 비틀림에 의한 승강부재의 이동에 의해 척핸들을 사용하지 않고 자동적으로 절삭날 체결을 행하는 키레스드릴척에 있어서, 승강부재와 V형홈부재를 일체성형하여 승강부재의 클릭개구부측 단면에 V형홈을 형성하고, V형홈에 절삭날 후부를 착탈자재로 장착할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키레스드릴척.
  5. 절삭날 후부를 척하기 위하여 샤프트에 대하여 전후로 이동하는 승강부재와, 승강부재의 클릭개구부측 방향으로의 이동과 같은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내주직경을 좁혀서 절삭날을 척하는 클릭을 가지며, 절삭날에서 클릭에 전달되는 절삭저항과, 샤프트에 전달되는 동력의 비틀림에 의한 승강부재의 이동에 의해 척핸들을 사용하지 않고 자동적으로 절삭날 체결을 행하는 키레스드릴척에 있어서, 승강부재의 샤프트 맞닿음면부를 샤프트 단면내경보다 충분히 크게하여 승강부재가 샤프트내측에 끼워지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승강부재의 클릭개구부측 단면에 V형홈을 형성하고, V형홈에 절삭날 후부를 착탈자재로 장착할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키레스드릴척.
KR1019970040342A 1996-08-27 1997-08-23 키레스드릴척 KR1002549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6224396 1996-08-27
JP96-262243 1996-08-27
JP09189244A JP3108654B2 (ja) 1996-08-27 1997-06-30 キーレスドリルチャック
JP97-189244 1997-06-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8937A true KR19980018937A (ko) 1998-06-05
KR100254909B1 KR100254909B1 (ko) 2000-05-01

Family

ID=26505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0342A KR100254909B1 (ko) 1996-08-27 1997-08-23 키레스드릴척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918886A (ko)
JP (1) JP3108654B2 (ko)
KR (1) KR100254909B1 (ko)
CN (1) CN1185362A (ko)
DE (1) DE19736891A1 (ko)
TW (1) TW363470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16404B1 (en) * 2000-03-29 2008-01-08 Black & Decker Inc. Drill/driver chuck
DE10311455B3 (de) * 2003-03-15 2004-09-16 Aesculap Ag & Co. Kg Kupplung für ein chirurgisches Drehantriebs-Handstück
DE10335500A1 (de) * 2003-07-31 2005-03-03 Röhm Gmbh Schnellspannbohrfutter
DE10352311A1 (de) * 2003-11-06 2005-06-09 Röhm Gmbh Bohrfutter
US7243923B2 (en) * 2005-02-09 2007-07-17 Black & Decker Inc. Centering drill chuck
US7563061B2 (en) * 2005-02-09 2009-07-21 Black & Decker Inc. Self-centering drill bit chuck
JP5014679B2 (ja) * 2005-06-15 2012-08-29 ロェーム ゲーエムベーハー ドリリング装置
DE102005027523A1 (de) * 2005-06-15 2006-12-21 Röhm Gmbh Bohrvorrichtung
US8061718B2 (en) * 2007-07-27 2011-11-22 Robert Bosch Gmbh Toolless bitholder for spiral saws
US20100180744A1 (en) * 2009-01-20 2010-07-22 Nordlin William F Quick clamping assembly for driving a knockout punch
KR101113150B1 (ko) * 2009-02-13 2012-03-05 에스아이에스 주식회사 탭 고정장치
CN103111971B (zh) * 2013-01-14 2016-05-25 北京市富乐科技开发有限公司 多功能骨针扳手
DE102013106523B4 (de) * 2013-06-21 2024-02-08 Röhm Gmbh Bohrvorrichtung
US10329730B2 (en) * 2014-02-06 2019-06-25 Rhino Tool Company Post driver guide collet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KR101548151B1 (ko) * 2015-03-10 2015-08-28 (주)아리산업 난방기능이 구비된 의자
DE102015116008A1 (de) * 2015-09-22 2017-03-23 Metabowerke Gmbh Spannfutter
JP6158413B1 (ja) * 2016-05-20 2017-07-05 ファインマシーンカタオカ株式会社 ホルダ
US10785388B2 (en) 2016-05-25 2020-09-22 Targetvision, Llc Camera systems for scopes
CN105935818B (zh) * 2016-06-30 2018-01-02 哈工大机器人集团(哈尔滨)资产经营管理有限公司 电磁阀阀盖加工设备的丝攻连接器
US10668541B2 (en) * 2017-07-31 2020-06-02 Iscar, Ltd. Tool holding system having captive and non-releasable members, method of manufacture and assembly of same and cutting tool
US11275292B2 (en) * 2018-10-22 2022-03-15 Good Sportsman Marketing, Llc Viewing device for optical devices
DE102020000411A1 (de) * 2020-01-24 2021-07-29 Hakki Aygün Gewindeschneidfutter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167530C (nl) * 1973-12-28 Nihon Electronic Ind Co Ltd Werkwijze en inrichting voor het tellen van een stapel golfkarton.
ES8302511A1 (es) * 1982-02-22 1983-01-16 Micron Sa "mecanismo portabrocas perfeccionado de fijacion rapida sin llave".
JPS62166906A (ja) * 1986-01-21 1987-07-23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締め付け具
US4848779A (en) * 1987-04-02 1989-07-18 Black & Decker Inc. Keyless chuck
JPH0329056A (ja) * 1989-06-27 1991-02-07 Nec Corp 光ディスクシステム
US5685549A (en) * 1996-03-05 1997-11-11 Yang; Tsung-Hsun Chuck assembly for a tool b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363470U (en) 1999-07-01
US5918886A (en) 1999-07-06
DE19736891A1 (de) 1998-03-05
KR100254909B1 (ko) 2000-05-01
CN1185362A (zh) 1998-06-24
JPH10118813A (ja) 1998-05-12
JP3108654B2 (ja) 2000-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54909B1 (ko) 키레스드릴척
EP0843607B1 (en) Chuck
US5435672A (en) Hole saw having plug ejection feature
EP0932466B1 (en) Chuck
EP2131981B1 (en) Tool with replaceable tip
EP0009629B1 (en) Keyless chuck
US5340248A (en) Mechanical chuck with clamp for pulling tool shank to tightly clamped position
JPS61257704A (ja) 回転工具の支持具
US7387479B1 (en) Quick-release tool holder for rotary tools
US7845650B2 (en) Drill chuck
US5816584A (en) Chuck with improved jaw bite
KR920007958B1 (ko) 공구 호울더
JPH07112643B2 (ja) ドリル
US6168170B1 (en) Chuck with jaw blade rotational stop
US4666353A (en) Eccentricity adjustment device
US6520508B1 (en) Keyless router chuck
JPH02185339A (ja) ジョイント
EP0071556B1 (fr) Dispositif de blocage et/ou de serrage d'attaches modulaires de têtes et de barres d'alésage, de mandrins à pompe, de pinces longues, ou d'autres pièces mécaniques
GB2359506A (en) Clamping jaw for a drill chuck and corresponding manufacturing process
US7175373B2 (en) Rotating tool with a clamping shank
US6004083A (en) System for mounting a chuck device to a rotary power tool
JPH0225724B2 (ko)
JPH0329056Y2 (ko)
JP2574357Y2 (ja) 回転切削工具のストレートシャンク、ストレートコレット、および工具ホルダ
JPS6024525Y2 (ja) ワンタツチ着脱と工具刃先位置調整を可能にしたドリルタツプ兼用スピンド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