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8421A - 치환 비닐우레아 유도체 및 이를 함유하는 의약 - Google Patents

치환 비닐우레아 유도체 및 이를 함유하는 의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8421A
KR19980018421A KR1019970037518A KR19970037518A KR19980018421A KR 19980018421 A KR19980018421 A KR 19980018421A KR 1019970037518 A KR1019970037518 A KR 1019970037518A KR 19970037518 A KR19970037518 A KR 19970037518A KR 19980018421 A KR19980018421 A KR 199800184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alkyl
compound
groups
sa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75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72931B1 (ko
Inventor
요시히코 가나마루
히로유키 히로타
Original Assignee
타이도 나오카타
에스에스 세야쿠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도 나오카타, 에스에스 세야쿠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타이도 나오카타
Publication of KR199800184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84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29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29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17/00Sulfones; Sulfoxides
    • C07C317/26Sulfones; Sulfoxides having sulfone or sulfoxide groups and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317/32Sulfones; Sulfoxides having sulfone or sulfoxide groups and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with sulfone or sulfoxide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of the carbon skeleton
    • C07C317/34Sulfones; Sulfoxides having sulfone or sulfoxide groups and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with sulfone or sulfoxide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of the carbon skeleton having sulfone or sulfoxide groups and amino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being part of the same non-condensed ring or of a condensed ring system containing that ring
    • C07C317/38Sulfones; Sulfoxides having sulfone or sulfoxide groups and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with sulfone or sulfoxide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of the carbon skeleton having sulfone or sulfoxide groups and amino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being part of the same non-condensed ring or of a condensed ring system containing that ring with the nitrogen atom of at least one amino group being part of any of the groups, X being a hetero atom, Y being any atom, e.g. N-acylaminosulfones
    • C07C317/42Y being a hetero at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6Amides, e.g. hydroxamic acids
    • A61K31/17Amides, e.g. hydroxamic acids having the group >N—C(O)—N< or >N—C(S)—N<, e.g. urea, thiourea, carmustin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75/00Derivatives of urea, i.e. compounds containing any of the groups, the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 C07C275/28Derivatives of urea, i.e. compounds containing any of the groups, the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having nitrogen atoms of urea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of a carbon skelet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75/00Derivatives of urea, i.e. compounds containing any of the groups, the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 C07C275/28Derivatives of urea, i.e. compounds containing any of the groups, the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having nitrogen atoms of urea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of a carbon skeleton
    • C07C275/30Derivatives of urea, i.e. compounds containing any of the groups, the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having nitrogen atoms of urea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of a carbon skeleton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halogen atoms, or by nitro or nitroso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75/00Derivatives of urea, i.e. compounds containing any of the groups, the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 C07C275/28Derivatives of urea, i.e. compounds containing any of the groups, the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having nitrogen atoms of urea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of a carbon skeleton
    • C07C275/32Derivatives of urea, i.e. compounds containing any of the groups, the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having nitrogen atoms of urea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of a carbon skeleton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singly-bound oxygen atoms
    • C07C275/34Derivatives of urea, i.e. compounds containing any of the groups, the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having nitrogen atoms of urea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of a carbon skeleton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singly-bound oxygen atoms having nitrogen atoms of urea groups and singly-bound oxygen atoms bound to carbon atoms of the same non-condensed six-membered aromatic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75/00Derivatives of urea, i.e. compounds containing any of the groups, the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 C07C275/28Derivatives of urea, i.e. compounds containing any of the groups, the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having nitrogen atoms of urea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of a carbon skeleton
    • C07C275/40Derivatives of urea, i.e. compounds containing any of the groups, the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having nitrogen atoms of urea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of a carbon skeleton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75/00Derivatives of urea, i.e. compounds containing any of the groups, the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 C07C275/28Derivatives of urea, i.e. compounds containing any of the groups, the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having nitrogen atoms of urea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of a carbon skeleton
    • C07C275/42Derivatives of urea, i.e. compounds containing any of the groups, the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having nitrogen atoms of urea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of a carbon skeleton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carboxyl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23/00Thiols, sulfides, hydropolysulfides or polysulfides substituted by halogen, oxygen or nitrogen atoms, or by sulfur atoms not being part of thio groups
    • C07C323/23Thiols, sulfides, hydropolysulfides or polysulfides substituted by halogen, oxygen or nitrogen atoms, or by sulfur atoms not being part of thio groups containing thio groups and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323/39Thiols, sulfides, hydropolysulfides or polysulfides substituted by halogen, oxygen or nitrogen atoms, or by sulfur atoms not being part of thio groups containing thio groups and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at least one of the nitrogen atoms being part of any of the groups, X being a hetero atom, Y being any atom
    • C07C323/43Y being a hetero atom
    • C07C323/44X or Y being nitroge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ated pyrid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11/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ated pyrid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1/0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ated pyrid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having n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1/3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ated pyrid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having n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11/56Nitrogen atoms
    • C07D211/58Nitrogen atoms attached in position 4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1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two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317/0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two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having the hetero atoms in positions 1 and 3
    • C07D317/4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two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having the hetero atoms in positions 1 and 3 ortho- or peri-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07D317/4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two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having the hetero atoms in positions 1 and 3 ortho- or peri-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condensed with one six-membered ring
    • C07D317/48Methylenedioxybenzenes or hydrogenated methylenedioxybenzenes, unsubstituted on the hetero ring
    • C07D317/50Methylenedioxybenzenes or hydrogenated methylenedioxybenzenes, unsubstituted on the hetero ring with only hydrogen atoms,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atoms of the carbocyclic ring
    • C07D317/58Radicals substituted by nitroge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1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two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317/0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two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having the hetero atoms in positions 1 and 3
    • C07D317/4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two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having the hetero atoms in positions 1 and 3 ortho- or peri-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07D317/4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two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having the hetero atoms in positions 1 and 3 ortho- or peri-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condensed with one six-membered ring
    • C07D317/48Methylenedioxybenzenes or hydrogenated methylenedioxybenzenes, unsubstituted on the hetero ring
    • C07D317/62Methylenedioxybenzenes or hydrogenated methylenedioxybenzenes, unsubstituted on the hetero ring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atoms of the carbocyclic ring
    • C07D317/66Nitrogen atoms not forming part of a nitro radical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601/00Systems containing only non-condensed rings
    • C07C2601/12Systems containing only non-condensed rings with a six-membered ring
    • C07C2601/14The ring being saturate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1)
[화학식 1]
[식중, R1및 R3는 각각 치환기를 가져도 좋은 페닐기를 나타내고, R2는 치환기를 가져도 좋은 페닐기 또는 시클로알킬기를 나타내고, 파선은 해당 결합상태가 E 또는 Z의 어느 하나를 나타낸다. 단, R1, R2및 R3가 비치환 페닐기인 경우, R1및 R2가 비치환 페닐기이고 R3가 4-에톡시페닐기인 경우는 제외한다.]로 표시되는 치환 비닐우레아 유도체 또는 그의 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의약, 상기 의약을 사용하여 동맥경화를 예방 및 치료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유도체 또는 그 염은 대식세포중의 ACAT를 선택적으로 강하게 저해하기 때문에 동맥경화의 예방 및 치료제로서 유용하다.

Description

치환 비닐우레아 유도체 및 이를 함유하는 의약
심질환 및 뇌혈관장해는 암에 이어 일본에서 사망 원인의 2위, 3위를 차지하며, 양자를 합하면 사망 원인의 절반이상을 차지한다. 이들 대부분이 동맥경화의 말기증상으로서 발병한다. 동맥경화는 나이가 들면서 발생되며, 일반적인 진단법은 없고, 또한, 동맥경화라 불리우는 병명도 없지만, 동맥경화가 원인으로 사망하는 비율은 상당히 높은 것으로 추정된다.
동맥경화 발병 메카니즘에 대해서는 불명확한 점이 많으나, 그의 메카니즘에 관하여 많은 연구가 수행되고 있으며, 최근 급속하게 그의 메카니즘이 해명되고 있다. 즉, 동맥경화가 일어나면, 콜레스테롤 에스테르가 대량으로 축적된 죽상경화 병소가 형성된다. 그 결과, 병소가 성장에 따라서, 혈관내강의 협착이 진행되고 최악 경우에는 혈관내가 완전히 막히게된다. 이처럼, 동맥경화는 상당히 무서운 질병이다. 동맥경화의 치료 및 예방법으로서는, 지금까지 위험인자를 경감시키는 방법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 방법은 동맥경화의 발병에 관여하는 추가발생 병세악화 인자를 제거하는 방법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식사요법과 함께, 각종 혈청지질저하제 및 강압제를 투여하는 방법과 같은 유용한 치료 및 예방법이 많다. 그러나, 동맥경화에 대한 이들 약제의 작용은 간접적이며, 동맥경화에 대해 직접 작용하는 약제의 개발이 강하게 요망되어 왔다.
본 발명은 신규 치환 비닐우레아 유도체 또는 그 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의약, 상기 의약을 이용한 동맥경화의 예방 및 치료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히는 동맥혈관벽에 존재하는 대식세포중의 아실-코엔자임 콜레스테롤 아실-트란스퍼라아제(ACAT)를 선택적으로 저해함으로써, 포말세포 형성을 억제하는 항동맥경화약으로서 유용한 치환 비닐우레아 유도체 또는 그 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의약, 상기 의약을 이용한 동맥경화의 예방 및 치료방법에 관한 것이다.
ACAT 저해제는, 그의 직접 작용을 갖는 약제 후보중의 하나이다. ACAT는 콜레스테롤을 아실화하여 축적형 콜레스테롤 에스테르를 합성하는 효소이며, 동맥경화에 있어서 죽상 경화 병소에는 상기 콜레스테롤 에스테르가 과잉으로 축적되어 있으므로, ACAT를 저해하면 과잉 콜레스테롤 에스테르의 축적이 억제되어 경화 병소의 성장또한 억제할 수 있는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종래 ACAT 저해제로서는, 일본국 특허 공개공보 제 117651/1990호, 234839/1992호 및 7259/1991호, H. Tawara et al., J. Med. Chem., 37, 2079-2084 (1994) 및 일본국 특허 공개공보 제 41006/1996호 및 258200/1995호에 기재된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이들 문헌에는 소장 미크로좀 또는 간 미크로좀중의 ACAT 저해활성 또는 간접적으로 혈장중의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키는 작용에 대해 검토되어 있지만, 항동맥경화작용을 검토할 때 중요하게 여겨지는 대식세포중의 ACAT 저해활성에 대해서는 기재되어 있지 않다.
또한, Thomas P. Maduskuie, Jr. et al., J. Med. Chem., 38, 1067-1083 (1995)에 기재된 화합물에 있어서는, 간 미크로좀중의 ACAT에 비해 대식세포중의 ACAT를 강하게 저해하는 것으로 밝혀져 있지만, 그 선택적 효과는 충분히 언급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간장, 장점막, 동맥, 부신, 난소, 피부등 몸 전체에 걸쳐 존재하는 ACAT중에서, 특히 강력하고, 선택적으로 동맥혈관벽에 존재하는 대식세포중의 ACAT를 저해하여 포말세포 형성을 억제하여 동맥경화의 예방 및 치료용 의약으로서 유용한 화합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실정을 감안하여, 본 발명자들은 거듭 연구를 수행한 결과, 하기 화학식(1)의 신규한 치환 비닐우레아 유도체가 간장중의 ACAT보다도 대식세포중의 ACAT를 보다 강하게 저해함으로써, 동맥경화의 예방 및 치료제로서 유용함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음 화학식(1)
[식중, R1및 R3는 각각 치환기를 가질 수 있는 페닐기를 나타내고, R2는 치환기를 가질 수 있는 페닐기 또는 시클로알킬기를 나타내고, 파선은 해당 결합상태가 E 또는 Z의 어느 하나임을 나타낸다. 단, R1, R2및 R3가 비치환 페닐기인 경우, R1및 R2가 비치환 페닐기이고 R3가 4-에톡시페닐기인 경우는 제외한다.]로 표시되는 치환 비닐우레아 또는 그 염(이하, 화합물(1)이라 칭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화합물(1)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의약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화합물(1) 및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함유하는 의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추가로, 본 발명은 화합물(1)의 의약으로서의 용도를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유효량의 화합물(1)을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맥경화의 예방 및 치료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1)은 일반식(1)로 나타낸다. 식(1)에 있어서, R1, R2및 R3로 표시되는 치환기를 가져도 좋은 페닐기의 치환기의 예로는 불소, 염소 및 브롬원자 등의 할로겐원자; 플루오로메틸, 클로로메틸 및 1,1,1-트리플루오로메틸기 등의 할로겐화 C1-6알킬기; 메톡시 및 에톡시기 등의 C1-6알콕시기; 아미노기; 모노메틸아미노 및 모노에틸아미노기 등의 모노-C1-6-알킬아미노기; 디메틸아미노 및 디에틸아미노기 등의 디-C1-6-알킬아미노기; 히드록시기; 벤질옥시기 등의 C7-16아르알킬옥시기; 메틸렌디옥시기; 시아노기; 벤조일기; 아세틸 및 프로피오닐기 등의 C2-7알카노일기; 카바모닐기; 카르복시기; 메톡시카르보닐 및 에톡시카르보닐기 등의 C1-6알콕시-카르보닐기; 메톡시메톡시기 등의 C1-6알콕시-메톡시기; 아세틸옥시 및 프로피오닐옥시기 등의 C2-7알카노일옥시기; 니트로기; 술폰산기; 술폰아미드기; 티올기; 메틸티오 및 에틸티오기 등의 C1-6알킬티오기; 메틸술피닐 및 에틸술피닐기 등의 C1-6알킬술피닐기; 메틸술포닐 및 에틸술포닐기 등의 C1-6알킬술포닐기; 메틸, 에틸, n-프로필 및 이소프로필기 등의 C1-6알킬기; 아세틸아미노 및 프로피오닐아미노기 등의 C2-7알카노일아미노기; 벤조일아미노기; 히드록시메틸 및 히드록시에틸기 등의 히드록시-C1-6-알킬기; 카르복시메틸 및 카르복시에틸기 등의 카르복시-C1-6-알킬기; 비닐 및 알릴기 등의 C2-6알케닐기; 아세틸피페라지닐, 프로피오닐피페라지닐, n-부티릴피페라지닐 및 i-부티릴피페라지닐기 등의 C2-7알카노일-피페라지닐기; 메틸아미노카르보닐피페라지닐, 에틸아미노카르보닐피페라지닐, n-프로필아미노카르보닐피페라지닐 및 i-프로필아미노피페라지닐기 등의 C1-6알킬-아미노카르보닐피페라지닐기; 아세틸아미노메틸, 프로피오닐아미노메틸, n-부티릴아미노메틸 및 헥사노일아미노메틸기 등의 C2-7알카노일-아미노메틸기; 메틸아미노카르보닐메틸, 에틸아미노카르보닐메틸, 메틸아미노카르보닐에틸, 에틸아미노카르보닐에틸, i-프로필아미노카르보닐메틸 및 i-프로필아미노카르보닐에틸기 등의 C1-6-알킬-아미노카르보닐-C1-6-알킬기; 메틸우레이도메틸, 에틸우레이도메틸, n-프로필우레이도메틸 및 i-프로필우레이도메틸기 등의 C1-6알킬-우레이도메틸기; 및 N-메톡시카르보닐-피페리디닐카바모일, N-에톡시카르보닐-피페리디닐카바모일, N-n-프로폭시카르보닐피페리디닐카바모일 및 N-i-프로폭시카르보닐피페리디닐카바모일기 등의 N-메톡시카르보닐피페리디닐카바모일기를 들 수 있다. 이들은 페닐기에 1 내지 3개 치환될 수 있다.
이들중에서, 할로겐원자, C1-6알킬기, C1-6알콕시기, 니트로기, 히드록시기, 메틸렌디옥시기, 모노-C1-6-알킬아미노기, 디-C1-6-알킬아미노기, 아미노기 및 카르복시기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3개의 치환기가 바람직하고, 불소원자, 메틸기, 이소프로필기, 메톡시기, 메틸렌디옥시기, 히드록시기 및 디메틸아미노기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3개의 치환기가 특히 바람직하다.
알킬, 알콕시 및 알카노일 등의 상기 기는 직쇄 또는 분지쇄일 수 있다.
R2로 표현되는 시클로알킬기의 예로는 시클로프로필, 시클로부틸, 시클로펜틸 및 시클로헥실기 등의 C3-7시클로알킬기를 들 수 있고, 시클로펜틸 및 시클로헥실기 등의 C5-7시클로알킬기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R1, R2및 R3가 비치환 페닐기인 경우 및 R1및 R2가 비치환 페닐기이고 R3가 4-에톡시페닐기인 경우는 제외된다.
본 발명의 화합물(1)은 아미노 화합물, 카르복실산, 술폰산등이 치환된 경우에, 각각 염으로 될 수 있으나, 이 경우, 염으로는 의약품으로 허용되는 염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아미노 화합물이 치환된 경우의 염으로서 푸말산염, 말레인산염, 시트르산염 및 타르타르산염 등의 유기산염 및 염산염, 브롬화수소산염, 황산염 등의 무기산염을 들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카르복실산 또는 술폰산이 치환된 경우의 염으로서는 나트륨염, 칼륨염 및 칼슘염 등의 염을 들 수 있다.
화합물(1)이 올레핀이기 때문에, R1및 R2가 서로 상이한 경우, 치환기의 종류에 따라 기하이성체 또는 그의 혼합물로서 생성될 수 있다. 모든 기하이성체가 본 발명에 포함된다. 또한, 치환 비닐우레아 유도체(1)는 수화물로 대표되는 용매화물로서 존재될 수 있다.
본 발명 화합물(1)은 예컨대 하기 제조 방법 1 내지 4중 어떠한 방법으로든 제조될 수 있다.
제조방법 1:
[식중, R1내지 R3는 전술한 바와 같고, R′및 R″는 저급 알킬기이고, Ph는 페닐기를 나타낸다]
상기 반응식에 나타난 바와 같이, 케톤 화합물(2)에 화합물(3)을 반응시키고(제 1공정), 이어서 생성 화합물(4)을 가수분해하여 (제 2공정), 카르복실산(5)으로 한다. 카르복실산(5)을 화합물(6)과 반응시켜 (제 3 공정), 아지드(7)로 한후, 아지드(7)를 커티우스 전위시켜(제 4 공정) 이소시아네이트(8)를 얻는다. 이소시아네이트(8)를 아민과 반응(제 4 공정)시킴으로써, 본 발명 화합물(1)을 얻는다.
이하, 각 공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 1공정에 있어서, 탄소-탄소 이중결합 반응은 일반적인 위티히(Wittig) 반응으로도 수행될 수 있으나, 위티히 반응으로부터 발전된 호르너-에몬스 (Horner-Emons)반응을 이용하는 것이 간편하기 때문에, 여기서는 시약으로서 포스포네이트(3)를 이용하여 호르너-에몬스 반응을 수행한다.
제 1공정 반응은, 통상, 적당한 염기 및 용매 존재하에 수행된다. 사용되는 염기로서는, 수소화나트륨, 나트륨메톡사이드, 나트륨에톡사이드, 칼륨 t-부톡사이드, 수산화나트륨 및 수산화칼륨을 들 수 있다. 용매로서는 반응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한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예를 들면, 테트라히드로푸란, 디옥산 및 디에틸에테르 등의 에테르류;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아세트아미드 및 N-메틸-α-피롤리돈 등의 마미드류; 벤젠, 톨루엔 및 크실렌 등의 탄화수소류; 에탄올, 부탄올, 메톡시에탄올 및 에톡시에탄올 등의 알코올류; 및 디메틸술폭사이드 등의 술폭사이드류를 들 수 있다.
반응은 0℃ 내지 가열 환류하의 온도에서 수행되며, 반응시간은 1 내지 24시간 수행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무수테트라히드로푸란중에서, 케톤 화합물(2)에 대해 등몰의 포스포네이트(3)를 첨가한후, 등몰 또는 약간 과량의 수소화나트륨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3-4시간 수행된다.
제 2공정의 가수분해는 통상의 조건하에 수행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1 - 10N 수산화나트륨 또는 수산화칼륨 수용액중에서 수행된다. 화합물(4)의 용해성의 문제에 따라, 메탄올 또는 에탄올 등의 알코올류가 가하여지는 경우도 있다. 반응온도는 실온 내지 100℃에서, 반응시간은 0.5 - 24시간 수행된다.
제 3공정의 아지드화 및 제 4공정의 커티우스 전위는 도중에 후처리하지 않고, 그대로 1 반응 용기(one pot)에서 수행된다.
제 3공정 및 제 4공정 반응은 통상 적당한 염기 및 용매 존재하에 수행된다. 용매로서는 반응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벤젠, 톨루엔 및 크실렌 등의 탄화수소류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염기로서는 트리에틸아민, 피롤리딘, 피페리딘 및 피리딘을 들 수 있으며, 트리에틸아민이 가장 바람직하다.
반응은 실온 내지 가열환류하의 온도에서, 0.5 내지 8시간 수행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벤젠중에서, 카르복실산(5)에 대해 등몰의 화합물(6)을 첨가하고, 1-2몰의 트리에틸아민을 첨가함으로써 수행된다.
제 5공정 반응은 제 3공정 및 제 4공정에서 얻은 반응 화합물중에서 1 용기 반응으로 수행된다. 제 5공정에서 사용된 아미노 화합물(9)은 카르복실산(5)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1 - 2몰의 양으로 사용된다. 반응온도는 실온 내지 150℃, 반응시간은 1 - 24시간이 바람직하다.
제조방법 2:
[식중, R1내지 R3는 전술한 바와 같고, Et는 에틸기를 나타낸다.]
상기 반응식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톤 화합물(2)을 트리메틸술폭소늄 아이오다이드(10)와 반응시켜(제 1공정) 에폭시 화합물(11)로 하고, 브롬화 마그네슘(12)으로 에폭시 고리를 개환하여(제 2공정) 알데히드(13)로 한다. 화합물(13)과 에틸 카바메이트(14)와 축합시켜(제 3공정) 우레탄(15)으로 하고, 이어서, 우레탄(15)을 B-클로로카테콜 보란(16)과 반응시켜(제 4공정) 이소시아네이트(8)로 한다. 화합물(8)을 상기 제조방법 1의 제 5공정에서와 같은 방식으로 아민(9)과 반응(제 5공정)시킴으로써 본 발명 화합물(1)을 얻는다.
이하, 각 공정을상세히 설명한다.
제 1 공정의 에폭시화 반응은 용매로서 디메틸술폭사이드를 사용하고, 케톤 화합물(2)에 대해 1 - 1.5당량의 수소화나트륨을 0℃ - 실온에서 첨가하여, 염기인 딤실 나트륨(dimsyl sodium)을 생성시킴으로써 수행하기 때문에, 이 반응 혼액중에, 케톤 화합물(2)에 대해 1 - 1.2당량의 트리메틸술폭소늄 아이오다이드(10)를 가하고 실온에서 1 - 3시간 반응시킨다. 이어서, 케톤 화합물(2)의 디메틸술폭사이드 또는 테트라히드로푸란 용액을 0℃ 내지 실온에서 15분 - 1시간에 걸쳐 적하아고, 그런 다음, 0℃ 내지 실온에서 1 - 24시간 반응시켜 에폭시체(11)를 얻는다(이 합성 과정은 Experimental Chemical Cours 21: Organic Synthesis III, Forth Edition (Maruzen), p. 101에 기재된 방법에 준한다).
또한, 케톤 화합물(2)을 적하할 때에 사용되는 용매는 디메틸술폭사이드 및 테트라히드로푸란외에, 반응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제 2공정의 에폭시 고리 개환반응은 산촉매로서는 브롬화마그네슘(12) 또는 삼불화붕소 에테르 염이 사용되나, 브롬화마그네슘(12)이 바람직하다. 용매로서는 에테르류외에 반응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반응은 에테르중, 산촉매존재한, 에폭사이드(11)의 에테르 용액을 -10℃ 내지 실온에서 적하하고, 같은 온도에서 5분 내지 24시간 수행함으로써, 알데히드(13)를 얻는다(이 합성 과정은 Experimental Chemical Cours 21: Organic Synthesis III, Forth Edition (Maruzen), p. 101에 기재된 방법에 따른다).
제 3공정의 알데히드(13)와 에틸 카바메이트(14)과의 탈수축합 반응은 통상, 적당한 산촉매 및 용매의 존재하에 수행된다. 사용되는 용매는 반응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벤젠, 톨루엔및 크실렌 등의 탄화수소류를 들 수 있다. 사용되는 산촉매의 예로는 p-톨루엔 술폰산, 메탄술폰산 및 황산 등을 들 수 있으며, p-톨루엔술폰산이 바람직하다. 반응은 실온 내지 가열환류하의 온도에서 수행된다. 반응을 환류하에서 수행할 때는 딘-스탁 장치를 이용하면 반응이 용이하게 진행된다. 반응은 0.5 - 8시간 수행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반응은 톨루엔중, 알데히드(13)에 대해 등몰의 에틸 카바메이트(14)를 사용하고, 0.05 - 0.1당량의 p-톨루엔술폰산을 첨가하여, 딘-스탁 장치를 이용하여 1 - 3시간 수행하는 것이다.
제 4공정 및 제 5공정 반응은, 우레탄(15)을 B-클로로카테콜 보란(16)과 반응시켜, 이소시아네이트(8)로 하고, 이어서, 그대로 1반응용기에서 아민(9)과 반응시킴으로써 본 발명 화합물(1)을 얻는다. 반응은 V. L. K. Valli and H. Alper, J. Org. Chem., 60, 257-258 (1995)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즉, 우레탄(15)에 대해 등몰의 B-클로로카테콜 보란(16) 함유-톨루엔 용, 염기로서 우레탄(15)에 대해 1 - 2당량의 트리에틸아민을 이용하고, 용매로서 톨루엔을 이용하여, 1 - 3시간 환류시켜 이소시아네이트(8)를 얻는다. 다음으로, 반응 혼합물을 냉각시킨 후, 우레탄(15)에 대해 1 - 3당량의 아민(9)을 가하고, 그대로 1 반응용기의 반응으로 실온 내지 150℃의 온도에서 1 - 24시간 반응시킴으로써, 본 발명 화합물(1)을 얻는다. 이 때, 용매로서는 톨루엔외에 벤젠 및 크실렌 등의 탄화수소류가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또한, 반응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염기 또한 트리에틸아민외에 적당한 염기가 존재한다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제조방법 1 및 2의 제 5공정에서 사용된 아민(9)중에서 시판되지 않는 것은 하기 반응식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제조방법 3:
[식중, R1내지 R3는 전술한 바와 같고, R8은 C1-6알킬기를 나타낸다]
R3가 알킬티오페닐기인 화합물은 상기 제조방법 1 또는 2에 따라 얻어지고, 이와 같은 화합물은 상기 반응식에 따라 산화시킴으로써, R3가 알킬술피닐페닐 또는 알킬술포닐페닐기인 화합물로 전환된다. 이 반응에서 사용되는 산화제로서는 통상 m-클로로퍼벤조산 또는 과산화수소수가 사용된다. 용매로서는 반응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산화제로서 m-클로로벤조산이 이용되는 경우, 메틸렌클로라이드 또는 클로로포름 등의 할로겐화 탄화수소가 바람직하고, 산화제로서 과산화수소수가 사용되는 경우, 메탄올 또는 에탄올 등의 알코올 또는 아세트산이 바람직하다. 반응은 0℃ 내지 가열환류의 온도에서 수행된다. 반응시간은 약 1 - 24시간이 바람직하다.
제조방법 4:
[식중, R1내지 R2는 전술한 바와 같고, R9는 C1-6알킬기를 나타낸다]
R3가 알콕시카르보닐페닐기인 화합물은 상기 제조방법 1 또는 2에 따라 얻어지며, 이와 같은 화합물을 상기 반응식에 의해 가수분해시킴으로써, R3가 카르복시기인 화합물로 전환된다. 상기 가수분해반응은 통상의 조건하에 수행될 수 있다. 즉, 반응은 1 - 10N 수산화나트륨 또는 수산화칼륨 수용액중에서 수행할 필요가 있다. 메탄올 또는 에탄올 등의 알코올류가 출발물질의 종류에 따라 가하여질 수 있다. 반응은 바람직하게는 실온 내지 100℃의 온도에서 0.5 내지 24시간 수행된다.
상기 반응식에 있어서의 목적 화합물(1)의 분리 및 정제는 통상의 방법, 예를 들면, 세정, 추출, 재결정 및/또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화합물(1)은 또한 통상의 방법에 의해 염으로 전환될 수 있다.
이렇게 해서 얻은 본 발명 화합물(1)은 동맥경화 및 이에 관련된 각종 질환, 예를 들면 뇌경색, 일과성허혈발작, 협심증, 말초성혈전, 말초성폐색 등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하다
본 발명 화합물을 상기의 의약으로서 이용하는 경우,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된 고체 또는 액체 담체와 혼합하여, 비경구투여, 경구투여 또는 외부투여에 적합한 의약조성물(의약제제)로 하면 된다. 의약제제로서는 주사제, 흡입제, 시럽제 또는 유화제 등의 액제, 정제, 캡슐제 또는 과립제 등의 고형제, 연고제, 좌제 등의 외용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 제제에는 필요에 따라 보조제, 안정제, 습윤제, 유화제, 흡수촉진제 또는 계면활성제 등의 통상 사용되는 첨가제등이 함유될 수 있다. 첨가제로서는 주사용 증류수, 링게르액, 글루코스, 슈크로스 시럽, 젤라틴, 식용유, 카카오버터,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탈크를 들 수 있다.
본 발명 화합물(1)이 동맥경화의 예방 및 치료제로서 사용될 때, 그 투여량은 투여환자의 증상, 연령, 체중에 따라 상이하지만, 경구투여의 경우, 성인 1일당 0.1 내지 1,000㎎으로 하면 바람직하다.
이하, 실시예 및 시험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실시예]
실시예 1:
3,3-디(3-니트로페닐)프로펜산 1.00 g, 디페닐포스포릴 아지드 0.88 g 및 벤젠 10 ㎖ 혼합물에 트리에틸아민 0.34 g을 첨가하고, 1시간 환류시켰다. 냉각후, 디플루오로아닐린 0.41 g을 첨가하고, 형성 혼합물을 실온에서 12시간 교반시켰다. 반응 혼합물에 물을 첨가한 후,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추출물을 물, 1N HCl 및 포화식염수로 차례로 세정하였다. 생성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고, 용매를 증류 제거한 후, 잔사를 실리카 겔 칼럼크로마토그래피하였다. 클로로포름-용출부를 감압하에 농축하여, 황색 무결정 분말의 목적물 1-[2,2-디-(3-니트로페닐)]비닐-3-(2,4-디플루오로페닐)우레아(화합물 1) 1.05 g(수율: 75.0%)을 얻었다. 화합물 1의 데이타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2:
N-[2,2-디-(2-메틸페닐)]비닐-카바메이트 1.00 g 및 트리에틸아민 0.34 g의 톨루엔(10 ㎖) 용액에, B-클로로카테콜 보란 0.5몰/리터의 톨루엔 용액 7 ㎖를 가하고, 1시간 환류교반시켰다. 냉각후, 디플루오로아닐린 0.44 g을 첨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실온에서 12시간 교반시켰다. 반응 혼합물에 물을 첨가한 후,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추출물을 물, 1N HCl 및 포화 식염수로 차례로 세정하였다. 생성된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고,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칼럼크로마토그래피하였다. 클로로포름-용출부를 감압하에 농축하여, 무색 결정상의 목적물 1-[2,2-디-(2-메틸페닐)]비닐-3-(2,4-디플루오로페닐)우레아(화합물 2) 495 ㎎(수율: 38.4%)을 얻었다. 화합물 2의 데이타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3 - 18:
실시예 1 또는 2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화합물 3 - 18을 제조하였다. 화합물 3 - 18의 데이타를 표 1 - 6에 나타낸다.
화합물번호. 1 2 3
R1
R2
R3
기하이성체 - - -
융점 (℃) 황색 무결정성 분말 무색 결정상(213 - 214) 무색 결정상(169 - 171)
MSPAB, Pos. 441 379 459
1H-NMR 자료(CDCℓ3, J) 6.60-8.20(m, 12H) 2.12(s,3H),2.20(s,3H),6.60-7.50(m,10H),7.90-8.80(m,3H) 1.05(d,6H),1.12(d,6H),3.15(q,2H),3.76(s,3H),3.77(s,3H),6.19(br,1H),6.61(br,1H),6.74-7.29(m,12H)
화합물번호. 4 5 6
R1
R2
R3
기하이성체 - E, Z E, Z
융점 (℃) 무색 결정상(209 - 210) 무색 결정상 무색 결정상
MSPAB, Pos. 351 364 364
1H-NMR 자료(CDCℓ3, J) 6.30-8.20(m, 14H) 1.56(s,3H),6.40-8.05(m,13H), 2.15(s,3H),6.65-7.05(m,3H),7.05-7.70(m,9H),8.00-8.40(m,1H)
화합물번호. 7 8 9
R1
R2
R3
기하이성체 - E, Z -
융점 (℃) 무색 결정상(208 - 210) 무색 결정상 무색 결정상
MSPAB, Pos. 410 371 379
1H-NMR 자료(CDCℓ3, J) 3.68(s,3H),3.80(s,3H),6.60-8.40(m,12H) 1.00-1.35(m,5H),1.63(d,1H),1.74(m,4H),2.16(t,1H),2.34(s,3H),6.28(d,1H),6.36(br,1H),6.64(d,1H),6.79(m,2H),7.02(d,2H),7.17(d,2H)7.82(m,1H) 2.29(s,3H),2.38(s,3H),6.60-7.70(m,13H)
화합물번호. 10 11 12
R1
R2
R3
기하이성체 E, Z E, Z E, Z
융점 (℃) 무색 결정상 담황색 결정상 무색 결정상
MSPAB, Pos. 365 396 419
1H-NMR 자료(CDCℓ3, J) 2.28(s,3H),2.32(s,3H),6.60-8.20(m,14H) 6.60-8.30(m,13H) 0.80-1.35(m,17H),1.60(d,1H),1.71(m,4H),2.10(t,1H),2.23(s,3H),3.09(m,2H),5.62(s,1H),5.70(d,1H),6.59(d,1H),6.62(m,2H),6.82(d,2H),7.00(d,2H),7.20(t,1H)
화합물번호. 13 14 15
R1
R2
R3
기하이성체 - - -
융점 (℃) 무색 결정상(219 - 220) 무색 결정상(201 - 203) 무색 결정상(155 - 157)
MSPAB, Pos. 398 418 417
1H-NMR 자료(CDCℓ3, J) 0.80-1.40(m,12H),2.90-3.40(m,2H)6.00-7.80(m,14H) 6.60-7.60(m,12H) 2.11(s,6H),2.23(s,3H),3.65(s,3H),3.70(s,3H),6.30-7.50(m,12H)
화합물번호. 16 17 18
R1
R2
R3
기하이성체 - - -
융점 (℃) 무색 결정상(159 - 161) 무색 결정상(168 - 170) 무색 결정상(177 - 178)
MSPAB, Pos. 411 411 373
1H-NMR 자료(CDCℓ3, J) 3.79(s,6H),6.77-7.25(m,14H) 3.76(s,6H),6.60-8.20(m,12H) 3.85(s,3H),6.80-7.50(m,13H),7.70-8.10(m,2H)
실시예 19:
1-(2,2-디페닐)비닐-3-(4-카르복시페닐)우레아 (화합물 19)의 합성:
실시예 18에서 얻은 1-(2,2-디페닐)비닐-3-(4-메톡시카르보닐페닐)우레아 (화합물 18) 50 ㎎을 메탄올에 용해시켰다. 이 용액에 2N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2 ㎖를 첨가하였다. 생성 혼합물을 60℃에서 3시간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하에 농축한 후, 농축액을 1N 염산으로 산성화하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생성 유기층을 물로 세정하고, 물 및 포화식염수로 차례로 세정하였다. 생성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 농축하여, 결정상의 45 ㎎ (수율: 96%)의 목적 화합물 19를 얻었다. 데이타를 표 7에 나타낸다.
실시예 20 및 21:
실시예 1 또는 2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화합물 20 및 21을 제조하였다. 데이타를 표 7에 나타낸다.
실시예 22:
실시예 19에서와 같은 방식으로 화합물 22를 제조하였다. 데이타를 표8에 나타낸다.
실시예 23 - 26:
실시예 1 또는 2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화합물 23 - 26을 제조하였다. 데이타를 표 8 및 9에 나타낸다.
실시예 27:
1-(2,2-디페닐)비닐-3-(3-메틸술피닐페닐)우레아 (화합물 27)의 합성:
실시예 26에서 얻은 1-(2,2-디페닐)비닐-3-(3-메틸티오페닐)우레아 (화합물 26) 500 ㎎(1.39 mmol)을 디클로로메탄 20 ㎖에 용해시켰다. 그 용액에 m-클로로퍼벤조산 240 ㎎(1.39 mmol)을 첨가하였다. 형성 혼합물을 실온에서 3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용액 및 물로 차례로 세정하고, 생성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켰다. 디클로로메탄을 증류 제거하고, 잔라를 에테르로 결정화하여, 무색 결정상의 225 ㎎ (수율: 43.1%)의 목적 화합물 27을 얻었다. 데이타를 표 9에 나타낸다.
실시예 28:
1-(2,2-디페닐)비닐-3-(3-메틸술포닐페닐)우레아 (화합물 28)의 합성:
실시예 26에서 얻은 1-(2,2-디페닐)비닐-3-(3-메틸티오페닐)우레아 (화합물 26) 500 ㎎(1.39 mmol)을 디클로로메탄 20 ㎖에 용해시켰다. 그 용액에 m-클로로퍼벤조산 600 ㎎(3.48 mmol)을 첨가하였다. 형성 혼합물을 실온에서 12시간 교반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용액 및 물로 차례로 세정한후, 생성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켰다. 디클로로메탄을 증류 제거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하였다. 1% MeOH-CHCl3-용출부를 감압하에 농축하여, 결정상의 78 ㎎ (수율: 14.3%)의 목적 화합물 28을 얻었다. 데이타를 표 10에 나타낸다.
실시예 29 - 55:
실시예 1 또는 2에서와 같은 방식으로 화합물 29 - 55을 제조하였다. 데이타를 표 10-19에 나타낸다.
화합물번호. 19 20 21
R1
R2
R3
기하이성체 - - -
융점 (℃) 무색 결정상(286 - 287) 담황색 결정상(205 - 206) 무색 결정상(180 - 181)
MSPAB, Pos. 359 358 373
1H-NMR 자료(CDCℓ3, J) 6.90-8.10(m,15H) 1.20(t,3H),2.93(s,6H),3.48(q,2H),6.33(br.1H),6.57(dd,2H),6.76(d,1H),6.98(d,2H),7.12-7.30(m,10H),7.38(d,1H) 3.81(s,3H),6.85-7.63(m,10H),7.91(dd,1H),8.50(d,1H),10.32(s,1H)
화합물번호. 22 23 24
R1
R2
R3
기하이성체 - - -
융점 (℃) 무색 결정상(258 - 259) 무색 결정상(168 - 169) 무색 결정상(226 - 227)
MSPAB, Pos. 417 383
1H-NMR 자료(CDCℓ3, J) 6.67(s,1H),7.06-7.41(m,10H),7.61(ddd,1H),7.83(dd,1H),11.28(s,1H) 2.56(s,3H),3.89(s,3H),3.99(s,3H),6.60-7.70(m,12H),8.34(s,1H) 6.80-7.60(m,14H)
화합물번호. 25 26 27
R1
R2
R3
기하이성체 - - -
융점 (℃) 무색 결정상(228 - 229) 무색 결정상(187 - 188) 무색 결정상(300 )
MSPAB, Pos. 359 361 377
1H-NMR 자료(CDCℓ3, J) 5.91(s,2H),6.64(d,1H),6.68(d,1H),7.02(d,1H),7.15-7.46(m,13H) 2.44(s,3H),6.88(d,1H),7.04(d,1H),7.12-7.45(m,15H) 3.95(s,3H),7.17-7.49(m,15H),7.59(t,1H),7.67(d,1H)
화합물번호. 28 29 30
R1
R2
R3
기하이성체 - - -
융점 (℃) 무색 결정상(230 - 232) 무색 결정상(171) 무색 결정상(230 - 232)
MSPAB, Pos. 393 471 383
1H-NMR 자료(CDCℓ3, J) 2.86(s,3H),7.18-7.67(m,16H) 3.47(s,3H),3.50(s,3H),5.15(s,2H),5.19(s,2H),6.70-7.40(m,11H),7.80-8.20(m,1H) 6.60-8.30(m,12H),
화합물번호. 31 32 33
R1
R2
R3
기하이성체 - - -
융점 (℃) 무색 결정상(202 - 203) 무색 결정상(248 - 250) 무색 결정상(191 - 192)
MSPAB, Pos. 387 435 439
1H-NMR 자료(CDCℓ3, J) 6.75-7.29(m,12H),7.68(d,1H),7.97.8.03(m,1H) 1.09(dd,12H),3.11(m,2H),6.07(d,1H),6.78-7.33(m,14H) 5.93(s,1H),5.98(s,1H),6.07(s,4H),6.65-6.73(m,3H),6.83-6.87(m,3H),7.30(d,2H),7.34(dd,2H)
화합물번호. 34 35 36
R1
R2
R3
기하이성체 - - -
융점 (℃) 황색 무결정성 분말 무색 무결정성 분말 무색 결정상(218 - 222)
MSPAB, Pos. 381 519 471
1H-NMR 자료(CDCℓ3, J) 6.40-7.50(m,11H)7.60-8.40(m,1H) 1.09(d,12H),3.00-3.40(m,2H),3.80-4.00(br.s,12H)6.20-7.50(m,12H) 3.68(s,3H),3.71(s,3H),3.85(s,6H),6.60-7.00(m,8H),7.20-8.40(m,4H)
화합물번호. 37 38 39
R1
R2
R3
기하이성체 - - -
융점 (℃) 무색 왁스상 물질 무색 결정상(183 - 185) 무색 결정상(229 - 230)
MS PAB, Pos. 571 487 469
1H-NMR 자료(CDCℓ3, J) 0.80-2.00(m,30H)3.00-3.40(m,2H),3.88(t,4H),6.00-6.30(br.1H)6.50-7.40(m,13H) 1.13(s,12H),3.06(m,2H),5.96(s,2H),6.07(S,2H),6.55(m,1H),6.64-6.83(m,4H),6.95-7.16(m,2H),7.12(d,2H),7.22(t,1H),8.00(br,2H) 1.15(d,6H),2.84(m,1H),2.80-3.30(m,4H),3.50-3.90(m,4H),6.84(d,2H),7.00-7.60(m,13H)
화합물번호. 40 41 42
R1
R2
R3
기하이성체 - - -
융점 (℃) 무색 무결정성 분말 담무색 오일상 물질 무색 무결정성 분말
MS PAB, Pos. 589 529 589
1H-NMR 자료(CDCℓ3, J) 1.10(s,3H),1.17(s,3H),2.64-3.20(m,5H),3.46(s,6H),3.62-3.68(m,4H),5.12(d,4H),6.75-7.19(m,15H) 1.14(d,6H),2.83(m,1H),2.80-3.30(m,4H),3.50-4.00(m,4H),3.75(s,3H),3.77(s,3H),6.50-7.40(m,13H) 1.14(d,6H),2.60-3.00(m,1H),3.00-3.20(m,4H),3.60-4.00(m,4H),3.71(s,3H),3.75(s,3H),3.84(s,6H),6.60-7.00(m,8H),7.20-7.80(m,5H)
화합물번호. 43 44 45
R1
R2
R3
기하이성체 - - -
융점 (℃) 무색 결정상(201 - 202) 무색 결정상(241) 무색 결정상(182 - 184)
MS PAB, Pos. 544 484 502
1H-NMR 자료(CDCℓ3, J) 1.17(d,6H),2.90-3.35(m,4H),3.40-3.70(m,4H),3.76(s,3H),3.77(s,3H),3.99(m,1H),6.70-7.50(m,15H) 1.17(d,6H),2.90-3.30(m,4H),3.30-3.70(m,4H),3.80-4.10(m,1H),6.84(d,2H),7.00-7.60(m,13H) 0.88(t,3H),1.26-1.57(m,6H),2.08-2.23(m,2H),3.79(s,3H),3.83(s,3H),4.22-4.28(m,2H),6.74-7.38(m,15H),8.37(br,1H)
화합물번호. 46 47 48
R1
R2
R3
기하이성체 - - -
융점 (℃) 무색 결정상(211 - 212) 무색 무결정성 분말 무색 결정상(192 - 193)
MS PAB, Pos. 502 562 530
1H-NMR 자료(CDCℓ3, J) 0.87(t,3H),1.26-1.64(m,6H),2.07-2.22(m,2H),3.79(s,3H),3.83(s,3H),4.26(br,2H),6.74-7.31(m,14H) 0.86(t,3H),1.23-1.29(m,4H),1.55(quint,2H),2.08(t,2H),3.47(s,3H),3.50(s,3H),4.23(d,2H),5.15(s,2H),5.18(s,2H),6.00(t,1H),6.60(br,1H) 0.87(t,3H),1.24-1.33(m,4H),1.54-1.58(m,2H),2.12(t,2H),4.21(d,2H),5.92(s,2H),5.95(s,2H),6.07(t,1H),6.62-6.71(m,5H),6.81-6.86(m,2H),6.93(br,1H),7.13-7.23(m,4H),7.58(br,1H)
화합물번호. 49 50 51
R1
R2
R3
기하이성체 - - -
융점 (℃) 무색 결정상(190 - 191) 무색 결정상(158 - 159) 무색 결정상(246 - 248)
MS PAB, Pos. 614 614 488
1H-NMR 자료(CDCℓ3, J) 0.84-0.97(m,9H),1.23-1.58(m,14H),1.78(m,4H),2.08(t,2H),3.00-3.96(m,4H),4.21(d,2H),5.91(t,1H),6.78(d,2H),6.84-6.93(m,4H),7.09-7.29(m,8H),7.46(br,1H) 0.82-0.96(m,9H),1.19-2.14(m,18H),3.90(q,4H),3.92(m,1H),4.13(d,2H),4.25(m,1H),6.56(br,1H),6.75-6.95(m,7H),7.03-7.21(m,6H),7.70(d,1H),8.15(s,1H) 1.00(s,3H),1.01(s.3H),2.27(t,2H),2.72(t,2H),3.73(s,3H),3.82(s,3H),3.78-3.84(m,1H),6.84(d,2H),7.02-7.16(m,9H),7.27(d,2H),7.55(d,1H),7.83(d,1H),8.91(s,1H)
화합물번호. 52 53 54
R1
R2
R3
기하이성체 - - -
융점 (℃) 무색 결정상(240, 분해) 무색 결정상(235 - 237) 무색 결정상(219 - 220)
MS PAB, Pos. 516 489 549
1H-NMR 자료(CDCℓ3, J) 1.00(s,3H),1.01(s,3H),2.27(t,2H),2.72(t,2H),3.81(m,1H),5.97(s,2H),6.07(s,2H),6.54-7.28(m,9H),7.54(d,1H) 1.03(d,6H),3.68(m,1H),3.73(s,3H),3.82(m,1H),4.11(d,2H),5.65(d,1H),6.02(dd,1H),6.84(dd,2H),7.02-7.06(m,4H),7.11-7.16(m,6H),7.31(d,2H),7.84(d,1H),8.96(s,1H) 1.03(d,6H),3.37(s,3H),3.43(s,3H),3.68(m,1H),4.00(d,2H),5.14(s,2H),5.24(s,2H),5.65(br,1H),6.02(br,1H),6.92(dd,2H),7.03(dd,2H),7.11-7.17(m,7H),7.31(d,2H),7.90(d,1H),8.98(s,1H)
화합물번호. 55
R1
R2
R3
기하이성체 -
융점 (℃) 무색 무결정성 분말
MS PAB, Pos. 573
1H-NMR 자료(CDCℓ3, J) 1.24(t,3H),1.30-1.60(m,2H),1.70-2.20(m,2H),2.70-3.10(m,2H),3.68(s,3H),3.77(s,3H),3.90-4.30(m,5H),5.90-6.10,6.40-6.55(each br,d,1H),6.60-6.90(m,4H),6.90-7.40(m,7H),7.40-7.80(m,3H),8.58(br.s,1H)
시험예 1:
본 발명 화합물(1)에 대해, 그의 약리학적 작용을 시험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i) J774 세포를 이용한 ACAT 저해 활성 시험
J774 세포의 ACAT 활성은 배양액중에 첨가한 [14C]올레인산 및 콜레스테롤에 의해 생성된 콜레스테릴 올레이트의 방사활성으로서 측정하였다.
즉, 배양 J774 세포를 24F 배양 플레이트에 무혈청 RPMI 1640 배지에서 1×10-6셀/웰로 하였다. 상기 셀에 [14C]올레인산, 탈지 BSA(송아지 혈청 알부민), 재구성 리보솜(0.3M 콜레스테롤/포스파티딜콜린=2/1(중량비)를 함유하는 0.3 M 글루코스 용액) 및 25-히드록시콜레스테롤을 첨가하고, 5% CO2하 37℃에서 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후 1% SDS(나트륨 라우릴술페이트) 용액으로 세포를 파쇄하고, 파쇄액중의 지질을 헥산으로 추출하여, 이것을 감압 건고하였다. 이어서, 잔사를 TLC(박층크로마토그래피)로 전개(전개용액: 디에틸에테르/헥산/아세트산=80/20/1)한 후, 생성된 콜레스테릴 올레이트의 양을 이메이징 플레이트(imaging plate)로 정량하였다.
검체는, DMSO(디메틸술폭사이드) 용액을 배양액에 대해 1% 첨가하고, DMSO 대조군과의 비교로부터 효소 활성저해를 구하였다.
[표 20]
화합물 J774 세포-ACAT 활성 저해율(%)
화합물 3 77.82 ± 4.00
TMP - 153 36.94 ± 11.93
Dup 128 66.37 ± 6.17
각 화합물 100nM에 의한 시험
(평균±S.D. ; n=3)
TMP-153 (H. Tawada et al., J. Med. Chem.,37, 2079-2084 (1994)]
Dup 128 [T. P. Maduskuie, Jr., et al., J. Med. Chem.,38, 1067-1083 (1995)]
ii) 랫트 간 미크로좀을 이용한 ACAT 저해 활성 시험
랫트 간 미크로좀의 ACAT 활성은 [14C]올레오일-CoA 및 내재성 콜레스테롤에 의해 생성된 콜레스테릴 올레이트의 방사활성으로서 측정하였다.
즉, 통상의 방법에 의해 조제한 랫트 간 미크로좀 양분에 [14C]올레오일-CoA, 탈지 BSA를 가하고, 37℃에서 5분간 반응후, 반응액중의 지질을 헥산으로 추출하고, 이것을 감압 건고시켰다. 다음으로, 잔사를 TLC(박층크로마토그래피)로 전개(전개용액: 디에틸에테르/헥산/아세트산=80/20/1)한 후, 생성된 콜레스테릴 올레이트의 양을 이메이징 플레이트로 정량하였다. 검체는, DMSO(디메틸술폭사이드) 용액을 배양액에 대해 1% 첨가하고, DMSO 대조군과의 비교로부터 효소 활성저해를 구하였다.
[표 21]
화합물 랫트 간 미크로좀-ACAT 활성 저해율(%)
화합물 3 77.87 ± 9.26
TMP - 153 82.29 ± 2.79
Dup 128 79.32 ± 7.01
각 화합물 100nM에 대한 시험
(평균±S.D. ; n=3)
i) 및 ii)의 결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 화합물(1)은 간 미크로좀중의ACAT 저해 활성에 비해 마우스 대식세포중의 ACAT 저해 활성이 훨씬 강하다. 이러한 사실은, 본 발명 화합물이 동맥벽에 있어서의 콜레스테롤 에스테르의 축적 및 저장을 직접 감소시켜, 아테롬성 동맥경화 병소의 형성 또는 발전을 억제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화합물은 동맥경화 및 이와 관련된 각종 질환, 예를 들면, 뇌경색, 일과성허혈발작, 협심증, 말초성혈전, 말초성폐색 등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 화합물(1)은 대식세포중의 ACAT를 선택적으로 강하게 저해하기 때문에, 동맥경화의 예방 및 치료제로서 유용하다.

Claims (9)

  1. 다음 화학식(1)
    [화학식 1]
    [식중, R1및 R3는 각각 치환기를 가져도 좋은 페닐기를 나타내고, R2는 치환기를 가져도 좋은 페닐기 또는 시클로알킬기를 나타내고, 파선은 해당 결합상태가 E 또는 Z의 어느 하나를 나타낸다. 단, R1, R2및 R3가 비치환 페닐기인 경우, R1및 R2가 비치환 페닐기이고 R3가 4-에톡시페닐기인 경우는 제외한다.]로 표시되는 치환 비닐우레아 유도체 또는 그 염.
  2. 제 1항에 있어서, R1및 R2가 각각 할로겐원자, 할로겐화 C1-6알킬기, C1-6알콕시기, 아미노기, 모노-C1-6-알킬아미노기, 디-C1-6-알킬아미노기, 히드록시기, C7-16아르알킬옥시기, 메틸렌디옥시기, 시아노기, 벤조일기, C2-7알카노일기, 카바모일기, 카르복시기, C1-6알콕시-카르보닐기, C1-6알콕시-메톡시기, C2-7알카노일옥시기, 니트로기, 술폰산기, 술폰아미드기, 티올기, C1-6알킬티오기, C1-6알킬술피닐기, C1-6알킬술포닐기, C1-6알킬기, C2-7알카노일아미노기, 벤조일아미노기, 히드록시-C1-6-알킬기, 카르복시-C1-6-알킬기, C2-6알케닐기, C2-7알카노일-피페라지닐기, C1-6알킬-아미노카르보닐피페라지닐기, C2-7알카노일-아미노메틸기, C1-6알킬-아미노카르보닐-C1-6-알킬기, C1-6알킬-우레이도메틸기 및 N-C1-6-알콕시-카르보닐피페리디닐카바모일기로 이루어진 그룹으로 부터 선택된 1 내지 3개의 기로 치환되어도 좋은 페닐기이고, R2가 R1및 R3에서와 같은 치환기로부터 선택된 1 내지 3개의 기로 치환되어도 좋은 페닐기 또는 C3-7시클로알킬기인 치환 비닐우레아 유도체 또는 그 염.
  3. 제 1 또는 2항에 기재된 유도체 또는 그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의약.
  4. 제 3항에 있어서, 동맥경화의 예방 및 치료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
  5. 제 1항 또는 2항에 기재된 유도체 또는 그 염 및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함유하는 의약 조성물
  6. 제 5항에 있어서, 동맥경화의 예방 및 치료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 조성물.
  7. 제 1항 또는 2항에 기재된 유도체 또는 그 염의 의약으로서의 용도.
  8. 제 7항에 있어서, 의약이 동맥경화의 예방 및 치료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9. 제 1항 또는 2항에 기재된 유도체 또는 그 염의 유효량을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맥경화의 예방 또는 치료방법.
KR1019970037518A 1996-08-09 1997-08-06 치환 비닐우레아 유도체 및 이를 함유하는 의약 KR1002729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11265/1996 1996-08-09
JP21126596 1996-08-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8421A true KR19980018421A (ko) 1998-06-05
KR100272931B1 KR100272931B1 (ko) 2000-11-15

Family

ID=16603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7518A KR100272931B1 (ko) 1996-08-09 1997-08-06 치환 비닐우레아 유도체 및 이를 함유하는 의약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866609A (ko)
EP (1) EP0823420B1 (ko)
KR (1) KR100272931B1 (ko)
CN (1) CN1062262C (ko)
CA (1) CA2211945A1 (ko)
DE (1) DE69707602T2 (ko)
ES (1) ES2166491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9802209D0 (sv) 1998-06-22 1998-06-22 Astra Pharma Inc Novel compounds
CN103694144B (zh) * 2013-12-11 2015-04-08 华东师范大学 一种3-烯基取代脲类衍生物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827152D0 (en) * 1988-11-21 1988-12-29 Wellcome Found Anti-atherosclerotic diaryl compounds
PT93158A (pt) * 1989-02-17 1990-08-31 Warner Lambert Co Processo para a preparacao de compostos de ureia trissubstituidos e de composicoes farmaceuticas que os contem
ATE115558T1 (de) * 1990-03-12 1994-12-15 Yamanouchi Pharma Co Ltd Harnstoffderivate, deren herstellung sowie diese enthaltende pharmazeutische zusammensetzungen.
GB9027023D0 (en) * 1990-12-12 1991-01-30 Wellcome Found Anti-atherosclerotic aryl compoun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166491T3 (es) 2002-04-16
DE69707602T2 (de) 2002-07-11
CN1184809A (zh) 1998-06-17
KR100272931B1 (ko) 2000-11-15
EP0823420A3 (en) 1999-01-13
EP0823420A2 (en) 1998-02-11
US5866609A (en) 1999-02-02
CA2211945A1 (en) 1998-02-09
DE69707602D1 (de) 2001-11-29
CN1062262C (zh) 2001-02-21
EP0823420B1 (en) 2001-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128644C1 (ru) Производные антраниловой кислоты или их фармакологически приемлемые соли, промежуточные продукты для их получения и лекарственный препарат на их основе
US4452813A (en) Sulfonate derivatives, process for preparing same and antilipemic compositions containing the derivative
US6316503B1 (en) LXR modulators
US5869486A (en) Fused pyrimidines and pyriazines as pharmaceutical compounds
US5708020A (en) Arylalkyl(thio)amides
KR20100132073A (ko) Pai―1 저해제
JP2001089412A (ja) ベンゼン誘導体またはその医薬的に許容される塩
NO150638B (no) Analogifremgangsmaate for fremstilling av terapeutisk aktive, basiske ethere
HU213605B (en) Process for producing amide composition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mprising same as active ingredient
SK281184B6 (sk) Substituovaný sulfónamid, farmaceutická kompozícia na jeho báze a spôsob jeho prípravy
EP0223593B1 (en) Phenoxyalkylcarboxylic acids and esters and their preparation and pharmaceutical formulation
JPH10182583A (ja) 新規ヒドロキサム酸誘導体
US5510386A (en) Aminosulfonylphenyl compounds for treating urinary incontinence
NO300891B1 (no) Analogifremgangsmåte for fremstilling av terapeutisk aktive forbindelser
MXPA04006203A (es) Moduladores aromaticos del receptor x de higado de tioeter.
AU2022201524A1 (en) Inhibitors of the n-terminal domain of the androgen receptor
PL209113B1 (pl) Cykloheksylosulfony, zawierająca je kompozycja farmaceutyczna i zastosowanie związków
JP4094955B2 (ja) 置換アミノ基を有するテルフェニル化合物
KR19980018421A (ko) 치환 비닐우레아 유도체 및 이를 함유하는 의약
US4902698A (en) Benzenesulphonamidopyridyl compounds which are useful as thromboxane A.sub.2
AU733006B2 (en) Phenylpropenone compounds and medicines containing the same
US4158013A (en) N-Cyano-N&#39;-alkynyl-N&#34;-2-mercaptoethylguanidines
JPH0372623B2 (ko)
US4271188A (en) Compounds having hypolipidaemic activity
JPH04243856A (ja) 置換されたフエニルアセチレン、これを含有する薬剤、この化合物及び薬剤を製造す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