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8838U - 자동차 엔진 오일 필터의 냉각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엔진 오일 필터의 냉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8838U
KR19980018838U KR2019960032250U KR19960032250U KR19980018838U KR 19980018838 U KR19980018838 U KR 19980018838U KR 2019960032250 U KR2019960032250 U KR 2019960032250U KR 19960032250 U KR19960032250 U KR 19960032250U KR 19980018838 U KR19980018838 U KR 1998001883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engine
engine oil
filter
oil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22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장혁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이우복
고등기술연구원 연구조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이우복, 고등기술연구원 연구조합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600322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18838U/ko
Publication of KR1998001883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8838U/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00Pressure lubrication
    • F01M1/10Lubricat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therein of lubricant venting or purifying means, e.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5/00Heating, cooling, or controlling temperature of lubricant; Lubrication means facilitating engine starting
    • F01M5/002Coo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00Pressure lubrication
    • F01M1/10Lubricat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therein of lubricant venting or purifying means, e.g. of filters
    • F01M2001/105Lubricat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therein of lubricant venting or purifying means, e.g. of filters characterised by the layout of the purification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ubrication Details And Ventil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엔진 오일의 냉각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엔진을 장시간 구동시키게 되면 엔진 오일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며, 이러한 엔진 오일의 냉각을 단지 오일 쿨러에만 의존하기 때문에 엔진 오일의 냉각 효과를 최대한 얻을 수 없게되고, 이에 따라 엔진 오일의 온도가 기준치 이상이 되면 엔진에 무리가 가해지므로 운전조건의 한계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오일 필터(10)의 외주연에는 다수개의 방열핀(21)을 환설하고 내주연에는 괘지돌기(22)가 형성되어 있는 브라켓(20)을 오일 필터(10)에 삽설하므로써, 엔진 오일이 순환하는 과정에서 엔진 오일이 오일 필터(10)에 정체되면서 여과될 때, 온도가 상승된 엔진 오일이 오일 필터(10) 외주연에 삽설한 브라켓(20)의 방열핀(21)에 의하여 외부로 방열되게 하므로써, 과열된 엔진 오일을 오일 쿨러와 함께 오일 필터(10)도 냉각작용을 하여 엔진 오일을 적정온으로 한 후, 엔진 내 마찰부로 급유되도록 함에 따라 엔진 각 구성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아울러 엔진의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Description

자동차 엔진 오일 필터의 냉각 장치
일반적으로 윤활 장치는 기관 내부의 각 섭동부에 오일을 공급하여 마찰 손실과 부품의 마멸을 최소로 만들어 기계 효율을 높혀주는 일을 하며, 상기 윤활 장치의 기능에는 강인한 유막을 형성하여 표면의 마찰을 방지하는 감마 작용; 고압가스의 누출을 방지하는 밀봉 작용; 마찰열을 흡수하여 윤활부를 깨끗이 해주는 세척 작용; 국부 압력을 액 전체에 분산시켜 평균화 시키는 응력 분산 작용; 수분이나 부식성 가스의 침투를 방지하는 방청 작용이 있다.
이러한 윤활 장치의 오일에는 부품의 마찰 및 마멸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엔진 오일과 기어 오일 및 부품의 작동에 대한 보조력을 발생하는 유압 오일 등이 있으며, 엔진 오일은 엔진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오일 팬에 저장되어 오일 펌프에 의해 엔진의 각 부품간의 접촉면에 공급되는데, 이 엔진 오일은 인간의 피와 같은 것으로 엔진이 작동할 때, 각 부품으로 상기 엔진 오일이 공급되어 각 부품간의 접촉면에 오일막을 형성시켜 마찰에 의한 동력 손실을 방지함으로써, 엔진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마찰방지 뿐만 아니라 마찰시 발생하는 마찰열을 흡수하여 다른 곳으로 방열하는 냉각 작용; 피스톤과 실린더 사이로 고압 가스의 누출을 방지하는 기밀 작용 등도 한다. 특히, 부품간의 접촉면에서 발생된 금속 분말, 공기 중의 먼지, 연소 생성물의 카본 등을 오일이 순환하는 과정에서 흡수하여 접촉면의 긁힘을 방지하는 세척 작용을 한다.
이러한 윤활 장치를 구성하고 있는 기구에는 오일 팬, 오일 스트레이너, 오일 펌프, 오일 필터, 오일 쿨러가 있으며, 상기 기구에 의한 윤활 과정을 살펴보면 오일 팬 내의 오일은 오일 스트레이너에 의하여 비교적 큰 이물과 분리되어서 흡인되어 오일 펌프에 의해 압송된다. 또한 오일 필터에서 비교적 작은 이물이 제거되고 오일 쿨러에서 적정유온으로 유지된 다음 엔진 내 마찰부로 급유된다.
이러한 윤활 기구중 오일 필터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언급하면 다음과 같다. 즉, 엔진 오일은 금속의 마모분, 흡입공기 중의 더스트, 연소 생성분, 오일 자신의 열화 등에 따라 불용해분이 증가해서 섭동부의 마모를 촉진하게 되는데, 이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오일 필터를 장비해서 이물질을 제거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오일 필터는 윤활유의 여과방식에 따라 풀 플로우식, 바이패스 플로우식, 컴비네이션식으로 대별된다. 즉, 풀 플로우식은 자동차용 엔진에서 많이 사용되며, 오일 펌프에서 토출된 오일을 전량 여과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오일 필터 자신이 직접 유로저항이 되므로 압력손실을 낮게 할 필요가 있어 여과재는 비교적 성근 눈(10㎛ ∼ 30㎛)으로 되어 있다. 또 오일 필터의 눈 막힘, 콜드스타트인 경우를 고려하여 릴리프 밸브가 설정되어 있다.
또한 바이패스 플로우식은 오일 펌프에서 토출된 오일의 일부를 여과해서 오일 팬으로 되돌리고 나머지 오일을 엔진의 각 부로 공급하는 방식이다. 그러므로 엔진 각 부의 유압은 필터의 저항에 좌우되는 일이 적으므로 여과재는 풀 플로우에 비하여 잘게 할 수가 있어서 포착입자의 크기를 2 ∼ 10㎛ 정도까지 할 수 있다. 그리고 바이패스하는 유량은 오일 필터내에 설치한 조르게 구멍으로 제어한다. 다만 엔진 각 부로 공급되는 오일은 직접 여과되어 있지 않으므로 바이패스식 오일 필터만을 채용하는 일은 드물다.
그리고 컴비네이션식은 상기 언급한 2 방식을 짜맞춘 방식으로서, 오일의 대부분은 풀 플로우식의 필터에서 여과되어 엔진 각 부로 공급되며 오일의 일부는 바이패스 필터로 여과되어 오일 팬으로 되돌아간다. 포착용량의 증대, 메인터넌스 시기의 연장이 겨냥하는 바이다.
이러한 오일 필터는 일정한 주행거리 또는 기간에 따라 교환되는 것이며, 이지메인터넌스를 목적으로 하여 스핀온타입 또는 센터볼트타입을 채용하여 여과재에 따라 여과지식, 적층판식, 철선식, 면종이식, 소결식 등이 있다. 또 여과재를 사용하지 않는 원심식이 있다. 이 가운데 여과지식은 긴 수명, 고 효율, 저 코스트를 특징으로 하고 있어서 오일 필터의 주류를 이루어 있다.
한편 엔진의 각 부로 공급되는 윤활유를 적정한 온도로 유지하고, 섭동부의 마모, 눌어붙기를 방지하기 위하여 오일 쿨러가 사용되는데, 그 형식은 수냉식과 공냉식으로 나뉘어 진다. 수냉식은 오일로부터의 열을 냉각액으로 방출시키며, 구조에 따라서 다판식과 관식으로 분류할 수 있다. 그리고 공랭식은 오일로부터의 열을 지나가는 바람을 따라서 대기로 방출시키며 구조는 일반적으로 적층식이 많다.
그런데 종래에는 엔진을 장시간 구동시키게 되면 엔진 오일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고, 이러한 엔진 오일의 냉각을 단지 오일 쿨러에만 의존하기 때문에 엔진 오일의 냉각 효과를 최대한 얻을 수 없게되고, 이에 따라 엔진 오일의 온도가 기준치 이상이 되면 엔진에 무리가 가해지므로 운전조건의 한계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이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엔진의 오랜 구동으로 인하여 온도가 상승한 엔진 오일을 오일 필터의 냉각장치와 함께 오일 쿨러가 냉각시키므로서, 엔진 오일의 냉각효과를 보다 높게 하여 엔진의 각 구성품의 내구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 엔진 오일 필터의 냉각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엔진 오일을 여과하고 금속 등 마모된 찌꺼기나 카본 덩어리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장치인 오일 필터에 있어서, 외주연에는 다수개의 방열핀이 환설되고 내주연에는 괘지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브라켓을 오일 필터에 삽설하므로써 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엔진 오일이 유동되는 과정에서 온도가 상승한 엔진 오일이 오일 필터 내에서 정체될 때, 상기 오일 필터에 삽설되어 있는 브라켓의 방열핀이 엔진 오일을 냉각시켜 엔진 오일의 냉각효과를 원할히 해줌에 따라 엔진 각 구성품의 내구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가 있는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 예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오일 필터 20 : 브라켓
21 : 방열핀 22: 괘지돌기
이하 본 고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그 기술 구성 및 작용 효과를 첨부한 별첨의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 예를 보인 분리 사시도로써, 이에 예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엔진 오일을 여과하고 금속 등 마모된 찌꺼기나 카본 덩어리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장치인 오일 필터(10)에 있어서, 외주연에는 다수개의 방열핀(21)이 환설되고 내주연에는 괘지돌기(22)가 형성되어 있는 브라켓(20)을 상기 오일 필터(10)에 삽설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본 고안은 엔진 오일을 여과시키는 오일 필터(10)를 엔진에 설치하기 전에 오일 필터(10)의 외주연에 다수개의 방열핀(21)이 환설되어 있는 브라켓(20)을 삽설한 후, 설치하게 되면 상기 방열핀(21)에 의해 오일 필터(10)에 정체되는 고온의 오일을 외부로 전도시켜 냉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브라켓(20)의 내주연에 형성된 괘지돌기(22)가 오일 필터(10)의 외주연과 접면되면서 브라켓(20)이 오일 필터(10)에 삽설된 후,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자동차의 엔진을 구동시, 오일 팬의 엔진 오일()이 오일 스트레이너에 흡인되어 오일 펌프에 의해 압송된 후, 오일 필터(10)를 거쳐 오일 쿨러에 의해 냉각된 다음 엔진 내 마찰부로 급유되는 과정에서 온도가 상승한 엔진 오일이 오일 필터(10) 내에서 여과작용을 하면서 방열핀(21)에 의해 엔진 오일의 열을 외부로 전도시킴으로써, 오일 쿨러와 함께 엔진 오일의 냉각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엔진 오일이 순환하는 과정에서 엔진 오일이 오일 필터에 정체되면서 여과될 때, 온도가 상승된 엔진 오일이 오일 필터의 외주연에 삽설한 방열핀에 의하여 외부로 방열되게 하므로써, 과열된 엔진 오일을 오일 쿨러에만 의존하여 냉각효과를 얻기 보다는 오일 쿨러 뿐만아니라 오일 필터도 함께 냉각작용을 하여 엔진 오일을 적정온으로 한 후, 엔진 내 마찰부로 급유되도록 함에 따라 엔진 각 구성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아울러 엔진의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본 고안은 자동차의 엔진 오일을 여과하고, 금속분말 등 마모된 찌거기나 카본 덩어리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장치인 엔진 오일 필터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히는 상기 엔진 오일 필터 내의 엔진 오일을 냉각시켜 줄 수 있는 방열핀을 오일 필터에 설치하므로서, 엔진 오일의 냉각 효과를 높혀, 엔진 각 구성품의 내구성을 더욱 향상시키고, 아울러 엔진의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 엔진 오일 필터의 냉각 장치에 관한 것이다.

Claims (1)

  1. 엔진 오일을 여과하고 금속 등 마모된 찌꺼기나 카본 덩어리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장치인 오일 필터(10)에 있어서, 외주연에는 다수개의 방열핀(21)이 환설되고 내주연에는 괘지돌기(22)가 형성되어 있는 브라켓(20)을 오일 필터(10)에 삽설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엔진 오일 필터의 냉각 장치.
KR2019960032250U 1996-09-30 1996-09-30 자동차 엔진 오일 필터의 냉각장치 KR1998001883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2250U KR19980018838U (ko) 1996-09-30 1996-09-30 자동차 엔진 오일 필터의 냉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2250U KR19980018838U (ko) 1996-09-30 1996-09-30 자동차 엔진 오일 필터의 냉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8838U true KR19980018838U (ko) 1998-07-06

Family

ID=53978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2250U KR19980018838U (ko) 1996-09-30 1996-09-30 자동차 엔진 오일 필터의 냉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18838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9470A (ko) * 2001-01-06 2002-07-13 송미정 오일클리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9470A (ko) * 2001-01-06 2002-07-13 송미정 오일클리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14764C (en) Oil sump arrangement with integral filter and heat exchanger
US11365670B2 (en) Method of modifying an engine oil cooling system
EP0776429B1 (en) Wet disc brake
RU2421643C2 (ru) Теплообменник с встроенным перепускным клапаном
US2133359A (en) Apparatus for purifying lubricating oil
KR19980018838U (ko) 자동차 엔진 오일 필터의 냉각장치
CN206903712U (zh) 一种增程器发动机润滑系统
CN216198363U (zh) 一种集成机滤器和机冷器的冷却水路
KR960005508Y1 (ko) 자동차용 엔진 오일 냉각 구조
KR200464387Y1 (ko) 엔진오일 냉각 및 노폐물 제거장치와 이를 이용한 엔진오일 유동시스템
KR19980018839U (ko) 자동차 엔진 오일필터
KR19980074690A (ko) 충격흡수구조를 갖는 오일스트레이너
KR100494410B1 (ko) 오일필터의 냉각장치
KR200153733Y1 (ko) 엔진의 오일 수분 제거장치
KR19980062694U (ko) 여과 및 에어레이션 방지구조 갖춘 오일 팬 장치
KR100271438B1 (ko) 자동차의 오일 팬
KR19980038434U (ko) 엔진 윤활장치
KR100251916B1 (ko) 오일 토출량 조절장치
KR200203464Y1 (ko) 윤활오일 냉각기를 구비한 오일필터
KR960005513Y1 (ko) 엔진의 윤활장치
KR19990042870A (ko) 유량 조절 기능을 갖는 엔진 오일 쿨러
KR100469371B1 (ko) 오일 재생 장치
KR19980048918U (ko) 엔진오일 열화 방지장치
KR19990042871A (ko) 실린더 블록에 장착되는 오일 릴리프 밸브
KR19980016293U (ko) 오일열화 방지용 오일여과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